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rossref logo
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6-0401(Print)
ISSN : 2383-6334(Online)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Vol.25 No.3 pp.375-390
DOI : https://doi.org/10.7741/rjcc.2017.25.3.375

Characteristic of magical realism expressed in Tarsem Singh's movie [Mirror, Mirror]

Soo Hyun Yang, Younhee Lee†
Dept. of Clothing & Textiles, Hanyang University, Korea

This paper is a part of a doctoral dissertation.

Corresponding author : (yiyhee@hanyang.ac.kr)
May 23, 2017 June 8, 2017 June 12, 2017

Abstract

The aims of this research were to characterize magic realism by analyzing existing magical reality literature reviews and research and to identify material that may inspire ideas for stage and film costume design by analyzing and drawing design characteristics and magic realism of costumes from Director Tarsem Singh’s movie, ‘Mirror, Mirror’. For the methodology, characteristics of magic realism in literature and, movies were analyzed, with a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these materials on magical realism. Data on costume design and magical realism characteristics for use in the analysis were collected from the main characters of ‘Mirror, Mirror’ as well as from other characters. The result of this analysis was the emergence of five common characteristics of the magic realism Historicity, the most remarkable characteristic seen in Tarsem Singh films, was expressed through the symbolic meaning and decorative patterns shown by the traditional-style costumes, colors. Symbolization was expressed through the symbolic meaning, decorative elements, and traditional clothes, as shown by the colors and forms of the costumes. Fantasy was expressed through the colors, decorative elements, forms of traditional clothing, and forms with symbolic meaning. Reproducibility was expressed through the method of decorative element, symbolic meaning, traditional forms and de-structural clothes. Ambiguity, which can be associated with the combined characteristics of historicity and fantasy, was expressed in the clothes worn in the scenes that confounded time and space within the film.


타셈 싱(Tarsem Singh) 영화 ’백설공주’ 의상에 표현된 매직리얼리즘 특성

양 수 현, 이 연 희†
한양대학교 의류학과

초록


    Hanyang University

    I.Introduction

    영화는 관객과의 교류를 통해 발달하고 표현되는 예술 양식으로써 현실감이 있는 환상의 세계에서 현재 시제로 진행되며, 사실적이고 마술적인 표현은 미술 비평과 문학 비평에 사용되는 매직리얼리즘(Magic Realism)의 개념과 같다(Borges, 1954/ 1994). 이 용어는 1925년 프란츠 로(Franz Roh)가 후 기표현주의를 지칭하기 위해 사용하였고, 매직리얼리 즘은 보편적으로 특수한 텍스트 기법을 통해 추상이 나 환상을 사실로 인지하거나, 그와 반대로 아주 사 실적인 것을 환상적으로 착각하도록 하는 문학양식 을 말한다. 매직리얼리즘은 현대적이고 복합적인 예 술양식 중 하나로 다양한 문화권과 매체를 통해 그 특성을 누적시키고 발전해왔다. 근래에는 영화분야에 서 특유의 매체성과 부합하여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으며(Choi, 2014), 2000년대 영화에서는 매직리얼 리즘의 심리적 재현방식이 자주 발견되고, 비사실적 요소를 실제적 사건으로 제시하면서 현실을 재창조 하여 새로운 시각에서 보도록 하는 독특한 새로운 리 얼리즘을 만들어내고 있다. 매직리얼리즘의 개념과 같 이 현실과 환상을 표현하는 영화에서 미적 장치로서 의 역할을 하는 의상은 독립적인 분야로 영화를 사실 적으로 보여주며, 캐릭터를 구성하는 중요한 시각언 어로서 영화의 주제를 상징적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 며, 영화의 예술적 성격과 등장인물의 심리적 기능을 표현하고, 영화의 사회적 성격과 문화적 요소를 소개 하여 예술적 가치를 높여준다. 또한 영화의상은 영화 속 인물의 상황과 심리, 배경이 되는 시대상을 시각적 으로 표현하는 수단으로 정해진 시대와 공간에 구애 받지 않고 감독이 원하는 작품세계를 표현할 수 있 다. 따라서 이에 본 연구에서는 매직리얼리즘에 대한 선행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문학 분야뿐만 아니라, 시각예술분야인 영화까지 아울러서 포괄적으 로 매직리얼리즘의 개념과 특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매직리얼리즘에 관한 문헌 연구와 실증 적 연구를 통하여 문학, 영화에 나타난 매직리얼리즘 의 공통 특성을 도출하여 분석기준을 정립하고, 매직 리얼리즘 영화의 특성과 내용의 구성과 공통점을 갖 고 있는 타셈 싱 감독의 영화를 매직리얼리즘 영화로 분류하고, 타셈 싱 감독의 영화 중 <백설공주>의 영화 의상을 분석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의상의 디자인 특성인 형태, 소재, 디테일 및 표현방법을 분 석하여 영화의상 및 무대의상 디자인의 발상과 제품 개발에 다양한 영감을 줄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으며, 매직리얼리즘에 대한 이론의 정립과 분야별 나타나는 사례 분석을 통해 도출된 결 과는 학문적 이해를 추구하며, 문학과 시각예술 분야 에 사용되는 이론들이 패션분야에 도입되어 영화의 상 디자인의 활용 가능성을 넓힐 수 있는 기틀을 마 련하는데 의의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II.Magic Realism

    1.Magic realism definition

    매직리얼리즘의 사전적 의미는 실제 사건과 환상 이 뒤섞인 글을 쓰는 방식(“Magic Realism”, 2008)으 로, 매직리얼리즘은 ‘리얼리즘’이란 말이 내포하고 있 는 재현성과 역사성, ‘매직’이란 단어가 함축하고 있 는 환상적, 실험적 특성을 한꺼번에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서, 객관적이고 환상적인 현실 사이의 경계를 없애는 총체적 개념이기도 하다(Palencia-Roth, 1983). 사실이 아닌 것을 실재인 것처럼 보여야 하는 마술의 속성과 리얼리티 안에 미세한 진실까지 표현하려 하 는 리얼리즘의 의도가 혼합되어 서로의 존재가 드러 나지 않도록 스며들어 마술적 리얼리티를 만들어 낸 다(Choi, 2014).

    용어를 처음 정의 내린 프란츠 로는 매직리얼리즘 에 대하여 “주관적이고 추상적인 표현주의의 단순함 을 비판하며 현실과 사물이 함축하고 있는 복합성을 투시하기 위해 마술적인 시선이 필요”(Zamora & Faris, 1995/2001)하다고 주장하였고, 후기표현주의 작가들 이 일상적인 대상을 그리면서도 경이로운 눈으로 대 상을 바라보며 작업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매직리 얼리즘 이미지는 초현실주의처럼 놀랄만한 충격을 주지만 이는 상상 속의 대상을 현실로 끌어내어 환상 의 세상에 있는 것 같은 착각을 하게 하는 것이다. 매 직리얼리즘을 주의 깊게 관찰하면 동기가 없는 초현 실주의와 다르게 심리적, 사회적, 정서적 동기를 드러 내곤 한다(Zamora & Faris, 1995/2001).

    2.Characteristics of magic realism literature

    매직리얼리즘은 1940~50년대의 문학적 부흥기를 거쳐 1960년대를 맞이하면서 서구문학에 새로운 반 향을 일으키기 시작한 라틴아메리카의 문학적 성격 을 규정하는 과정에서 등장하였다. 이러한 장르를 붐 소설이라고 부르며, 붐 소설의 특성을 가장 잘 나타 내는 단어가 바로 매직리얼리즘이다. 라틴 아메리카 라는 특정한 지역에 뿌리를 박고 있으면서도 보편성 을 추구하는 라틴 아메리카만의 특색을 보여주는 문 학을 말한다.

    본 연구에서는 매직리얼리즘 문학을 대표하는 작 가 프란츠 카프카(Franz Kafka)와 가브리엘 가르시아 마르케스(Gabriel Garcia Marquez)와 알레호 카르펜 티에르(Alejo Carpentier)의 작품에서 나타나는 문학 의 구성 요소인 ‘스토리 전개, 배경, 주제, 인물’을 토 대로 구성 형식의 특성과 선행연구에서 나타난 특성 으로 구분하여 정립하였다. 이렇게 3명의 대표작가의 작품에서 나타난 구성은 다음과 같다. 현실에 일어났 던 역사적 사건과 현실에서 일어날 수 없는 사건들이 함께 재해석되어 새로운 사건을 만들고, 이러한 사건 을 통해 기본적인 선과 악의 대립구조 속에서 주인공 들의 인간의 본성과 영웅적인 모습을 나타내는 스토 리 전개를 보인다.

    작품의 구체적인 배경은 현실세계를 기본으로 특 정 지역 또는 현실의 복합적인 인종, 문화, 역사적 전 통이 드러난다. 또한 작품의 주제는 인간의 본성에 의해 발생되는 사건과 그로 인해 나타나는 혁명, 죽 은 자와 산 자의 대화․변신과 같은 형태의 현실에서 나타나는 초자연적 현상, 인간의 마술적 믿음과 무너 지는 현실의 경계 등으로 나타난다. 등장인물들의 관 계는 선과 악의 역할이 존재하며, 상호보완적인 관계 또한 존재한다.

    또한 매직리얼리즘 문학의 특성은 특정 연구자의 관점에 의거하여 정립될 수 없으므로 문학에 나타난 매직리얼리즘의 특성을 체계적으로 정리한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총제적 관점에서 수용하고자 한다. Wendy B. Faris는 매직리얼리즘의 특성을 다섯 가지로 정리 하였다. 첫째, 텍스트에는 일반적인 현실의 섭리로는 설명할 수 없는 최소한의 마술이 반드시 있다. 두 번 째로, 매직리얼리즘은 현실 세계가 강력하게 보이도 록 묘사한다. 세밀한 사실적 묘사를 통해 현실과 유 사한 허구의 세상을 창조한다. 세 번째, 독자는 상반 된 사건에서 인식론적인 망설임을 경험하며, 풀리지 않는 의문에 사로잡힌다. 네 번째, 두 영역, 두 세계가 근접하거나 거의 혼합되는 현상을 경험한다. 다섯째, 매직리얼리즘 소설은 시간, 공간, 정체성 등에 대한 기존 관념에 의문을 던진다(Zamora & Faris, 1995/2001). Wendy B. Faris의 매직리얼리즘의 특성을 정리하면 최소한의 마술성을 나타내는 마술성, 사실주의 요소 로 현실을 재현하는 재현성, 인식론적인 망설임이 있는 모호성, 두 요소 이상의 혼합현상의 나타난 혼합성, 시, 공간의 개념이 훼손된 (시, 공간)초월성으로 나타 났다.

    Park(2001)은 매직리얼리즘을 두 갈래로 정리하였 다. 첫째로, 좁은 의미의 매직리얼리즘은 경이로운 현 실, 환상문학, 네오바로크와 더불어 20세기 중남미 문 학의 한 갈래를 일컫는 용어로 정리하였고, 두 번째 로, 광의의 매직리얼리즘은 경이로운 현실과 네오바 로크는 물론 환상문학까지 포괄하는 20세기 중남미 허구 문학을 통칭하는 용어로 사용하였다. 광의의 매 직리얼리즘 문학의 특징은 이론적 지식으로서의 기 술 제작을 의미하는 포이에시스(현실창조)와 시, 공간 의 조작, 미학적 모호성, 독자의 참여와 열림의 문학 으로 분석하였다. 이에 나타난 매직리얼리즘은 현실 창조를 의미하는 재현성, 시․공간의 조작을 나타내 는 (시, 공간)초월성, 비일상적인 현상을 나타내는 미 학적 모호성을 모호성으로 정리할 수 있다. Jeon(2005) 은 한국의 매직리얼리즘 작가로 대표되는 천명관의 <고래>에 나타난 매직리얼리즘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시・공간의 상징적 특성은 <고래>의 마술적 공간인 평대와 한국 현대사의 역사성을 드러내는 해방과 전 쟁, 초자연적 요소인 고래를 마술적 상징물로 설명하 였고, 한국의 역사적 코드가 담겨있는 에피소드와 등 장인물의 초자연적 태생과 소멸의 과정을 초자연적 요소와 역사적 특성으로 정리하였다. 전용갑의 연구 에 나타난 특성은 시, 공간의 상징적 특성을 의미하 는 상징성과 소설 속 역사적 배경과 사건을 설명하는 역사성, 등장인물들의 신화적 태생과 초자연적 요소 를 의미하는 신화성으로 정리할 수 있다.

    Gwon(2008)은 문학을 통해 세계와 인간의 총체성 을 끊임없이 추구해 온 매직리얼리즘의 총체성을 다 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매직리얼리즘의 총체성은 신 화와 환상으로 인간과 그를 둘러싼 세계 사이의 신비 스러운 관계를 발견하는 과정에서 형성된 것이다. 또 한 마술적 보완을 통해 현실에 대한 사회적, 역사적 총체성의 모습을 드러낸다. 총체성이 추구하는 또 다 른 핵심을 보편성으로, 이는 집단을 하나로 결속시키 고 역사성을 대변한다. 연구에서 나타난 매직리얼리 즘의 특성을 정리하면 신화성과 현실의 사회적 배경 과 중남미의 현실을 나타내는 역사성, 마술성으로 나 타났다.

    3.Characteristic of magic realism movies

    영화에서 매직리얼리즘은 하나의 예술기법으로 표 현되고 있다. 특히 중남미 영화의 매직리얼리즘은 감 각적이고 신화적인 특성을 지니며, 마술적이고 형이 상학적인 차원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총체적 영상예 술이라고 할 수 있다(Dong, 2013). 또한 영화 속에서 매직리얼리즘의 마술성과 시, 공간의 초월성을 나타 내기 위한 소도구들이 사용되어진다. 이는 카메라의 시선 변화에 따르기도 하고, 영화 속의 배경과 상황, 소품들의 의미에서 표현되기도 한다. 매직리얼리즘 영화의 특성은 선행연구에 나타난 특성을 도출하여 매직리얼리즘 문학의 특성과 비교 분석하여 주요 특 성을 정리하였다.

    Kim(2012)은 Wendy B. Faris가 정립한 매직리얼 리즘의 특성을 언급하며 이론을 정리하였고, 매직리 얼리즘 영화인 <베사메 무쵸>에 나타난 매직리얼리즘 의 특성을 시간의 혼재와 공간의 확대하고 정리하였 다. 연구에서 도출된 매직리얼리즘의 특성은 (시, 공 간)초월성과 혼합적 특성이 나타난다. Choi(2013)는 2000년대 영화에 나타난 매직리얼리즘에 대한 연구 로 영화 <내적 안정>과 <남아있는 시간>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두 편의 영화에서도 마술적 시간과 공간 의 특성이 두드러지며, 이는 일상적인 시간과 공간과 이어져 종교적 경험으로서의 기적의 체험과 같이 현 실에서 불현 듯 일어나며 곧 일상 속으로 스며든다. 마술적 공간은 일상성과 특이성을 겸비하여 매직리 얼리즘의 계기를 마련하고, 시간은 무(無)시간적인 특 성으로 나타난다고 정리하였다. 이에 나타난 매직리 얼리즘의 특성은 상반된 것들의 초월인 초월성과 사 실과 비사실의 융합을 혼합성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재현적 특성과 공간과 시간의 도약, 중첩 등의 (시, 공간)초월적 특성이 나타났으며, 마술적 공간을 나타 내는 특성은 마술성, 정치적 배경으로 역사성, 상징적 인 표현을 상징성으로 해석하였다.

    Dong(2013)은 조도로프스키(Jodorowsky)의 영화 를 중심으로 중남미 영화에 고유한 매직리얼리즘을 고찰하여 매직리얼리즘의 특성을 도출하였다. 그의 영화에서 시간은 연대기적이지 않으며, 다양한 층위 로 파편화되면서 질서를 무너뜨리는 특성을 나타낸 다. 또한 신화적 시간과 역사적 사건을 중첩시켜 모 든 장르를 통합하여 풍자와 상징, 은유를 영상으로 표현한다. Dong(2013)의 연구에서는 시간과 개념의 중첩과 혼합은 혼합성으로 분류하였으며, 중남미의 정치적 배경과 현실 자체를 표현한 것에 대하여 역사 성과 재현성의 특성으로 분석하였다. 신화적 시간은 신화성으로 분류하였고, 파편적 시간의 구조는 (시, 공 간)초월성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Choi(2014)의 연 구는 네그리(Negri)의 예술론의 관점에서 매직리얼리 즘을 이해된다고 분석하여 끌레어 드니(Claire Denis) 의 영화 <금요일 밤>을 분석하였다. <금요일 밤>에서 나타난 매직리얼리즘의 주된 특성은 마술적 시, 공간 으로, 이는 사물의 움직임과 감각으로서의 마술, 개별 적인 동시에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된다. 매직리얼리즘 영화에서는 인간의 감정을 마술적이면 서 사실적으로 드러내는 감성적 재현의 예술 양식으 로 삶의 어려움을 겪는 평범한 사람의 삶을 다루며, 그들의 모습을 그려내고 새로운 세상을 꿈꾸는 도구 로 이용된다고 분석하였다. 따라서 마술적인 시, 공간의 특성을 (시, 공간)초월성으로 분석할 수 있으며, 정치 적 성격은 역사성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감성적인 재 현의 양식은 재현성으로 해석하여 분석 정리하였다.

    Yang(2015)은 문학, 회화, 영화 분야에 나타난 매 직리얼리즘을 연구하였고, Wendy B. Faris가 정립한 매직리얼리즘의 특성 및 선행연구에서 도출된 특성 을 기반으로 이론을 정립하였다. 그 중 영화분야에서 는 <성스러운 피>, <집시의 시간>, <달콤쌉싸름한 초 콜릿>, <판의 미로>, <도쿄>, <해리포터와 마법사의 돌>, <내적안정>, <남아있는 시간> 등 8편의 매직리얼 리즘 영화에서 나타난 현실과 환상의 세계가 공존하 는 영화 속 배경, 등장인물들이 표현하는 역사적 사 건과 마술적 상황, 현실에 존재하는 평범한 인물과 신화적 인물들이 표현해 내는 영화의 구성과 표현방 법에서 나타난 매직리얼리즘의 특성을 나열하여 공 통적 특성을 환상성, 재현성, 모호성, 상징성, 역사성 으로 정리하였다(Table 1).

    Ⅲ.Result

    백설 공주의 내용적 구성은 유럽 여러 곳에 퍼져 있는 전설과 사실을 바탕으로 한 동화이다. 친어머니 에게 구박을 받고 쫓겨나 난장이들에게 구제되어 생 활했으나, 친어머니가 자객을 보내서 여러 번 살해하 려 했다는 전설과 16세기 독일의 귀족이자 에스파니 아의 펠리페 2세가 흠모하였다는 실존 인물 마르가레 테 폰 발데크(Margarete von waldeck)의 이야기 등이 뒤섞여 재탄생했다. 이야기는 독자로 하여금 허구의 세계와 사실의 경계를 느끼지 못하게 하며, 새로운 환상의 세계를 창조하게끔 만든다. 이처럼 타셈 싱 영화의 <백설 공주>는 시각적 매직리얼리즘의 특성뿐 아니라, 스토리 구성에서도 매직리얼리즘의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영화 <백설 공주>의 스토리 전개는 현 실과 비현실의 세계가 혼합되어 새로운 세계를 창조 하며, 마법을 쓰는 여왕이라는 신화적 허구의 존재가 등장하기도 하고, 인간의 본성에 의한 사건과 혁명이 일어나며, 선과 악을 상징하는 인물의 대립구조가 극 명히 들어난다. 때로는 마술적 장치를 통해 시․공간 을 이동하며, 마술적 사건을 만들어 내기도 한다. 이 러한 구성은 매직리얼리즘의 영화와 문학에 나타나 는 구성과 같다.

    <Fig. 1>의 경우, 영화<백설 공주>의 거울이 존재하 는 장소로 거울과 물을 통과하여 갈 수 있는 공간으 로, 현실과 환상의 경계에 존재하는 세계로 그려지고 있다. 또한 인물들의 일상과 서양의 왕권이 존재했던 시대적 배경, 여왕의 거울이 존재하는 요새와 여왕의 마법으로 용이 된 왕, 독이 든 사과를 먹고 시공간을 초월하며 사라지는 장면(Fig. 2), 마법을 이용해 젊음 을 유지했던 여왕의 모습, 여왕과 같은 모습의 거울 속 인물 등의 영화 속 표현방법을 통해 매직리얼리즘 문학, 영화에서 공통적으로 도출된 매직리얼리즘의 특성인 역사성, 상징성, 환상성, 재현성, 모호성이 나 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타셈 싱 감독의 백설 공주가 매직리얼리즘 영화에 속한다 는 사실을 정립할 수 있는 근거가 된다.

    본 연구는 매직리얼리즘에 관한 문헌 연구와 실증 적 연구를 통하여 문학, 영화에 나타난 매직리얼리즘 의 공통 특성을 도출하여 분석기준을 정립하고, 이를 바탕으로 타셈 싱 감독의 작품 <백설공주>의 영화의 상의 디자인 특성인 의상의 형태, 소재, 디테일 및 표 현방법을 분석하고자 하며, 영화의상 및 무대의상 디 자인의 발상과 제품 개발에 다양한 영감을 줄 수 있 는 자료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 상인 영화 속 의상은 백설 공주의 의상 4벌, 여왕의 의상 6벌, 왕자의 의상 2벌, 일곱 난쟁이의 의상 2벌 과 그 외 인물인 신하들과 여왕의 결혼식에 모인 하 객들의 의상 6벌의 사진을 수집하였다. 이는 DVD의 캡처를 위주로 이루어졌으며 의상 1벌에 각도 별 사 진을 추가로 수집하였으며, 문헌자료 및 인터넷에 게 재된 시각적 자료를 추가로 활용하여 영화 속 캐릭터 별 의상을 분석하였다.

    1.Movie "Mirror, Mirror" costume design characteristics

    본 연구에서는 의상의 디자인 특성인 형태(실루 엣), 소재, 디테일과 액세서리로 정리하였으며, 프릴, 러플, 자수, 깃털 등의 표현방법을 장식적 요소로 분 류하였다. 코르셋과 페티코트를 이용한 풍성한 실루 엣의 의상은 과장된 조형으로, 이국적 요소와 동, 서 양의 전통의상의 형태를 띠는 의상은 전통적 형태로 해석하였다. 색 또는 형태에서 상징적 특성을 나타내 는 의상은 상징적 의미로, 구조적 변형과 비 일반적 인 의복의 형태를 나타내는 의상은 탈구조적 형태로 구분지어 분석하였고, 이는 An(2013), Kim(2009), Yang (2006), Yang(2015)의 연구에서 분석된 기준을 종합 하여 사용하였다. 백설 공주가 첫 등장하는 장면은 목둘레가 깊이 파인 데콜테(decolletage)형태의 네크 라인으로 그 둘레에는 얇은 린넨의 프릴 칼라를 달아 장식하고 있다(Fig. 3). 소매는 프릴 칼라와 같은 엷은 녹색의 린넨의 퍼프소매로 소매의 중간에 드레스의 코르셋과 같은 핑크 실크 소재의 끈으로 주름을 잡아 묶어 볼륨감을 살려주도록 제작되었다. 자연을 사랑 하는 공주의 성품을 표현하기 위하여 코르셋의 가슴 에 꽃과 새, 나비 등의 자수로 장식되어 있고, 스커트 에도 같은 무늬의 자수로 장식되어 있다. 스커트를 부풀리기 위해 원추형의 파팅게일(farthingale) 페티코 트를 착용하였다. 두 번째 의상은 가장무도회에서 착 용한 드레스(Fig. 4)로 하얀 레이스와 실크 소재를 사 용하고 있다. 이는 스페인식 스커트 버팀대인 원추형 실루엣의 베르튀가댕(vertugadin)을 이용하여 스커트 의 과장된 실루엣을 강조한 의상이다. 어깨에는 백조 의 날개를 형상화한 장식을 메고 있으며, 머리장식으 로 하얀 진주가 장식된 백조의 머리를 모자처럼 착용 하고 있다. <Fig. 5>는 청 녹색의 오프 숄더 블라우스 (off shoulder blouse)와 검정색 바탕에 금색의 잎사귀 모양의 자수가 되어있는 코르셋(corset) 상의와 검정 의 와이드 팬츠(wide pants)를 착용했다. 드레스형태 가 아닌 남자만이 착용하였던 팬츠는 여왕을 타도하 고자 하는 그녀의 심리적 변화를 대변하고 있다. <Fig. 6>은 공주의 웨딩드레스로 평화와 용기, 신뢰를 상징하는 파란색의 의상으로 왕권 회복과 왕국에 평 화를 상징하는 색으로 표현되었다. 미래지향적인 느 낌의 선명한 주황색을 배색으로 사용함으로써 공주 의 평화로운 미래와 행복을 상징하며, 선명한 보색대 비를 통해 동화적인 느낌과 경쾌한 이미지를 표현한 다. 가슴부터 허리까지는 스모킹(smoking)자수기법을 이용한 장식과 과장된 퍼프 소매, 넥 칼라부분의 레 이스 장식 등 다양한 디테일로 장식된 의상이다. 또 한 크리놀린(crinoline)을 이용한 풍성한 실루엣과 기 모노의 오비(obi)장식을 응용한 것으로 보이는 커다 란 리본 장식이 있다.

    여왕은 백설 공주의 젊음에 질투하여 영원불멸의 젊음을 갖고자 노력하고, 백설 공주와 경쟁구도를 가 지는 인물이다. 여왕의 첫 번째 의상(Fig. 7)은 사치스 럽고 욕심이 많은 그녀의 성격을 대변하는 화려한 코 럴 색상의 새틴 드레스로 금색의 식물 줄기무늬가 수 놓아져 있으며, 별을 상징하는 모양의 자수 둘레에는 큐빅으로 장식되어 있다. 이 의상은 허리를 가늘게 조이고, 스커트의 부피를 늘려 둔부를 강조하였으며, 자수와 보석 등 과다한 장식을 하였고, 형태는 르네 상스 시대의 복식과 유사하다. 소매는 모자와 같은 장식을 달아 어깨를 강조하고, 보석과 금사로 장식된 새틴을 여러 장 덧대어 풍성한 소매를 표현하였다. 머스터드색의 <Fig. 8> 드레스는 17세기 초기 복식의 형태로 가슴이 깊게 파이고, 허리를 졸라매 힙(hip)부 분을 펼침으로써 여성의 곡선미를 강조하고 있다. 바 디스(bodice)는 바로크 시대 후기의 의상과 같은 전통 적 형태로 타이트하고 삼각형의 스토머커(stomacher) 도 길고 뾰족한 형태를 띠고 있다. 네크라인은 레이 스로 덧대어 장식하였고, 때로는 러프 칼라(ruff collar) 를 착용하여 화려함을 배가한다. 소매는 두 장 소매 로 안쪽의 소매는 타이트한 일자 소매이며, 겉에 소 매는 튤립 형태로 발목까지 닿을 정도로 긴 디자인이 다. <Fig. 9>는 얇은 린넨 소재로 진녹색과 하얀색의 배색이 조화로운 의상이다. 실루엣은 르네상스 시대 초기 튜더패션(tudor fashion, 1500~1560)의 특성을 나타낸다. 상의는 딱 붙고 스커트는 나팔꽃 모양으로 퍼지는 형태이며, 짙은 녹색의 실크소재에 주름과 절 개를 이용해 기하학적 패턴을 띄며, 큰 종모양의 소 매와 사각 형태의 네크라인이 특징이다. 네크라인의 둘레는 지그재그의 컷팅된 시폰(chiffon) 소재의 러프 (ruff)로 장식이 되어 있고, 하얀 시폰은 어깨의 소매를 따라 팔목까지 사선의 긴 종 모양을 띠며 늘어뜨려 장 식효과를 배가시킨다. 스커트는 르네상스 후기의 프 랑스식 원통형 실루엣의 베르튀가댕을 사용하여 실 실루엣을 나타내고 있다. <Fig. 10>은 가장무도회에서 착용한 의상으로 공작새를 연상하게 하는 드레스이 다. 목과 등에 공작새의 화려한 꼬리를 장식하였고, 상의의 앞과 소매 끝에 흰색과 짙은 갈색을 사용하여 공작새의 깃털문양을 자수하였다. 머리에는 다양한 크기의 보석과 깃털을 장식하였고, 정열, 사랑과 에로 스, 물질적, 능동적인 것을 상징하는 붉은색의 드레스 는 왕자에 대한 여왕의 욕심과 마음의 상태를 표현하 고 있다. 실루엣은 르네상스 시대인 엘리자베스 1세 의 집권시대 복식의 특성과 흡사하다. 엘리자베스 1 세 집권시대는 ‘Ruff and slashes의 시대’ 즉, 목둘레 의 깃털 또는 레이스 장식으로 우아함과 과장된 권위 를 나타내는 시대라 일컫는다. 여왕은 우아함과 자신 의 권위를 표현하기 위해 의상에 주로 깃털과 레이스 등을 이용하여 러프 장식을 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 다. 여왕의 웨딩드레스(Fig. 11)는 실크 소재의 꽃잎 모양을 겹겹이 레이어드하여 하나의 커다란 꽃의 형 상을 만들었고, 속이 비치는 얇은 소재로 터크(tuck) 장식하여 벨(bell)모양의 풍성한 소매로 전체적으로 풍성한 소재감과 과장된 실루엣을 보이고 있다. 실루 엣을 보여주는 파팅게일은 스페인식 원추형 파팅게 일의 형태를 띤다. <Fig. 12>의 망토는 짙은 갈색과 베이지색 등 다양한 브라운 색상이 붓 터치를 하듯 뒤섞인 의상으로 커다란 모자가 달려있다. 이 의상은 백설 공주에게 사과를 주려하는 장면에서 착용한 의 상으로 원작과 다르게 공주가 아닌 자신이 사과를 먹 고, 사라지게 된다. 여왕의 몸이 공기 중으로 사라지 고 옷이 궁궐의 바닥으로 흡수되는데, 이때 망토의 프린트와 궁궐 바닥의 타일무늬가 같아 의상은 바닥 의 일부가 되며 사라진다(Fig. 2).

    <백설 공주>에서 왕자는 원작과는 다른 순박하고 꾀에 잘 넘어가는 캐릭터로 등장한다. <Fig. 13>은 여 왕이 연 가면 무도회에서 왕자가 착용한 의상이다. 왕자의 의상은 전체적으로 18세기 말에서 19세기 초 에 걸쳐 유행하던 프록이라고 부르는 넓은 플랫칼라 를 가진 프록코트(frock coat) 또는 프록 그레이트 코 트(frock great coat)의 형태를 띤다. 주로 상반신이 꼭 맞고 스커트 부분이 약간 플레어진 스타일로 무릎길 이에서 발목길이까지 여러 가지 길이의 것이 유행하 였다. 빨간색의 두께감이 있는 면 소재의 배색된 프 록 그레이트 코트와 흰색 새틴소재의 조끼에는 새의 문양이 장식되어 있다. 코트 안쪽의 의상은 모두 흰 색의 의상으로 바지는 무릎아래 기장으로 스트링으 로 리본을 묶어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조끼와 바지 는 동일한 소재로 제작되어 있으며, 셔츠는 소매 끝 에 화려한 레이스로 장식되어 있다. 가면무도회에서 왕자는 토끼의 귀가 달린 중절모를 착용하여 자신의 캐릭터를 설명하고 있다. 왕자가 백설 공주와의 결혼 식에 입은 <Fig. 14>의 왼쪽 의상 또한 재킷의 앞에 진한 노란빛을 띄는 금색의 테슬 장식이 되어있다.

    왕자의 예복은 근엄함을 상징으로 하는 영국 근위 대의 군복과 흡사한 의상으로 자켓의 기장과 장식이 더 화려하게 변형되어 디자인되었다. 이는 왕자가 앞 으로 한 나라의 왕이 되어가는 상황과 심리를 대변하 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영화 초반 여왕의 만행을 나타 내는 장면으로 신하들의 머리에 배 모양의 모자(Fig. 15)를 씌워 체스게임을 하고 있는 모습이다. 신하들 은 상반되는 색상인 주황색과 보라색 팀으로 나뉘어 져 있으며, 여자인 신하들의 의상은 크리놀린과 버슬 (bustle), 큰 리본과 레이스를 이용해 중세시대 여성의 전통 복식의 형태를 따르고 있고, 남자 신하들 또한 전통적인 복식인 코트와 웨이스트 코트(waistcoat), 상의 같은 소재로 재단한 바지를 착용하고 있다. 신 하들이 착용하고 있는 모자는 배의 섬세한 부분까지 축소하여 제작되어 있다. 이는 1770년대 미국 독립전 쟁 당신 해전의 승리를 기념하고자 만들어진 여성들 의 머리 형태와 매우 흡사하다. 이 시기에는 거대한 머리형에 어울리는 커다란 모자가 유행하였으며, 이 는 태피터, 벨벳, 머슬린, 밀짚 등의 재료를 사용하여 제작되었다. <Fig. 16>은 등장인물들의 가면무도회 의 상으로 각종 동물을 모티브로 하여 마스크와 헤어 장 식을 착용하고 있다. 중세시대의 실루엣과 러플 등의 장식요소가 흡사한 의상을 착용하고 있다. 이들의 의 상은 면, 공단, 레이스 등의 다양한 소재와 러플, 자 수, 주름 등의 다양한 기법을 이용하여 장식적 요소 를 주고 있다. <Fig. 17>의 의상은 여왕의 결혼식에 참석한 하객의 의상으로 일반적이지 않은 구름모양 의 헤어와 핑크색의 볼륨감 있는 헤어에 얹은 듯 올 려있는 모자가 인상적이다.

    남성은 기하학적인 프린트의 의상을 착용하고 있 고, 여성은 다양한 색상과 기하학적 프린트로 동화적 인 느낌을 주고 있으며, 그녀의 의상은 버슬형태의 크리놀린이 몸채와 분리되어 착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Fig. 18>은 여왕과 왕자의 결혼식에 참석한 하 객으로 의상의 실루엣과 목과 손목에 달린 종이로 접 은 것 같은 러프는 유럽의 중세시대의 복식의 형태를 따르지만, 색상과 팔의 누비, 동양적 느낌이 나는 무 늬를 사용하여 동양과 서양의 특성이 혼종되어 있다. 또한 머리를 풍성하게 세워 벚꽃으로 장식을 하고 일 본의 가부키(Kabuki) 화장과 흡사한 메이크업으로 동 양적 느낌이 강하게 나타나고 있다. 인물의 의상은 화려한 색상과 다양한 문양으로 장식적 요소가 두드 러지게 나타나며, 드레스의 과장된 실루엣과 헤어스 타일로 과장성을 나타내고 있다. <Fig. 19>는 <Fig. 18> 의 의상 속에 입은 속옷으로 팔에 볼륨을 주기 위해 좀 더 부드러운 소재의 소매용 파팅게일을 착용하고 있다. 백설 공주와 왕자의 결혼식 하객의 의상(Fig. 20)은 여왕과 왕자의 결혼식에 온 하객들과는 반대로 차분한 색상으로 자연의 느낌이 나는 흙색과 톤 다운 된 주황, 노랑, 짙은 녹색 등의 의상을 중심으로 생화 (生花)를 이용하여 장식이 소박하지만 화사한 느낌을 준다. <Fig. 21>은 일곱 난쟁이들의 평소 착용하는 의 상으로 다양한 갈색이 섞여 있고, 나무껍질의 모양과 흡사하게 표현된 주름원단의 의상을 착용하고 있다. 그들은 각각 다른 디자인의 모자를 착용하였고, 팔에 금속 장식을 하거나 스카프를 매기도 하며, 동물을 박 제한 모자를 착용하는 것으로 캐릭터를 표현하고 있다. 난쟁이들의 의상(Fig. 22)은 도적질을 할 때 착용하는 것으로 작은 키를 보완하기 위해 접이식 주름이 된 보호 장치를 착용한다. 그 보호 장치는 그들을 다시 작 아지게도 하며, 큰 거인의 모습으로도 만들어 매직리 얼리즘에 나타나는 시, 공간의 도약을 표현하며, 구조 적인 가변적 특성으로 탈구조적인 형태를 띠고 있다.

    2.Movie "Mirror, Mirror" the magic realism characteristics expressed in costume

    다양한 예술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는 매직리얼리 즘에 관하여 혼용되고 있는 개념들을 정립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매직리얼리즘 의 개념이 가장 깊이 사용되고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 는 문학, 영화 분야의 선행연구와 사례를 조사 분석 함으로써 타당성이 있는 개념을 재정립하고, 이를 패 션 분야의 특성을 감안하여 사례 분석에 적용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매직리얼리즘의 문학과 영화에 대한 선행연구사례로 분석 활용된 작품에 나 타난 특성을 나열하여 비슷한 특성을 나타내는 특성 간의 묶음을 통해 최종적으로 공통적 특성을 도출하 였고, 이에 따라 매직리얼리즘의 특성을 역사성, 모호 성, 상징성, 환상성, 재현성으로 분석하였다. 역사성 은 시대적, 동․서양의 지역적 전통을 나타내는 특성 이며, 모호성은 마술적인 시․공간의 도약과 현실세 계와 환상의 허구세계가 뒤섞여 경계의 모호함을 나 타내는 특성을 의미한다. 상징성은 인물의 상황과 심 리상태를 색상과 형태를 차용하여 상징적으로 표현 하는 것을 의미하며, 환상성은 현실세계의 마술적인 사건을 의미하며 신화적이고 설화적인 특성을 지니 고 있다. 또한 왜곡과 과장된 실루엣의 의상으로 표 현된다. 재현성은 현실세계의 재현을 의미하는 특성 을 지닌다. 매직리얼리즘의 특성 5가지가 두드러지게 나타난 타셈 싱 영화의상의 디자인 특성 및 디자인 특성에 따라 장식적 요소, 과장된 조형, 전통적 형태, 상징적 의미, 탈구조적 형태로 분석 정리하고자 한다.

    1)Historicity

    역사성은 과거의 시대적 특징을 나타내는 의상을 의미하며, 동․서양의 민속적인 의상을 포함한다. 역 사적 특성은 매직리얼리즘의 문학과 영화에서 두드 러지게 나타나는 특성으로 변형된 역사적 사실과 지 역적 특색이 나타나고 있다. 패션분야에서 역사성은 부분적으로 변화를 주어 이전 시대의 의상을 그대로 모방하는 것이 아닌 재해석을 통한 재창조를 의미하 여 동일성과는 차이를 둔다. 타셈 싱 영화의상에서 나타나는 역사성은 중세, 근세 시대 등의 시대적 특 성을 차용한 의상과 동양적 요소의 민속의상의 차용 과 문양의 차용으로 표현된다.

    <백설 공주>의 의상에서 여성의 의상은 주로 서양 의 전통적인 드레스 형태를 띠고 있다. <Fig. 3>는 19 세기 로맨틱 스타일의 의상과 흡사한 형태를 나타낸 다. <Fig. 4>와 <Fig. 6>의 의상은 페티코트를 사용하 여 과장된 볼륨감을 나타내는 크리놀린 스타일을 나 타내며, 이러한 과장된 서양의 의상에서 나타나는 실 루엣은 여왕의 <Fig. 7>~<Fig. 11>에서 나타나고 있다. 여왕의 의상은 르네상스 시대의 의상의 형태가 두드 러지게 나타나며, 페티코트를 이용한 과장된 실루엣 을 띠고 있다. 왕자의 의상(Fig. 13)은 18세기 말~19 세기 초에 유행했던 로맨틱 스타일의 프록 그레이트 코트와 흡사한 형태를 띤다. 매직리얼리즘의 역사적 특성은 여러 등장인물의 의상에서도 두드러지게 나 타난다. <Fig. 15>의 의상에서 여성의 경우 페티코트 를 이용하여 힙을 강조한 버슬스타일과 1770년 배 모 양을 주제로 한 헤어스타일을 그대로 차용하고 있으 며, 남성의 의상에서는 19세기 로맨틱 스타일의 의상 으로 역사적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Fig. 18>의 의상 은 벚꽃 헤어 액세서리와 문양, 색상을 통해 일본의 이미지를 제시하고 있으며, 목과 소매 끝의 유럽 중 세시대의 유행한 러프로 서양에서 나타나는 역사성이 함께 나타난다. 드레스 안의 속옷으로 착용하고 있는 의상(Fig. 19)은 소매에 달린 파팅게일로 역사성을 나 타내고 있으며, <Fig. 17>의 의상은 버슬 스타일의 변 형된 디자인을 취하고 있다. 이러한 서양 복식에서 나 타나는 형태의 차용은 <Fig. 16>에서도 나타난다. 여 성 의상의 경우 로맨틱 스타일의 형태를 나타내며, 남성의 경우 프록코트의 변형된 형태를 취하고 있다. 이와 같이 <백설공주> 영화의상에서는 역사성이 두드 러지게 나타나고 있으며, 동․서양의 전통적 의상의 변형된 형태를 취하고 있고, 문양과 액세서리 등의 세세한 부분까지 고려하여 역사적 특성을 표현하고 있다. 매직리얼리즘의 역사성에는 <백설 공주> 영화 의상의 디자인 특성을 기준으로 분석한 표현방법 중 전통적 의복형태가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다음 으로 색과 형태에서 나타나는 상징적 의미와 장식적 요소, 과장된 조형도 나타났으며, 탈 구조적 형태의 표현방법도 표현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역사성을 나타내는 타셈 싱의 영화의상에는 등장인물 중 여성 의 경우 A라인과 벨 라인, 버슬 스타일 등의 과장되 고 풍성한 형태의 실루엣이 두드러지게 나타났으며, 남성의 경우 A라인의 실루엣이 나타났다. 소재의 경 우 성(性)의 구별 없이 새틴과 시스루 원단, 가공 소 재, 레이스, 면 소재 등이 두드러지게 사용되었고, 문 양의 경우 기하학 문양과 식물과 동물을 변형한 자연 문양이 나타났다. 액세서리의 경우 비즈, 크리스털의 장식 요소가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디테일을 의미 하는 액세서리는 비 일반적인 형태의 장식적 요소가 많은 모자가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2)Ambiguity

    모호성은 매직리얼리즘의 특성에서 현실과 무의식 세계의 이동과 카메라 시선에 따른 시․공간의 도약 적 특성을 나타낸다. 이러한 특성은 시․공간을 도약 하는 장면에서 착용한 의상에서 나타나기도 하며, 필 요에 따른 구조적 변형으로 가변적 특성을 나타내기 도 한다. 또한 매직리얼리즘 영화에 나타난 현실과 허구의 공간의 공존을 의미한다. 즉, 둘 이상의 공간 이 혼합되어 공존하는 것을 뜻하며, <백설 공주> 영화 의상에서 나타내는 혼성성은 둘 이상의 특성이 혼합 된 특성을 나타낸다. 이때 둘 이상의 특성은 역사성 과 환상성의 특성이 혼합된 것으로 경계의 모호함을 나타낸다. 또한 남․여 의복의 디자인 특성이 뒤섞여 성(性)의 경계가 모호한 의상으로 매직리얼리즘의 모 호성을 나타낸다.

    백설 공주의 모든 의상에서 나타나며 그 중 <Fig. 5>, <Fig. 6>, <Fig. 8>의 의상에서는 공통적으로 전통 적인 의복의 형태에 의한 역사성과 과장된 실루엣과 동화적 특성이 담긴 환상성의 혼합에 의한 모호성을 나타낸다. <Fig. 5>는 영화 속 시대적 배경에서 남성 의 전유물인 바지와 여성스러운 오프 숄더 블라우스 를 함께 착용함에 따라 성(性)의 경계한 모호한 특성 을 보이고 있다. 또한 여왕의 의상(Fig. 7~Fig. 11)에도 튜더패션 스타일과 엘리자베스 1세의 의상, 로브 아 라 폴로네즈 스타일 등 전통적인 의복의 형태와 과장 된 실루엣의 의상과 액세서리를 통한 환상성의 혼합 으로 인한 모호성이 나타난다. 또한 마법이 깨지며 노인으로 변한 여왕(Fig. 12)의 모습으로 여왕의 소멸 과 함께 망토는 궁궐의 바닥으로 흡수된다. 이는 마 술적 시․공간의 도약적 특성을 나타내며 모호성을 드러낸다. 이러한 특성은 여왕의 신하의 의상(Fig. 15)과 여왕의 결혼식에 하객의 의상(Fig. 17)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Fig. 17>에서는 스커트의 페티코트 부분이 분류되어 필요에 따라 구조적인 변형이 가능 하며, 페티코트 안쪽에 공간이 존재해 영화 속 장면 에서는 난쟁이들이 여왕의 결혼식을 망치기 위해 잠 입하는 도구로 사용하기도 한다. 또한 서양 복식의 형태로 인한 역사적 특성과 비 일반적인 헤어스타일 과 화려한 색채를 통한 동화적 이미지의 환상성이 뒤 섞여 모호성에 해당한다. 이러한 의상의 가변적 특성 을 통한 마술적 시․공간의 도약적 특성은 난쟁이들 이 도둑질을 할 때 착용하는 의상(Fig. 22)에서도 나 타나고 있다. 의상은 키가 작은 난쟁이들의 단점을 보완하며, 스프링과 같은 접이식 다리를 장착하여 빠 른 이동을 보여주고, 필요에 따라 다리를 접어 본래 의 키로 돌아올 수 있는 기능을 갖춘 의상으로 표현 되고 있다. 의상에서는 장식적 요소와 과장된 실루엣 이 두드러지며, 등장인물의 상황을 의미하는 형태를 차용하기도 하며, 의상의 구조적 변형에 따른 가변적 형태로 나타나기도 한다. 또한 인체의 조형적 구조를 무시하여 인체를 왜곡되고 과장되게 보이도록 한다. 모호성을 지닌 타셈 싱 영화의상에서는 장식적 요소 와 전통적 의복 형태, 탈구조적 의복 형태, 과장된 조 형, 색과 형태에서 나타나는 상징적 의미의 표현방법 이 골고루 나타났음을 알 수 있었다. 디자인 특성의 경우 A라인이 두드러지게 나타났고, 그 외에 버슬 스 타일, 벨 라인 등 다양한 형태의 실루엣이 나타났다. 소재는 벨벳, 새틴과 면 소재, 시스루 원단 등이 골고 루 사용되었으며 기하학 문양과 자연문양이 나타남 을 알 수 있었다. 디테일은 과장된 실루엣과 비 일반 적인 헤어스타일, 모자, 다양한 모양의 자수와 문양에 의한 장식적 효과가 두드러진다.

    3)Symbolization

    영화에서는 관객들에게 다양한 상징들을 제안하 고, 제안된 상징을 통해 이야기 구조와 캐릭터의 특 성, 모티브 등을 통해 상징적 기법을 활용하고 있다. 매직리얼리즘의 특성에서는 현실의 자아가 반영된 환상 속 인물들의 모습과 현실의 상황과 함께 변해가 는 환상세계의 상황의 변화로 표현된다. <백설 공주> 의 의상에서는 인물의 성격과 지위를 상징하는 의복 의 형태 또는 색의 상징이 나타난다.

    백설 공주의 의상에는 주로 색상을 통해 그녀의 심 리상태를 표현한다. 유약한 공주의 모습인 백설 공주 (Fig. 3)로 등장할 때는 밝은 톤의 핑크와 노란색이 사용된 드레스를 착용하고 있으며, 가면무도회에서 착용한 의상 또한 흰색의 청순함과 고귀함을 상징하 는 백조 형상의 모자(Fig. 4)와 레이스 장식의 드레스 를 착용하고 있다. 그러나 그녀의 심리가 점차 변화 하면서 평화와 용기를 상징하는 청색계열의 의상(Fig. 5, Fig. 6)을 착용한다. 또한 여왕과의 전쟁을 준비할 때의 의상(Fig. 5)은 활동성 있는 팬츠를 착용하고 있 으며, 그녀의 결혼식 때 착용한 웨딩드레스(Fig. 6)는 일반적인 흰색의 드레스가 아닌 파란색과 미래지향 적인 느낌의 선명한 주황색을 배색으로 사용하여 공 주의 평화로운 미래와 행복을 표현하고 있다. 여왕의 드레스의 경우 사치스럽고 권력의 욕망에 사로잡힌 캐릭터의 특성을 나타내는 과장된 실루엣의 드레스 가 주를 이룬다. 가면무도회에서 착용한 여왕의 드레 스(Fig. 10)는 다채로운 색상의 깃털을 지녀 화려함을 나타내는 공작새를 형상화한 자수와 깃털을 장식함 으로써 여왕의 성향을 상징적으로 표현하고 있으며, 그녀의 웨딩드레스(Fig. 11)에서도 사치스러운 여왕 의 모습이 잘 표현되고 있다. 꽃잎 모양의 실크를 겹 겹이 연결하여 거대한 꽃 봉우리를 연상시키는 의상 은 과장된 실루엣을 통해 여왕의 권위를 나타내고 있 다. 여왕의 여러 가지 톤의 갈색이 뒤섞인 망토(Fig. 12)의 문양은 그녀가 소멸되어 흡수되는 궁궐의 바닥 타일의 문양과 같다. 즉, 망토의 문양은 그녀가 곧 사 라지게 될 운명임을 상징적으로 표현하고 있는 것이 다. <Fig. 13>은 가면무도회에서 착용한 왕자의 의상 으로 왕자의 순진하고 약한 성격을 표현하는 토끼로 상징화되고 있으며, 백설 공주와의 결혼식에 착용한 예복(Fig. 14)은 영국 근위대의 복식과 같고 영국의 왕자가 혼례복으로 착용하는 의상과 흡사하여 그의 신분을 의상을 통해 재확인 시키고 있다.

    신하들의 배 모양의 모자(Fig. 15)는 여왕이 신하 들을 물건과 같은 취급을 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직 접적인 형태의 차용을 통해 상징적으로 표현하고 있 다. 또한 상징성은 가면무도회에서 두드러지게 나타 나며, 주인공을 포함한 모든 등장인물을 동물을 형상 화한 의상과 가면, 모자(Fig. 16) 등을 착용하고 있다. 이러한 자연물의 의인화는 백설 공주의 결혼식에 온 하객들의 의상(Fig. 20)에서도 나타난다. 공주의 결혼 을 축하하는 의미로 생화(生花)로 장식된 의상과 액 세서리를 장식하고 있으며, 화려하고 다채로운 색상 의 생화를 사용하여 마치 살아있는 꽃과 같은 모습처 럼 보이도록 하고 있다. <Fig. 22, 23>의 난쟁이들은 도적질을 위해 항상 나무 뒤에 숨어있고 나무에 은신 처를 만들어 생활하고 있다. 그들의 의상은 나무에 몸 을 숨기기에 적합한 나무 기둥의 색과 질감으로 표현 되고 있다. 영화 속 의상의 상징성에는 장식적 요소 가 두드러지며, 등장인물의 성격과 상황을 대변하는 상징적 특성과 구조적 변형에 따른 가변적 특성이 나 타나고 있다. 또한 동물을 모티브로 한 생물의 무생 물화로 표현하기도 한다. 상징성이 나타나는 의상에 서는 상징적 의미가 두드러지게 내포되어 있었고, 장 식적 요소의 활용과 전통적 형태를 나타내는 표현방 법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또한 과장된 조형과 탈구 조적 형태의 의상은 미약하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 다. 디자인 특성 중 형태는 A라인, H라인, 벨 라인이 나타났으며, 소재는 새틴과 가공소재와 면 소재 등의 자연소재가 사용되었고, 여성의 경우 시스루 원단과 레이스 장식이 나타났다. 장식의 경우 금사와 비즈, 깃털장식 등이 사용되었으며, 기하학 무늬와 꽃무늬 와 같은 자연문양이 나타났다. 액세서리의 디테일은 비 일반적인 형태를 지닌 모자 또는 가면의 형태가 많이 사용됨을 알 수 있다.

    4)Fantasy

    매직리얼리즘 영화는 현실과 환상의 세계가 뚜렷 한 경계가 없이 관객들로 하여금 혼돈과 환상을 경험 하게 하는 특성을 지닌 만큼 신화와 환상의 특성은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환상성은 신화적 특성과 마술 적 특성이 혼합되어진 특성으로 매직리얼리즘의 특 성에서 환상의 세계와 신들의 세계를 의미하며 마술 적 상황을 의미하기도 한다. 영화<백설 공주>의 의상 에서는 다양한 색채와 장식적 디테일을 이용한 동화 적인 특성을 포함한 의상과 왜곡되고 과장된 의상의 실루엣을 통해 환상성을 나타낸다.

    영화 <백설 공주>의 의상에서 표현되는 환상성은 공통적으로 왜곡되고 과장된 실루엣으로 나타난다. 백설 공주가 첫 등장하며 착용한 드레스(Fig. 3)는 벨 라인의 과장된 실루엣과 함께 파스텔 톤의 색상과 꽃 과 새의 모양이 자수된 동화적인 느낌을 통해 환상성 을 나타내며, 가면무도회에 착용한 백조 형태의 드레스 와 모자(Fig. 4)에서는 과장되고 왜곡된 실루엣을 통 해 동화적 환상을 나타낸다. 이러한 동화적 특성은 백설 공주의 웨딩드레스(Fig. 6)에서도 나타나고 있으 며, 비비드 톤의 색상과 장식적이고 과장된 형태의 소매와 드레스의 실루엣으로 표현되고 있다. 환상성 은 특히 여왕의 의상(Fig. 7~Fig. 11)에서 두드러진다. 여왕의 드레스에서는 다양한 소재의 레이어드와 주 름, 절개를 통한 볼륨감, 장식적 디테일을 통해 벨 라 인과 H라인의 과장된 실루엣으로 환상성을 나타낸 다. 또한 신하들의 의상(Fig. 15)에서는 과장된 배 모 형의 헤어 액세서리와 버슬 스타일의 과장된 실루엣 을 통해 나타나고 있다. 여왕의 결혼식에 참석한 등 장인물의 의상(Fig. 17~Fig. 19)에서는 비 일반적인 헤 어스타일과 함께 화려한 패턴과 색상, 과장된 볼륨감 을 이용하여 동화적인 분위기를 나타내며, <Fig. 22> 의 난쟁이들의 의상에서는 왜곡된 다리 형태로 인한 과장된 실루엣을 통해 표현되고 있다. <백설 공주>에 서 나타난 환상성은 장식적 요소가 두드러지게 활용 됨을 알 수 있었고, 전통적인 의복의 형태와 상징적 의미를 지닌 형태와 색상, 과장된 조형과 탈구조적 형태가 골고루 표현되고 있다. 디자인 특성 중 실루 엣의 경우, A라인, 벨 라인이 두드러지게 나타났고, 소재의 경우, 새틴, 가공소재가 두드러졌고, 기하학 문 양과 식물의 자연문양이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또 한 디테일은 비정상적으로 과장된 형태의 헤어스타 일과 장식미가 돋보이는 가면과 모자로 나타났다.

    5)Reproducibility

    매직리얼리즘 영화는 현실성을 기초로 하여 가상의 이야기가 전개된다. 영화 속 환상의 세계는 현실과 비현실 사이에 모호하게 위치하며, 허구적인 세계 속 에서 인간 본성과 현실적인 삶의 형태가 재현되는 특 성을 지니고 있다. 창조된 허구의 세계는 재구성된 현실의 부분이 실제의 느낌을 제시하기 때문에 내적 현실성을 가지고 있다. 매직리얼리즘 영화의 배경은 현실과 환상이 공존하고, 현실의 경험세계를 기초로 하고 있기 때문에 영화 속 의상은 현실의 세계에서 경험한 복식의 재현이 나타난다. <백설 공주>의상에 서 나타난 재현성은 20~21세기 복식의 형태 또는 액 세서리 등으로 표현되고 있다.

    왕자의 의상(Fig. 14)에서는 영국 근위대의 복장에 서 나타나는 형태와 장식적 요소가 두드러지게 나타 나며, 영국 왕족의 결혼식에서 왕자들이 입는 의상과 도 흡사한 형태와 색채를 취하고 있다. 또한 난쟁이 들의 의상(Fig. 21, Fig. 22)에서는 장식적인 디테일을 제외하고, 기본적인 상의와 하의는 시대적 특성이 나 타나지 않으며, 베레모와 카우보이 스타일의 모자, 스 카프 등으로 20세기 의상의 디테일을 나타내고 있다. 재현성을 지닌 영화의상에서는 장식적 요소와 상징적 의미의 표현방법이 가장 많이 나타났고, 부분적으로 전통적 형태와 탈구조적 형태도 나타남을 알 수 있었 다. 또한 의상에는 과장된 조형의 표현방법이 나타나 지 않았다. 디자인 특성의 경우, 형태는 기본 상의와 팬츠 형식의 현대의상에서 나타나는 스타일이 가장 두드러졌으며, 밀리터리 스타일도 공존했다. 소재는 면과 같은 자연소재와 벨벳과 같은 가공소재로 나뉘 어 나타났으며, 금사와 금속 소재와 주름원단이 장식 적 요소로 주로 사용되었고, 나무의 껍질과 같은 자 연문양이 나타났다. 디테일은 브레이드 장식과 테슬 장식, 필요에 따라 조절되는 다리 등 다양한 장식적 요소와 디테일이 나타났다.

    이에 따라 타셈 싱의 영화<백설 공주>에 나타난 매 직리얼리즘의 특성에 따른 디자인특성 및 표현방법 을 정리하면 <Table 2>와 같다.

    Ⅳ.Conclusion

    매직리얼리즘의 개념은 현실과 환상의 세계의 공 존과 현실에 존재하는 마술적 시, 공간의 표현을 통 해 현실의 중압감에서 도피처이자 정신적 자유를 느 끼게 하며, 패션을 비롯한 다양한 예술분야에서 활용 도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매직리얼리즘에 관한 패 션분야의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며, 매직리얼리 즘의 표현 특성을 적용하여 활용하기 위한 구조의 분 석 및 재해석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매 직리얼리즘의 관련 문헌과 선행연구의 이론적 고찰 을 통해 매직리얼리즘 문학, 영화에 나타난 매직리얼 리즘의 특성을 도출하였다. 타셈 싱 영화 <백설 공주> 의 주요 등장인물과 그 외에 인물을 중심으로 분석 자료를 수집하여 의상의 디자인 특성 및 의상에 나타 난 매직리얼리즘 특성을 분석하였고,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영화 <백설 공주> 의상에 나타난 디자인 특 성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백설 공주>의 공주와 여 왕의 의상에는 벨 라인과 르네상스 시대의 복식 형 태, H라인의 실루엣이 두드러지며, 새틴과 레이스 벨 벳, 시스루 원단과 큐빅을 사용한 소재를 통해 장식 적 요소가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볼륨있는 실루엣으 로 과장된 형태가 돋보인다. 그 외의 등장인물들의 의상에서는 버슬 스타일, 벨 라인, A라인, 동물을 모 티브로 만들어진 의상과 가면의 형태가 나타나며, 새 틴과 면 소재, 주름 원단, 가죽 등의 다양한 소재와 식물 문양이 나타났으며, 비 일반적이고 등장인물의 상황과 성격을 상징적으로 표현하는 헤어와 모자가 두드러지며, 전체적으로 과장된 볼륨과 구조적인 변 형에 따른 가변적 특성을 지닌 의상이 나타났다.

    둘째, 매직리얼리즘의 문학과 영화에서 공통적으 로 도출된 특성은 역사성, 상징성, 환상성, 재현성, 모 호성으로 나타났다. 역사성은 전통적 형태의 의상, 색 상과 의복에서 나타나는 상징적 의미, 장식적 요소의 표현방법으로 나타났다. 서양의 시대별 전통복식의 구조적 형태와 동양 전통복식의 형태와 문양을 차용 하며, 동․서양의 의복 아이템이 혼합되어 나타나기 도 한다. 두드러지게 나타난 디자인 특성 중 형태는 벨 라인과 버슬 스타일로 나타났고, 소재는 새틴, 자 연소재, 기하학 문양이 나타났으며, 티테일은 비 일반 적인 형태의 장식적 요소가 많은 모자의 착용으로 나 타났다. 모호성은 역사성과 환상성이 혼합된 특성을 의미하며 남성과 여성의 의복 특성이 혼합되어 성 (性)의 경계가 모호한 의상으로 표현되었다. 또한 인 체의 조형적 구조를 무시하여 왜곡되고 과장된 의상 으로 표현되었으며, 오브제의 왜곡과 과장으로 표현 되기도 하였다. 디자인 특성의 분석결과, 형태는 벨 라인과 A라인이 두드러지게 나타났으며, 소재는 새 틴, 자연문양이 나타났고, 디테일의 경우 비 일반적인 헤어스타일, 모자, 다양한 모양의 자수와 문양에 의한 장식적인 효과가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상징성은 색 과 형태에서 나타나는 상징적 의미와 장식적 요소, 전통적 의복 형태의 표현방법이 나타나며, 인물의 성 격과 지위를 상징하는 의복 또는 색으로 표현하였다. 디자인 특성은 A라인, 벨 라인의 형태와 새틴, 면, 가 공소재, 기하학문양, 자연문양이 나타났으며, 디테일 의 경우 동물 모티브의 모자 착용과 프린트 사용으로 나타났다. 환상성은 색과 장식적 요소와 전통적 의복 의 형태, 상징적 의미를 지닌 색과 형태를 차용하고 있으며, 동화적 특성과 과장된 실루엣을 지닌 의상으 로 나타났다. 디자인 특성은 벨 라인의 형태와 새틴, 가공소재, 금사, 비즈, 깃털장식과 기하학문양, 자연 문양이 두드러지게 나타났고, 과장된 헤어스타일과 장식적인 모자와 가면 등의 디테일이 나타났다. 재현 성은 장식적 요소와 상징적 의미, 전통적 형태와 탈 구조적 의복형태의 방법으로 표현되었다. 현실세계에 서 경험한 복식의 형태를 나타내며, 20~21세기의 복 식형태와 액세서리의 디테일을 차용하였다. 디자인 특성의 경우, 현대의 일반적인 의복의 형태가 두드러 지게 나타났고, 면, 가죽, 가공소재, 자연문양이 주 소 재로 사용되었고, 디테일은 브레이드 장식과 패치워 크, 테슬 장식, 필요에 따라 조절이 가능한 다리 등 다양한 장식적 요소와 디테일이 나타났음을 알 수 있 었다. 모호성은 장식적 요소와 전통적 형태, 탈구조적 형태, 과장된 조형과 상징적 의미의 표현방법을 나타 내며, 영화 속 시․공간을 도약하는 장면에서 착용하 는 의상에서 나타났다.

    본 연구의 한계는 영화의 장면에서 표현된 화면에 서 의상의 특성을 살펴보았기 때문에 촬영된 각도와 거리, 시간에 따라 의상을 볼 수 없는 사각지대가 존 재하며, 분석 대상인 영화의 감독과 의상 디자이너의 의도를 직접적으로 해석하는 방법으로 진행하지 못 하였기 때문에 연구자의 주관적인 의견을 배제하기 어렵다는 점에 있다.

    Figure

    RJCC-25-375_F1.gif

    Magical space of time

    From. Singh. (2012). 00:12:13

    RJCC-25-375_F2.gif

    Queen's appearance to transcend space and time

    From. Singh. (2012). 01:19:45

    RJCC-25-375_F3.gif

    Snow White Ⅰ From. Singh. (2012). 00:05:05

    RJCC-25-375_F4.gif

    Masquerade dress of Snow White From. Singh. (2012). 00:22:30

    RJCC-25-375_F5.gif

    Snow White Ⅱ From. Singh. (2012). 00:41:48

    RJCC-25-375_F6.gif

    Snow White Wedding Dress From. Singh. (2012). 01:17:27

    RJCC-25-375_F7.gif

    Queen Ⅰ From. Singh. (2012). 00:04:00

    RJCC-25-375_F8.gif

    Queen Ⅱ From. Singh. (2012). 00:47:22

    RJCC-25-375_F9.gif

    Queen Ⅲ From. Singh. (2012). 00:32:03

    RJCC-25-375_F10.gif

    Masquerade dress of Queen From. Singh. (2012). 00:22:36

    RJCC-25-375_F11.gif

    The Queen's wedding dress From. Singh. (2012). 01:02:35

    RJCC-25-375_F12.gif

    Queen Ⅲ From. Singh. (2012). 01:18:17

    RJCC-25-375_F13.gif

    From. Singh. (2012). 00:24:48

    RJCC-25-375_F14.gif

    From. Singh. (2012). 01:21:14

    RJCC-25-375_F15.gif

    From. Singh. (2012). 00:05:30

    RJCC-25-375_F16.gif

    From. Movieinsider. (2012).

    http://www.movieinsider.com

    RJCC-25-375_F17.gif

    From. Singh. (2012). 01:01:24

    RJCC-25-375_F18.gif

    From. Pinterest. (2012.).

    https://www.pinterest.co.kr

    RJCC-25-375_F19.gif

    19> From. Singh. (2012). 01:02:59

    RJCC-25-375_F20.gif

    From. Singh. (2012). 01:20:05

    RJCC-25-375_F21.gif

    From. Singh. (2012). 00:40:00

    RJCC-25-375_F22.gif

    From. Singh. (2012). 00:08:43

    Table

    Common characteristics of magic realism

    From. Yang. (2015). pp. 60-61.

    Design characteristics and expressions in magic realism

    Reference

    1. An Y-S (2013) The study on fashion styling applying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romanticism fashion in the 19th century.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2. Borges J L Hwang B H (1994) Historia universal de la infamia [Universal history of the infamy], Minumsa, Original work published 1954)
    3. Choi S I (2013) Filmic magic: The magical reality in the films of the 2000s focusing on Die innere Sicherheit and Le Temps qui reste , Contemporary Film Studies, Vol.16 ; pp.5-29
    4. Choi S I (2014) Magical realism and Antonio Negri's theory of art: In light of Claire Denis' film Vendredi Soir , Cross-Cultural Studies, Vol.34 ; pp.7-41
    5. Dong J W (2013) A study on magical realism reflected in Latin American film: Focused on the texts of Alejandro Jodorowsk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angmyung University,
    6. Gwon S R (2008) El realismo mágico y la totalidad: En torno a Cien años de soledad [The magical realism and the totali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7. Jeon Y-G (2005) El realismo mágico en La Ballena, de Chun, Myeong-Kwan: En torno al modo y la función de los elementos sobrenaturales [The magical realism in 'The Whale' of Chun, Myeong- Kwan] , Estudios Hisp nicos, Vol.36 ; pp.303-322
    8. Kim J W (2012) Research about magic realism movie <Besame Muchyo>'s contents and form , Philosophy ㆍThoughtㆍCulture, Vol.14 ; pp.234-248
    9. Kim S K (2009) A study on the costumes of fantasy movie characters: With a focus on mythical character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10. Magic Realism (2008) Oxford advanced learner's English-Korean dictionary, Oxford University Press,
    11. Movieinsider (2012) Mirror Mirror (2012) movie still , Retrieved February 10, 2014 from https://www.movieinsider.com/photos/83683
    12. Palencia-Roth M (1983) Gabriel García Márquez : La línea, el círculo y las metamorfosis del mito [Gabriel García Márquez: The line the circle and the metamorphosis of the myth], Gredos,
    13. Park B-K (2001) Realismo mágico: Autoconciencia cultural y topología literaria [Magic realism: Cultural self-consciousness and literary topology] , Asian Journal of Latin American Studies, Vol.14 (2) ; pp.5-27
    14. Pinterest (2012) Eiko ishioka, Oscars and Dräkter on Pinterest , Retrieved February 10, 2014, from https://www.pinterest.co.kr/pin/146789269076884879
    15. Singh T Director (2012) Mirror Mirror [Motion picture], Relativity Media,
    16. Yang H-Y (2006)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the continuity expressed in modern fashion: Focusing on the theory of Herni Bergson and Jill Deleuz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ookmyung Women’s University,
    17. Yang S H (2015) Characteristics of magic realism expressed in the film costuming of Tarsem Singh.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Hanyang University,
    18. Zamora L P , Faris W B Woo S K , Park B K , Park S Y , Kim D G , Kim Y H , Kim G Y , Kang S S (2001) Magic realism, Korean Culture History, (Original work published 1995)

    Appendi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