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rossref logo
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6-0401(Print)
ISSN : 2383-6334(Online)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Vol.26 No.5 pp.700-713
DOI : https://doi.org/10.29049/rjcc.2018.26.5.700

Knit fashion design inspired by Peony flower image

Yu Chen, Jung Im Jang*, Younhee Lee**†
Master, Dept. of Clothing & Textiles, Hanyang University
Post Doctoral Research Fellow, Dept. of Clothing & Textiles, Hanyang University
Professor, Dept. of Clothing & Textiles, Hanyang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 (yiyhee@hanyang.ac.kr)
August 12, 2018 September 29, 2018 October 2, 201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and symbolism of peony, the traditional noble flower, create knit fashion designer applying the aesthetic beauty of flower, and suggest the various possibility of developing knit fashion design. As for the study method, the study conducted review on literature and previous studies to investigate on history, characteristics, symbolism of peony, and examined various expressive technique through previous studies about fashion design using flower images. To express characteristics of peony in three dimensions, the study investigated and reflected on crochet expressive technique to design 4 women’s knitwear. The results are as below. First, as shape of peony is big, voluminous, fancy and noble, it symbolizes wealth and beauty. Including red which is the generally known color of peony, there are yellow, white, pink, purple, green, blue, black, gray, white purple, white color. This study reflected characteristics and symbolism of peony and created knit fashion design applying abundant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flower. Second, crochet method is advantageous as it is operable with thread and hooked crochet hook without time and space restriction, it can create unique fashion design. Crochet knitting on hand knit can diversity changes to express relief textures, and as there is no limit in size, it can be applied to small props to big pieces. This study suggested the various possibility of knit fashion design development and various expressive possibility on modern fashion design.



모란꽃 이미지를 활용한 니트 패션 디자인

천위, 장 정임*, 이 연희**†
한양대학교 의류학과 석사
한양대학교 의류학과 박사후연구원*
한양대학교 의류학과 교수**

초록


    Hanyang University
    HY-2017

    I. Introduction

    꽃은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인간의 본성에 따라 큰 사랑을 받은 자연물로, 생활에 서 가깝고 쉽게 접할 수 있으며, 무한한 의미와 관심의 표현 대상으로 다양한 분야의 모티브로 활용되고 있다. 꽃의 아름다운 모양과 화려 한 색은 보는 이에게 안정감을 주며 생생한 느낌을 가 지고 있어 예술적 소재로도 자주 활용되며, 곡선의 미 와 색, 특유의 향기로 조화의 아름다움을 이루고 있어 미적 충동을 유발시킨다.

    또한 꽃은 디자이너의 느낌과 꽃의 특성과 상징성 을 결합시켜 독창적인 패션디자인을 표현할 수 있어 창의적이고 예술적인 모티브로 사용되어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모란꽃을 활용한 니트 패션 디자인을 전개하고 작품 제작을 하고자 한다. 모란꽃은 ‘백화의 왕(百花王)’, ‘백량금(百兩金)’, ‘부귀화(富貴花)’라고도 일컬어졌으며, 아름답고 화려하며 부귀영화, 부귀장 수, 부귀공명 등을 상징하는 꽃으로 보편화되면서 한 국과 중국에서 많은 문인과 화가들에게 사랑받는 꽃 으로 알려져 있다. 중국에서는 모란꽃의 온화하고 점 잖으며 기품 있는 본성과 형태 특징은 중국인들의 요 구를 만족시키는 상서로운 미적 관념에 부합한다고 생각하며, 전통적으로 대표되는 꽃으로 중국의 전통 명화라고 일컫는다(Wei, 2009).

    본 연구의 목적은 꽃의 이미지를 니트 패션디자인 에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표현 기법을 조사하고, 모 란꽃의 형태 특성과 상징성을 연구하여 꽃의 풍부한 미적 특성을 적용시킨 니트 패션디자인을 전개하고자 한다. 모란꽃의 풍부한 색상과 형태 특성을 크로쉐 핸 드 니트와 니트 소재를 활용하여 모란꽃 이미지를 입 체적으로 표현하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니트 패션디 자인 개발의 다양한 가능성을 제시하고, 현대 디자인 에 모란꽃의 표현가능성을 확대하여 제시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연구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과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문헌연구 및 선행 연구 고찰을 통하여 모란꽃의 역사, 특성, 상징성에 관련된 조사를 진행한다. 또한 크로쉐의 역사, 기법, 특성을 알아본다. 둘째, 패션디 자인에 나타난 꽃 이미지 활용의 다양한 표현 기법을 알아보고, 현대 컬렉션에 나타난 꽃 이미지를 활용한 패션디자인 사례를 조사 분석한다. 셋째, 이와 같은 이론적 고찰을 바탕으로 모란꽃 이미지를 활용한 4점 의 여성복 니트 패션디자인을 전개하고 제작한다.

    모란꽃의 상징적 이미지를 표현하기 위한 방법으 로 니트 소재 및 크로쉐 니트 기법을 활용하여 독창적 이고 조형적인 이미지로 전개하고자 한다. 니트는 다 양하고 자유로운 표현 기법으로 활용이 가능하며, 다 양한 소재와 여러 장식 및 트리밍을 덧대어 혼합함으 로써 디자인에 있어서 창의적인 방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환편 니트 편직물을 컷앤소 우 방법으로 작업하고, 크로쉐 핸드 니팅으로 모란꽃 의 이미지를 작업하여 혼합하여 디자인하였다.

    Ⅱ. Theoretical Considerations

    1. Peony flower

    1) History of Peony flower

    모란꽃은 작약과, 작약속, 모란조, 낙엽활엽관목(落 葉闊葉灌木)에 속하며, 중국 원산의 대표적인 화훼식 물로 광범위하게 분포되어 있으며, 약용식물로 재배 역사가 길다. 본초강목(本草綱目)에는 꽃의 품종 중, 그 첫 번째는 모란꽃이라 하였으며, 모란꽃은 “백꽃의 왕”이라고 불리며 기록되어 있다(群花品中, 以牡丹爲 第一, 芍药第二, 故世爲牡丹爲花王, 芍药爲花相)(Li, 1979). 모란꽃은 목단이라고도 하며, 꽃 색이 붉다는 의미의 ‘단’자를 붙이고 종자를 만들어내지만 굵은 뿌 리 위에서 싹이 나오므로 수컷의 모습을 띤다고 해서 ‘목’자를 붙였다고 한다(Zhang, 2013).

    모란의 원명(原名)은 목작약(木芍藥)이었으며, 동한 시기 장중경(張仲景, 150~219)의 금궤요략(金匱要略) 에는 모란이 약재의 하나라고 기록되어 있다. 이후 동 한(東漢)시기에 이르러 처음으로 모란(牡丹)이라고 부 르기 시작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또한 중국 서북부 와 서쪽의 서장성(西藏省), 남쪽의 운남성(云南省)이 모란이 맨 처음 자라난 곳으로 소개되어 있어(Qiao, 2009), 모란꽃의 원산지는 중국, 부탄, 티베트이며, 미 나리아재비과에 속하는 낙엽관목으로 높이 1~2m의 관상식물 또는 약용으로 이용되며, 늦은 봄에서 첫 여 름 사이에 꽃이 핀다(Jung, Park, & Shin, 2004). 모란 의 속성을 살펴보면, 낙엽지는 줄기나무의 하나이며, 잎은 깃털의 형태를 띠는 복엽이며, 꽃은 크고 아름답 다(Fig. 1). 모란은 보고 즐기기 위한 관상용으로 재배 되었을 뿐만 아니라, 약으로 쓰고, 꽃잎은 식용으로도 이용되었다(Qiao, 2009).

    모란꽃은 중국의 수양제(재위 604~618)가 처음으 로 세상에 전했다고 한다. 모란꽃이 한국에 유입된 것 은 삼국유사에 당태종 이세민이 적, 자, 백색 등 세 가 지 색이 있는 모란꽃 그림과 함께 각각 그 종자를 신 라의 선덕여왕에게 선물하여 정원에 심은 이후로 전 래되었다고 한다. 중국에서 모란은 약용식물이었다가 당대(618~960)에 원예작물이 되면서 문인들의 관심 을 받게 된다. 처음에 측천무후, 양귀비 등과 연관되 면서 강하고 매력적인 여성으로 이미지화되었다. 이 후 장안, 낙양 등 도시 문화에서 가장 사랑받는 정원 수가 되면서 부귀영화를 상징하고 나아가 북방을 상 징하게 되었고 마침내 중국 문화를 의미하게 되었다 (Shin, 2012).

    모란 문화의 발전과 영화는 모란꽃의 관상 규모의 성장과 관련이 있다. 수대(隋代)의 초기부터 당대(唐 代)까지, 모란꽃의 관상 재배는 번창의 시기였다. 당 대 이후 낙양(洛陽) 모란은 처음으로 성행했으며, 낙 양은 모란성(牡丹城)이라는 별칭이 있다. 서안과 낙양 성은 당나라의 수도였다. 낙양의 기후는 중국의 24절 기와 같고 사계절이 뚜렷하며 모란꽃이 자라는 주기 와 일치한다. 구양수는 <낙양모란도 洛陽牡丹圖>에서 “낙양의 흙은 꽃에 가장 어울려 모란이 세상에 제일 이다(洛陽地脈花最宜,牡丹尤爲天下奇)”라고 극찬하고 있다. 또한 당시에 제일 번성한 도시였던 낙양에서 왕 과 부귀의 상징인 모란꽃이 발전할 수 있었으며, 술과 함께 시를 지을 때도 모란꽃이 등장했다(Zhang, 2013).

    송대(宋代)에는 당대보다 모란 연구에 있어서 더 큰 발전이 있었으며, 모란과 관련된 전문서적이 많이 출간되었다. 구양수의 <낙양모란기 洛陽牡丹記>, 주 시후(周師厚, 1031~1087)의 <낙양모란기>, 장훈(張 峋)의 <낙양화보(洛陽花譜)> 등에서는 모란꽃의 많은 품종을 확인할 수 있다. 원대(元代)에서는 모란꽃의 관상 재배 역사가 침체기에 들었으나, 명(明代), 청(淸 代)는 새로운 부흥의 시기에 들었다. 명, 청 시기는 중 국 조경예술의 황금기라 할 수 있으며, 중국의 황실 조경과 개인 조경예술의 최고 전성기를 이루었다. 모 란꽃의 재배에 적합한 환경은 점점 확대되었으며, 재 배의 양과 질 또한 전보다 증가했다. 근대에 접어들어 국민의 생활수준이 올라가고, 과학적인 재배 기술이 응용되면서 모란꽃의 재배 구역이 전국범위로 확장되 었다(Fu, 2011).

    2)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Peony flower

    (1) Form

    모란꽃은 ‘백화의 왕’이라고 일컫고, 중국 전통 화 훼 장식 문양으로 중시되고 있다. 모란꽃의 조화로운 성품과 형태의 특징은 중국인들의 요구를 만족시키는 길상 관념에 부합한다고 하였다(Yu, 2009). 모란꽃은 작약과, 작약속, 모란조, 낙엽활엽관목에 속한다. 모란 꽃의 줄기는 일반적으로 높이는 1~2m이다(Korea Floral Art Research Association, 2002). 잎이 크고 넓으며 우 상복엽이다. 잎은 원래 5~6개로 나누어 있으며, 재배 를 거치고 나서 일부분, 또는 모든 수술을 잎이 되며, 양이 적은 것은 다엽이라고, 양이 많은 것은 천엽이라 고 한다.

    모란꽃의 형태 특징은 꽃이 크고 꽃잎이 많으며, 꽃잎은 여러 층으로 겹쳐진 모양이고 안쪽에서 바깥 쪽으로 발산한다. Chen(2013)은 모란 꽃잎 모양은 형 태 자체가 진중하고 변화하는 특징이 있으며, ‘산’ 이 미지가 강하여 모란꽃 형태가 크고 풍성하여 보는 이 에게 복잡하고 가득한 시각적인 느낌을 준다고 하였 다(Fig. 2 and 3). 이러한 특징들로 모란꽃은 기세가 다른 종류의 꽃과 차별화되는데, 매화의 교만, 연꽃의 고결, 장미의 낭만, 백합의 순결보다 모란꽃은 웅장하 고 화려하고 넓고 거대하여 눈에 잘 뜨이며 온화하고 점잖으며 귀한 티의 특성을 띠고 있다고 하였다 (Chen, 2013; Table 1).

    (2) Color

    모란은 색감이 풍부하여 명, 청 시대에 생활에서 문양으로 사용되었으며, 자주 사용되는 색은 청(青), 홍(紅), 흑(黑), 백(白), 황(黃), 회(灰) 등 6가지의 종류 가 있다(Chen, 2013). 어정(2009)의 연구에서는 모란 꽃의 색상을 황(黃), 백(白), 홍(紅), 분(紛), 자(紫), 녹 (綠) 등 6가지의 종류로 나누었으나, Zhang(2013)은 홍(紅), 황(黃), 녹(綠), 청(靑), 자(紫), 흑(黑), 백(白), 분(紛) 등 8가지의 종류로 나누었다.

    중국 모란꽃 색의 분류는 오랫동안 학술적으로 논 쟁이 되어왔다. 당대부터 모란은 다양한 색상이 있었 고, 여당사(與唐寺)에는 1,200송이가 있는데, 그 색상 이 담홍색(淡红), 담자색(淡紫), 자백색(紫白), 백단색 (白檀) 등 다양하였지만 심홍색은 없다. 또한 꽃잎 중 에 꽃술이 붙어 있지 않는 것도 있고, 크기는 7, 8촌이 라고 하였다. 유우석(772~842)의 <상모란>에서는 당 시 모란꽃 관상 재배의 큰 규모를 엿볼 수 있는데, 관 상 재배 기술에는 큰 발전이 있었으며, 모란꽃의 종류 는 최소 검붉은 색, 짙은 자줏빛, 연분홍색, 흰색, 노란 색의 다섯 가지가 있는데, 그 외에 두 가지 색이 같은 꽃에서 나오는 품종도 있다고 한다(Fig. 4).

    이와 같이 모란꽃은 보편적으로 인식된 빨간색뿐 만 아니라, 황(黃), 백(白), 분(紛), 자(紫), 녹(綠), 청 (青), 흑(黑), 회(灰), 담홍(淡红), 담자(淡紫), 자백(紫 白), 백단(白檀) 등의 풍부한 색상이 있다(Qiao, 2009).

    3) Symbols of Peony flowers

    모란은 민화에서 빈번히 등장하는 도상(圖像) 중 하나로, 전통적으로 민화에서 가장 선호되었다(Hyun, 2015). 모란은 부귀와 영화의 상징으로 각광을 받았으 며, 부귀와 영화를 대표하는 꽃으로 장수와 복을 기원 하는 의미도 갖고 있어 민간에서도 널리 애호되었다. 예술작품으로 표현되는 꽃은 사물을 그대로 재현하며 예술가의 정신성과 사회적 의미도 포함한다. 모란꽃 은 길상과 부귀의 상징이었으며, 수목화의 중요한 소 재가 되었다.

    청대의 화가 마일(馬逸)의 <국색천향도(國色天香 到)>는 화려하고 웅장한 세밀화의 화법과 선명한 색 채를 응용한 화훼도로 섬세하고 매끄러운 선과 풍부 하고 선명한 색상을 통해 모란꽃의 부드럽고 아름다 운 특징을 표현한다. <국색천향도>는 ‘중국 최고의 모란꽃’으로 불리며, 중국 고대 모란꽃 회화 중 가장 뛰어난 작품이다(Fig. 5). 오창석(吳昌碩, 1844~1927) 은 1923년 작품 <모란과 수선>은 화면의 오른쪽에 괴 석을 중심으로 위에는 모란꽃을 그리고, 바위 아래에 는 수선화를 그렸다. 모란꽃, 수선화, 바위는 오른쪽 으로 치우쳐 왼쪽을 향하여 주제가 왼쪽으로 성장할 수 있는 공간을 구성하였다. 모란꽃은 부귀와 풍요를 기원하는 주제이고, 괴석은 장수를 상징하며, 수선화 는 봄에 피는 꽃으로 일 년의 길상과 상서로움을 기원 하는 꽃이다(Min, Jung, Choo, & Yang, 2013; Fig. 6).

    또한 모란은 여성의 아름다운 이미지를 지니게 되 었으며, 국색천향은 모란의 아름다움을 이르는 말로 자주 사용되었다(Qiao, 2009). 이와 같이 민화에 표현 된 모란은 행복, 부귀영화, 명예를 상징하고 있으며, 형태적으로 다소 형태가 변화되거나 바뀌고 수정되더 라도 의미의 전달에는 변함이 없으며, 다양한 소재와 형태로 유통되고 사용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Lee & Na, 2016). 선행연구에서 언급된 모란꽃의 특성과 상 징성을 정리하면 ‘화려하다’와 ‘고귀하다’는 의미의 표현이 많았고, ‘부귀’, ‘미인’을 상징한다는 연구결과 도 나타났다(Table 2).

    2. Crochet knit

    1) Concepts and history of crochet knit

    크로쉐(crochet)는 코바늘(Fig. 7)을 이용하는 핸드 니팅의 종류로, 한 개의 시작 고리를 만들어 계속 연 결해 원하는 형태로 만드는 것이다. 크로쉐(crochet) 의 어원은 불어의 ‘croche’나 ‘croc’이며, 근대 덴마크 어의 ‘krook’이기도 한데 ‘갈고리(hook)’를 의미한다. 즉, 크로쉐(crochet)는 ‘작은 갈고리(a small hook) (Morris & Morris, 1967).’ 또는 ‘갈고리로 건다’는 말 에서 유래된 코바늘 기법을 이용한 작업을 뜻한다. 크 로쉐의 기원에 대한 것은 확실하게 밝혀지지 않았으 나 고대 이집트나 잉카 유적의 그림과 조각에서 보이 기도 하나, 소재 자체가 동물, 식물이었으므로 보존이 어려웠다. 현대의 크로쉐는 유럽 전역에서 발견되었 는데, 이는 르네상스시대에 제작된 것으로 보이는 둥 근 수틀 레이스와 갈고리에서 탄생되었다고 추측된다 (Lee, 1990).

    크로쉐는 19세기말에 이르러서는 아일랜드 전역에 퍼져 유럽뿐 아니라 오스트리아에까지 알려졌으며, 옷의 가장자리나 직조로 짜여진 옷감들의 끝처리 장 식에 많이 사용되었다. 또한 1940년대까지 일상 생활 용품으로 사용되던 이 기법은 1950년대에 이르러서 는 의상에 접목되기 시작했으며, 1960년대부터는 섬 유예술로 도약했다. 크로쉐 니팅이 한국에 들어오게 된 것은 아마 1870년(고종 9년)경 기독교와 함께 선교 사들에 의하여 도입된 것으로 보인다(Lee, 1990).

    2) Expression technique of crochet knit

    크로쉐 니팅의 기본 기법에는 사슬뜨기, 짧은뜨기, 긴뜨기, 1 길 긴뜨기, 2 길 긴뜨기, 빼뜨기가 있다 (Kim & Lee, 2007). 이러한 기본적인 기법의 반복과 조합으로 다양한 무늬뜨기의 변화조직이 완성된다 (Table 3). 모든 크로쉐의 기법은 사슬뜨기에서 출발하 게 되며, 코를 만들 때는 뜨고자 하는 무늬의 형식에 따라 여러 기법의 반복으로 패턴을 크게 뜨는 방법과 독립된 형태의 모티프를 뜬 후에 이를 연결하는 방법 이 있다. 크로쉐는 하나의 코로 진행하며, 하나의 열을 완성시키므로 코를 관리하는 것이 편리하고 실이 얽히 는 경우가 잦아 니팅의 편성물보다는 두께가 두꺼운 편이고 신축성이 적지만 비교적 튼튼한 조직이 된다.

    재료에 대한 제한이 특별히 없어 굵기가 다른 재료 들을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코의 늘림과 줄임 이 용이 하여 계획적인 형태의 제작이 가능하며, 코의 진 행 방향이 자유로워 수직 방향과 수평방향을 모두 만 들 수 있다. 제작과정에서 유연성이 개입되는데, 이는 손으로 짜는 자유로움과 기법의 변화를 다양하게 줄 수 있어서 부조적인 텍스쳐를 풍부하게 표현할 수 있 으며, 크기의 제한이 없어 작은 소품부터 큰 작품까지 제작이 가능한 특성을 지니고 있다.

    Ⅲ. Development and Production of Works

    본 연구에서는 꽃 이미지를 패션 디자인에서 활용 하기 위한 방향으로 한국과 중국에서 사랑받고 있으 며, 특히 중국에서는 전통 명화라 불리는 모란꽃의 색 상과 특성을 응용한 니트 디자인을 제작하고자 하였 다. 문헌연구와 선행연구의 고찰을 통하여 모란꽃에 대한 조형적 특성 및 상징성을 조사하였으며,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니트 디자인을 제안하였다. 작품 제 작을 위하여 환편 니트 편직물을 컷앤소우 방법으로 작업하고, 크로쉐 핸드 니팅으로 모란꽃의 이미지를 작업하여 혼합하여 작업하였다.

    작품의 테마는 여성의 아름다운 이미지를 담아 ‘모 란과 미인도’로 잡았으며, 모란꽃이 상징하는 고귀하 고 우아하며 장중한 여성의 아름다운 미를 니트 패션 으로 표현하고자 하였다. 연구 작품의 구체적인 제작 의도 및 전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스러움을 표 현하기 위한 실루엣을 활용하여 원피스, 베스트, 상 의, 스커트의 아이템으로 디자인하였다. 둘째, 모란꽃 의 형태를 과장되게 표현하고자 하였으며, 장중하고 고귀한 모란꽃의 상징적 이미지를 우아하게 표현하고 자 하였다. ‘산’ 이미지를 표현하기 위하여 크로쉐 니 팅을 활용하여 가장자리 뜨기로 산모양의 니팅 작업 으로 모란꽃을 제작하였다. 셋째, 색상은 모란꽃에 많 이 나타나는 흰색, 빨간색, 주황색의 컬러를 활용하여 모란꽃의 풍성하고 활짝 핀 느낌을 활용하여 화려하 고 고귀한 분위기를 표현하였다. 넷째, 환편 니트를 컷 앤 소우 기법으로 기본 의상을 제작하고 핸드 니트 의 크로쉐 기법으로 제작한 모란꽃들을 장식적으로 제작하여 차별화된 디자인을 전개하였다(Table 4).

    1) Work 1

    디자인 1은 부드러운 느낌의 드롭 숄더 상의 바디 에 긴 테이프 형태의 조각들이 떨어져 내리는 스트레 이트 실루엣의 원피스 아이템으로, 8개의 풍성한 모 란꽃 모티브가 달린 베스트를 착용한 아이템이다. 흰 색 모란꽃의 고귀하고 우아한 이미지를 신비스럽고 여성스러운 이미지로 표현하고자 하였다. 순수하고 깨끗한 흰색은 여성스럽고 고귀한 느낌을 나타낸다 (Fig. 8).

    크로쉐 기법을 활용하여 제작한 모란꽃 모양의 모 티브는 꽃잎이 입체적으로 중첩되도록 형태를 살려 베스트에 가득 차도록 부착하였다. 모란꽃과 함께 니 팅 한 잎사귀 모티브도 포인트가 되도록 배치하고 줄 기와 함께 베스트 아래로 길게 늘어뜨려 원피스의 스 커트 자락의 실루엣과 조화가 되도록 하였다. 모란꽃 은 풍성한 형태를 표현하기 위하여 태사 2합을 사용 하였다. 크로쉐의 사슬뜨기, 긴뜨기, 한길긴뜨기 기법 을 이용하여 ‘산’ 모양의 꽃모양을 만들 수 있는 가장 자리 기법으로 니팅하였으며, 나선형으로 돌려서 입 체감을 부여하면서 완성하였다. 완성된 모란꽃 모티 브를 베스트에 손바느질로 고정하였으며, 머리장식으 로 2개의 모란꽃을 활용하였다(Fig. 9).

    2) Work 2

    디자인 2는 신축성이 있는 환편 니트를 활용하여 심플한 원피스 아이템으로 디자인하였다. 흰색의 활 짝 핀 모란꽃을 극대화하여 장식하여 심플하면서 장 중하고 우아한 모란꽃의 이미지를 여성미와 연계하여 디자인하였다. 원피스는 슬림한 H 라인 실루엣으로 타이트하게 제작해서 여성의 인체의 곡선 형태를 드 러낸 이미지를 나타내고자 하였다. 원피스의 터틀네 크, 소매단, 밑단 부분은 2×2 핸드니트 리브(rib) 조직 으로 별도 제작하여 연결함으로써 얇은 니트와 굵은 게이지의 니트가 어울리도록 의도하였다. 벨트형 베 스트에 모란꽃 모티브를 부착해서 착용하는 위치에 따라 다양한 실루엣을 보여줄 수 있도록 디자인을 전 개했다(Fig. 10).

    크로쉐의 기법을 활용하면서 태사를 2겹, 3겹, 로 빙사의 세 가지 굵기의 실을 사용하여 자연스러운 그 러데이션 컬러의 태사와 로빙사를 사용하여 모란꽃의 풍부한 곡선을 강조하고 고귀한 느낌을 표현하고자 했다. 단정한 느낌의 원피스 위에 커다란 모란꽃 모티 브를 표현하여 장중하며 대범한 분위기를 연출하고자 하였다. 크로쉐 사슬뜨기, 긴뜨기, 한길긴뜨기를 사용 하여 가장자리 뜨기로 길게 니팅하고 꽃의 형태를 고 정할 수 있는 받침대를 둥글게 원형 모티브 제작하여 꽃잎으로 길게 니팅된 모티브를 모란꽃 형태로 만들 며 나선형으로 돌려 원형 모티브에 손바느질로 고정 하여 형태를 완성하였다(Fig. 11).

    3) Work 3

    디자인 3은 A 라인의 롱 원피스 아이템으로 진동 둘레와 앞판에 모란꽃 모티브가 강조될 수 있도록 심 플하게 디자인하였다. 활짝 핀 모란꽃의 모습을 표현 하고자 굵은 로빙사를 사용하여 꽃의 모티브의 형태 를 과장시킬 수 있도록 니팅하였다. 진동 둘레와 앞판 에 입체적으로 부착하여 생동감을 부여하고, 모란꽃 의 장중한 이미지를 전달하고자 했다. 색상은 길상을 상징하고 중국을 대표할 수 있는 빨간색을 선택하여 모란꽃의 화려한 분위기를 표현했다. 펠티 가공된 환 편 편직물로 별도의 여밈없이 착용 가능하도록 제작 하였다(Fig. 12).

    크로쉐의 사슬뜨기, 긴뜨기, 한길 긴뜨기 기법을 활 용하여 가장자리 뜨기를 길게 제작한 후에 5cm 폭으 로 플라운스 재단한 환편물에 연결하였으며, 크로쉐 가 장자리뜨기를 나선형으로 돌려 배열하면서 과장된 크 기와 형태로 모란꽃 모티브를 제작하여(Fig. 13) 모란 꽃 모티브를 원피스의 진동둘레와 왼쪽 가슴에 입체적 으로 고정하여 비대칭의 모란꽃 형태를 표현하였다.

    4) Work 4

    디자인 4는 탑 형태의 상의와 스커트의 투피스 아 이템으로 모란꽃의 우아하고 장중하고 고귀한 이미지 를 표현하고자 하였다. 허리부분에 크로쉐 작업의 꽃 을 크고 넓게 집중적으로 분포시켜서 풍성하게 강조 하여 디자인하였다.

    탑은 일정한 폭의 직사각형 패널을 인체의 곡선을 따라 드레이핑으로 배열하여 기본 패턴을 제작하고, 기본 실루엣은 좌우 비대칭으로 디자인하고 앞판과 뒤판에서 직사각형의 패널들을 사선으로 연결하여 옆 선에서 만나기 때문에 측면은 V라인을 형성한다. 스 커트는 12쪽으로 구성된 고어드 스커트(gored skirt) 로 디자인되었다. 9cm 폭으로 재단한 환편물을 바디 에 사선방향으로 드레이핑한 후에 패널들을 포개놓고 봉제하여 탑의 기본 형태를 완성하였다. 좌우가 대칭 되면서 아래로 내려갈수록 넓어지는 A라인으로 디자 인하여 안정감을 주도록 했다(Fig. 14).

    크로쉐 니팅의 사슬뜨기, 긴뜨기, 한길긴뜨기 기법 으로 꽃잎을 길게 니팅하여 플라운스로 재단한 환편 물과 봉제하여 연결하여 모란꽃의 풍성함을 나타내고 자 하였다. 나선형으로 돌려서 원하는 꽃의 형태와 크 기로 제작한 꽃 모티브를 완성된 탑 위에 입체적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배치하고 손바느질로 고정하였다 (Fig. 15).

    Ⅳ. Conclusion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에서 문인과 화가들의 사랑 받고있는 모란꽃의 상징적 이미지와 특성을 반영한 창의적인 니트 패션디자인을 전개하였으며, 모란꽃은 크로쉐 니팅 기법을 활용하여 제안하였다. 연구 방법 으로 문헌연구 및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모란꽃의 역 사, 특성, 상징성에 대해 알아보았으며, 크로쉐 니트 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디자인 테마는 여성의 아름다운 이미지를 나타내 는 모란의 상징적 의미를 담아 ‘모란과 미인도’로 잡 았으며, 크로쉐 니트를 활용한 여성스러운 니트 패션 디자인을 전개하고자 하였다. 디자인 전개는 보편적 으로 인식되는 모란꽃의 대표적 색상인 흰색, 빨간색 과 주황색으로 모란꽃의 형태를 과장적으로 변형하여 디자인에 활용하였다. 모란꽃 모티브는 입체적인 형 태의 표현이 자유로운 크로쉐 니팅 표현기법을 활용 하고 환편였다. 본 연구의 작품 제작을 통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모란꽃은 형태가 크고 풍성하여 화려하고 고 귀한 특성을 나타내고, 부물의 컷 앤 쏘우 기법으로 제작한 몸판과 연결하여 4벌의 여성복 디자인을 전개 하귀와 미인이라는 상징성을 가지고 있다. 모란꽃의 색상은 보편적으로 인식된 빨간색 외에 다양한 색상 이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모란꽃의 특성과 상징성을 반영하여 모란의 대표적 색상인 흰색과 빨강, 주홍색 의 니트 디자인 4착의 니트 패션디자인을 전개하였으 며, 모란의 우아한 이미지를 표현하기에 적절하였다.

    둘째, 모란꽃의 특징인 우아하고 웅장하고 화려한 이미지를 크로쉐 니팅을 활용하여 표현하고자 하였으 며, 크로쉐 기법은 산 모양의 가장자리 뜨기를 활용하 여 모란꽃의 풍부한 모티브의 표현 가능성을 제시하 여 독특한 패션디자인을 창출할 수 있었다. 핸드 니트 의 크로쉐 기법은 자유로운 기법의 변화를 다양하게 줄 수 있어서 부조적인 모란꽃의 텍스처를 풍부하게 표현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니트 패션디자인 개발의 다양한 가능성과 현대 패션 디자인에 다양한 표현 가능성을 확대하여 제시할 수 있었다.

    Figure

    RJCC-26-700_F1.gif

    Peony flower

    From Peony. (n.d.). https://baike.baidu.com

    RJCC-26-700_F2.gif

    Peony flower’s form

    From Chen. (2013). p. 7.

    RJCC-26-700_F3.gif

    ‘Mountain’ petal

    From Chen. (2013). p. 7.

    RJCC-26-700_F4.gif

    Variety of colors of Peony flower From Peony. (n.d.). https://baike.baidu.com

    RJCC-26-700_F5.gif

    Guo Se Tian Xiang Tu (國色天香圖): Ma Yi

    From Ying. (2018). p. 48.

    RJCC-26-700_F6.gif

    Peony and daffodil Wu Changshuo, 1923.

    From Min et al. (2013). p. 173.

    RJCC-26-700_F7.gif

    Shepherd’s hook, 19th-century tapered hook, modern inline hook

    From Crochet. (n.d.). https://en.wikipedia.org

    RJCC-26-700_F8.gif

    Front and details, plat drawing of design 1

    RJCC-26-700_F9.gif

    Process of making Peony flower in design 1

    RJCC-26-700_F10.gif

    Front and details, plat drawing of design 2

    RJCC-26-700_F11.gif

    Process of making Peony flower in design 2

    RJCC-26-700_F12.gif

    Front and details, plat drawing of design 3

    RJCC-26-700_F13.gif

    Process of making Peony flower in design 3

    RJCC-26-700_F14.gif

    Front and details, plat drawing of design 4

    RJCC-26-700_F15.gif

    Process of making Peony flower in design 4

    Table

    Characteristics of Peony flower’s form

    Characteristics and symbols of Peony flowers in the pre-research

    Various stitch of crochet knit

    Production plan of knit design

    Reference

    1. Chen, Y. C. (2013). 明清牡丹纹饰在高级时装中的应用研究 [Application research of peony ornamentation in Ming and Qing Dynasties in haute couture]. Unpublished master s thesis, Zhejiang Sci-Tech University, Zhejiang, China.
    2. Collins & Brown. (1998). The harmony guides: 300 crochet stitches (Vol. 6). London: Author. Crochet. (n.d.) In Wikipedia. Retrieved March 15, 2018, from https://en.wikipedia.org/wiki/Crochet
    3. Fu, M. (2011). 北宋牡丹审美文化研究 [A study on the aesthetic culture of peony in the Northern Song Dynas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Nanjing Normal University, Jiangsu, China.
    4. Han, J.-S. (2007). A study a painting of a peony in folk painti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Hongik University, Seoul, Korea.
    5. Hyun, K. S. (2015). A study of expressing the image of hope in peony and butterfly: Focused on my works. Unpublished master’s thesis, Hongik University, Seoul, Korea.
    6. Jung, H. I. , Park, K. J. , & Shin, H. T. (2004). Flower art pictorial book. Seoul: Sayflory.
    7. Kim, J. R. , & Lee, Y. H. (2007). Crochet knit design through application of Gustav Klimt paintings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1(11), 1598-1610. doi:
    8. Korea Floral Art Research Association. (2002). 꽃예 술사전 [Flower art dictionary]. Pajoo: Mijin Publishers.
    9. Lee, J. H. . (1990). Needle art. Seoul: KyungchoonPublishers.
    10. Lee, J.-W. , & Na, K. (2016). A study on digital jewelry design through reinterpretation of symbolic element of Peony flower in Minwha with Linguistic analysis . Journal of Digital Convertgence, 14(8), 407-413. doi:
    11. Lee, Y.-K. (2015). A study on the pictorialization of ulterior images through peony. Unpublished master s thesi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Gyeongsangnam-do, Korea.
    12. Li, S. Z. (1979). 本草纲目 [Compendium of materia medica]. Beijing: People’s Medical Publishing House.
    13. Min, H. J. , Jung, Y. J. , Choo, Y. H. , & Yang, H. J. (2013). 꽃을 찾는 세계미술여행 [A world art tour looking for flowers]. Seoul: Say.
    14. Morris, W. , & Morris, M. (1967). Dictionary of word and phrase origins. New York: Harper & Row Publishers.
    15. Oh, M. H. (2007). A study on modernization of Moran Do (peony blossom painting) based on my works of 2006. Unpublished master’s thesis. Hongik University, Seoul, Korea.
    16. Peony. (n.d.). In Baidu Encyclopedia. Retrieved March 15, 2018, from https://baike.baidu.com/item/牡丹/6080?fr=aladdin
    17. Qiao, D. (2009). Peony pattern in fabrics of China and Korea and the application to fashion design. Unpublished master’s thesis, Dongshin University, Jeollanam-do, Korea.
    18. Shin, J.-S. (2012). The peony and his/her representation of China in Ancient East Asia . Journal of Korean Culture, 20, 101-122.
    19. Wei, W. (2009). 中国牡丹文化的综合研究 [A comprehensive study of Chinese Peony culture]. Unpublished master’s thesis, Henan University, Henan, China.
    20. Ying, W. (2018). A national flower’s symbolic value during the tang and song dynasties in China . Space and Culture, 21(1), 46-59. doi:
    21. Yu, J. (2009). 牡丹纹饰的吉祥观念与现代设计 [Auspicious ideas of peony decorative patter and its application in modern design]. Unpublished master’s thesis, Zhejiang Sci-Tech University, Zhejiang, China.
    22. Zhang, M. M. (2013). The study of the symbolic meaning of peony paintings through peony flowers: Focused on the researcher’s work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eimyung University, Daegu, Korea.

    Appendi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