• Crossref logo
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6-0401(Print)
ISSN : 2383-6334(Online)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Vol.23 No.6 pp.955-971
DOI : https://doi.org/10.7741/rjcc.2015.23.6.955

Design characteristics of Chinese traditional clothing of the Ming-Qing Dynasty era in contemporary women’s fashion

Jiayi Zhu, Seung Yeon Ha†
Dept. of Fashion Design and Merchandising, Kongju National University, Korea
Corresponding author (hsywings@kongju.ac.kr)
August 4, 2015 November 18, 2015 November 23, 2015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Chinese traditional clothing, especially from the Ming-Qing Dynasty era, and how they have influenced contemporary fashion. Regarding research methods, this study determined the design characteristics, such as the form, color and pattern of Chinese traditional clothing of the Ming-Qing Dynasty era. In addition, 440 photos were collected from the Paris Collection from 2005 to 2014 using www.firstviewkorea.co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ost popular silhouette from Chinese traditional clothing appearing in contemporary fashion was the H-shaped one, and the internal lines appeared in the following order: Chinese collar; narrow sleeve; symmetrical front opening; round collar; wide sleeve; and the C-shaped Biwa front-end. Second, the most popular color was achromatic black, followed by white. The chromatic colors were in the order of blue, yellow, red, green, and purple. Third, the patterns appeared in the following order: Plant patterns, complex patterns, and animal patterns. The peony pattern appeared the most commonly as a plant pattern, followed by the arabesque pattern and the plum blossom pattern which appeared with a similar proportion. Dragon, bird and phoenix patterns appeared the most for animal patterns. It is consider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helpful for designing products for Korean fashion brands that will advance to the Chinese market. In addition, it will help Chinese designers apply the Chinese-style design characteristics popular among people throughout the world when they advance to the West.


현대 여성복에 나타난 중국 명·청 시대 전통복식의 디자인 특성

주 가 이, 하 승 연†
국립공주대학교 의류상품학과

초록


    I.Introduction

    최근에 중국 전통을 현대 디자인에 활용하는 경 우가 많아지고 있다. 특히 1997년 홍콩의 중국반환, 2002년 WTO 가입, 그리고 2008년의 베이징올림픽 개최 등을 통해 중국이 세계적으로 주목을 받게 되 었으며, 영화나 매체, 잡지 등에서 중국에 대한 보도 가 항상 이슈로 등장하였다(Jin, 2012). 세계적으로 유명한 패션 디자이너들이 중국의 전통복식의 실루 엣, 형태, 소재, 문양과 장식기법 등 디자인 요소들 을 창작의 출발점으로 삼아 주목을 받고 있다. 또한 유명 패션 브랜드들도 북경과 상해를 중심으로 대 형 스토어를 오픈하고, 중국 전통 예술이나 중국 현 대 디자이너들의 그림을 상품에 응용하는 등 문화와 비즈니즈의 통합적 접촉을 시도하고 있다(Kim, 2006). 한편, 중국을 비롯한 대만과 홍콩을 대상으로 한국 의 화장품과 의류 등 패션 및 뷰티용품의 수출 증가 율이 가파르게 상승하였다. 한국의 전반적인 수출이 저조한 반면에, ‘한류 기반 소비재’의 수출만은 꾸 준히 증가하고 있다(Choi, 2015). 이러한 경제 상황 속에서 수출 대상국가인 중국에 대해 차별화된 전 략을 세우고, 중국 여성들의 패션 선호도와 디자인 특성을 파악하는 일은 중요하리라 판단된다.

    Wang(2007)은 고대의 하, 상, 주 시대부터 청나라 까지의 중국 전통 궁중복식과 시민복식, 관복을 대상 으로 연구하였고, Qiao(2012)은 BC 1100년 서주부터 1911년까지의 청나라까지 중국의 미학을 고찰하였 다. 한편, Jung(2006)은 프랑스 로코코 시대의 중국풍 에 대해 연구하였고, Jin(2012)은 중국 전통 남성복의 변화를 중국의 문화 대혁명시기인 1978년 이후부터 2000년까지 연구하였다. 이에 본 연구자는 중국의 유 구한 역사와 방대한 규모로 인하여, 연구범위를 중국 전(全) 시대에 걸치게 되면 연구의 깊이가 낮아짐이 우려되었다. 또한 서구사회에 중국의 영향력의 기원 을 고찰하는 가운데, 유럽에서 중국 문물이 가장 활 발하게 받아들여져 유행하던 시기인 17~19C에 해당 하는 시기는 중국의 명나라와 청나라 시대였다는 사 실을 알게 되었다. 따라서 아제까지 연구의 범위를 중국의 명, 청시대로 한정하여 고찰한 사례는 아직까 지 없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유럽에 중국 문물의 영향력이 시작된 시기에 해당하는 명, 청나라 시대의 복식을 집중적으로 연구하고자 한다.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광범위한 중국의 전(全) 시대가 아니라, 명나라와 청나라 시대의 전통복식에 집중함으로써 현대 패션에 실질적으로 영향을 미친 중국 전통복식의 디자인 특성에 대해 고찰하고, 이러 한 명, 청 시대 전통복식의 디자인 특성이 현대 패션 에 어떻게 반영되어 나타났는지 분석하고자 한다. 이 를 위해서 본 연구는 현대 패션에 나타난 중국 명, 청 시대전통복식의디자인특성을연구하기위한대상으 로서, 2005년부터 2014년까지 10년간의 파리 컬렉션 을 중심으로자료를수집하였다. 파리컬렉션을선택한 이유는 세계 4대 컬렉션 중에서 역사적으로 유럽패션 을 대표하는 지역이 파리이기 때문이다. 수집방법은패 션정보전문인터넷사이트인www.firstviewkorea.com을 이용하였으며, 수집된 컬렉션 자료는 총 1,646장이 었다. 이 중 의류상품학 전공 대학원생과 교수로 구 성된 8명에 의해 1차 분석을 거쳐 과반수 이상의 인 원에게서 선별된 440장을 최종 연구분석의 대상으 로 선정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한국 패션산업 이 중국 시장에 진출함에 있어서 미래 중국 시장의 디자인 방향성을 예측하고 제시하는데 도움이 될 것 이다. 아울러 중국 디자이너들이 서양 무대에 진출 할 때에도 세계인이 공감할 수 있는 중국적 디자인 특성을 활용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II.Background

    1.Traditional clothing of Chinese Ming Dynasty era

    중국은 오랜 역사와 풍부한 전통 문화를 가진 다 (多)민족 국가로서, 역사와 문명의 진화 과정에서 합 류하며, 형성된 민족의 특색과 풍모를 반영한 민족 문화이다. 명나라(1368~1644) 시대의 복식은 대체 적으로 당나라 제도를 답습하지만, 송나라와 원나라 전통복식의 형식이 일부 보존되기도 하였다.

    명나라에는 황제가 주로 곤복(Fig. 1)을 착용하였 고, 황후의 예복은 홍색 대수의(大袖衣)(Fig. 2)와 어 깨에는 하피(Fig. 10)를 걸치고 홍색의 치마로 구성 되었으며, 머리장식인 봉관과 함께 착용하였다. 양 소매의 끝부분에 금색으로 용과 봉황문양을 자수하 였다. 명대의 남자복식은 포삼(袍衫)(Fig. 3)이 위주 로서, 깃을 둥글게 만든 단령삼(圆领衫)을 입고, 허리 에 옥대를 착용하였으며, 관직의 높고 낮음에 따라 관복의 색깔과 문양을 달리하였다. 일반 남자복식(Fig. 4)은 보통 반령, 우임, 장수로 구성되었으며, 양쪽 겨드랑이 아래로 ‘무’를 더해서 보기에 마치 두 개의 각이 뻗어 나온 것 같았다(Cui, Liu, & Qian, 2010). 명나라 귀족 여성복식은 상의인 삼(衫)(Fig. 5), 두루 마기에 해당하는 오(袄), 조끼 형태의 숄인 하피(霞 帔), 치마인 군(裙)(Fig. 6)으로 구성된다. 또한 여성 들의 예복으로 대수삼이 있는데, 대수삼은 황후가 적의(翟衣)를 입을 때 어깨의 앞뒤로 늘어뜨리던 띠 인 하피를 둘렀다. 하피는 검정 비단에 봉황과 구름 무늬가 수 놓여 있고, 두 줄의 금선이 둘러져 있다 (Mei, 2011). 한편, 명나라의 여성들은 평상복으로 상의인 오와 치마를 입고 배자를 입었는데, 소매가 큰 배자(背子)(Fig. 9)는 예복으로, 소매가 좁은 배자 는 평상복으로 입었다. Qiao(2012)에 의하면, 깃과 소매가 없고 무릎까지 내려오는 배자는 청년과 여 성들이 즐겨 입었다. 특히 명나라부터 유행하기 시 작한 여성 복식 중 가장 특색이 있는 비갑(比甲)(Fig. 8)은 그 형태가 조끼와 비슷하나, 길이가 무릎 아래 로 내려오며 오위에 입었는데, 편안하게 입을 수 있 기 때문에 서민들이 많이 선호하였다. 하의로는 치 마가 있으며, 명나라 초기에는 평범한 색상이 유행 하였고, 문양도 뚜렷하지 않았다(Fig. 7). 그러나 말 기로 오면서 치마의 문양이 점점 두드러지게 되고, 주름이 많아지면서 화군(华裙), 봉위군(凤尾裙) 등 새로운 치마 스타일이 나오게 되었다. 봉위군은 여 러 색상의 비단을 넓거나 가늘게 재단하여 구성하 였고, 그 형태가 봉황꼬리처럼 생기고 양반집 여성 들이 즐겨 입었으며, 안에 속치마를 착용하였다. 재 단한 비단에 꽃문양을 자수하며, 가장자리는 금선으 로 자수하거나, 무늬 있는 테두리로 자수하였다. 치 마의 뒷부분을 채조(彩条)로 고정하고, 허리에는 허 리띠로 연결하였다(Fig. 6).

    2.Traditional clothing of Qing Dynasty era

    청나라(1644~1911)는 중국의 마지막 봉건시대로, 중국의 소수 민족인 만주족(满洲族)이 건립한 나라 이다. 청나라의 복식 문화도 한족과 소수민족인 만 주족의 문화를 융합하고, 서양 문화의 장점을 받아 들여 다양성과 융합성으로 형성되었다. 뿐만 아니라 청나라 시기는 중국 복식 발전의 최고봉이라고 일컬 을 정도로 장식적인 면에서 최고였으며, 중국의 근· 현대 패션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 예를 들면 현재 중국의 대표적인 패션 형태인 치파오는 청나라 전 통 복식의 원형 위에 서양 패션의 특징이 흡수되어 변화된 것이다. 이전 복식문양이 일정한 속도로 발 전했다면, 청나라는 이전 복식들과 비교해 볼 때 액 세서리의 완벽함, 문양의 복잡함, 계급을 문양에 더 욱 엄격하게 반영시킨 점 등이 특징으로 들 수 있다 (Zhao, 2005).

    청나라 황제의 옷은 조복(朝服)(Fig. 11)으로, 피 령(披领)(Fig. 12), 포군(袍裙)으로 구성되며, 조관을 착용하였다. 이러한 예복 위에 피령이나 영두(領頭) 와 같은 별도의 깃을 착용하였다(Cui et al., 2010). 관복의 가슴과 등에는 흉배인 보자를 붙였는데, 이 를 보복(补服)이라 불렀다(Fig. 13, 14). 일반 남성복 식으로는 포(袍), 상의인 삼, 홑옷인 괘(卦), 바지 고 (袴)가 있다. 포의 소매 형태가 말굽과 비슷해서 마 제수(马蹄袖)(Fig. 18)라 불렀는데, 마제수는 원래 북 방 소수민족 사냥복의 소매 스타일로서, 소매 형태 가 좁고 팔뚝을 감추며, 소맷부리는 곡선으로 만들 었다. 소맷부리 위 부분으로 손등을 덮을 수 있으며, 활을 쏠 때 편리하였다. 또한 남성들은 팔꿈치를 가 리는 허리길이의 짧은 홑겹 상의인 마괘(马褂)(Fig. 16)를 입었다(Mei, 2011). 청나라 복식 중에 마괘는 남녀 모두 함께 입었는데, 칼라의 형태가 원령 또는 입령으로 되어 있고, 깃의 형태는 대금이었다. 마괘 의 길이는 허리를 넘어 양쪽으로 벌어져 있으며, 소 매는 긴 길이와 짧은 길이가 있는데, 짧은 길이의 소 매는 팔꿈치까지 온다. 소매 끝부분이 모두 일자로 되어 있으며, 일반적으로 포위에 입었다. 오는 가장 겉에 걸치는 옷으로 칼라의 형태가 원령과 입령으 로 나누어진다. 처음에는 오의 수구가 넓었으나, 점 차 좁은 형태가 되었다(Wang, 2007). 반드시 양 옆 에는 트임을 주고 곤변(绲边)을 장식하였다. 보통 오 (Fig. 21)는 짧은 상의를 말하는데, 긴 형태는 장오 (Fig. 19)라고 불렀으며, 장오는 포의 형태와 동일하 였다. 그리고 이러한 포로부터 치파오의 형태가 변 형되었다. 청나라 시대에 만주족 전통 복식의 특징 중 하나인 마갑(马甲)(Fig. 17, 20)은 만주족이 북경 으로 천도한 청나라 말기부터 착용하기 시작한 소 매 없는 상의로 길이는 짧은 것부터 긴 것까지 다양 하였다. 처음에는 궁중용으로서 속에 착용한 옷이었 으나, 청대 후기에 이르러서는 남녀 모두 준 예복으 로 포위에 착용하였다. 마갑은 무사가 사냥할 때 추 위를 예방하기 위해 보온을 위한 실용성에서 출발 하였으나, 나중에는 정교하게 제작하여 남녀 모두 즐겨 착용하는 장식적인 복장이 되었다. 특히 마갑 은 많은 매듭을 사용하여 만들었으며, 일반적인 형 태는 가슴과 등의 두 부분으로 나뉜다. 길이는 허리 까지이고 앞선이 곡선이며, 가슴 부분에 섶으로 분 리하여 일곱 개의 매듭으로 연결하였다. 이와 같은 형태는 가죽으로 제작하였던 유목 생활에서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Cui et al., 2010). Fig. 15

    청나라 여성들은 초기에는 여전히 명나라 복식인 상의와 치마를 주로 입었으나, 점차 만주족의 복식 과 융합되는 경향을 보였다. 만주족 여성들의 복식 은 남성과 비슷하게 포와 마괘(Fig. 22)로 구성되어 있었으나, 폭이 넓지는 않았다. 여성의 치마(Fig. 23) 는 명나라 시대의 스타일을 많이 사용하였다. 특히 봉위군(凤尾裙), 월화군(月华裙) 등의 스타일이 유행 하였다. 마면군(马面裙)은 청나라 시대에 가장 많이 사용하고 유행한 치마로, 양쪽에 주름이 있으며, 가 운데에는 넓은 면이 있었다. 마면 중앙 또는 아래쪽 에 자수 장식을 하며, 사방에 테를 둘렀다. <Fig. 14> 는 황후의 착장모습이다. 여성의 상의 내복은 한나 라 시대부터 시작하였는데, 명나라 시대에 주요(主 腰)라고 불리다가 청나라 시대에 복대(肚兜)(Fig. 24) 라고 하였다. 하의 내복인 슬복(膝裤)도 있었다(Cui et al., 2010).

    3.Design characteristics of Chinese traditional clothing

    1)Form

    일반 패션디자인의 특성 중 형태는 실루엣과 실 루엣 내부선으로 분류된다. 실루엣이란 전체 형태의 가장 바깥에 있는 경계로서, 의복과 인체 간의 가장 기본적인 형이며, 실루엣 안에 있는 다른 형을 지각 하는데 참고가 된다(Delong, 1998). 반면에 실루엣 내부선은 네크라인, 칼라, 바디스, 소매, 스커트, 팬 츠, 드레스, 아웃웨어, 스타일 특성, 액세서리 등으 로 분류하고, 이러한 의복의 각 부분의 형태를 세부 형태선이라 정의한다(Davis, 1996).

    뚜렷하고 독특한 공유한 형태가 나타나는 중국 전 통복식의 스타일은 명나라의 전통복식에서는 황제 와 황후의 용복, 삼, 군, 비갑, 배자, 하피였으며, 청 나라 전통복식에서는 황제용복, 황제와 황후의 조 복, 마괘, 장오, 마갑, 복대 등이었다.

    먼저 실루엣에 있어서는 청나라의 황제 용복과 조복, 그리고 여성들의 상의인 삼과 하의 치마 군, 상의 내복인 복대, 마괘 등의 형태는 A형 실루엣으 로 분류하였다. 명나라 여성들의 의복인 비갑과 배 자, 하피, 그리고 청나라 시대의 장오와 마갑 등의 형태는 H형 실루엣에 해당한다. 그리고 명나라 황 제 용복과 관복은 O형 실루엣으로 분류하였다.

    중국 명나라와 청나라의 전통복식에 있어서 실루 엣 내부선은 목선의 형태, 깃의 형태, 소매의 형태로 분류된다. 즉, 목선의 세부 형태선은 원령과 입령으 로 나뉜다. 원령은 둥근 목둘레선을 의미하며, 입령 은 옷깃이 세워진 경우의 목선으로 스탠딩 칼라의 형 태이다. 깃의 세부 형태선은 대금, 일자금, 비파금으 로 나눌 수 있다. 대금은 깃의 크기가 큰 경우로 화려 한 화변을 사용하고, 수직으로 곧게 내려오는 형태를 말한다. 일자금은 목 아래 부위에 일자 형태로 된 깃 을 말하며, 주로 마갑에 사용되었던 깃의 형태이다. 비파금은 ‘ㄷ’자 형태의 깃으로 비파모양처럼 생겼다 고 하여 비파금이라 불렀다. 마지막으로 소매의 세부 형태선은 착수, 대수, 마제수로 나뉜다. 착수란 좁은 소매의 통칭으로 실용성을 강조한 소매 형태이며, 대 수는 큰 소매의 총칭이다. 그리고 마제수란 말을 탈 때 편리하도록 소매를 걷어 올릴 수 있게 만든 황제 조복에 사용된 소매의 형태를 의미한다.

    2)Color

    색이란 시각적 인식의 근원뿐 아니라, 인간의 정 서에 깊이 관여한다. 각 민족은 그들 고유의 색채를 개발할 수 있는 능력이 있고, 독특한 애호색이나 색 채 조화가 있게 마련이다. 복식의 색은 사회의 정치, 경제, 문화적 요인과 한 시대 사람들의 미적 요구에 따라 구체적으로 발현되었다(Kum, 1994).

    명나라는 과학 기술이 발전하고 대외 무역과 교 류가 활발하였으며, 복식의 색상이 더욱 다양하게 변화한 시기이다. Song(1966)에 의하면, 십여 가지 의 색채가 등장하는데, 이를 통해 당시 비슷한 계열 의 여러 가지 색상들이 생겨난 것을 알 수 있다. 붉 은색 계열의 진홍색, 연홍색, 분홍색, 연분홍색, 선 홍색과 노란색 계열의 황토색, 담황색, 황금색, 또한 파란색 계열의 청색, 포도색, 옥색 등이 그 예이다. 게다가 동일한 문헌에 염색기술에 대해서도 기록되 어 있다. 명나라의 다른 사료에도 색채 제조방법에 대해 자세히 기록되어 있으며, 특히 당시의 4대 기 서(奇书)는 문학적 언어와 기교로 진홍색, 연홍색, 청록색, 진녹색, 황금색 등 당시 사람의 생활 속 색 채를 그대로 기록하고 있다.

    청나라 시대에는 명나라 시대보다 더욱 다양한 색 채가 나타났으며, 청나라 사람들의 색채관념 미학의 식이 드러나는 염색기술에 대해 기록되어 있다. 다 홍색, 연홍색, 암홍색, 분홍색 등의 붉은색 계열과 진보라, 자주색, 연보라 등의 보라색 계열, 온백색, 백색 등의 흰색 계열, 미학색, 살구색 등의 노란색 계열, 감청색, 금청색 등의 파란색 계열, 진녹색, 연 녹색, 연두색 등의 초록색 계열 등 수많은 색채를 포 함하고 있다(Tang, 1987). 이렇듯 중국 고대 생활에 서 의복의 색상은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모두 기록 할 수 없으나, 당시 사람들이 강렬한 아름다움을 추 구하였고, 강한 색채관념을 소유하며, 미적 생활을 영위해 나갔음을 확인할 수 있다.

    3)Pattern

    중국은 고대부터 직물 생산국가의 명성을 지니고 있다. 명나라와 청나라 시대에는 비단 직물이 광범 위하게 유행하였으며, 당시 중국은 예로부터 계급을 나타내는 상의하상(上衣下裳)의 복식제도가 확립되 어 있었으며, 상당한 규모의 소재 생산능력을 갖추 고 있었다. 명·청나라 시기의 전통복식 문양은 사 실적인 묘사를 기초로 하고 있다. 명나라는 해음(谐 音)과 우의(寓意) 문양이 풍부하여 일정한 형식을 만들었는데, 구름문양, 식물문양, 새문양, 물고기문 양 등을 모두 사실적으로 묘사하고 있다(Tian, Wu, & Tian, 2003).

    중국의 전통문양 중 동물문에는 만물조화의 능력 이 있는 영물로 벽사와 권위, 남자의 정력과 다산, 황제 등을 상징한 용문, 실재하지 않는 상상의 새로 서 조류 가운데 으뜸으로 여겨지며, 품위와 태평성 대 그리고 황후를 상징한 봉황문, 풍유와 다산, 부 활, 그리고 자연과 조화를 이루며 살아가는 모습에 서 행복을 의미한 물고기문, 군림하는 자의 위엄과 준엄함에 대한 상징으로 무인의 용맹을 상징하며, 해로운 악령을 막아주는 의미로 어린아이의 신발과 모자 등에 수를 놓기도 한 호랑이문, 행복과 즐거움, 그리고장수를의미하는나비문 등이 있다(Hong, Shin, & Choi, 2004). 식물문에는 이국풍의 넝쿨이라는 의 미로 장생과 불멸을 상징하며, 덩굴이나 줄기를 일 정한 모양으로 도안화한 장식무늬의 하나인 당초문, 수명이 길고 사시사철 푸르러서 장수를 상징한 대 나무와 매화, 국화문, 중국에서 생산되는 낙엽관목 의 하나로 크고 화려한 특성을 강조하여 여러 겹의 꽃잎을 겹겹이 풍성하게 표현함으로써 부귀한 기품 과 부의 상징이며 번영, 행복, 사랑의 상징으로 여겨 진 모란문, 늪이나 연못에서 자라지만 진흙에 물들 지 않는 것에서 순수, 청빈, 기품, 정화 등을 의미하 며, 연꽃 씨앗의 생명력이 강한 것에서 생명창조와 번영, 자손을 상징한 연꽃문 등이 있다(Sung, 2001).

    한편, 복합문양으로 조정을 상징하여 흉배나 관복 등의 사선, 물거품, 그리고 물방울의 삼단 형태로 많 이 나타난 물결문, 불교에서 8자는 상서로운 물건을 의미하며, 법륜, 법라, 보산, 백개, 연화, 보병, 금어, 반장을 말하는 팔보문, 방사형, 회전, 중첩형, 평행 형 등 표현방법이 다양한 선문, 나사꼴의 무의를 S 자 꼴로 짜 맞추거나 길게 옆으로 잇거나 마름모꼴 로 여러 겹 번개 모양을 띤 뇌문, 천상을 동경하고, 미래의 행복을 추구하며, 평화를 원하는 마음의 표 출로 나타나 다복(多福), 다수(多寿), 다손(多孙)을 상 징한 구름문, 꽃가지를 물고 있는 새 문양으로 불교 의 향화공양(香花供养)에서 영감을 얻은 화식조(花 食鸟)문 등이 있다(Hong et al, 2004). 이외에도 길상 을 나타내는 복(福), 녹(録), 수(寿), 희(喜), 부귀(富 贵), 강녕(康寧), 수호덕(修好德), 노종명(老钟命) 등 의 축복을 의미하는 문자문이 있다(Sung, 2001). Table 1

    III.Setting Criteria for Analysis of Design Characteristics of Chinese Traditional Clothing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 Qiao(2012)은 중국적 디 자인 특성을 고찰하기 위한 기준으로 중국 전통복 식의 조형성을 형태, 색채, 문양, 소재로 분류하였 다. 형태는 다시 실루엣(타이트형, A형, O형, H형, 트라페즈형), 스타일(심의, 유군, 대수삼, 대금삼, 고 습, 원령포삼, 융포, 보복, 마괘, 장오, 장포, 치파오, 단오치마, 중산복 등)과 선(심, 대수삼, 착수, 대금, 원령, 교령, 단오, 금), 디테일(밴드칼라, 옆트임, 매 듭단추, 치파오 실루엣, 치파오 디테일, 보자, 마제 수, 우임, 좌임 등)로 세분화하였다. 색채는 오방색 (황, 적, 청, 백, 흑)과 흑백조합, 전통색채, 현대적 강 한 원색으로 세분화하고, 문양은 용, 봉황, 모란, 구 름 등의 단독형과 조합형으로 분류하였다. 소재는 실크, 능, 라, 주, 견, 단, 금, 면, 마 등의 재료와 자수, 금박, 직금, 날염 등기법으로분류하였다. 한편, Wang (2007)은 현대 중국풍 패션에 나타난 조형적 특성을 위해 형태, 색채, 문양, 소재를 기준으로 분석하였 다. 형태는 다시 실루엣(스트레이트형, 아우어글래 스형, 배럴형), 내부형(끈, 매듭단추, 매기, 두르기, 소매단 선장식, 털장식 등)과 구조형(상의, 바지, 치 마, 치파오)으로 세분화하고, 색채는 색상(중성색, 흑백무채색, 원색)과 색채조화(무채색조화, 유채색 과 무채색조화, 보색조화, 유사색조화)로, 문양은 동 물, 식물, 소수 민족복식문양, 자연문, 기하문, 추상 문으로 분류하였다. 소재는 실크, 공단, 면, 마, 모직 물, 털과 가죽, 랑주, 운금, 자수기법으로 분류하였 다. 또한 Jung(2006)은 현대 패션에 나타난 중국적 디자인 특성을 치파오의 조형적 특성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치파오의 형태는 목선(입령, 원령), 깃(대금, 일자금, 비파금), 소매(마제수, 착수, 대수)로 세분화하고, 색상은 오방색(황, 적, 청, 백, 흑)과 오간색(홍, 녹, 벽, 자, 류황)으로, 문양은 동물 문(용, 봉황, 물고기, 호랑이, 나비, 박쥐 등), 식물문 (당초, 포도문, 대나무, 모란, 연꽃, 불수감 등), 기하 문(수파, 팔보, 점, 선, 뇌, 태극, 구름 등)으로 분류하 였다. Jin(2012)은 현대 남성재킷에 나타난 중국적 디자인 특성에 대해 실루엣과 디테일, 색채, 문양으 로 분류하였다. 실루엣은 X형, Y형, H형으로 분류 하고, 디테일은 깃, 여밈, 소매, 매듭단추로 세분화 하였으며, 색채는 유채색과 무채색으로, 문양은 동 물문, 식물문, 기하문으로 분류하였다. 이상의 선행 연구에서 사용한 중국풍 디자인 특성의 분석을 위 한 기준들을 정리하면 <Table 3>과 같다.Table 2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중국 명·청나라 시대의 전통복식의 디자인 특성을 고찰하기 위한 기 준을 <Table 4>와 같이 마련하였다. 첫째, 형태는 실 루엣과 내부선으로 분류하였다. 실루엣은 Qiao(2012)Jin(2012), Wang(2007)이 사용한 기준 중 가장 많 이 중복되는 기준인 H형, A형, O형으로 정하였다. 내부선은 모든 선행연구에서 분석한 기준이기는 하 였으나, 연구자마다 사용한 용어가 다르고, 특히 Qiao (2012)Wang(2007)은 너무 세분화한 나머지 분석 이 어려울 수 있었다. 따라서 Jung(2006)이 연구에 서 사용한 용어를 채택하였다. 즉, 형태가 극명하게 구분되어 분석이 명료할 수 있도록 목선은 입령과 원령으로, 깃은 대금, 일자금, 비파금으로, 소매는 마제수, 착수, 대수로 세분화하였다. 한편, 색채에 대 해서는 먼셀의 10색상환을 기준으로 한 Jin(2012)의 기준을 채택하여 유채색과 무채색으로 설정하고, 유 채색은 청색, 적색, 황색, 녹색, 자색의 먼셀의 기본 5색상으로, 무채색은 백색과 흑색으로 설정하였다. 이유는 Qiao(2012)Jung(2006)이 설정한 오방색은 무채색과 유채색이 혼합되어 있어 현대 패션색채를 분석하기에적합하지 않다고 판단하였으며, Wang(2007) 의 경우는 분류기준이 모호하여 명확한 색채 분석이 어렵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이다. 문양에 대해서는 Jin (2012)Jung(2006)의 연구에서 사용한 기준을 채 택하여 동물문, 식물문, 기하문으로 설정하였다. 수 집한 자료에서 가장 많이 보여지는 문양도 위 3종류 였기 때문이다. 소재에 대해서는 사진만으로는 정확 한 파악이 불가능하여 제외하였다.

    IV.Results and Discussion

    1.Analysis of application using forms of Chinese traditional clothing of Ming-Qing Dynasty era

    1)Analysis of application using silhouettes of Chinese traditional clothing of Ming-Qing Dynasty era

    명나라와 청나라 시대의 전통복식의 실루엣의 유 형을 분석하면 H형, O형, A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H형 실루엣은 명나라의 비갑과 배자, 그리고 청나 라의 장오가 해당되며, 총 440점 중에서 357점(82.2%) 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O형 실루엣은 청나라의 마갑과 하피가 해당하는 실루엣으로 총 47점(10.8%) 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A형 실루엣은 명나라의 삼과 군, 복대, 그리고 청나라의 용복, 조복, 마괘, 군의 형태가 해당되며, 31점(7.1%)으로 나타났다. 이 외에도 X형 실루엣 3점(0.7%)이 나타났으나, 명나 라와 청나라의 전통복식에서 X형 실루엣에 해당하 는 스타일을 찾을 수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 분석에서는 X형 실루엣을 제외하였다. 이상의 내용 을 정리하면 <Table 5>와 같다.

    중국 디자인 특성에 대한 선행연구에서 실루엣 에 해당하는 부분을 비교해 보면 다음과 같다. Qiao (2012)의 연구에서도 역시 H형 실루엣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중국계 디자이너의 작품에서는 47%가 H형 실루엣을 활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비중국 계 디자이너의 작품에서는 61%가 H형 실루엣으로 나타났다. Jung(2006)의 연구에서는 치파오의 실루 엣을 응용한 슬림 실루엣이 172점, 루즈 실루엣이 86점으로 나타났으며, 해외와 중국 남성복을 분석 한 Jin(2012)의 연구에서도 역시 H형 실루엣이 가 장 많이 나타났다. 따라서 실루엣에 있어서는 다 른 선행연구와 본 연구의 결과가 일치함을 발견 할 수 있었다. 이로써 현대 패션에 나타나는 중국 풍 디자인 특성으로 실루엣에 있어서는 H형 실루 엣이 가장 많은 영향을 주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 었고, 이는 앞으로도 현대 패션에 지속적으로 활용 될 것으로 예측되어진다. 명나라의 비가와 배자, 그 리고 청나라의 장오에 해당하는 H형 실루엣을 활용 한 디자이너가 중국계뿐 아니라, 유럽계 또는 아시 아계 디자이너들도 적지 않은 사례를 차지하였음을 통해, 현대 패션에서 H형 실루엣은 앞으로도 계속 영향을 받을 것으로 사료된다. <Fig. 25>는 H-shape 실루엣을 나타내고 있으며, <Fig. 26>은 O-shape 실 루엣을, 그리고 <Fig. 27>은 A-shape 실루엣을 보여 준다.

    2)Analysis of application using internal lines of Chinese traditional clothing of Ming-Qing Dynasty era

    본 연구에서는 명나라와 청나라의 전통복식의 세 부형태선 분류를 위해 칼라는 원령과 입령으로, 깃 의 형태는 대금과 일자금, 비파금으로, 소매의 형태 는 착수와 대수, 마제수로 각각 분류하였다. 이를 토 대로 파리 컬렉션을 통해 현대패션에 나타난 중국 전통복식의 세부형태선이 적용된 사례를 분석한 결 과는 다음과 같다. 입령의 세부형태선을 활용한 사 례가 143점(31.4%)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착수 의 밀착된 소매선을 활용한 사례가 115점(25.3%), 마 괘의 대금의 디테일을 활용한 사례가 93점(20.5%), 목둘레선을 의미하는 원령의 세부형태선을 활용한 사례가 35점(7.7%), 비파금의 세부형태선을 활용한 사례와 넓은 소매의 대수의 세부형태선을 활용한 사 례가 각각 32점(7.0%)의 순위로 나타났다. 그리고 마 지막으로 마제수의 세부형태선을 활용한 사례가 4 점(1%)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상의 내용을 정 리하면 <Table 6>과 같다.

    Qiao(2012)의 연구에 따르면, 비중국계 디자이너 는 입령과 일자금, 대금의 순으로 많이 활용한 것으 로 나타났으며, 중국계 디자이너는 입령, 대금, 일자 금, 대수, 원령의 순으로 활용도가 높게 나타났다. 현대 남성패션에 나타난 중국풍 특성을 연구한 Jin (2012)의 연구에 따르면, 중국과 해외 남성복 모두 입령의 형태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Jung(2006)의 연구에서는 입령, 비파금, 매듭단추가 중국적인 특 성으로 두드러진다고 분석하였다. 명나라, 청나라 전통복식 중 내부선으로서 입령의 디테일이 가장 많은 사례수를 차지한 것은 본 연구결과와 일치하 였다. 입령의 디테일은 중국계 디자이너뿐 아니라, 비중국계 디자이너들에게 중국풍 디자인 특성을 잘 드러내주는 형태적 특징임에 분명하다. 입령은 중국 풍 디자인 특성을 대표할 수 있고, 세련된 현대 패션 을 표현할 수 있으므로 입령을 활용한 디자인은 앞으 로도 계속적으로 시도될 것으로 예측된다. <Fig. 29> 는 비파금과 입령이 반영된 디자인이며, <Fig. 28>은 대금 및 입령과 착수를, <Fig. 30>은 대수를 나타내 고 있다.

    2.Analysis of application using colors of Chinese traditional clothing of Ming-Qing Dynasty era

    파리 컬렉션을 통해 현대 패션에 나타난 중국 명 나라, 청나라 시대의 전통복식 색채가 적용된 사례 의 분석을 살펴보면, 유채색 중에서는 청색을 활용 한 사례가 69점(21.2%)으로 가장 많이 나타났다. 황제 와 황후만 사용할 수 있었던 황색을 활용한 사례가 50점(15.4%), 중국에서 전통 결혼식을 할 때 많이 사 용한 적색을 활용한 사례가 36점(11.1%), 녹색을 사 용한 사례가 22점(6.8%), 그리고 귀족 부인들이 많 이 사용하던 자색을 활용한 사례가 15점(4.6%)으로 나타났다. 무채색에서는 관복에 많이 보이던 흑색을 활용한 사례가 98점(30.1%)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 으며, 백색을 활용한 사례는 35점(10.8%)으로 나타 났다. 이상의 내용을 정리하면 <Table 7>과 같다.

    Jin(2012)의 연구에 따르면, 해외 남성복 컬렉션 에 나타난 중국풍의 색채는 무채색 계열인 흑색과 밝은 회색의 순서로 나타났고 유채색으로는 청색, 남색, 적색 등 다양하게 나타났다. 반면에 중국 디자 이너의 남성복 컬렉션에 나타난 중국풍의 색채는 적색, 주황색, 청록색, 자색 등의 순서로 나타났다. Jung(2006)의 연구에서는 흑색이 70점으로 가장 많 이 나타났으며, 적색이 43점, 백색이 33점, 금색을 포함한 황색 계열이 26점, 청색 계열이 21점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한편, Qiao(2012)의 연구에서는 비 중국계 디자이너는 중국풍 색채 활용의 순서는 청 색이 126점(13%), 적색이 145점(12%), 황색이 73점 (8%), 주황색이 65점(7%), 청록색이 48점(5%), 보라 색이 39점(4%), 자주색이 32점(4%), 남색이 30점(3%), 녹색이 26점(2%), 연두색이 14점(1%)의 결과를 나 타냈다. Wang(2007)의 연구에서는 중국계 디자이너 들은 흑색이 가장 많이 나타난 반면에, 해외 디자이 너들은 적색, 황색, 청색을 가장 많이 사용하였다.

    이러한 결과에 따라 대체로 유럽과 아시아를 포 함한 해외 디자이너들이 무채색 중에서는 흑색을, 유채색 중에서는 청색을 중국풍 디자인 특성을 반 영하는 색상으로 인식하고 있는 듯하였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Jin(2012), Jung(2006), Wang(2007) 등의 연구결과와 일치하였다. 반면에 중국계 디자이 너들은 청색보다 자색과 적색을 많이 선호하는 것 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이유는 실제로 중국 사람들 은 적색을 길상으로 생각하고, 많은 장식품과 예복 에 사용하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유럽이나 아시아를 포함한 해외 디자이너들이 중국 시장의 진 출을 위해서는 적색이 중국인들이 여전히 선호하는 색상이라는 것을 기억하고,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 가 있음을 시사한다. 다음은 현대 여성복 컬렉션에 나타난 Red(Fig. 31), Blue(Fig. 32), Yellow(Fig. 33), Green(Fig. 34), Black(Fig. 35), White(Fig. 36)의 사 례들이다.

    3.Analysis of application using patterns of Chinese traditional clothing of Ming-Qing Dynasty era

    중국의 명나라, 청나라 시대의 전통 문양을 활용 하여 현대 패션에서 나타난 사례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2005년부터 2014년까지의 파리 컬렉션 을 중심으로 현대패션에 나타난 중국 전통 문양의 빈도가 높은 순서는 식물문을 활용한 경우가 105점 (46.1%), 복합문을 활용한사례가73점(32.0%), 그리고 동물문을 활용한 사례가 50점(21.9%)으로 나타났다.

    Jung(2006)의 연구에 의하면, 중국적 특성은 꽃을 이용한 식물문과 기하문의 순으로 많이 나타났고, 용문을 비롯한 동물문과 대나무를 비롯한 식물문도 나타났다. Wang(2007)의 연구에서는 용, 봉황, 모란, 문자 문양 등을 사용하여 중국문화의 신비성과 화 려함을 표현하였다고 하였으며, Qiao(2012)의 연구 에서는 중국계 디자이너는 중국의 전통성과 문화를 과장되게 표현하기 위해 용, 봉황, 모란 등의 전통문 양을 많이 사용한 반면에, 비중국계 디자이너는 문 양의 형태와 신비감을 선호함으로써 토템적인 용, 봉 황 등의 전통문양을 많이 사용하였다고 분석하였다. 한편, Jin(2012)의 연구는 남성복을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문양이 적게 나타난 편이지만, 식물문, 동물 문, 기하문이 모두 보여졌다. 동물문 중에서는 명나 라, 청나라 시대에 황족들만이 사용할 수 있었던 용 문을 활용한 경우가 15점(6.6%), 봉황문을 활용한 경우가 10점(4.4%)으로 나타났다. 이 외에도 귀족들 이 많이 사용하였던 호랑이문이 7점(3.0%), 새 문양 이 13점(5.7%), 나비문을 활용한 경우가 5점(2.2%) 으로 나타났다. 식물문 중에서는 모란문양을 활용한 경우가 51점(22.4%)으로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당 초문을 활용한 경우가 22점(7.7%), 매화문을 활용한 경우가 20점(8.8%), 그리고 연꽃문을 활용한 디자인 과 목근화문을 활용한 경우가 각각 6점(2.6%)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복합문의 경우에는 기하문과 점· 선 문양을 활용한 사례가 각각 24점(10.5%)으로 가 장 높게 나타났으며, 물결문과 구름문을 활용한 사 례가 각각 12점(5.3%), 문자문을 활용한 사례는 중 국 서예를 원단에 프린팅한 1점(0.4%)만 나타났다. 이상의 내용을 정리하면 <Table 8>과 같다. 다음은 용(Fig. 37)과 호랑이(Fig. 39), 봉황(Fig. 38), 국화꽃 (Fig. 40)을 표현한 식물문, 선(Fig. 41)을 나타내는 기하문, 그리고 문자(Fig. 42)를 나타낸 기타문 등 중 국풍 문양이 이용된 현대 컬렉션 사례들이다.

    IV.Conclusion

    본연구는중국의명, 청나라시대를중심으로중국 전통복식의형태, 색채, 문양의특성이 현대패션에어 떻게반영되어 나타나는지에 대해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진행순서는 먼저, 중국 명나라와 청나 라 시대의 전통복식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그 디자인 특성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2005년부터 2014 년까지 10년간 유럽패션의 중심지인 파리 컬렉션을 중심으로 1,646점의 연구자료를 수집하였다.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의 분석을 통해 중국 전통복식의 디자인 특성을 분석하기 위한 기준을 선정하고, 의 류상품학 관련학과의 교수와 대학원생으로 구성된 8인에 의해 1차 분석된 440점의 사진자료를 최종 연 구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분석을 위해서 명, 청 시대 전통 복식의 형태는 실루엣과 내부선으로 나 누어 실루엣은 H형, O형, A형으로 분류하고, 내부 형태선은 원령, 입령, 대금, 일자금, 비파금, 대수, 착 수, 마제수로 재분류하였다. 색채는 유채색으로 청 색, 적색, 황색, 녹색, 자색, 무채색으로 흑색, 백색으 로 나누었다. 문양은 크게 동물문, 식물문, 복합문으 로 분류하고, 동물문에는 용과 봉황, 나비, 호랑이, 물고기 등이 해당되며, 식물문은 모란, 당초, 매화 등이 해당되고, 복합문은 물결, 구름, 점·선, 기하, 문자 등이 포함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대 패션에 나타난 중국 전통복식의 실루 엣으로는 H형 실루엣(82.1%)이 가장 많이 나타났으 며, 내부형태선으로는 차이나 칼라의 형태인 입령 (31.5%), 좁은 소매형태인 착수(25.3%), 세로직선 형 태의 여밈방식인 대금(20.5%), 원목둘레선을 의미하 는 원령(7.7%), 통이 넓은 소매형태의 대수(7.0%), ‘ㄷ’ 자 형태의 여밈방식인 비파금(7.0%)의 순으로 나타 났다. 특히 입령은 본 연구뿐만 아니라, 타 선행연구 에서도 동일한 결과가 나옴으로 인하여 두드러진 중국풍 디자인 특성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대금과 착수는 현대 패션에 있어서 기능적으로 편안하기 때 문에 그 활용도가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예측된다.

    둘째, 현대 패션에 나타난 중국 전통복식의 색채로 는 흑색(30.1%)이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그 다음 순으 로청색(21.2%), 황색(15.4%), 적색(11.1%), 백색(10.8%), 녹색(6.8%), 자색(4.6%)의 순서로 나타났다. 다른 선 행연구의 결과와 비교해 보면, 중국풍 색상으로 무 채색인 흑색이 가장 높게 나타나는 것은 본 연구결 과와 동일하였으나, 유채색의 경우는 청색을 선호하 는 유럽계 디자이너에 비해 중국계 디자이너들이 자색과 적색을 많이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러한 이유는 실제로 중국 사람들이 적색을 길상으 로 생각하고, 많은 장식품과 예복에 사용하기 때문 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유럽이나 아시아를 포함한 해외 디자이너들이 중국시장의 진출을 위해서는 중 국인들이 선호하는 적색을 현대 패션에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겠다.

    셋째, 현대 패션에 나타난 중국 전통복식의 문양 으로는 식물문(46.1%), 복합문(32.9%), 동물문(21.9%) 의 순으로 나타났다. 식물문양 중에서는 모란문이 가 장 많이 나타났고, 당초문과 매화문이 비슷하게 나타 났다. 모란문은 중국의 국화로 길상, 다복, 다귀를 상징하는 뜻으로 많이 이용된다. 동물문 중에서는 용문, 새문, 봉황문의 순서로 많이 나타났다. 복합문 에서는 기하문과 점·선문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문양 면에서만 식물문 다음으 로 물결, 구름, 점, 선 등 기하형태, 문자를 포함한 기타문이 동물문보다 많이 나타난 점을 제외하고는 형태와 색상 면에서는 대체적으로 선행연구와 동일 한 결과가 분석되었다. 즉, 형태 면에서는 H 실루엣 과 입령이, 색상 면에서는 흑색과 청색이 많이 나타 난 점이 선행연구와 동일하였다. 이로써 중국의 전 시대를 연구한 Wang(2007), Qiao(2012)의 연구 결 과와의 차이점이 별로 없다는 사실은 그만큼 명, 청 시대가 복식의 역사에 있어서 중국을 대표하는 시 대였음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본 연구범위를 설정 한 타당성이 입증되었다. 따라서 현대 패션에 가장 영향력을 끼치고 있는 중국 전통복식은 명, 청 시대 의 복식이며, 앞으로도 이 시기의 전통복식에 대한 더욱 깊이 있고 포괄적인 연구가 지속될 필요가 있 을 것으로 사료된다.

    아울러 본 연구결과는 한류 소비재 수출이 중국을 비롯한 대만, 홍콩, 일본 등지에서 증가하고 있는 현 시점에서, 한국 디자이너 브랜드와 한국 패션기업들 이 중국 전통복식을 이해하고, 그 디자인 특성을 파 악함으로써 중국을 비롯한 동남아 소비자들을 위한 패션을 디자인하고 기획하는 데에 기초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겠다. 아울러 중국 패션 디자이너들이 서양 무대에 진출할 때에도 세계인이 공감할 수 있는 중국풍 디자인 특성이 무엇인지를 이해하고, 디자인 에 적용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Figure

    RJCC-23-955_F1.gif

    Emperor for suit. From. Zhu Yuyuan (1476 - 1519) (n.d.). http://www.mingtombs.eu

    RJCC-23-955_F2.gif

    Empress for suit. From. Hanfu (n.d.). https://en.wikipedia.org

    RJCC-23-955_F3.gif

    Official uniform. From. Vollmer (2002). p.27

    RJCC-23-955_F4.gif

    Ordinary clothes. From. Hanfu (n.d.). https://en.wikipedia.org

    RJCC-23-955_F5.gif

    Sam(衫). From. Ling (2007). http://hanweiyang.cn

    RJCC-23-955_F6.gif

    Kun(裙). From. Vollmer (2002). p.54

    RJCC-23-955_F7.gif

    Sam and Kun. From. Xin (2003). http://www.pureinsight.org

    RJCC-23-955_F8.gif

    Bigap(比甲). From. Cui, Liu, and Qian (2010), p.135

    RJCC-23-955_F9.gif

    Baeja(背子). From. Zou and Li (2013). http://news.jguo.cn

    RJCC-23-955_F10.gif

    Hapi(霞帔). From. Dickinson and Wrigglesworth (1990). p.185

    RJCC-23-955_F11.gif

    Dragon robe. From. Garrett (2007). p.32

    RJCC-23-955_F12.gif

    Piling. From. Garrett (2007). p.38

    RJCC-23-955_F13.gif

    Emperor court dress. From. Vollmer (2002). p.65

    RJCC-23-955_F14.gif

    Empress court dress. From. Vollmer (2002). p.71

    RJCC-23-955_F15.gif

    Ordinary clothes. From. Garrett (2007). p.10

    RJCC-23-955_F16.gif

    Magwae(马褂). From. Vollmer (2002). p.48

    RJCC-23-955_F17.gif

    Bard(马甲). From. Vollmer (2002). p.51

    RJCC-23-955_F18.gif

    Horseshoe-shaped sleeve. From. Garrett (2007). p.57

    RJCC-23-955_F19.gif

    Jango(長袄). From. Vollmer (2002). p.62

    RJCC-23-955_F20.gif

    Bard(马甲). From. Cui et al. (2010). p.135

    RJCC-23-955_F21.gif

    O(袄). From. Cui et al. (2010). p.128

    RJCC-23-955_F22.gif

    Magwae(马褂). From. Cui et al. (2010). p.131

    RJCC-23-955_F23.gif

    Kun(裙). From. Cui et al. (2010). p.158

    RJCC-23-955_F24.gif

    Bokdae(肚兜). From. Vollmer (2002). p.55

    RJCC-23-955_F25.gif

    Andrew GN 2005 F/W. From. Andrew GN 2005 F/W (n.d.). http://www.firstviewkorea.com

    RJCC-23-955_F26.gif

    Shiatzy Chen 2009 F/W. From. Shiatzy Chen 2009 F/W (n.d.). http://www.firstviewkorea.com

    RJCC-23-955_F27.gif

    Tsumori Chisato 2007 F/W. From. Tsumori Chisato 2007 F/W (n.d.). http://www.firstviewkorea.com

    RJCC-23-955_F28.gif

    Tsumori Chisato 2013 F/W. From. Tsumori Chisato 2013 F/W (n.d.). http://www.firstviewkorea.com

    RJCC-23-955_F29.gif

    Shiatzy Chen 2013 S/S. From. Shiatzy Chen 2013 S/S (n.d.). http://www.firstviewkorea.com

    RJCC-23-955_F30.gif

    Gareth Pugh 2014 S/S. From. Gareth Pugh 2014 S/S (n.d.) http://www.firstviewkorea.com

    RJCC-23-955_F31.gif

    Shiatzy Chen 2013 F/W. From. Shiatzy Chen 2013 F/W (n.d.). http://www.firstviewkorea.com

    RJCC-23-955_F32.gif

    Valentino 2013 F/W. From. Valentino 2013 F/W (n.d.). http://www.firstviewkorea.com

    RJCC-23-955_F33.gif

    Tsumori Chisato 2007 F/W. From. Tsumori Chisato 2007 F/W (n.d.). http://www.firstviewkorea.com

    RJCC-23-955_F34.gif

    Shiatzy Chen 2014 F/W. From. Shiatzy Chen 2014 F/W (n.d.). http://www.firstviewkorea.com

    RJCC-23-955_F35.gif

    Shiatzy Chen 2013 F/W. From. Shiatzy Chen 2013 F/W (n.d.). http://www.firstviewkorea.com

    RJCC-23-955_F36.gif

    Shiatzy Chen 2009 S/S. From. Shiatzy Chen 2009 S/S (n.d.). http://www.firstviewkorea.com

    RJCC-23-955_F37.gif

    Jean Paul Gaultier 2008 F/W. From. Jean Paul Gaultier 2008 F/W (n.d.). http://www.firstviewkorea.com

    RJCC-23-955_F38.gif

    Valentino 2014 F/W. From. Valentino 2014 F/W (n.d.). http://www.firstviewkorea.com

    RJCC-23-955_F39.gif

    Barbara Bui 2012 F/W. From. Barbara Bui 2012 F/W (n.d.). http://www.firstviewkorea.com

    RJCC-23-955_F40.gif

    Shiatzy Chen 2014 F/W. From. Shiatzy Chen 2014 F/W (n.d.). http://www.firstviewkorea.com

    RJCC-23-955_F41.gif

    Dries Van Noten 2012 F/W. From. Dries Van Noten 2012 F/W (n.d.). http://www.firstviewkorea.com

    RJCC-23-955_F42.gif

    Chado Ralph Rucci 2008 S/S. From. Chado Ralph Rucci 2008 S/S (n.d.). http://www.firstviewkorea.com

    Table

    Traditional clothing of Ming Dynasty era

    Traditional clothing of Qing Dynasty era

    Setting criteria for analysis of design characteristics of Chinese traditional clothing used in preceding research

    Setting criteria for analysis of design characteristics of Chinese traditional clothing of Ming-Qing Dynasty era

    Analysis of application using silhouettes

    Analysis of application using internal lines

    Note. Source of Flat Sketches: Qiao(2012). pp.59-60

    Analysis of application using colors

    Analysis of application using patterns

    Reference

    1. Andrew GN (2005) F/W (nd) firstVIEWkorea, Retrieved September 4 2014 from http://www.firstview korea.com
    2. Barbara Bui (2012) F/W (nd) firstVIEWkorea, Retrieved September 4 2014 from http://www.firstview korea.com
    3. Chado Ralph Rucci (2008) S/S (nd) firstVIEWkorea, Retrieved September 4 2014 from http://www.firstviewkorea.com
    4. Choi Y N (2015) ‘한류의 힘’ 패션-뷰티 용품 수출 7년새 5배로 , dongA.com, Retrieved September 22, 2015, from http://www.donga.com/3/all/20150525/71458369/1
    5. Cui Z J , Liu J , Qian M (2010) 中国传统服饰 图鉴 , The Oriental Press,
    6. Davis M L (1996) Visual design in dress, Prentice Hall,
    7. Delong M R (1998) The way we look: Dress and aesthetics, Fairchild Publications,
    8. Dickinson G , Wrigglesworth L (1990) Imperial wardrobe, Bamboo Publishing Ltd,
    9. Dries Van Noten (2012) F/W. (n.d.) , firstVIEWkorea, Retrieved September 4, 2014, from http://www.firstviewkorea.com
    10. Gareth Pugh (2014) S/S (nd) , firstVIEWkorea, Retrieved September 4 2014 from http://www.firstviewkorea.com
    11. Garrett V (2007) Chinese dress: From the Qing dynasty to the present, Tuttle Publishing,
    12. Hanfu. (n.d.)Wikipedia, Retrieved December 22 2015 from http://www.en.wikipedia.org/wiki/Hanfu
    13. Hong N Y , Shin H S , Choi J H (2004) Traditional costumes of Asia, Gyomoonsa,
    14. Jean Paul Gaultier (2008) F/W. (n.d.) , firstVIEWkorea, Retrieved September 4, 2014, from http://www.firstviewkorea.com
    15. Jin Y (2012) Characteristic of Chinese style in contemporary men’s jacket design,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Korea
    16. Jung J S (2006) A study on the “Chinoiserie” look in contemporary fashion design: Focus on the “Qipao” style popularized after the 2000 foreign fashion collec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17. Kim S Y (2006) The study on the Chinesm on the modern fashion ,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Vol.14 (2) ; pp.220-233
    18. Kum K S (1994) The beauty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 Youlhwadang,
    19. Ling Y N (2007) Ming Dynasty dressed: Comics graphic Ming Dynasty cistumes , Retieved October 23 2014 from http://www.hanweiyang.cn/yang/dispbbs.asp?boardID=2&ID=61732&star=2&page=,
    20. Mei H (2011) Chinese clothin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1. Qiao D (2012) A study on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Chinese chic in contemporary fashion desig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ung-Ang University, Seoul, Korea
    22. Shiatzy Chen (2009) F/W (nd) , firstVIEWkorea, Retrieved September 4 2014 from http://www.firstviewkorea.com
    23. Shiatzy Chen (2009) S/S (nd) , firstVIEWkorea, Retrieved September 4 2014 from http://www.firstviewkorea.com
    24. Shiatzy Chen (2013) F/W (nd) , firstVIEWkorea, Retrieved September 4 2014 from http://www.firstviewkorea.com
    25. Shiatzy Chen (2013) S/S (nd) , firstVIEWkorea, Retrieved September 4 2014 from http://www.firstviewkorea.com
    26. Shiatzy Chen (2014) F/W (nd) , firstVIEWkorea, Retrieved September 4 2014 from http://www.firstviewkorea.com
    27. Song Y X (1966) Tian'gong kaiwu: Chinese technology in the seventeenth century,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28. Sung H S (2001) A study on orientalism style of modern fashion: Concentrating on Chinese pattern,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Women s University Seoul Korea
    29. Tang Y (1987) ⟪红楼梦⟫的色彩以为初探 , Studies on “A Dream of Red Mansions”, Vol.1987 (3) ; pp.136-170
    30. Tian Z B , Wu S S , Tian Q (2003) 中国纹样史 , Beijing: Higher Education Press., Higher Education Press,
    31. Tsumori Chisato (2007) F/W (nd) , firstVIEWkorea, Retrieved September 4 2014 from http://www.firstviewkorea.com
    32. Tsumori Chisato (2013) F/W (nd) , firstVIEWkorea, Retrieved September 4 2014 from http://www.firstviewkorea.com
    33. Valentino (2013) F/W. (n.d.) , firstVIEWkorea, Retrieved September 4 2014 from http://www.firstview korea.com
    34. Valentino (2014) F/W (nd) , firstVIEWkorea, Retrieved September 4 2014 from http://www.www.firstview korea.com
    35. Vollmer J E (2002) Ruling from the dragon throne: Costume of the Qing Dynasty (1644-1911), Ten Speed Press,
    36. Wang A (2007) The research of visual characteristics of China chic in modern fash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37. Xin H (2003) Five Thousands Years of Culture from Heaven: Chinese Dress through the Ages , Retrieved December 22 2015 from http://www.pureinsight.org/node/1342,
    38. Zhao F (2005) 丝绸艺术史 , Cultural relics publishing house,
    39. n.dZhu Yuyuan (1476-1519) Ming Tombs, Retrieved December 22, 2015, from http://www.mingtombs.eu/o/yuyu/yuyu.html
    40. Zou Y , Li M Z (2013) Change in ancient Chinese women costume , Retirved October 23 2014 from http://www.news.jguo.cn/whcy/2013/0529/ 27334.html,

    Appendi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