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rossref logo
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6-0401(Print)
ISSN : 2383-6334(Online)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Vol.22 No.3 pp.371-382
DOI : https://doi.org/10.7741/rjcc.2014.22.3.371

Impacts of health and environment consciousness on pro-environmental clothing purchasing and disposal behaviors

Yongsook Kim†
Dept. of Clothing and Textiles ∙ Research Institute of Human Ecology, Chonbuk National University, Korea
Corresponding author : (kys3847@jbnu.ac.kr)
April 5, 2014 June 13, 2014 June 13, 2014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categorize of pro-environmental clothing purchasing and disposal behaviors and to identify impacts of health and environment consciousness on pro-environmental clothing purchase and disposal behaviors. The subjects were homemakers (n=381), and they were segmented into LOHAS group, environment conscious group, unconscious group, and wellbeing group according to their health and environment consciousness. Older homemakers were included in LOHAS group and environment conscious group. And these homemakers performed pro-environmental clothing purchasing and disposal behaviors better than wellbeing group or unconscious group. Health consciousness was positively related with the second-hand clothing purchasing and recycling. Environment consciousness was positively related with clothing made with organic, natural or functional materials, or the second-hand clothing purchasing, and recycling of the second-hand clothing. There was a need to develop continuing education programs to strengthen homemakers' health and environment consciousness, or to upgrade their pro-environmental clothing purchase and disposal behaviors.


건강의식과 환경의식이 환경친화적 의류 구매 및 처분행동에 미치는 영향

김 용숙†
전북대학교 의류학과 ∙ 인간생활과학연구소

초록


    Chonbuk National University

    I.Introduction

    최근 들어 혹한이나 대규모 홍수와 같은 일련의 극심한 기후 변화에 따른 자연 재앙을 경험한 소비 자들은 환경파괴의 심각성을 깊게 의식하고 반성하 면서 환경친화적 상품에 대해 관심을 많이 보이고 구매 태도도 높아졌으나, 아직도 친환경적 상품을 구매하는 비율은 저조하다. 특히 환경친화적 의류에 대하여 소비자들은 디자인이 다양하지 못한데 비해 가격은 비싸다고 불만을 표명하고, 그 기능에 대해 신뢰감이 낮기 때문에 소비자들이 환경친화적 의류 를 구매하는 수준은 더욱 낮다고 본다(Meyer, 2001).

    과거에 비해 유행의 변화 속도가 가속화되었고, 급변하는 유행을 반영하여 합성섬유로 생산된 합 리적 가격대의 의류는 각 가정에서 입지 않는 의류 를 양산하는 사회적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들 중고 의류를 환경친화적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의 류 분리수거함을 설치하여 수집한 후, 환경친화적 으로 처분하기 위하여 제3세계로 수출하거나 업사 이클링(up-cycling) 과정을 거쳐 디자인 터치가 더 해진 새로운 상품으로 재탄생되기도 한다. 또 일부 패션 기업에서는 자사 의류 보상판매 제도를 도입 하거나 흡습속건성이나 자외선 차단 기능이 있는 고기능성 소재를 사용하여 소비자와 사회의 요구 에 대처하고 있으며, 젊은 소비자를 중심으로 명품 중고 패션 마켓이 온라인을 기반으로 형성되어 운 영되기도 한다(Kim & Kim, 2013). 그러나 이상의 환경친화적 의류 구매나 처분행동에 대한 연구들 은 초기 단계로 환경친화적 의류 구매 및 처분행동 을 구체적으로 개념화할 필요성이 인식되었다.

    의식은 행동을 이끌어내는 핵심적인 인과 요인이 므로(Bak & Hur, 2010) 환경의식은 환경친화적 행 동을 유발할 것으로 가정하고, 환경의식과 환경친 화적 행동을 관련지은 연구는 많이 이루어졌다(Fraj & Martinez, 2006; Gam, 2011; Lee, 2011). 또 건강 의식이 높은 소비자는 유기농 식품이나 환경친화 적 상품을 선호하며, 건강 유지뿐 아니라 환경보전 에도 관심이 높고(Chryssohoidis & Krystallis, 2005; Michaelidou & Hassan, 2007), 환경친화적 의류 재 활용이나 처분행동에도 관심이 높은 것으로 밝혀 졌다(Park & Oh, 2005).

    이와 같이 환경의식은 건강친화적 행동을 유발 하지 않으나, 건강의식은 건강친화적 행동과 환경 친화적 행동을 유발하므로 환경친화적 의류 소비 행동 중 구매 및 처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 로 건강의식과 환경의식을 선택하여 본 연구를 설 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문헌자료 분석을 바 탕으로 환경친화적 의류 구매 및 처분행동을 구체 적으로 개념화한 후 가정에서 의생활 업무를 총괄 하는 주부들을 대상으로 건강의식과 환경의식이 환 경친화적 의류 구매 및 처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그리하여 각 가정에서 주부들 이 의류를 환경친화적으로 구매 및 처분하여 그린 환경 창출에 기여하고, 환경친화적 의류생산업체들 이 상품기획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II.Background

    1.Health and environmental consciousness

    건강의식이란 신체적 건강을 유지하려는 행동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건강의식이 높은 소비자는 웰빙에 관심이 높고, 건강과 생활의 질을 높이거나 유지하기 위하여 유기농 식품을 구매한다(Michaelidou & Hassan, 2007). 건강의식이 높은 소비자는 대부 분 나이가 많고, 이들은 자신의 건강 유지에 관심 이 높을 뿐 아니라 환경 보전에도 관심이 높기 때 문에 친환경 상품을 구매하며, 친환경 식품의 안전 성에 대해 자주 토론하기도 한다(Chryssohoidis & Krystallis, 2005).

    Choi(1994)는 “환경의식이란 환경의 질을 향상 시키기 위해 일상생활 중 자원의 구매, 사용, 폐기 의 관리 과정에서 환경문제를 야기시키는 행동을 배제하고, 생태적인 생활양식을 선택하고, 자발적 으로 풍요로운 삶을 희생하여 절약하는 생활을 실 천하고, 인류의 지속적인 번영을 꾀하려는 생각”이 라 정의하였다. Kim and You(2000)는 환경의식을 환경에 대하여 소비자 개개인이 책임의식을 가지 고 자연환경이나 사회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 하는 사회적 책임의식, 환경보존적 소비를 인식하 는 소비자 의식을 지니고 있는 환경보존의식, 재활 용과 같이 자원절약을 통해 궁극적으로 환경오염 을 예방하고자 하는 재활용 의식으로 구분하였다. 특히 젊고 학력이 높은 소비자의 환경의식이 높고 친환경 마크가 부착된 상품을 더 많이 구매하는데, 이는 최근들어 환경의 중요성이 사회적 문제로 부 상함에 따라 정규교육을 통해 환경문제에 접할 수 있는 기회가 많기 때문에 나타난 결과라고 하였다. Jo (2005)는 환경의식을 측정하기 위하여 경제 대 환경, 환경오염 인식, 일상적 생활 실천, 경제적 부 담 실천 요인을 포함하는 척도를 사용하였고, 나이 가 들수록 환경의식이 높아진다고 하여, Kim and You(2000)의 연구와 상반된 결과를 도출하였다. Lee (2011)Jo(2005)의 연구에서 사용된 척도로 소비자 의 환경의식을 측정하여 환경의식이 높은 소비자들 은 건강과 관계깊은 친환경 농산물에 대한 인지도 와 만족도가 높다고 하였다.

    Fraj and Martinez(2006)은 건강에 관심이 높은 소 비자는 친환경적 행동에 관심이 낮으나, 환경에 관 심이 높은 소비자는 친환경적 행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한다고 하였다. Kim and Seock(2009)은 건강의 식과 환경의식이 대학생들의 친환경 화장품 구매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건강의식과 환 경의식이 높은 여대생은 친환경 화장품에 호의적 이며 자주 구입하였고, 특히 환경의식은 친환경 화 장품 구입에 큰 영향을 준다고 하였다.

    외국의 경우, 젊은 소비자의 환경의식이 더 높은 데, 이는 환경교육을 정규 교육과정에서 수강했기 때문이고, 우리나라의 경우 산업화 과정에서 근검절 약 생활양식에 익숙하게 살아온 나이가 많은 소비 자들은 풍요로운 환경에서 성장한 젊은 층보다 환 경 의식이 더 높았다(Bak & Hur, 2010). 이상과 같이 환경의식이 높은 소비자는 건강의식도 높고, 우리 나라의 나이가 많은 소비자들은 건강의식과 환경의 식이 더 높고 환경친화적 상품을 많이 구입하였다.

    2.Pro-environmental clothing purchasing and disposal behaviors

    Bak and Hur(2010)는 “환경친화적 행동이란 쓰 레기 분리수거, 에너지 절약, 친환경제품 구매와 같 이 환경보전에 기여하는 일상적인 개인 행동뿐 아 니라 환경운동에의 참여와 같은 정치적 함의를 갖 는 집합 행동”으로 정의하였다. 환경친화적 의류 소비행동은 환경 보호를 염두에 두고, 의류를 구매, 사용, 폐기하는 것과 관련된 모든 행동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지속가능한 소비(Sustainable consumption) 또는 그린 소비(Green consumption)를 의미하나, 본 연구에서는 구매 및 처분행동으로 한정하여 문헌 고찰하였다. Hur(2007)는 환경친화적 의류 구매행 동으로 과다구매나 충동구매를 포함한 비합리적 구 매, 중고의류 구매, 의류 대여를 포함하고, 환경친 화적 의류 처분행동으로 재활용 또는 재판매나 증 여, 의류 분리수거함을 이용하거나 쓰레기통에 폐 기하는 행동을 포함하여 연구하였다.

    환경친화적 의류 구매행동에는 중고 의류, 유기 농으로 재배된 천연 섬유, 재생 섬유, 기능성 소재 나 천연 염색된 소재, 폐원단을 재활용하여 만든 의류 구매, 의류 대여, 충동 구매 또는 비계획적 구 매나 과다 구매를 포함한 비합리적 구매를 자제하 는 것을 포함하였다. Seok and Kim(2005)는 환경의 식이 높은 집단은 중고 의류를 자주 구매하고 쉽게 수용하나, 환경의식이 낮은 집단은 중고 의류에 대 해 부정적이고 잘 구매하지 않는다고 하였다. 중고 의류판매점에서 수선센터를 운영하면 고객의 사이 즈에 맞게 수선해 주거나, 리폼해 줄 수 있어 중고 의류에 대한 만족도가 높아지고, 중고 의류의 판매 가 좀더 활성화 될 것으로 전망하였다. 또한 젊은 소비자들은 중고 의류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높으 나, 빈티지 패션의 유행과 같이 차별화된 디자인 때문에 중고 의류 온라인 매장에서 중고 의류를 구 입했고, 나이가 많은 소비자는 가격이 저렴하기 때 문에 중고 의류를 구매했으며, 중고 의류를 구매한 경험이 있는 소비자는 구매 경험이 없는 소비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중고 의류에 관심과 호감이 높고, 중고 의류가 유용하다고 신뢰하는 성향을 보였다. 그러므로 소비자에게 중고 의류를 구매하여 착용 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전략을 세우는 것 이 중고 의류 시장 활성화 및 환경보호에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되었다(Kim & Kim, 2013; Park & Choo, 2011).

    Hustvedt and Dickson(2009)는 소비자의 유기농 면으로 만든 의류 구매와 관련한 변인을 기준으로 소비자를 유기농 면제품 사용 경험이 있는 집단과 사용 경험이 없는 집단으로 구분한 후 이들의 특성 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유기농 면제품 사용 경험 이 있는 집단은 의류 생산 공정에서 사용된 염료나 화학약품이 환경 피해를 높이며, 유기농 기법은 환 경 피해가 적고 지속개발이 가능하다고 생각하며, 의류 생산에 따른 환경 오염에 관심이 높은 편이었 다. 또 이들은 유기농 면제품 구매의도가 높고 공 정거래가 이루어진 의류를 구입하거나 사회적 문 제에 관심도 높고, 자신을 환경보호론자 또는 유기 농 후원자, 사회적 책임감이 높은 소비자로 인식하 였다. 그러나 Chan and Wong(2012)은 유기농 면이 나 착용 후 폐기되었을 때 생분해가 가능한 옥수수 섬유로 만든 환경친화적 의류는 가격대가 높은데, 소비자들은 많은 비용을 들여서 친환경적 소재로 만든 의류를 구입하려 하지 않는 문제를 지적하였 다. 유기농 식품은 건강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 기 때문에 소비자들은 많은 비용을 들여서 유기농 식품을 구입하지만, 환경친화적 의류는 즉각적이거 나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에 구매의도 가 낮다고 하였다. 소비자들은 디자인, 품질, 가격과 같은 친환경적 의류의 제품 속성에 의해 영향을 받 아 구매하지 않고, 윤리적 기업이라는 평판과 같은 패션기업의 속성에 영향을 받아 환경친화적 의류를 구매하는 경향을 보이므로 이를 마케팅에 활용할 것을 제안하였다. Shen et al.(2012)는 소비자들은 패션기업의 작업환경이나 공정거래와 같은 윤리적 측면의 생산 또는 탄소배출량 통제와 같은 친환경 적 생산뿐 아니라, 유통업체에서 재활용 소재로 만 든 쇼핑백 사용 여부에 대해서도 많은 관심을 갖고 윤리적인 패션기업 제품을 선택한다고 하였다.

    Gam(2011)은 패션성향이나 쇼핑성향이 환경친 화적 의류 구매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에서 소 비자의 환경에 대한 관심이나 환경친화적 태도는 환경친화적 소비에 정적 영향을 미치므로 환경친 화적 의류를 구매하는 소비자는 소비가 환경에 미치 는 영향에 대해 잘 인식하고 있다고 주장하였다. 환 경문제의 중요성을 인식하는 소비자들이 많아지면 서 패션업체에서는 환경친화적으로 의류를 생산하 여 사회적 책임이 강한 기업(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이라는 이미지를 부각시키려 노력하나, 우 선적으로 소비자의 친환경적 의류에 대한 의견이 나 지각을 정확하게 파악해야 할 필요가 더 크다고 보았다. 또 시판되는 환경친화적 의류의 디자인이나 종류가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소비자들은 환경친화 적 의류를 구매하거나 착용하기 쉽지 않은 실정이므 로 패션업체에서는 표적 고객의 흥미를 끌 수 있는 다양한 환경친화적 의류를 제공하기 위하여 노력해 야 한다고 하였다. 노동부에서 인정받은 우리나라의 대표적 사회적 기업인 ‘아름다운 가게’는 2002년에 출범한 이후 우리나라의 중고 의류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 중고 의류를 싸게 기증받아 나눔 및 순환 문화 를 주도하고 있으며, 중고 의류 거래량이 증가되는 이유는 우리나라 사람들이 유행에 민감하며, 가격이 저렴한 패스트 패션이 범람하고, 온라인 거래가 활 성화되었기 때문이다. 수많은 의류가 단기간 사용된 후 버려지므로 양질의 중고 의류가 공급되며, 이와 같은 중고 의류나 현수막을 활용하고 디자인하여 ‘에코파티 메아리’라는 업사이클 브랜드를 출범시켰 다(“Up-cycle design business”, 2011).

    환경친화적 의류 폐기행동에는 유행이나 취향이 변화하거나 낡아져서 입지 않는 중고 의류를 중고 의류판매점에 판매하거나, 자사 브랜드 중고 의류 에 대하여 보상교환판매를 실시하는 점포에 가져 가서 약간의 할인을 받고 신제품으로 교체, 친척이 나 다른 사람에게 기증하거나, 의류 분리수거함에 넣어 재활용하거나, 쓰레기통에 폐기하는 것을 포 함하였다. Park and Oh(2005)는 환경의식은 중고 의 류 재활용 태도나 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며, 중 고 의류 재활용 태도는 중고 의류 재활용 행동에 영향을 주나, 중고 의류 재활용 태도는 중고 의류 처분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했 다. 또 소비자들은 중고 의류 분리수거함을 잘 이 용했으나, 중고 의류를 재판매 또는 재활용하지 못 하고 폐기처분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특히 의복을 과다구매한 소비자들이 중고 의류를 쓰레기로 폐 기하는 정도가 높았다. 그러므로 소비자들의 과소 비를 억제하고, 중고 의류 폐기에 따르는 환경 피 해의 심각성을 홍보하고, 중고 의류를 재판매하거 나 재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교육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Hur, 2007). Jeon and Koo(2013)는 저탄 소 녹색성장에 대한 인식이 높은 소비자는 중고 의 류를 재활용하거나, 환경친화적으로 처분하는 수준 이 높다고 하였다.

    이상에서 살펴본 환경친화적 의류 구매 및 폐기 행동에 대한 내용을 요약하면 (Table 1)과 같다.

    III.Research Methods

    1.Research problems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부들의 환경친화적 의류 구매 및 처분행 동의 요인을 파악한다.

    둘째, 주부들을 건강의식과 환경의식에 따라 유형 화한 후 유형화된 집단의 인구통계학적 변인과 환경 친화적 의류 구매 및 처분행동의 특성을 파악한다.

    셋째, 주부들의 건강의식과 환경의식이 환경친화 적 의류 구매 및 처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한다.

    2.Measurement

    설문지는 건강의식과 환경의식에 관한 각 9문항은 선행연구(Jo, 2005; Kim & Seock, 2009; Lee, 2011)를 참고로 제작하였고, 환경친화적 의류 구매행동에 관 한 15문항과 환경친화적 의류 처분행동에 관한 10 문항은 선행연구들(Huh, 2007; Gam, 2011; Kim, 2010; Kim & You, 2000)을 참고로 제작하였고, 나이, 직 업, 교육 수준, 월수입, 의복비 지출을 포함한 인구 통계적 변인을 측정하는 5문항으로 구성되었다.

    3.Data collection and subjects

    설문지는 온라인 조사전문기관에 의뢰하여 2014 년 2월 10~17일에 서울시에 거주하는 30~59세의 주부 308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대 상자의 나이는 30대, 40대, 50대가 고르게 표집되 었고, 전업주부가 41.2%, 취업주부가 58.8%로 취업 주부들이 조금 더 많았으며, 학력은 고등학교 수학 이하가 28.6%, 대학교 수학 이상이 71.4%로 학력 수준이 높은 편이었다. 가정의 월별 소득은 400만 원 미만이 46.4%, 400만 원 이상~600만 원 미만이 35.7%, 600만 원 이상인 가정이 17.9% 포함되었다. 가족 1인당 월별 의복비 지출액은 10만 원 미만인 경우가 46.4%, 10만 원 이상 20만 원 미만인 경우가 35.4%, 20만 원 이상 30만 원 미만인 경우가 9.7%, 30만 원 이상인 경우가 8.4%였다.

    4.Statistical analysis

    SPSS PC(Ver. 16.0)을 사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 균, 중앙값, 요인분석, 일원변량분석, 교차분석, 중 다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IV.Result and Discussion

    1.Factors of pro-environmental clothing purchasing and disposal behaviors

    환경친화적 의류 구매행동을 측정한 설문문항을 주성분분석법으로 배리맥스 회전하여 요인분석한 결과는 (Table 2)와 같다. 1차 요인분석에서 5요인 이 추출되었으나, “의복을 구입할 때 내가 소장하 고 있는 의복과 조화시킬 수 있는 디자인이나 색상 을 고른다”는 문항의 요인 부하량이 낮아서 이 문 항을 제거한 후 2차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5개 요인 을 추출하였고, 총 설명량은 64.04%로 나타났다. 요 인 1은 유기농법으로 재배한 면 의류나 천연 염색 된 의류를 구입하는 내용의 4개 문항으로 구성되었 으므로 ‘유기농 또는 천연 소재로 만든 의류’로 명 명되었다. 요인 2는 중고 의류 판매점에서 구입하 거나 교환한 경험 또는 자사 브랜드 중고 의류 교 환판매기간에 구매하는 내용의 3개 문항으로 구성 되어 ‘중고 의류’로 명명되었다. 요인 3은 여름에는 쿨맥스와 같이 시원한 소재 또는 겨울에는 히트텍 스와 같이 따뜻한 기능성 소재를 선택하고, 인조 모피 의류를 선택하는 내용의 3개 문항으로 구성되 어 ‘기능성 소재로 만든 의류’로 명명되었다. 요인 4는 착용 빈도가 낮은 어린이용 외출복이나 한복을 대여한다는 내용의 2개 문항으로 구성되어 ‘의류 대여’로 명명되었다. 요인 5는 착용 기간이 짧은 첨 단 유행 스타일을 선택하지 않고 착용 빈도를 높일 수 있는 스타일의 의복을 선택하는 내용의 2개 문 항으로 구성되어 ‘클래식 스타일’로 명명되었다. 이 상과 같이 본 연구에서는 환경친화적 의복 구매행 동의 요인은 유기농 또는 천연 소재로 만든 의류, 중고 의류, 기능성 소재로 만든 의류, 의류 대여, 클 래식 스타일 등 5요인으로 추출되었다. 환경친화적 의류 구매행동의 요인으로 Huh(2007)는 비합리적 구매, 중고 의류, 의류 대여를 제시하였는데, 본 연 구에서는 유기농 또는 천연 소재로 만든 의류, 기능 성 소재로 만든 의류, 클래식 스타일 의류 구매와 같은 요인들을 제시하였다. 이들 요인의 평균을 비 교하면 주부들은 클래식 스타일의 의복을 구매하 거나 의류 대여를 많이 했으나, 중고 의류를 구매 하거나 교환하는 수준은 낮았다. 즉, 주부들은 중고 의류를 자주 구매하지 않았는데, 이는 Huh(2007), Yoo and Ahn(2001)의 연구 결과와 일치하였다. Kim and Kim(2013)은 경제적 불황이나 빈티지 패션의 유행 에 힘입어 젊은이들 사이에서 인터넷을 통해 중고 의류를 구입하는 양이 증가하고 있으며, 중고 의류 를 구입한 경험이 있는 소비자는 중고 의류에 대한 인식이 중고 의류를 구입한 경험이 없는 소비자보 다 높은 편이나, 중고 의류에 대해 품질, 위생, 유행 측면에서 부정적 인식을 갖고 있으며, 저가격대의 패스트 패션이 범람하는 것도 젊은이들이 중고 의 류를 구입하지 않게 만드는 이유 중 하나라고 지적 하였다. Huh(2007)는 일반적으로 소비자들이 의류 를 대여하는 정도가 낮고 경제적 이유 때문에 대여 한다고 하였으나, 본 연구 결과에서는 다른 요인보 다 비교적 높게 나왔는데, 지난 6~7년 사이에 한복, 어린이용 외출복, 명품 가방 등을 중심으로 한 의 류 대여사업이 크게 성장했으며, 의류 대여에 대한 인식이 많이 전환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환경친화적 의류 처분행동을 측정하는 설문문항 을 요인분석한 결과는 (Table 3)과 같다. 1차 요인 분석에서 총 2개의 요인을 추출하였으나, ‘중고 의 류를 이웃이나 친척에게 나누어 준다’는 문항의 요 인적재량이 낮아 제거한 후 2차 요인분석을 실시하 였다. 총 2개의 요인을 추출하였으나, ‘어린이의 중 고의류를 이웃에게 나누어 준다’는 문항의 요인적 재량이 낮아 제거한 후 3차 요인분석에서 2개의 요 인을 추출하였고, 총 설명량은 61.30%로 나타났다. 요인 1은 유행이 지난 의류를 다른 용도나 스타일 로 개조하거나 중고 의류 판매점에 기증하는 내용 의 6개 문항으로 구성되어 ‘중고 의류 재활용’으로 명명되었다. 요인 2는 중고 의류를 의류 분리수거 함에 넣거나 쓰레기통에 넣지 않는 내용의 2개 문 항으로 구성되어 ‘분리수거’로 명명되었다. 이상과 같이 본 연구에서는 환경친화적 의류 처분행동의 요인으로 중고 의류 재활용과 분리수거를 추출하 였으나, Huh(2007)는 재활용, 재판매, 폐기로 분류 하였다. 지난 6~7년 사이에 환경오염의 폐해를 경 험하고 그 심각성을 의식한 소비자들이 대부분의 중고 의류를 분리수거하기 때문에 쓰레기통에 폐 기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주부들의 중고 의류 분리수거행동은 평균 4.08로 재활용행동보다 훨씬 더 높았다. 즉, 주부들은 중고 의류를 재활용 하여 다시 사용하지 않고, 대부분의 중고 의류를 분리수거함에 처분하고 있었다.

    2.Segmentation and characteristics of proenvironmental clothing purchasing and disposal behaviors

    주부들의 건강의식과 환경의식의 중앙값을 기준 으로 주부들을 유형화하는 중앙값 기준 집단분류 법(Median-split method)을 적용하였다. 건강의식의 중앙값(Median=3.44)과 환경의식의 중앙값(Median= 3.56)을 기준으로 주부들을 유형화한 결과는 (Table 4)와 같다. 건강의식과 환경의식이 중앙값보다 높 은 ‘로하스집단’, 건강의식이 중앙값보다 높으나 환 경의식은 중앙값보다 낮은 ‘웰빙집단’, 환경의식은 중앙값보다 높으나 건강의식은 중앙값보다 낮은 ‘환경의식집단’, 건강의식과 환경의식이 모두 중앙 값보다 낮은 ‘무관심집단’으로 유형화하였다. 이들 4집단의 건강의식과 환경의식에 대하여 분산분석 을 한 결과, 4집단 사이에는 유의차가 있었다. 로하 스집단의 건강의식과 환경의식의 평균은 다른 집 단보다 가장 높았고, 무의식집단의 건강의식과 환 경의식의 평균은 다른 집단보다 가장 낮았다. 주부 들의 36.4%가 로하스집단에 소속되어 로하스집단의 크기가 가장 컸으며, 27.9%는 무관심집단, 18.5%는 웰빙집단, 17.2%는 환경의식집단에 소속되었다.

    본 연구에서 선정한 나이, 직업 유무, 학력, 월수 입, 월 의복비 지출 등 인구통계적 특성을 파악하 기 위하여 교차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5)와 같다. 건강의식과 환경의식에 따라 유형화된 주부 집단의 직업 유무, 학력, 월수입, 월 의복비 지출에 서 유의차가 없었으나, 나이에 따라 유의차가 나타 났다. 즉, 로하스집단과 환경의식집단에는 50대 주 부들이 많았으나, 무관심집단에는 30~40대 주부들 이 많아 나이가 들어가면서 건강의식과 환경의식 이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이 결과는 우리나라와 같이 최근 들어 경제가 급성장한 국가의 경우, 가 난과 환경파괴의 심각성을 직접 경험한 나이가 많 은 기성세대들이 친환경적 행동에 참여하는 정도가 높다는 선행연구들(Kim, 2007; Bak & Hur, 2010)의 결과와 같은 맥락이었다.

    건강의식과 환경의식에 따라 유형화된 집단의 환경친화적 의류 구매행동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는 (Table 6)과 같다. 환경친화적 의류구매행동의 요인 중 의복 대여는 유형화된 집단 사이에서 유의 차가 없었는데, 이는 의복을 대여하는 가장 큰 이 유는 경제성이기 때문에(Hur, 2007) 나타난 결과로 추측되었다. 유기농 또는 천연 소재로 만든 의류, 중고 의류, 기능성 소재로 만든 의류, 클래식 스타 일 의류 구매행동은 집단 간 유의차가 있었다. 즉, 로하스집단은 유기농 또는 천연 소재로 만든 의류 나 중고의류, 기능성 소재로 만든 의류나 클래식 스타일의 의류를 많이 구매했고, 환경의식집단은 중고의류와 기능성 소재로 만든 의류 또는 클래식 스타일의 의류를 많이 구매했다. 그러나 무관심집 단은 환경친화적 의류를 구매하는 정도가 가장 낮 았고, 웰빙집단의 환경친화적 의류 구매행동은 중 간 수준이었다.

    건강의식과 환경의식에 따라 유형화된 집단의 환경친화적 의류 처분행동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는 (Table 7)과 같다. 중고 의류 분리 수거행동은 유형화된 집단 사이에서 유의차가 없었으며, 이는 대부분의 주부들이 중고 의류를 분리수거하기 때 문에 나타난 결과로 추측되었다. 로하스집단, 환경 의식집단, 웰빙집단은 중고 의류 재활용 행동을 수 행하는 정도가 높으나, 무관심집단은 중고 의류 재 활용행동을 잘 수행하지 않았다.

    이상과 같이 로하스집단과 환경의식집단의 주부 들은 유기농 또는 천연 소재로 만든 의류, 중고 의 류, 기능성 소재로 만든 의류, 클래식 스타일의 의 류를 많이 구입했고, 중고 의류 재활용 수준은 전 반적으로 낮으나, 무관심집단보다는 높았다.

    3.Effects of health and environmental consciousness on pro-environmental clothing purchasing and disposal behaviors

    건강의식과 환경의식을 독립변인으로 설정하고, 환경친화적 의류 구매 및 처분행동을 종속변인으 로 설정하고, 건강의식과 환경의식이 환경친화적 의류 구매 및 처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중다회귀 분석한 결과는 (Table 8)과 같다.

    주부들의 환경의식은 유기농 또는 천연 소재로 만든 의류구매행동에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β=.61), 그 설명력은 42%였다. 즉, 주부들은 환경의식이 높 을수록 유기농이나 천연 소재로 만든 의류를 많이 구입했다. 주부들의 건강의식(β=.15)과 환경의식 (β=.26)은 중고 의류구매행동에 정적 영향을 미쳤 으며, 주부들의 건강의식과 환경의식은 중고 의류 구매행동의 12%를 설명했다. 즉, 주부들은 건강의 식과 환경의식이 높을수록 중고 의류를 더 많이 구 입했으며, 환경의식의 영향력이 건강의식보다 더 높았다. 주부들의 환경의식은 기능성 소재로 만든 의류 구매행동(β=.36)과 클래식 스타일 의 의류 구 매행동(β=.34)에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환경의식 은 기능성 소재로 만든 의류 구매행동을 14% 설명 했고, 클래식 스타일의 의복 구매행동을 12% 설명 했다. 즉, 주부들은 환경의식이 높을수록 기능성 소 재로 만든 의류나 클래식 스타일의 의류를 더 많이 구입했다. 그러나 주부들의 건강의식과 환경의식은 의류 대여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는데, 이 결과는 의류 대여는 경제적 영향을 크게 받기 때문에 나타난 결과로 추측되었다. 주부들의 건강 의식(β=.24)과 환경의식(β=.28)은 환경친화적 의 류 착용행동에 정적 영향을 미쳤고, 건강의식과 환 경의식은 환경친화적 의류착용행동의 20%를 설명 했다. 즉, 주부들은 건강의식과 환경의식이 높을수 록 환경친화적 의류 착용행동을 잘 수행했으며, 환 경의식의 영향력이 건강의식보다 더 높았다. 주부 들의 건강의식(β=.18)과 환경의식(β=.39)은 환경 친화적 의류 관리행동에도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건강의식과 환경의식은 환경친화적 의류 관리행동 의 24%를 설명했다. 즉, 주부들은 건강의식과 환경 의식이 높을수록 환경친화적 의류 관리행동을 잘 수행했으며, 환경의식의 영향이 건강의식의 영향보 다 더 높았다. 주부들의 건강의식(β=.14)과 환경의 식(β=.27)은 중고 의류 재활용행동에 정적 영향을 미쳤고, 건강의식과 환경의식은 중고 의류 재활용 행동의 12%를 설명했다. 즉, 주부들은 건강의식과 환경의식이 높을수록 중고 의류 재활용행동을 더 많이 수행했으며, 환경의식이 영향력이 건강의식보 다 더 높았다. 그러나 주부들의 건강의식과 환경의 식은 중고 의류 분리수거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 지 않았는데, 이는 중고 의류 분리수거는 우리 생 활에 일상적인 행동으로 자리 잡았기 때문에 나타 난 결과로 추측되었다.

    이상과 같이 주부들은 건강의식이 높을수록 중 고 의류 구매, 환경친화적 의류 착용 및 관리행동 을 잘 수행했다. 주부들은 환경의식이 높을수록 유 기농이나 천연 소재로 만든 의류, 중고 의류, 기능 성 소재로 만든 의류, 클래식 스타일 의류를 많이 구입했고, 중고 의류 재활용행동도 잘 수행했으며, 이 결과는 Fraj and Martinez(2006)Kim and Seock(2009)의 연구 결과와 같은 맥락이었다.

    VConclusion and Suggestion

    본 연구에서는 문헌분석을 바탕으로 환경친화적 의류 구매 및 착용행동을 구체적으로 개념화한 후 각 가정에서 가족의 의생활을 총체적으로 관리하는 주 부를 대상으로 건강의식과 환경의식이 환경친화적 의류 구매 및 착용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주부들이 가정에서 일상적인 의생활을 통하여 그 린 환경을 창출에 기여하고, 환경친화적 의류 생산업 체의 상품 기획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부들의 환경친화적 의류 구매행동의 요인은 유기농 또는 천연 소재 의류, 중고 의류, 기능성 소재 의류, 의류 대여, 클래식 스타일 의류 구매가 추출되었고, 환경 친화적 의류 처분행동의 요인은 중고 의류 재활용 과 분리수거가 추출되었다. 둘째, 주부들은 건강의 식과 환경의식의 중앙값을 기준으로 로하스집단, 환경의식집단, 무관심집단, 웰빙집단으로 유형화되 었고, 로하스집단과 환경의식집단에는 나이가 많은 주부들이 많았고, 중고 의류나 유기농 또는 천연 소재로 만든 의류, 클래식 스타일의 의류, 기능성 소재로 만든 의류를 많이 구입했고, 중고의류의 재 활용하는 수준도 높았다. 그러나 젊은 주부들로 구 성된 웰빙집단과 무관심집단은 환경친화적 의류 구 매나 처분행동 수준이 낮았다. 셋째, 주부들은 건강 의식이 높을수록 중고 의류를 많이 구매했고, 환경 의식이 높을수록 유기농이나 천연 소재로 만든 의 류, 중고 의류, 기능성 소재로 만든 의류, 클래식 스 타일 의류를 많이 구입했으며, 중고 의류 재활용행 동도 잘 수행했다.

    본 연구의 결론과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젊 은 주부들은 건강의식과 환경의식이 낮은 무관심 집단에 소속하는 비율이 높으므로 풍요로움과 쉽 게 사서 몇 번 입고 버리는 패션 문화에 익숙한 젊 은 주부들을 대상으로 건강의식과 환경의식을 높 일 수 있는 평생 교육 또는 체험 프로그램을 개발 하여 의류 구입부터 폐기에 이르는 과정에서 실천 해야 할 환경친화적 행동을 주지시켜야 할 것이다. 특히 유기농이나 천연 소재 또는 기능성 소재의 친 환경성, 중고의류 재활용에 대한 교육 또는 체험 기회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둘째, 친환경의류 생산 업체에서는 로하스집단과 환경의식집단에 속한 나 이든 주부들을 표적으로 유기농이나 천연 소재 또 는 기능성 소재로 만든 클래식 스타일의 의류를 기 획하거나 중고의류를 재활용하여 클래식 스타일의 의류를 제작하여 마케팅하면 효과가 높을 것이다. 또 환경친화적 의류 구매와 처분행동에 관심이 낮 은 무관심집단과 웰빙집단의 환경의식을 고양시킬 수 있는 방안도 모색해야 할 것이다. 셋째, 주부들 은 중고 의류를 분리수거하고 환경친화적으로 의 류를 착용하고 환경친화적 스타일의 의류를 구입 하는 행동을 잘 수행했으나, 중고 의류를 구입하거 나 교환해서 착용하거나 재활용하지 못하므로 주 부들을 대상으로 중고 의류를 재활용 또는 재사용 할 필요성을 교육시키고, 창의적 아이디어를 갖고 다른 생활용품으로 업사이클링할 수 있는 역량을 강화시켜야 할 필요성이 부각되었다.

    후속연구에서는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젊 은 주부들을 대상으로 건강과 환경의식을 강화시 키고, 중고의류를 재활용 또는 업사이클링할 수 있 는 역량을 강화시키는 사회 교육 또는 체험 프로그 램이나 워크샵 과정을 구체적으로 개발하는 연구 가 필요하다고 본다.

    Figure

    Table

    Summary of pro-environmental clothing purchasing and disposal behaviors

    Factors of pro-environmental clothing purchasing behavior

    Factors of pro-environmental clothing disposal behavior

    Segmentation of subjects, Mean

    ***P<.001
    P.S.: Alphabet is the results of Duncan's Multiple Regression Test(A>B>C>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segmented groups, Observed frequency (Percentages)

    ***P<.001

    Differences of pro-environmental clothing purchasing behavior among segmented groups, Mean

    ***P<.001
    P.S.: Alphabet is the results of Duncan's Multiple Regression Test(A>B>C>D)

    Differences of pro-environmental clothing disposal behavior among segmented groups, Mean

    ***P<.001
    P.S.: Alphabet is the results of Duncan's Multiple Regression Test(A>B>C>D)

    Effects of health and environmental consciousness on pro-environmental clothing purchasing and disposal behaviors

    Reference

    1. Bak H. J , Hur J. Y (2010) Structure and determinants of pro-environmental behavior , Journal of Environmental Policy and Administration, Vol.18 (1) ; pp.1-26
    2. Chan T , Wong C. W. Y (2012) The consumption side of sustainable fashion supply chain: Understanding fashion consumer eco-fashion consumption , Journal of Fashion Marketing and Management, Vol.16 (2) ; pp.193-215
    3. Choi N. S (1994) A study on the influence of environmental education and environmental consciousness to the environmental behavior , Family and Environmental Research, Vol.32 (5) ; pp.29-43
    4. Chryssohoidis G. M , Krystallis A (2005) Organic consumers' personal values research: Testing and validating the list of values scale and implementing a value-based segmentation task , Food Quality and Preference, Vol.16 ; pp.585-599
    5. Curwen L. G , Park J. Y , Sarker A. K (2013) Challenges and solutions of sustainable product development ,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Vol.31 (1) ; pp.32-47
    6. Fraj E , Martinez E (2006) Environmental values and lifestyles as determining factors of ecological consumer behavior: An empirical analysis , Journal of Consumer Marketing, Vol.23 (3) ; pp.133-144
    7. Gam H. J (2011) Are fashion-conscious consumers more likely to adopt eco-friendly clothing? , Journal of Fashion Marketing and Management, Vol.15 (2) ; pp.178-193
    8. Huh K. O (2007) Consumer's pro-environmental behavior relating to clothing by the style of purchase behavior , Journal of the Korean Home Management, Vol.25 (2) ; pp.23-36
    9. Hustvedt G , Dickson M (2009) Consumer likelihood of purchasing organic cotton apparel , Journal of Fashion Marketing and Management, Vol.13 (1) ; pp.49-65
    10. Jeon Y. H , Koo I. S (2013) High school students' low-carbon green growth awareness and eco-friendly clothing attitudes , Journal of Fashion Business, Vol.17 (1) ; pp.42-63
    11. Jeong Y. J , Park O. L (2006) A study on the university student's clothing disposition depending on their personality and environmental consciousness ,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Vol.15 (1) ; pp.157-164
    12. Jo Y. A (2005) The effects of demographic variables on environmental concern scales , Journal of Environmental Policy and Administration, Vol.13 (1) ; pp.39-69
    13. Kim D. H , Kim M. S (2013) Perception, purchase behavior of and the buying motives toward second hand clothing products ,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Vol.21 (3) ; pp.324-337
    14. Kim D. S (2007) A cross-national study on environmental attitudes and actions in Korea, China, and Japan , Research Journal of Environmental Sociology, Vol.11 (2) ; pp.161-205
    15. Kim E. J , You D. R (2000) A study on the purchase behavior of environmental products , Journal of Consumer Studies, Vol.11 (3) ; pp.41-57
    16. Kim S. W (2000) A study on clothing recycling disposition behavior , Journal of the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Vol.18 (2) ; pp.15-27
    17. Kim S. Y , Seock Y. K (2009) Impacts of health and environmental consciousness on young female consumers' attitudes towards and purchase of natural beauty products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sumer Studies, Vol.33 ; pp.627-638
    18. Kim Y. S (2010) Awareness of environmental pollution and attitudes toward eco-friendly clothing according to women's LOHAS lifestyle ,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Vol.18 (3) ; pp.499-513
    19. Lee J. E (2011) The effectiveness of consumer's environmental consciousness on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perception and purchase intention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Management and Policy, Vol.38 (2) ; pp.196-219
    20. Meyer A (2001) What's in it for the customers? Successfully marketing green clothes? , Business Strategy and the Environment, Vol.10 (5) ; pp.317-330
    21. Michaelidou N , Hassan L (2007) The role of health consciousness, food safety concern and ethical identity on attitudes and intentions towards organic food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sumer Studies, Vol.32 ; pp.163-170
    22. Park H. H , Choo T. G (2011) The comparison of consumer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purchasing experience of secondhand fashion goods , Journal of the Korean Clothing Industry, Vol.13 (6) ; pp.909-916
    23. Park H. H , Oh S. D (2005) The influence of materialism and environment consciousness on recycling attitude and clothing behavior ,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Vol.43 (10) ; pp.167-177
    24. Seok H. J , Kim I. S (2005) Attitude toward clothing and green store usage followed by green store user's consciousness of the environment ,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Vol.43 (6) ; pp.171-182
    25. Shen B , Wang Y , Lo C. K. Y , Shum M (2012) The impact of ethical fashion on consumer purchase behavior , Journal of Fashion Marketing and Management, Vol.16 (2) ; pp.234-245
    26. (2011) Up-cycle design Business: An endeavor for the good society , MK News, Retrieved October 21, 2013, from http://news.mk.co.kr,
    27. Yoo M. I , Ahn H. J (2001) A study on the clothing recycling behavior , Consumption of Cultural Studies, Vol.4 (1) ; pp.107-126

    Appendi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