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rossref logo
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6-0401(Print)
ISSN : 2383-6334(Online)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Vol.24 No.5 pp.670-686
DOI : https://doi.org/10.7741/rjcc.2016.24.5.670

Expression and characteristics of kidult in contemporary women’s collection

Zhai Jia, Yoon Mee Lee*, Younhee Lee**
Fashion of Institute Design, Donghua University, China
*Dept. of Knit Fashion Design, Hanyang Womens University, Korea
**Dept. of Clothing & Textiles, Hanyang University, Korea

This paper is a part of a doctoral’s dissertation.

Corresponding author : (yiyhee@hanyang.ac.kr)
August 26, 2016 October 26, 2016 October 28, 2016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lineate and analyze the expression of the kidult and its characteristics and thereby provide data to be used for fashion design in various manners as well as to suggest creative and varied possibilities of fashion design. As a way to study, the author of this paper organized the general terms, concepts and definitions concerning the kidult in the previous papers and journals. The data was collected from the collections represent the characteristics of kidult especially from 2006 to 2015.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The characters stimulating the innocence of children were used the most for infantile expression. Parody used characters in the movie or famous logos. Déformation was used to create designs by way of distortion and deformation. Exaggeration thereby showing visually strong impression and inducing surprise and unexpectedness. Dépaysement was useful to let us describe concepts and enhance our infinite creativity and interests about objects using surrealistic. Secondly, Infantile characteristics used the images of toys with infantile imagination and sense of humor. Fantasy introduced objects or expressed a dream-like feeling. Unexpectedness used two-faced ideas or conflicting ideas to express conflicts, collision and an interchange with heterogeneous things, avoiding the limit of size and the simplicity of materials. Parody used jocular expressions, satire and ironic expressions to express the original image in a fun manner. Exaggeration transformed changed the structure to restructure objects in a subjective and creative manner, thereby expressing creative patterns using various subject matters by way of special modeling or distortion and transformation.


현대 여성 컬렉션에 나타난 키덜트적 표현 방법 및 표현 특성

적 가, 이 윤미*, 이 연희**
둥화대학교 복장과 예술디자인학부
*한양여자대학교 니트패션디자인과
**한양대학교 의류학과

초록


    I.Introduction

    현대 산업 사회에서는 소비자의 의식 향상과 함께 다양한 제품들이 등장하고 있으며 문화의 다원화에 따라 다양한 스타일이 유행되고 있다. 이에 따른 새 로운 유형의 소비자로 키덜트(kidult) 족이 등장하였 으며, 유명 패스트푸드점의 미니언즈 해피밀 대란, 김 영만 종이접기 열풍 등과 같은 키덜트와 관련된 콘텐 츠들이 대세를 이루고 있다.

    ‘키덜트(kidult)’는 어린이를 뜻하는 ‘키드’(kid)와 어 른을 의미하는 ‘어덜트’(adult)의 합성어로 ‘아이들 같 은 감성과 취향을 지닌 어른’을 지칭하는 용어이다. 키덜트 문화는 영화, 광고, 문학, 소비재 등 현대사회 전반에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특히 패션 분야에 서는 보편적이고 쉽게 경험하는 사회적 문화생활로 서 가장 광범위한 현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삼성디자 인넷에서 발표한 2015년 패션시장 10대 이슈에 따르 면 캐릭터 시장은 성, 연령, 시대를 초월하는 인기로 전성시대를 맞이했고, 디즈니, 스누피, 스폰지밥 등 전통적인 캐릭터부터 마블, 스타워즈 등 영화 캐릭터 를 비롯해 카카오 프랜즈로 대표되는 SNS 메신저 캐 릭터까지 다양한 캐릭터와 패션의 협업 사례가 역대 최대 구모로 증대하면서 호재를 맞고 있다. 이러한 캐릭터들은 불황이 장기화되면서 상품에 신선함을 주는 한편 친숙한 이미지를 통해 쉽게 구매로 연결시 킬 수 있으며, 어른들도 스스로의 만족을 위해 각종 캐릭터 상품을 구입하는 키덜트 감성이 외부로 표출되 면서 상품들이 더욱 확대되는 추세이다(SDN, 2015).

    이러한 키덜트 문화와 패션은 현대 사회에서 중요 한 개념으로 대두되면서 그 범위를 넓혀가고 있으며 이와 관련된 다양한 연구들도 진행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키덜트적인 표현 방법 및 특성을 도출 하고 분석하고 패션디자인의 창의적인 방향을 위한 다양한 활용 방안과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연구방 법으로 국내외 전문서적 및 논문, 학술지 등의 선행 연구를 통해서 키덜트에 관한 일반적인 용어, 개념과 정의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정리하였다. 또한 패션 분야와 시각예술 분야의 키덜트 관련 선행연구를 통 해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표현 방법과 특성을 조사 분 석하여 분류하였으며 패션에 나타난 키덜트적인 표 현 방법 및 특성에 대한 사례들을 분석하기 위한 기 준을 마련하였다. 분석 자료는 선행연구 조사를 통하 여 나타난 키덜트 특성을 지닌 디자이너를 조사하여 2006년부터 2015년까지 최근 10년간으로 한정하며 자 료는 패션전문 사이트 삼성디자인넷(www.samsungdesign. net)을 통하여 수집하였다.

    Ⅱ.Kidult

    1.Conception of kidult

    ‘키덜트(Kidult)’는 ‘키드(Kid)’와 ‘어덜트(Adult)’의 합성어로, 어른이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어린이의 취 향이나 감성을 갖고 있는 20~30대 성인들을 말한다 (Park, 2004). 이들의 특징은 진지하고 무거운 것 대신 유치하고 재미있는 것을 추구하며, 어린아이와 같은 아이템 등을 즐긴다. 케리 맥스웰(Kerry Maxwell)은 키덜트의 두 가지 의미를 성인처럼 꾸미는 십대와 어 른이 된 후에도 어린 시절에 누렸던 즐거움을 포기하 지 않으려는 성인을 의미한다고 하였으며, 베키 에벤 캠프(Becky Ebenkamp)와 제프 오디오른(Jeff Odiorone)은 키덜트 트렌드를 행복하고 순수했던 어린 시절을 떠 올리는 경험과 상품을 구함으로써 안락함을 추구하는 20, 30대의 사람들이라고 설명하였다(as cited in Yoon, 2004).

    키덜트 문화는 어린아이들의 감정을 드러내는 단순 함, 어린 시절을 그리워하는 추억 등에서 영감을 얻어 유머, 익살스러움, 키치와 같은 유희적인 이미지가 가 미되어 개성을 부여하고 있으며 차별화된 독특한 스타 일을 원하는 현대인들에게 내적 심리와 그들의 놀이적 요소가 융합되어 문화 전반에서 다양한 형태로 보이고 있다. 인간은 호모루덴스((Homo Ludence; 놀이하는 인 간)로서 의식적이던 무의식적이던 놀이 속에서 인생의 즐거움을 찾는 것(Cho & Lim, 2009)으로, 이러한 키덜 트 현상은 현시대의 문화 속에서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으며 현대 디자인에 커다란 영향을 반영하고 있다.

    또한 키덜트는 주로 1980년대 태어나 컬러 TV로 애니메이션을 즐기기 시작한 30대 중후반 남성들을 주축으로 40대 이상의 로열 레저 소비자들로 일시적 유행이 아닌 ‘문화’로 자리 잡고 있다. 과거 레고, 피 규어, 아트 토이나 무선조종 미니카에 한정됐던 키덜 트 시장은 무선 조종 드론, 심지어 직접 사람이 타는 스마트 모빌리티 시장까지 영역을 확대하면서 그 규 모가 어마어마하게 확산되고 있다. 한국 키덜트 시장 의 규모는 연 7,000억 원 대로 추정되고 있으며, 키덜 트 라이프스타일을 양성화하고 그들의 라이프스타일 을 고급화하는데 한 몫을 하고 있다(Kwak, 2015).

    2.Expression and characteristics of kidult’s image

    본 연구에서는 키덜트 표현의 다양한 방법 및 특성 을 파악하기 위하여 키덜트 관련 선행연구를 패션과 시각 제품의 분야별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1)Advanced research analysis kidult’s image in fashion design

    패션 분야에 나타난 키덜트 관련 선행연구를 정리 하면 다음과 같다. Kim and Lee(2012)는 제레미 스캇 (Jeremy Scott)이 본격적으로 자신의 컬렉션과 아디다 스(adidas)와의 콜라보레이션 컬렉션을 진행한 2005 S/S 시즌부터 2012 S/S 시즌까지의 여성복 디자인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형태의 변형의 가변성, 유아 적 모티브 차용의 단순성, 이질적인 오브제의 사용과 그라피티의 활용으로 유희성, 다양성 등이 나타났다. 표현 방법으로는 초현실적 기법, 팝아트 요소 도입, 유아적 모티브 차용, 캐릭터의 활용, 다양한 소재 활 용, 다양한 디지털 색채와 낙서와 같은 방법이 나타 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Cho and Lim(2009)는 키덜트를 이끌어가는 청소 년 집단의 대표적인 키덜트 패션인 ‘어린 시절 보아 오던 캐릭터를 활용한 캐릭터(character) 패션’, 전통 적인 미의식을 해체한 키치(kitch) 패션, ‘유쾌한 재미 를 제공하는 퍼니(funny) 패션’, ‘소녀의 감성을 가미 한 티롤리안(Tylorean) 패션’ 등으로 분류하였다. 표현 기법으로는 왜곡, 과장, 축소와 같은 변형, 부조화 도 입, 이질적 재료 사용, 아동복 요소의 혼재와 남녀복 혼용, 패러디 등으로 나타났으며 과장성, 가변성으로 표현되었다는 결과로 나타났다.

    Song(2008)은 키덜트 패션은 플라스틱이나 장난감 등의 오브제를 활용한 키치, 만화나 디즈니 캐릭터를 모티브로 활용해서 어린아이와 같은 감성을 표현한 다고 나타났으며, 키덜트 패션의 미적 특성은 인간의 태도와 주관적 미의 개념에 의해서 향수의 미, 유희 의 미, 부조화의 미로 분류하여 고찰하였다. 현대 키 덜트 패션에서 데페이즈망의 사물의 은유나 생물의 무생물화 신체부위의 전치와 같은 은유적 표현과 착 장형태의 위치 전환, 착시 그리고 왜곡과 변형이 있 고, 데포르마시옹(de︠formation)의 변형과 왜곡을 통하 여 패션의 다양성과 환상성, 과장성으로 나타난다고 하였다.

    Jang and Lee(2007)의 연구에서는 현대 패션 일러스 트레이션에 유희적 표현을 사용함으로서 얻을 수 있 는 효과를 키덜트적 표현을 통하여 어린 시절의 환상 과 꿈의 세계로 돌려보내 현실의 중압감에서 벗어나 해방감을 주고 유희적 느낌을 유발시킨다고 하였다.

    Yoo(2007)는 아이들의 문화라고 분류되어졌던 마 니아적 현상의 키덜트 족의 출현 요인을 사회 문화 적, 경제적, 심리적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키덜트적 성 향이 현대 패션에서는 걸리쉬 룩(girlish look), 영 룩 (young look), 큐트 룩(cute look), 펀룩(fun look)으로 분류하였다. 키덜트 표현 기법은 팝아트 요소 도입, 초현실주의 기법, 패러디, 낙서의 4가지로 분류하였 다. 걸리쉬 룩의 자유로움을 드러내고 자기 삶을 즐 기고자 하는 젊은 감성을 표현하고자 하는 다양성을 나타냈다. 소품에 나타나는 유희성, 재미있는 상상력 을 바탕으로 서로 어울리지 않을 것 같은 요소들을 결합한 새로운 믹스 & 매치 스타일의 펀 룩은 환상성 으로 나타났다고 하였다.

    Kim(2003)은 키덜트적 문화 현상의 의미를 국내와 국외의 실증적인 패션자료를 분석함으로써 국내외 패션흐름에 나타나는 키덜트적인 특성을 파악하였다. 현대 패션에 표현된 키덜트적 표현 기법은 아동화적 특성 도입, 단순성의 법칙(simplicity principle), 기저 선(base line)의 독특한 공간 표현방식, 열거식 표현과 공간의 동시성 표현(mixed view)이 합쳐진 형태, 또 는 반복적 표현 등으로 나타났다. 또한 아동복 형태, 다양한 소재 도입, 소녀 취향의 학생복 스타일(school girl look)과 리틀 걸 룩(little girl look), 동․식물의 유아적 모티브의 캐릭터 활용과 애니메이션 캐릭터 활용, 그라피티적 요소, 상징적 도상 또는 기호나 레 터링의 도입, 동화 주인공이나 애니메이션 주인공의 패러디(parody), 형태의 왜곡으로 데포르마시옹, 반복 적 표현(repetition), 실제와 다르게 보여지는 눈속임 기법(trompe l’oeil)으로 표현되고 있었다. 유머러스한 표현들은 자유롭고 대중적인 젊은 패션 이미지를 전 달하는 유희성과 환상성, 데포르마시옹의 왜곡 변형 기법의 사용은 과장성으로 표현되어 나타났다.

    2)Advanced research analysis kidult’s image in product & visual design

    시각디자인 분야의 키덜트 표현 방법과 특성을 조사 하기 위하여 선행연구를 살펴보았으며 정리하면 다음 과 같다. Choi(2006)는 키덜트 속성의 개념과 성장 배 경, 문화 현상을 고찰하여 키덜트티즘의 영향을 찾고자 하였다. 캐틱터 상품 사례(헬로 키티, 아기곰 ‘푸우’, 미 키마우스, 딸기, 마시마로), 대중문화 속의 키덜트 상품 사례(로봇 태권 V, 이대 앞의 바바오폰 카페, 패션 브 랜드), 다양한 캐릭터와 그라피티 등, 일러스트 아이템 활용(가방, 시계, 향수, 티셔츠)으로 나누어 조사 분석 하였으며, 차별화된 독특한 스타일을 원하는 현대인들 의 내적 심리와 그들의 놀이적 요소가 융합되어 문화 전반에서 다양한 형태를 보이고 있다고 하였다.

    Yang(2009)은 키덜트 작품에 대한 개인의 심리적 상황이 반영되어 있음을 고찰하고 여러 작품의 분석 을 통해 키덜트 표현 기법은 강한 색채를 사용하고어 린 시절의 즐거운 기억을 가지면서 밝고 따뜻한 추억 과 심리적 불안감을 나타내는 내면의 의도를 전달하 였다. 작품의 단순한 색채와 즐거움을 주는 장난감들 과 이들의 이미지를 조금씩 변형하고 색을 바꾸는 모 든 행위들을 통해 단순하고 유희적인 특성이 표현되 었음을 알 수 있었다.

    Park(2011)의 연구에서는 키덜트적 감성이 각박한 현실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일탈심리를 통해 현대인의 문화 현상에 반영되고 있으며, 연구자의 작품에 자유 로운 선과 스크래치 기법을 사용하여 아동들이 자유 롭게 낙서를 하듯이 그려지는 그라피티 표현과 유사 한 점을 많이 사용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Yoo(2012)는 키덜트의 개념과 표현의 유형을 고찰 하여 자신의 작품에 키덜트 모티브 활용, 강렬하고 개성 있는 색채 사용, 다양한 실루엣 표현, 팝아트 요 소 도입에 대한 다양성을 표현하고 있으며,. 캐릭터 표현, 유아적 요소 도입, 콜라주, 병치, 반복 기법을 사용, 변형 기법 사용, 오브제 도입, 소녀 인물화 표현 기법이 나타났음을 알 수 있었다. 연구자의 작품에서 키덜트 모티브 활용, 강렬하고 개성 있는 색채의 사 용, 다양한 실루엣 표현, 팝아트 요소 도입에 대한 다 양성을 표현하였다.

    이와 같이 패션과 시각예술 분야의 키덜트에 관한 선행연구에 나타난 키덜트적 표현 방법은 초현실주 의 기법, 팝아트 요소, 유아적 표현, 그라피티, 패러 디, 데포르마시옹, 눈속임과 콜라주의 방법이 주로 나 타남을 알 수 있었다. 키덜트적 표현 특성은 순수하 고 귀염성을 표현하기 위해 복잡한 절개선과 과다한 장식을 피한 단순성, 친근한 캐릭터와 유아적 모티브 차용하고 있는 유아성, 재미있는 상상력을 바탕으로 서로 어울리지 않을 것 같은 요소들을 결합한 새로운 믹스 & 매치 스타일의 환상성, 다양한 모방이나 패러 디를 활용한 모방성, 데포르마시옹의 왜곡 변형 기법 의 사용으로 표현되고 있는 과장성 등으로 나타났다. 선행연구에 언급된 키덜트의 표현 방법 및 표현 특성 을 정리하면 <Table 1>과 같다.

    Ⅲ.Expression and Characteristics of Kidult Reflected in Women's Fashion Design

    본 연구는 현대 패션에 나타난 키덜트적 표현 방법 과 표현 특성의 구체적 양상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 다. 현대 패션디자인에 나타난 키덜트 표현 방법 및 특성을 분석하기 위한 대상은 키덜트와 유희성의 패 션분야의 선행연구를 조사를 통해 가장 많이 나타난 대표적인 키덜트 디자인 특성을 보인 디자이너 장 샤 를르 드 카스텔바작(Jean Charles de Castelbajac), 꼼 데 가르송(Comme de Garcons), 알렉산더 맥퀸(Alexander McQueen), 장 폴 고티에(Jean Paul Gaultier), 츠모리 치사토(Tsumori Chisato), 제레미 스캇(Jeremy Scott), 안나 수이(Anna Sui), 비비안 웨스트우드(Vivienne Westwood), 아쉬시(Ashish), 모스키노(Moschino), 존 갈리아노(John Galliano), 톰 브라운(Thom Browne) 등의 12명을 선정하였다.

    연구의 범위는 2006년부터 2015년까지 10년간 19 시즌의 여성복 컬렉션으로, 연구자가 1차적으로 사진 자료 5,834개를 수집하였으며, 의류학 분야의 전문가 (박사 5인, 석사 2인) 집단의 설문을 통하여 키덜트 특성이 나타난 사진 자료를 선별하는 2차 조사를 실 시하였다. 설문 결과 키덜트 특성으로 과반수이상의 선택을 받은 분석 자료는 1,545장으로 최종 선정되었 다(Table 2). 장 폴 고티에와 존 갈이아노의 최근 컬 렉션에서는 키덜트 특성은 별로 나타나지 않았으며, 톰 브라운은 2011년 이후부터 여성복 컬렉션이 시작 되어 그 사례가 적었다.

    1.Expression of kidult in contemporary women’s fashion

    선행연구에 나타난 키덜트 표현 방법을 분석 종합 하면 유아적 표현, 패러디, 데포르마시옹, 팝아트 요소, 데페이즈망, 눈속임, 그라피티, 콜라주(아쌍블라주)의 방법이 도출되었으나, 초현실적 표현은 데페이즈망과 눈속임의 기법을 포함한 광범위한 범위로 본 연구에 서는 제외하였다. 분석결과 그라피티 눈속임 콜라주 등의 기법은 그 사례가 미비하게 나타나 본 연구에서 는 유아적 표현, 패러디, 데포르마시옹, 팝아트 요소, 데페이즈망의 5가지 표현 방법으로 분류하였다.

    1)Infantile expression

    유아적 표현 특성은 과거에 대한 동경과 향수가 내 재되어 흥미와 재미를 전달한다(Cheon, 2012). 이러한 특성은 주로 동심을 자극하는 단순화된 형태, 장난감 과 캐릭터의 활용, 미숙한 느낌을 주는 유아적 드로잉 등으로 표현된다. 유아적 표현 특성이 나타난 여성 패 션에서는 캐릭터를 활용한 사례도 눈에 띄었다.

    카스텔바작은 단순한 원피스 실루엣에 디즈니 만 화 캐릭터 프린트로 유아적으로 표현하였으며 고깔 모자의 헤어 장신구도 유아적인 느낌을 더하였다 (Fig. 1, 2). 또한 여성 패션에 개구리 인형 오브제를 단순화시켜 상반신과 머리의 헤어밴드에 장식하여 디자인하여 유아적 의미를 강조, 과장하였으며(Fig. 3). 츠모리 치사토는 동물 이미지를 아동화 이미지로 작업하여 유아적 이미지와 형태로 표현하였다(Fig. 4). 제레미 스캇은 화려한 광택 원단의 짧은 코트에 유머스러운 가발과 특이한 메이크업, 손에 들고 있는 형광 핑크색 인형 목도리까지 유아적 표현을 완전하 게 연출하였다(Fig. 5). 모스치노는 2014년 F/W 컬렉 션에서 유명한 만화 캐릭터 스펀지 밥(Sponge Bob) 이미지를 사용하여 단순한 원피스 형태에 재미있는 유아적 이미지를 표현하였다(Fig. 6).

    키덜트적 특성의 유아적 표현 방법의 동심을 자극 하는 형태를 크게 과장하여 단순한 실루엣에 활용하 거나, 캐릭터를 활용시킨 경우가 많이 나타났다. 동물 오브제, 아동화적인 프린트 원단, 재미있는 머리장식, 인형 장식들로 유머러스한 유아성을 표현하였다. 또 한 밝은 색상의 배색이나, 아동스러운 실루엣, 캐릭 터, 동물, 꽃무늬 등의 모티브 이용한 유아적 표현이 나타냈다.

    2)Parody

    패러디는 20세기 후반에는 단순한 모방이나 표절 이 아닌 독자적인 창작 영역으로서 다양한 장르에서 활용되며 현대 패션디자인에도 창조적인 표현 양식 의 하나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패러디는 모방과 창조 라는 양면성을 지니며 선행 양식의 내적 외적인 위치 를 전화함으로써 재창조된 텍스트에 새로운 가치를 부여한다(Somg, 2008). 현대 여성 컬렉션에 나타난 패러디 기법은 슈퍼우먼 같은 영화 속에 등장하는 인 물이나 유명한 상징 로고를 사용한 패러디 기법이 활 용되고 있었다.

    키덜트적 표현의 패러디한 의상은 동화나 만화속 의 주인공을 통하여 다른 세계를 상상하고 재구성하 여 현실에서 탈출하여 쾌감을 느끼게 한다. 카스텔 바작은 스팽글 원단과 강렬한 색상 대비의 슈퍼맨 이 미지를 귀엽게 전환시켜 유아적인 여성 원피스를 디 자인하였다(Fig. 7). 아쉬시는 대중적인 음료 코카콜 라의 상징 로고를 이용하여 반짝거리는 스팽글 원단 으로 활용하고 부조화스러운 왕관을 머리에 착용하 여 키덜트적 분위기를 연출하였다(Fig. 8). 모스키노 는 영국 전통 패턴 타탄체크 무늬 원단을 적용시켜 전통스타일을 재미있게 연출하였으며(Fig. 9), 가장 대중적인 패스트푸드인 맥도널드의 컬러와 로고를 이용하여 유아적이고 재미있는 안경과 같이 연출하 였다(Fig. 10). 또한 2015 컬렉션에서는 바비 인형을 컨셉으로 연출하여 모델들은 모두 바비 인형과 같은 모습으로 등장하였으며 아동들의 장난감 같은 귀여운 밝은 색상과 과장된 액세서리들로 표현되었다(Fig. 11). 비비안 웨스트우드는 동화 속에 나오는 마녀 이미지 로 성숙하고 유아적 분위기로 연출하였다(Fig. 12).

    3)Déformation

    변형과 왜곡을 의미하는 데포르마시옹은 모방적인 조형미술을 창작할 때 어떤 예술적 요구에 의하여 변 형을 가져오게 되는 것인데, 데포르메라고도 불리며 자연이나 사물을 묘사할 때 특정 부분 또는 전체를 강조하거나 왜곡시켜 모양을 바꾸는 것으로 대상의 형태로 일부러 달리하는 기법이다(Kim, 2010). 이러 한 기법은 어린아이와 같은 인간의 내면세계와 무의 식을 잘 표현해주는 수단이다. 틀에 갇힌 정형적인 면을 벗어나 어린 아이와 같은 유치함과 엉뚱함과 같 은 속성을 유쾌하게 나타내고 있다. 규칙적인 조화에 서 벗어난 이러한 기법은 어린 아이의 놀이와 같은 자유로움과 창의적인 사고를 잘 나타낸다(Ryu & Lee, 2002).

    카스텔바작은 광택이 강한 금속성 소재로 코끼리 얼굴을 변형시켜 과장하고 코끼리의 귀를 확대하여 밝은 핑크색을 대비시켜 재미있는 키덜트적 디자인 을 보여주었다(Fig. 13). 또한 과장 시킨 캐릭터나 동 물 얼굴로 원피스 정면에 붙여 튀어나오는 느낌을 표 현하여 긴장감과 유머를 유발하였다(Fig. 14, 15). 꼼 데 가르송은 의외적이고 과장적인 키덜트 유희성을 데포르마시옹 방법으로 많이 연출하고 있다. 꼼데 가 르송의 작품에서는 유아적인 핑크색의 투피스형 바지 를 유아적 형태로 상의와 바지에 꽃의 모양을 형상화 하여 평면적으로 인형들의 의상처럼 표현하여 데포르 마시옹의 왜곡된 형태를 연출하고 있다(Fig. 16, 17).

    키덜트적 데포르마시옹 표현 방법을 사용한 디자 인은 주로 형태를 크게 왜곡시켜 변형하거나 평면적 디자인을 강조한 형태로 주로 나타났다. 과장시키거 나 비정상적인 비례감과 입체감으로 주위를 환기시 키고 집중시켜 시각적으로 강한 인상을 주며 놀라움 과 의외성을 유발시켰다.

    4)Pop art elements

    팝 아트는 재료와 소재를 일상적 사물에서 찾거나 차용하여 일상적이고 보편적인 사물들을 작품 속에 적극적으로 수용함으로써, 대중적이고 생동감 있게, 유머와 워크로 현실을 풍자적으로 해석한다.

    제레미 스캇은 패스트푸드의 감자튀김 프린트를 이용하여 화려한 빨강과 노란색을 니트로 배색시켜 유머스러한 팝아트 디자인으로 전환시켰다(Fig.18). 카스텔바작은 아동 장난감 레고(lego) 문양 프린트로 밝은 빨강, 노랑, 파란색, 사각형, 기하학 도형을 불규 칙하게 배열시켜 재미있게 표현하였으며, 집 모양의 안경으로 팝아트 요소를 표현하였다(Fig. 19). 또한 미국 아동 프로그램 세서미스트리트(Sesame Street) 의 만화 캐릭터들의 이미지를 이용하여 팝아트적 디 자인을 하였다(Fig. 20).

    모스키노는 스폰지밥 캐릭터를 그대로 밝은 노랑 색을 활용해서 강하고 유아적 이미지로 표현하였다 (Fig. 21). 또한 아이들의 사탕이나 과자, 초코렛등의 포장지를 프린트한 원단을 이용하여 귀여운 호랑이 캐릭터로 디자인하였다(Fig. 22).

    팝아트 요소를 적용시킨 현대 패션의 키덜트적표 현 방법은 만화 캐릭터, 기하학 모티브 등을 사용하 여 강하고 다양한 색으로 표현되고 있었다. 슈퍼마켓 에 쌓여있는 과자 초콜릿 등의 어린이들이 좋아하는 패키지 프린트 등을 응용한 사례도 나타났으며, 팝아 트의 두드러진 경향인 선명한 색의 배색과 단순한 기 하학적 모티브를 배열하고, 회화적인 효과를 표출하 고 있다.

    5)Dépaysement

    데페이즈망은 친숙한 일상적 현실을 배경으로 이 루어지나, 인간의 상상적 정신세계를 현실보다도 정 확하고 사실적으로 표현하며 서로 관련이 있거나, 전 혀 관련이 없는 대상과 대상, 대상과 공간,공간과 공 간과의 연결로서 비논리적, 비현실적 느낌을 창출하 여 표현하는 사실적 초현실주의 기법이다(Huh & Lee, 2014). <Table 3>

    꼼 데 가르송은 사랑스러운 핑크색의 재킷에 사람 의 손이 가슴을 감싸고 있는 듯한 눈속임 장식물을 셔츠 양쪽에 방향 다르게 연결시켜서 유머스러운 키 덜트 감성을 표현하였다(Fig. 23). 카스텔바작은 빨강 검정 리본으로 아동복 스타일의 원피스에 머리에는 빨간 도끼형태의 머리 장식으로 충격을 불러 일으키 게 한다(Fig. 24). 또한 초현실적이고 환상적인 느낌 의 동화 캐릭터 사슴 밤비 프린트를이용하여 나뭇잎 무늬까지 과장한 실루엣과 사슴 모자 같이 연출하였 다(Fig. 25).

    2.Characteristics of kidult in contemporary women’s fashion

    선행연구에 나타난 키덜트 특성은 단순성, 환상성, 과장성, 유아성, 가변성, 모방성의 6개의 표현 특성으 로 분류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설문 결과 최근 여성 복 컬렉션의 키덜트 표현 특성에는 다양한 방법으로 표현된 의외적 특성이 나타났으며 유아성(32.0%), 환 상성(24.2%), 의외성(23.6%), 모방성(14.1%), 과장성 (5.8%), 단순성(0.4%), 가변성(0.1%) 순으로 나타났 다. 키덜트 특성에 단순성과 가변성은 거의 나타나지 않았으며, 자료 분석 결과 과거 키덜트의 특성이었던 단순성은 다른 요소들과 혼합되어 다양한 디자인으 로 변형되어 나타나고 있었으며 최근 컬렉션에는 단 순한 형태의 디자인은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다. 모방성은 풍자적 의미로 표현된 사례들로 주로 나타나 풍자성으로 분류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 나타난 현대 여성 패션에 나타난 키덜트 표현 특성은 유아성, 환상성, 의외성, 풍자성, 과장성의 5가지로 분류할 수 있었다. 특성별로 디자 이너를 살펴보면, 환상성을 가장 많이 나타낸 대표적 인 디자이너는 츠모리 치사토였으며, 유아성의 대표 적인 디자이너는 카스텔바작과 제레미 스캇으로 나 타났고, 과장성의 대표 디자이너는 꼼 데 가르송, 모 방적 풍자성의 대표적인 디자이너는 모스키노로 분 류되었다.

    1)Infantility

    유아성은 현실 세계로부터의 일탈 심리를 내재하 고 유아로 남고자하는 심리는 유아적 상상력과 유 머감각을 갖게 한다. 어른들이 자신의 어릴 적으로 돌아가고 싶어 하는 감성이 의복에 표현되어 유아적 이고 동화적인 느낌이나 다양한 색상, 귀엽고 재미있 는 디자인 등으로 나타나고 있다(Yoo, Yoon, & Lee, 2015).

    장난감의 이미지나 만화 캐릭터들을 자주 사용하 는 카스텔바작의 작품(Fig. 26)은 초록색 코트 위에 귀여운 곰 인형 목도리를 장식하여 단순하지만 강한 키덜트적 유아성을 표현하였다. 또한 흰색 원피스에 과장된 장난감 같은 체인 목걸이와 인조 털 안경까지 장식하여 유아성을 충분히 연출하였으며(Fig. 27), 검 정과 핑크색의 강한 대비 컬러와 털 소재를 사용하여 만화 캐릭터의 얼굴 조형을 재미있고 눈에 튀는 연출 하였다(Fig. 28). 카스텔바작은 환상적인 동화에서나 접할 수 있는 어린아이와 같은 천진난만함으로 자유 롭고 즐거운 이미지를 표현하고 있다. 제레미 스캇은 아이스크림, 감자튀김, 햄버거 같은 패스트푸드(fastfood) 의 이미지를 프린트해서 화려한 색상을 더하여 키덜트적 유아성을 표현하였다(Fig. 29). 츠모리 치사 토는 밝은 노란색 재킷의 소매를 확대하여 재미있는 실루엣의 재킷위에 아이들의 그림처럼 자유로운 얼 굴 형태를 표현하였다(Fig. 30).

    최근 10년간에 컬렉션에 나타난 키덜트적 유아성 은 유아적 상상력과 유머감각을 사용한 장난감의 이 미지 사용하거나, 아동복 스타일에 유명한 만화의 캐 릭터나 인형 등을 활용하거나, 동화적인 느낌이나 다 채로운 색상도 많이 사용하였다.

    2)Fantasy

    환상이란 신비하고 기괴한 현상, 현실적인 기초나 가능성이 없는 헛된 생각이나 공상의 의미로, 러시아 의 철학자이자 신비주의자인 블라디미르 솔로비요프 (Vladimir, Soloviev)는 자연적인 인과 관계와 초자연 적인 인과 관계라는 두 가지 방식으로 설명하며 이 두 가지 가능성 사이에서 망설일 때 환상적인 효과가 창조된다고 하였다(Jackson, 1986/2001).

    패션에서의 환상성은 괴이한 표현이나 과대한 실 루엣, 몽환적인 표현으로 나타난다. 알렉산더 맥퀸의 작품은 주로 환상적인 키덜트 특성으로 나타났는데 부드러운 망사와 단순한 실루엣, 과장된 나비 머리장 식으로 몽환적인 표현의 연출을 하였다(Fig. 31). 카 스텔바작은 상의 어깨 양쪽에 앵무새 두 마리로 장식 하고, 나뭇잎 스커트로 디자인하여 환상 속에 자연산 림을 유아적 실루엣을 표현하였다(Fig. 32). 츠모리 치사토는 동화 속에 보이는 듯한 몽환적인 맑은 하늘 과 우거진 초목을 표현하여 환상적인 니트 작품으로 아동용 모자와 코디시켜 디자인하였다(Fig. 33). 또한 해변 석양빛을 그리워하는 인어공주 모습을 의상에 연출하여 키덜트적 환상성을 보여주고 있다(Fig. 34). 안나 수이는 어린이 원피스 같은 실루엣에 구멍나고 헤진 검정 레이스로 원피스와 머리의 왕관 장식을 하 여 대비킴으로 신비한 이미지를 나타내고 있다(Fig. 35). 키덜트적 환상성은 자연적인 인간관계와 초자연 적인 인과 관계를 표현하며 오브제를 도입하거나 몽 환적인 표현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3)Unexpectedness

    외외성(意外性, unexpectedness)은 ‘뜻밖의 결과로 보여지는 것’, ‘생각 밖의 결과로 보여지는 것’, ‘기형 적’, ‘비논리적’, ‘일반적인 인식으로부터 이며, 벗어 난’의 의미를 지니고 있다. 의외성의 특성은 ‘모순된 아이디어’의 만남으로 갈등, 충돌, 이질적인 것과의 어울림, 혹은 본질적으로 다른 것들과의 융합 등으로 언급되고 있다(Lee, 2001). 의외성은 새로운 자극 욕 구를 충족시키거나 긍정적으로 반하게 됨으로써 인지 도를 상승시키는 촉진 요인이 될 수 있다(Cho, 2000).

    꼼 데 가르송은 파스텔 색상의 원피스에 작은 아동 복을 부착하여 기대하지 못한 충격적인 재미를 주었 으며 머리의 토끼 귀 장식의 모자의 조화는 매우 키 덜트적이고 의외적인 표현으로 나타났다(Fig. 36). 카 스텔바작은 ‘나’를 표현한 작품으로, 장난스러운 페릭 스 캐릭터의 얼굴을 전체 원피스에 활용하여 아동복 과 같은 실루엣으로 디자인되었으나 시스루 원단을 덧대어 중첩적인 느낌의 의외적 디자인을 보여주었 다(Fig. 37). 아쉬시는 새로운 의미의 부여 방법으로 다양한 엠블럼(emblem)을 몸판에 빽빽하게 배열시켜 서 의외성을 표현하였다(Fig. 38). 제레미 스캇은 거 친 듯한 광택의 검정색 모피 소재와 형광 초록색으로 선명한 대비를 시켰으며, 몬스터 프린트와 인조털 소 재를 같이 혼합하여 이질적인 것과 어울림의 표현으 로 의외성을 강하게 표현하였다(Fig. 39). 또한 모순 된 아이디어로 일반적인 검정 코트에 애기 곰 인형을 결합시켜서 모자와 머플러의 목걸이 형태로 연출하 였다. 이렇게 충돌된 디자인은 의외적인 표현으로 눈 길을 끌고 있다(Fig. 40).

    키덜트적 의외성은 모순된 아이디어의 사용, 갈동, 충돌, 이질적인 것과의 어울림의 표현이나, 다양한 소 재의 사용으로 단순함을 탈피한 작품으로 많이 나타 났다. 부조화스럽거나 기본적인 패턴을 탈피하여 창 의적으로 디자인된 의외적인 분위기의 작품도 보이 고, 장난스러운 캐릭터 이미지 이용, 인형으로 만든 모자 등의 의외적 표현의 키덜트 작품들이 나타났다.

    4)Satire

    풍자성은 일상적인 사회에서 일탈이나 저항을 원 하고 모조품을 활용해 기존의 체계를 벗어나고자 하 는 성향의 특성으로, 부의 불균형이나 물질주의 속에 인간의 빈곤이나 사회를 향한 불만을 풍자된 사물의 소비를 통해 해소하며 나타나는 모방적 풍자는 과거 의 복식이나 국가, 인종, 종교, 관습 등 다른 문화나 계급의 복식을 흉내 내어 새로운 멋으로 표현하여 나 타내는 특성으로 진짜가 아닌 가짜로 나타난다(Yoo et al., 2015). 이는 천박한 느낌을 주기도 하고 새로운 패션으로 탄생하기도 한다. 또 다른 것을 모방하여 풍자함으로써 대리만족을 느끼고 즐거움을 제공하는 키덜트 특성을 제공한다.

    꼼 데 가르송은 영국 국기의 프린트 원피스에 상의 는 불확실한 형태의 띠로 감아 입히고 머리에 아이들 장남감과 같은 큰 왕관까지 씌워 익살스러운 영국 여 왕 이미지를 연출하였다(Fig. 41). 안나 수이는 아동 적인 실루엣의 원피스에 병사의 이미지를 나타내는 모자와 케이프를 디자인하여 동화 속 호두까기 병사 와 같은 이미지로 연출하였다(Fig. 42). 비비안 웨스 트우드는 미녀 선발대회 여인의 모습을 연출하였는 데 헝클어진 모습의 풍자로 모방적 연출을 하였다 (Fig. 43). 또한 환경을 지키자는 문구를 전달하는 메 시지를 담은 스웨터를 표현하여 풍자적으로 디자인 을 보여주었다(Fig. 44). 모스키노 2014년 F/W 컬렉 션에서 맥도날드의 “M” 로고를 이용하여 재미있게 디자인된 니트 작품들은 발표하였다(Fig. 45).

    현대 여성 패션에 최근 출현된 키덜트적 풍자성은 패러디, 익살스러운 표현으로 원래 이미지를 재미있 게 표현한 작품들로 나타냈다. 국기를 프린트하여 자 유롭게 디자인하거나 여왕의 이미지, 메시지를 담아 보여주거나, 대중적인 것들을 풍자적으로 모방하는 등의 표현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5)Exaggeration

    과장(誇張)은 사실보다 지나치게 불려서 나타내는 의미로 정의되며(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미적 표현에 대한 욕구가 커지면서 타인 의 주목과 찬사를 얻기 위한 수단으로 과장적 표현에 집중하게 된다고 하였다(Kim & Kim, 2005). 복식에 나타나는 과장적 표현은 인체의 새로운 형태를 재창 조하고, 내적인 인간 감정의 표현 수단과 미의 식의 새로운 장르로 나타나고 있는데, 자기 과시, 자신의 미적욕구의 만족, 성적 매력의 강조, 이미지 변형 등 여러 가지 심리적인요소를 내포하고 있다. 복식의 과 장은 신체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며 신체를 강조 또는 왜곡하려는 경향이 있다. 이것은 시각적 인체에서 크 고 지나침이 확연히 구분되는 복식의 형태로 공간감 과 입체감을 표현한다. 또한 좀 더 아름답게 표현하 고 싶은 강한 욕구로 신체의 일부 또는 전부를 지나 친 노출이나 과장, 왜곡 등 조형성을 지닌 형태로 나 타내는 것을 말한다(Lee, 2003). 의복 구성에 있어서 도 인체를 표현하기 위한 다양한 응용 디자인으로 현 대 패션에서 중요한 조형적 의미를 갖게 되는 것이다 (Yoo & Lee, 2014).

    키덜트적 과장성을 가장 많이 보여준 꼼 데 가르송 은 과장된 큰 가발과 크기가 다른 축구공의 6각형 모 양을 이용한 여성복 디자인(Fig. 46)을 표현하였다. 또한 뻣뻣한 소재와 밝은 핑크색과 파랑색 대비의 종 이 인형 의상은 키덜트적 표현의 과장성을 뚜렷하게 보여주었다(Fig. 47). 비비안 웨스트우드는 색종이 테 이프를 숄처럼 늘어뜨려 길게 장식하여 과장적인 키 덜트적 유희성의 분위기를 연출하였다(Fig. 48).

    키덜트적 과장성은 과대한 실루엣이나, 형태나 구 조를 변형하여 창조적으로 재구성한 작품이 주로 나 타났다. 특수한 조형적 방법이나 왜곡 변형여러 가지 소재와 같이 종이 인형이나 창의적인 패턴을 표현하 고 있었다. <Table 4>

    Ⅳ.Conclusion

    본 연구는 키덜트적 표현 방법 및 표현 특성을 도 출하고 분석하여 패션디자인의 창의적인 방법을 위 한 다양한 활용 방안과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선행연구 조사 분석을 통하여 키덜트 표현 방 법과 특성의 기준을 마련하고 키덜트 특성을 보여주 는 디자이너 9명을 선정하여 2006~2015년 컬렉션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 과 같다.

    첫째, 현대 여성패션에 나타난 키덜트 표현 방법은 5가지의 방법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을 통해 나타난 키덜트 표현 방법으로 유아적 표 현이 가장 많았다. 유아적 표현은 동심을 자극하는 다양한 형태 활용, 장난감과 캐릭터의 활용, 동물 모 양의 오브제 도입, 인형 장식들로 유머러스하게 표현 하였다. 밝은 색상의 배색으로 동물, 꽃무늬 모티브를 이용한 유아적 표현을 나타냈다. 패러디는 슈퍼우먼 같은 영화 속에 등장인물, 유명한 상징 로고를 사용 한 기법이 활용되고 있었다. 데포르마시옹 표현 방법 을 사용한 디자인은 왜곡, 변형, 변신 기법, 모방적인 조형으로 창작한 디자인으로 나타났다. 과장시키거나 비정상적인 비례감과 입체감으로 주위를 환기시키고 집중시켜 시각적으로 강한 인상을 주며 놀라움을 유 발시켰다. 팝아트 요소를 적용시킨 표현 방법은 만화 캐릭터의 사용이나 어린이들이 좋아하는 과자 초콜 릿의 패키지 프린트 등을 응용한 사례도 나타났으며 색상은 밝은색으로 주로 표현되고 있었다. 데페이즈 망은 사물에 대한 무한한 상상력과 관심을 심화시키 는데 유용한 기법으로 표현하거나 초현실주의 환상 적인 동물 요소를 이용하여 나타나고 있었다.

    둘째, 현대 여성패션에 나타난 키덜트 표현 특성은 다음의 5가지의 방법으로 분류되었다. 키덜트적 유아 성은 유아적 상상력과 유머감각을 사용한 장난감 이 미지의 차용, 아동복 스타일에 만화의 캐릭터나 인형 등을 활용하거나, 동화적인 느낌이나 다채로운 색상 도 많이 사용하였다. 환상성은 자연적인 인간관계와 초자연적 인과 관계를 표현하며 이질적 소재 사용, 몽환적인 형태 표현, 입체적 방법으로 장식물 부가하 여 특이한 형태로 환상성을 표현하기도 하였다. 키덜 트적 의외성은 모순된 아이디어를 사용하여 긴장감 과 재미를 주었으며, 갈동, 충돌, 이질적인 것과의 어 울림의 표현이나, 다양한 소재의 사용으로 단순함을 탈피한 작품으로 많이 나타났다. 기본적인 패턴을 탈 피하여 창의적으로 디자인된 의외적인 분위기의 작 품으로도 나타났다. 풍자성은 익살스럽고 아이러니한 표현으로 기존의 이미지를 재미있게 표현한 작품이 나 메세지 전달의 그라피티적 디자인으로 표현되고 있다. 국기를 프린트하여 의상에 자유롭게 표현하거 나 익살스러운 여왕 이미지 등으로 나타났다. 과장성 은 과대한 실루엣이나, 형태나 구조를 변형하여 주관 적이고 창조적으로 재구성한 작품이 주로 나타났다. 특수한 조형적 방법이나 왜곡 변형 시켜서 여러 가지 소재와 같이 종이 인형이나 창의적인 패턴을 표현하 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키덜트적 디자인은 현대인들에 게 어린 시절의 향수를 불러일으키며 다양하게 표현 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키덜트 디자인은 여 러 다양한 요소들과 혼합적으로 표현되어 단순한 아 동복의 재현이 아닌 새로운 디자인 방향을 보여주고 있었으며 새로운 디자인 영역으로서 디자인 개발의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여성복 연구 에 국한되었으나 남성복에도 다양한 키덜트 관련 연 구가 계속되길 기대한다.

    Figure

    RJCC-24-670_F1.gif

    Castelbajac 2008 F/W

    From. SDN. (2008a).

    RJCC-24-670_F2.gif

    Castelbajac 2009 S/S

    From. SDN. (2008d).

    RJCC-24-670_F3.gif

    Castelbajac 2009 F/W

    From. SDN. (2009a).

    RJCC-24-670_F4.gif

    Tsumori Chisato 2011 S/S

    From. SDN. (2010c).

    RJCC-24-670_F5.gif

    Jeremy Scott 2012 F/W

    From. SDN. (2012a).

    RJCC-24-670_F6.gif

    Moschino 2014 F/W

    From. SDN. (2014a).

    RJCC-24-670_F7.gif

    Castelbajac 2009 S/S

    From. SDN. (2008d).

    RJCC-24-670_F8.gif

    Ashish 2014 S/S

    From. SDN. (2013c).

    RJCC-24-670_F9.gif

    Moschino 2013 S/S

    From. SDN. (2012c).

    RJCC-24-670_F10.gif

    Moschino 2014 F/W

    From. SDN. (2014a).

    RJCC-24-670_F11.gif

    Moschino 2015 S/S

    From. SDN. (2014c).

    RJCC-24-670_F12.gif

    Vivienne Westwood 2014 S/S

    From. SDN. (2013e).

    RJCC-24-670_F13.gif

    Castelbajac 2007 F/W

    From. SDN. (2007b).

    RJCC-24-670_F14.gif

    Castelbajac 2008 F/W

    From. SDN. (2008a).

    RJCC-24-670_F15.gif

    Castelbajac 2013 F/W

    From. SDN. (2013b).

    RJCC-24-670_F16.gif

    Comme de Garcons 2012 F/W

    From. SDN. (2012b).

    RJCC-24-670_F17.gif

    Comme de Garcons 2008 S/S

    From. SDN. (2007c).

    RJCC-24-670_F18.gif

    Jeremy Scott 2006 F/W

    From. SDN. (2006a).

    RJCC-24-670_F19.gif

    Castelbajac 2009 S/S

    From. SDN. (2008d).

    RJCC-24-670_F20.gif

    Castelbajac 2009 F/W

    From. SDN. (2009a).

    RJCC-24-670_F21.gif

    Moschino 2014 F/W

    From. SDN. (2014a).

    RJCC-24-670_F22.gif

    Moschino 2014 F/W

    From. SDN. (2014a).

    RJCC-24-670_F23.gif

    Comme de Garcons 2007 F/W

    From. SDN. (2007a).

    RJCC-24-670_F24.gif

    Castelbajac 2007 S/S

    From. SDN. (2006d).

    RJCC-24-670_F25.gif

    Castelbajac 2010 F/W

    From. SDN. (2010a).

    RJCC-24-670_F26.gif

    Castelbajac 2006 F/W

    From. SDN. (2006c).

    RJCC-24-670_F27.gif

    Castelbajac 2008 F/W

    From. SDN. (2008a).

    RJCC-24-670_F28.gif

    Castelbajac 2009 F/W

    From. SDN. (2009a).

    RJCC-24-670_F29.gif

    Jeremy Scott 2006 F/W

    From. SDN. (2006a).

    RJCC-24-670_F30.gif

    Tsumori Chisato 2014 F/W

    From. SDN. (2014b).

    RJCC-24-670_F31.gif

    Alexander McQueen 2006 F/W.

    From. SDN. (2006b).

    RJCC-24-670_F32.gif

    Castelbajac 2010 S/S

    From. SDN. (2009c).

    RJCC-24-670_F33.gif

    Tsumori Chisato 2011 F/W

    From. SDN. (2011a).

    RJCC-24-670_F34.gif

    Tsumori Chisato 2012 S/S

    From. SDN. (2011c).

    RJCC-24-670_F35.gif

    Anna Sui 2013 S/S

    From. SDN. (2012d).

    RJCC-24-670_F36.gif

    Comme de Garcons 2007 F/W

    From. SDN. (2007a).

    RJCC-24-670_F37.gif

    Castelbajac 2007 S/S

    From. SDN. (2006d).

    RJCC-24-670_F38.gif

    Ashish 2009 S/S

    From. SDN. (2008b).

    RJCC-24-670_F39.gif

    Jeremy Scott 2013 F/W

    From. SDN. (2013a).

    RJCC-24-670_F40.gif

    Moschino 2014 S/S

    From. SDN. (2013d).

    RJCC-24-670_F41.gif

    Comme de Garcons 2006 S/S

    From. SDN. (2005).

    RJCC-24-670_F42.gif

    Anna Sui 2010 S/S

    From. SDN. (2009b).

    RJCC-24-670_F43.gif

    Vivienne Westwood 2007 S/S

    From. SDN. (2006e).

    RJCC-24-670_F44.gif

    Vivienne Westwood 2011 F/W

    From. SDN. (2011b).

    RJCC-24-670_F45.gif

    Moschino 2014 F/W

    From. SDN. (2014a).

    RJCC-24-670_F46.gif

    Comme de Garcons 2009 S/S

    From. SDN. (2008c).

    RJCC-24-670_F47.gif

    Comme de Garcons 2012 F/W

    From. SDN. (2012b).

    RJCC-24-670_F48.gif

    Vivienne Westwood 2010 F/W

    From. SDN. (2010b).

    Table

    Advanced research analysis expression & characteristics of kidult’s image

    Frequency of kidult fashion design

    Expression of kidult in contemporary women’s fashion

    Characteristics of kidult in contemporary women’s fashion

    Reference

    1. Cheon A-R (2012) A study on funology characteristics appearing kitsch fash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2. Cho J R (2000) 소설창작, 나와 세계가 만나는 길 [Creative Novel, way the world meet with me], The Korean history culture,
    3. Cho K H , Lim H S (2009) A study of expression tendency about Kidult-design: Focus on fashion design and advertisement , Journal of Communication Design, Vol.29 ; pp.1-12
    4. Choi M K (2006) A study of kidultism showed in culture phenomenon: Focused on illustration express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5. Huh S Y , Lee Y H (2014) Fashion window display design development applying the characteristics of depaysement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ol.64 (7) ; pp.57-67
    6. Jackson R (2001) Fantasy, the literature of subversion, Moonhakdongnae, (Original work published 1986)
    7. Jang J-I , Lee Y H (2007) Kidult fashion design appling Jeffrey Fulvimari's work: Using CAD system ,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Vol.15 (4) ; pp.647-660
    8. Kim E Y , Lee M S (2012) A study on the element of fun in fashion design by Jeremy Scott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ashion Design, Vol.12 (3) ; pp.43-58
    9. Kim H J , Kim S-J (2005) A study of formative characteristics and symbolic meanings of the exaggeration type in modern fashion ,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Vol.13 (6) ; pp.883-895
    10. Kim H-Y (2010) A study on human body expression through deforma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Hongik University,
    11. Kim J-E (2003) A study on play as kidult expressed on contemporary fash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okmin University,
    12. Kwak S M (2015) 유통업계, 황금알 ‘키덜트’ 잡아라! [Distributors, Catch it! ‘kidults’ golden egg’] , Fashionbiz, Retrieved January 10, 2016, from http://www.fashionbiz.co.kr/article/view.asp?cate=1&sub_num=22&idx=149554
    13. Lee D K (2001) A study on 'visual unexpectations' in advertisement: Focused on the response of the audience towards printed ads. Unpublished master's thesis, Hongik University,
    14. Lee S-J (2003) A study on expressed transformation in fashion: Focused on the exaggera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okmin University,
    15. Park E K (2011) Pictorial expression of kidult's image: Focusing on researcher's own work. Unpublished master's thesis, Keimyung University,
    16. Park J H (2004) 현대 한국 사회의 일상문화 코드 [Modern Korean society lives in a cultural code], Hanul,
    17. Ryu G-Y , Lee H-J (2002) Humor of postindustrial society costume expressing cartoon imag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ol.52 (8) ; pp.55-71
    18. SDN (2005) 2006 S/S Women Paris Comme de Garcons , Retrieved September 1, 2014, from http://www.samsungdesign.net,
    19. SDN (2006a) 2006 F/W Women New York Jeremy Scott , Retrieved September 15, 2014, from http://www.samsungdesign.net,
    20. SDN (2006b) 2006 F/W Women Paris Alexander McQueen , Retrieved September 1, 2014, from http://www.samsungdesign.net,
    21. SDN (2006c) 2006 F/W Women Paris Jean-Charles de Castelbajac , Retrieved September 1, 2014, from http://www.samsungdesign.net,
    22. SDN (2006d) 2007 S/S Women Paris Jean-Charles de Castelbajac , Retrieved September 1, 2014, from http://www.samsungdesign.net,
    23. SDN (2006e) 2007 S/S Women Paris Vivienne Westwood , Retrieved September 15, 2014, from http://www.samsungdesign.net,
    24. SDN (2007a) 2007 F/W Women Paris Comme de Garcons , Retrieved September 1, 2014, from http://www.samsungdesign.net,
    25. SDN (2007b) 2007 F/W Women Paris Jean-Charles de Castelbajac , Retrieved September 1, 2014, from http://www.samsungdesign.net,
    26. SDN (2007c) 2008 S/S Women Paris Comme de Garcons , Retrieved September 1, 2014, from http://www.samsungdesign.net,
    27. SDN (2008a) 2008 F/W Women Paris Jean-Charles de Castelbajac , Retrieved September 1, 2014, from http://www.samsungdesign.net,
    28. SDN (2008b) 2009 S/S Women London Ashish , Retrieved September 15, 2014, from http://www.samsungdesign.net,
    29. SDN (2008c) 2009 S/S Women Paris Comme de Garcons , Retrieved September 1, 2014, from http://www.samsungdesign.net,
    30. SDN (2008d) 2009 S/S Women Paris Jean-Charles de Castelbajac , Retrieved September 1, 2014, from http://www.samsungdesign.net,
    31. SDN (2009a) 2009 F/W Women Paris Jean-Charles de Castelbajac , Retrieved September 1, 2014, from http://www.samsungdesign.net,
    32. SDN (2009b) 2010 S/S Women New York Anna Sui , Retrieved September 15, 2014, from http://www.samsungdesign.net,
    33. SDN (2009c) 2010 S/S Women Paris Jean-Charles de Castelbajac , Retrieved September 1, 2014, from http://www.samsungdesign.net,
    34. SDN (2010a) 2010 F/W Women Paris Jean-Charles de Castelbajac , Retrieved September 1, 2014, from http://www.samsungdesign.net,
    35. SDN (2010b) 2010 F/W Women Paris Vivienne Westwood , Retrieved September 15, 2014, from http://www.samsungdesign.net,
    36. SDN (2010c) 2011 S/S Women Paris Tsumori Chisato , Retrieved September 15, 2014, from http://www.samsungdesign.net,
    37. SDN (2011a) 2011 F/W Women Paris Tsumori Chisato , Retrieved September 15, 2014, from http://www.samsungdesign.net,
    38. SDN (2011b) 2011 F/W Women Paris Vivienne Westwood , Retrieved September 15, 2014, from http://www.samsungdesign.net,
    39. SDN (2011c) 2012 S/S Women Paris Tsumori Chisato , Retrieved September 15, 2014, from http://www.samsungdesign.net,
    40. SDN (2012a) 2012 F/W Women New York Jeremy Scott , Retrieved September 15, 2014, from http://www. samsungdesign.net,
    41. SDN (2012b) 2012 F/W Women Paris Comme de Garcons , Retrieved September 1, 2014, from http://www.samsungdesign.net,
    42. SDN (2012c) 2013 S/S Women Milano Moschino , Retrieved September 15, 2014, from http://www.samsungdesign.net,
    43. SDN (2012d) 2013 S/S Women New York Anna Sui , Retrieved September 15, 2014, from http://www.samsungdesign.net,
    44. SDN (2013a) 2013 F/W Women New York Jeremy Scott , Retrieved September 15, 2014, from http://www.samsungdesign.net,
    45. SDN (2013b) 2013 F/W Women Paris Jean-Charles de Castelbajac , Retrieved September 1, 2014, from http://www.samsungdesign.net,
    46. SDN (2013c) 2014 S/S Women London Ashish , Retrieved September 15, 2014, from http://www.samsungdesign.net,
    47. SDN (2013d) 2014 S/S Women Milano Moschino , Retrieved September 15, 2014, from http://www.samsungdesign.net,
    48. SDN (2013e) 2014 S/S Women Paris Vivienne Westwood , Retrieved September 15, 2014, from http://www.samsungdesign.net,
    49. SDN (2014a) 2014 F/W Women Milano Moschino , Retrieved September 15, 2014, from http://www.samsungdesign.net,
    50. SDN (2014b) 2014 F/W Women Paris Tsumori Chisato , Retrieved September 15, 2014, from http://www.samsungdesign.net,
    51. SDN (2014c) 2015 S/S Women Milano Moschino , Retrieved September 15, 2014, from http://www.samsungdesign.net,
    52. SDN (2015) Review 2015 & Preview 2016 , Retrieved January 10, 2016, from http://www.samsungdesign.net/Market/MarketReport/content.asp?an=40185&glChk=&block=&page=&cnt=&keyword=%C5%B0%B4%FA%C6%AE,
    53. Song Y-K (2008) A study on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kidult fash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jong University,
    54. Yang H S (2009) A study of painting of the 'kidult' phenomenon in pluralistic society: Focused on my work. Unpublished master's thesis, Hongik University,
    55. Yoo H S , Yoon J-A , Lee Y H (2015) Kitsch features expressed in contemporary men's collection , Journal of the Korean Fashion & CostumeDesign Association, Vol.17 (2) ; pp.11-25
    56. Yoo J H , Lee Y H (2014) Exaggeration shown in contemporary knit fashi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ol.64 (8) ; pp.67-82
    57. Yoo J-Y (2007) A study on kidult costumes in contemporary fash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Dongyang University,
    58. Yoo T J (2012) Reconstruction of memories of play by kidult emotions and internal formation: Focusing on researcher's works. Unpublished master's thesis, Hongik University,
    59. Yoon G-L (2004) Study of advertisement expression that inflect kidult: Laying stress on LOMO camera advertising design.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Appendi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