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rossref logo
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6-0401(Print)
ISSN : 2383-6334(Online)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Vol.28 No.2 pp.199-214
DOI : https://doi.org/10.29049/rjcc.2020.28.2.199

Characteristics of the traditional Atlas fabrics of the Xinjiang Uygur Minority Ethnic Group, China

Lifeng Wang, Younhee Lee*
Doctoral Course, Dept. of Clothing & Textiles, Hanyang University, Korea
*Professor, Dept. of Clothing & Textiles, Hanyang University, Korea
Corresponding author (yiyhee@hanyang.ac.kr)
February 8, 2020 March 16, 2020 March 23, 2020

Abstract


The study investigates Atlas fabrics, the Ikat weaving method used by the Uygur People in Xinjiang, China. Based on domestic and foreign papers and other literature, different cultural characteristics of Ikat fabrics from various regions are compared. Following a theoretical investigation, characteristics of fabrics from the Indian Patola, Indonesian Ikat, Japanese Kasuri, and Uzbekistan Adras are summarized and compared with the characteristics of pattern, color, and manufacturing process of Atlas silk from Xinjiang China (also an Ikat fabric).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lthough the weaving process used for Ikat fabrics differs from country to country according to different national cultures, lifestyles, colors, patterns, and usage methods, they are all Ikat dyed fabrics. Therefore, they are all regarded as precious objects symbolizing a certain social status, and are used as a gift for special occasions, such as weddings. Second, the form of the pattern varies. Indian Patola has clear outlines and regular patterns, while the patterns of Japanese Kasuri are mainly inspired by folk life ideas. Indonesian Ikat contains influences from indigenous tribes, and Uzbekistan’s and China’s Atlas textiles are influenced by geography, religion, and national culture, including bright colors and pattern designs inspired by plants, musical instruments, and geometric figures. Finally, the patterns and colors of Xinjiang Atlas fabrics present strong ethnic characteristics. Unlike the Uzbekistan fabric which is mostly influenced by Islam, human and animal patterns would not feature in Xinjiang Atlas patterns, which mostly consist of long strips, repeated in a neat and orderly form.



중국 신장 위구르족 전통 아틀라스(Atlas) 직물의 특성

왕 리 봉, 이 연 희*
한양대학교 의류학과 박사과정
*한양대학교 의류학과 교수

초록


    Hanyang University
    HY-2019

    I. Introduction

    최근 패션계에서는 각 국가 간 문화, 예술의 융합과 부딪힘, 세계 직물의 색채, 도안의 상징적 의미, 전통과 정체성의 발전, 전통적 색채 개선과 눈에 띄는 프린트 도안 등이 유행하는 추세이다. 이카트(Ikat)는 널리 사 용되는 직물 염색 공예로 인도의 파톨라(Patola), 인도 네시아의 이카트(Ikat), 일본의 가스리(Kasuri), 중앙 아시아 우즈베키스탄의 아들라스(Adras) 및 중국 신 장 지역의 아틀라스(Atlas) 직물로 세계 다양한 직물 문화에 광범위하게 존재한다. 환경과 문화에 따라 처 리 방식이 약간 다르지만, 모두 이카트 직조 공예에 속한다(“Ikat history”, n.d.). 이카트는 심미적인 이념 을 고수하는 조건에서, 표현 방식이 각 세대와 지역에 따라 다르거나 복잡하거나 다양하게 구분된 형태로 변화하고 있다. 이런 오래 지속되는 염색 무늬는 의류 및 각종 가전제품 원단 등 여러 분야에 널리 쓰인다.

    본 연구에서는 중국 신장 지역 소수민족 위구르족 의 이카트 직조방법인 아틀라스 직물에 대해 조사 분 석하고자 한다. 아틀라스 염직 기술은 신장 위구르족 자치구 국보급 염색 및 제직 무형 문화유산 목록으로 등재되었다. 무형 문화유산은 국가와 민족의 역사적 인 성취의 중요한 상징으로, 인간 문명의 진화를 연구 하는 데 중요한 의미가 있을 뿐만 아니라, 세계 문화 의 다양성을 드러내는 독특한 작용을 하며, 인류의 공 통 문화적 자산이다. 따라서 소수민족의 물질적 문화 를 합리적으로 보호, 선전, 전승, 연구와 현대화, 다양 한 모델 패턴의 상호 작용을 통해 신장 염직 등의 보 호와 발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아틀라스 직물에 대한 조사를 위하여 일반적 기법 으로 알려진 이카트 기법 관련 선행연구를 조사하였 으며, Kim and Lee(2015)의 연구 외에 여러 연구들이 있었다. 최근 중국에서는 Ming and Liao(2017)의 아 틀라스가 가지는 신장 지역의 문화적 가치, Ma(2017) 의 아틀라스 직물의 특징을 생태 공간, 각 지역과 접 목시켜 전승방법 대해 연구, 아틀라스의 산지, 색상, 문양의 분류와 제조 공정에 대한 Qi(2014)의 연구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선행연구 조사를 통해 각 지역의 이카트의 제작과정은 거의 일치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카트 직물 패턴은 여러 연구가 있었으나, 신장 지역의 이카트 직물인 아틀라스 직물에 대한 연구는 아직 많이 부족한 상황이다. 한국내의 문헌 자료는 일 본․인도네시아 등 특정 지역의 이카트 직물 분석에 집중되어 있으며, 중국의 문헌은 대부분 국내 신장지 역과 우즈베키스탄 지역의 이카트 이론 및 배경 연구 에 집중되어 있는 상황이다. 이카트 직조 기술은 국가 마다 민족문화, 생활방식에 따라 표현되는 색상, 무 늬, 적용 방식이 다르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이카트 의 주요 발전 지역을 정리하고, 신장 소수민족 위구르 족의 전통 의상 소재인 아틀라스 직물 분석을 통해 비 교해 보고자 한다.

    아틀라스 직물은 신장 소수민족 위구르족 복식의 중요한 부분이며, 이카트 직조 방식으로 중국에서 발 전한 것이다(Liao & Wang, 2017). 아틀라스는 오래된 염색과 직조 기법을 채택하고 있으며, 무늬와 색채가 강한 지방 민족의 특색을 지니고 있다. 이는 신장 위 구르족 여성 명절 복장에 인기 있는 옷감일 뿐만 아니 라, 민족의 정신과 문화를 담은 매개체이기도 하다. 현재 중국내에서 의류, 실내용품, 여행용품에 적용이 넓어지고 있지만 지역적 특징이 강하고, 무늬가 많고, 색채가 화려하여 응용하기도 어렵고 대중의 수용도 까다롭다. 아틀라스 전통 직조의 독특한 매력은 현대 예술의 미적인 발전을 촉진시키는 역할을 하며 끊임 없는 연구와 혁신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신장 지역의 아틀라스 직물 에 대한 고찰과 활용 현황 등을 조사 분석하여 최근 지속되는 전통문화에 대한 자료를 제공하고, 민족적 요소들과 전통 문화가 결합되어 현대적 감성으로 발 전할 수 있는 다양한 패션디자인의 자료로 제공하고 자 한다. 연구 내용 및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카트 직물에 대한 주요 지역별 분포에 대한 조사와 각 지역 직물의 무늬, 색상을 정리한다. 둘째, 중국 신장 소수민족 위구르족의 지리, 문화, 종교적 배경과 복식 의 특성을 조사한다. 셋째, 신장 위구르족 아틀라스 직물의 문양, 색채 등의 특징을 조사, 분석한다. 분석 을 위한 자료는 국내외 웹 사이트를 통해 Ikat 직물 사진을 수집하고, 지역별 직물 특징을 파악하고, 신장 지역의 현지 박물관 및 아틀라스 생산지 허톈(Hetian) 과 카슈가르(Kashgar)의 현장 탐방을 통해 현지 소수 민족 문화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고, 아틀라스 제작 과 정 등에 대해 사진 촬영 및 역사적 자료를 수집한다.

    Ⅱ. Ikat Fabric Background

    Ikat(이카트)란 말레이어로 묶거나 매다는 뜻의 “Mengikat”에서 유래되었고, 제직하기 전에 실을 패 턴에 따라 방염 재료로 묶어 염료가 스며들지 않도록 처리한 후, 염색 과정을 거치는 기법이다(Kax, 1979). 이카트 기법은 염색된 실의 경사 위사에 따라 경사에 만 염색하는 경사 이카트(warp Ikat)와 위사에만 염색 하는 위사 이카트(weft Ikat), 경사와 위사 모두에 염 색하는 이중 이카트(double-Ikat)의 세 가지 종류로 분 류된다. 이와 같은 방식의 제직 방법으로 인도, 인도 네시아, 일본, 중앙아시아, 중국 등 세계 각국에서 비 슷한 기법이 발달하기도 하였다. 이카트는 여러 지역 에서 고대로부터 행해져 내려온 제직 기술이며 문양 의 섬세하고 복잡한 정도에 따라, 각기 다른 용도로 활용되어오고 각지의 인문적 의미와 특색을 갖춘 방 직물로 형성되었다.

    이카트 직물은 5세기 즈음 인도에서 나타났으며, 중국 당나라 시대에도 비슷한 염색 직물이 번성했지 만, 이카트 기원의 시간과 지역은 실제로 추적하기 어 려운 상황이다. 오늘날에도 이 전통 수공예를 보존하 고 있는 나라는 매우 드물고 그 중에서도 인도, 인도 네시아와 중앙아시아의 우즈베키스탄이 가장 유명하 다. 본 연구는 인도의 파톨아(Patola; Fig. 1), 인도네 시아의 이카트(Fig. 2), 일본의 가스리(Kasuri; Fig. 3), 중앙아시아 우즈베키스탄의 아들라스(Adras; Fig. 4), 중국 신장 지역의 아틀라스(Atlas; Fig. 5), 5개 지역의 이카트 직물들의 특성을 정리하고, 중국 신장 지역의 전통 직물 아틀라스를 조사 분석하였다.

    1. India Ikat

    인도는 면화 생산 대국이며, 실크를 생산하는 나라 로 알려져 있고, 이카트를 위한 풍부한 원자재를 제공 하며 이카트 기술의 발원지이다. 선사시대로부터 수 많은 전설과 구전으로 전해지는 이카트 기술의 존재 를 알 수 있으며, 6-7C 경에 제작된 아잔타석굴의 프 레스코 벽화는 최초의 시각적인 기록으로 이카트 기 술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는 자료이다(Han, 1996). 이 카트는 인도에서 홀치기염의 일종으로 시작되었으며 홀치기염과 같은 경로로 세계 각 지역으로 전파되었 고, 세계 각 지역의 사회적, 지리적, 문화적 특성에 의 해 각각 독특한 형태로 발달했다(Choi & Ha, 2006).

    인도에서 가장 유명한 이카트는 경사와 위사를 모 두 미리 염색한 후 색상과 무늬를 의도된 디자인대로 정확하게 맞추면서 직물을 직조한다. 특히 구자라트 (Fig. 6), 오리사, 안드라 프라데쉬의 이카트 실크가 유명하다. 이중 이카트의 일종인 파톨라(Patola)는 역 사가 오래되고 복잡해서 문양이 전통적이고 미적 가 치를 지녔으며, 상류층 또는 특권 계급에서 상당한 종 교적 지위를 차지하고 있다. 일반인은 성대한 자리에 서만 착용할 수 있다(Zhou, 2017). 특히 인도 구자라 트의 파톨라는 일반적으로 질이 굉장히 높다. 인도 외 의 나라에서 만들어진 파톨라는 짜임이 느슨하고 실 크 외에 면화를 혼합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인도사람 들은 인도 외의 나라에서 만들어진 파톨라를 선호하 지 않는다(Guy, 1998). 파톨라의 문양은 마름모무늬 (Fig. 7), 직물의 단 처리용으로 사용되는 툼팔(Tumpakl), 기하학 문양, 코끼리, 호랑이의 동물 문양까지 다양하 며, 결혼, 축제, 왕실과 사원의 장식품, 죽은 자들을 위 한 수의로까지 널리 사용되었다(Park, 1999). 특별한 행사로 착용하는 드레스는 인도의 자이나(Jaina)교와 일부 이슬람 무슬림과 같은 특정 단체에서 사용된다.

    인도 오리사(Orissa; Fig. 8)의 이카트는 반다스(Bandhas) 로 알려져 있다. 반다스 는 매우 가는 실을 사용하며, 작은 부분을 방염하여 유연하고 서정적 느낌의 곡선 으로 문양을 표현한다. 반다스의 문양은 식물, 동물, 격자문양으로 이중 이카트(Fig. 9)와 컴파운드 이카트 기법을 혼합하여 표현한다. 반다스의 용도는 사리, 두 건, 타월 등 의복용이며 최고급 반다스 직물은 의식, 예식용으로 사용한다(Park, 1999).

    인도 구자라트의 이카트 안드라 프라데쉬(Andhra pradesh; Fig. 10)는 파톨라 직물의 영향을 크게 받았 다. 안드라 프라데쉬는 줄무늬 연속 문양의 경사 이카 트와 다양한 색상의 위사 이카트가 결합하여 독특한 느낌을 만든다. 안드라 프라데쉬의 가장 두드러진 이 카트는 텔리아 루말(Telia Rumal)이며, 원사를 오일(oil prior) 처리하는 흐릿한 공정을 특징으로 한다(Fig. 11).

    2. Indonesia Ikat

    인도네시아는 고대부터 세계 다른 지역에서 보기 드문 염색 및 직조 예술이 나타났다. 인도네시아 염색 물은 문화적으로 오랜 시대에 걸쳐 여러 루트를 통해 들어온 힌두교, 불교, 이슬람 문화에 영향을 받았고, 남중국으로부터 건너온 이민자들에게 중국 문화의 영 향을 받았으며, 16세기 이후 제각기 섬의 지리에 따라 다양한 유럽 문화에도 큰 영향을 받았다(Sim, 1999). 하지만 문화의 교류가 없었던 바다가 가로막고 있는 섬들, 심지어 부족들도 여전히 독특한 성격을 지니고 있으며, 각각의 독특한 색깔로 염색과 무늬를 만들어 내고 있다.

    인도네시아의 염색 직물 중에서 가장 광범위하고 주목할 만한 직물은 이카트(Ikat) 직물로 목란, 시초, 수 목, 울금 등 같은 식물 염료를 사용하고 가장 원시적 인 직조 방식으로 사용되고 있다. 직물의 문양은 스케 치를 기반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입으로 전달되어 기 억에 의존하게 됨으로써, 숨바(Sumba)섬의 동물 문양, 칼리만탄(Kalimantan)의 인물 문양, 수마트라(Sumatra) 항구의 화초 문양이 발전하였다. 또한 발리의 경․위 직(double-ikat) 직물은 종교의식에 많이 사용되어 원 형에서 복잡한 인물 패턴을 짜냈다.

    인도네시아에서 이카트는 인도와의 무역으로 영향 을 받아 면사의 사용과 염료의 채취, 특히 빨간색 염 료의 발견과 사용 방법 등이 이루어졌으며, 동물무 늬와 꽃무늬 등이 소개되었고, 은사를 사용한 송켓 (Songket) 기술을 응용하여 화려하게 짜는 것이 대부 분이다. 힌두사상의 자연숭배에 대한 상징으로는 나 선형의 문양이, 영생을 상징하는 생명의 나무 등이 중 요한 모티브와 테마로 나타났다(Koo, 2005). 또한 인 도네시아에서 이카트는 종족과 사회적 지위를 표현하 는 부와 지위의 상징으로써 의례적 행사나 축제용으 로 사용된다.

    인도네시아의 이카트는 다양한 염색 기법과 문양 이 적용되어 각기 다른 독특한 의미를 지니며, 특히 염료가 스며들지 못하게 미리 처리한 후 원하는 무늬 를 천에 물들이는 방염법(防染法)을 이용한 직물이 많 다. 납방염(蠟防染)의 바틱과 교힐염(絞纈染)의 일종 인 이카트, 플랑기 등이 유명하며, 제직 후 무늬가 번 져 보이는 효과가 있다. 이것은 방염 부위의 염료침투 차이에 의한 농담효과와 함께, 염색한 실을 옮길 때나 제작할 때에 실이 움직이지 않을 수 없기 때문이다 (Koo, 2005).

    인도네시아 전역에서 생산되는 이카트 직물은 대 부분 적색과 청색으로 염색되며, 부분적인 악센트로 노랑, 녹색, 흑색 등이 쓰인다(Warming & Gaworski, 1981). 인도네시아 위사 이카트는 인도나 아랍의 상인 들에 의하여 소개된 것으로 추정된다. 위사 이카트는 팔렘방을 중심으로 한 남부 수마트라섬(Fig. 12)과 발 리(Fig. 13 and 14)에서 주로 생산되고, 롬복(Fig. 15) 과 서부 술라웨시(Fig. 16)에서도 생산된다.

    3. Japan Ikat

    이카트는 일본에서 가스리(Kasuri)라고 불리며 뻗 어나가는 염색 기법을 의미하기도 하고, 질서 있게 묶 어 짜임으로써 집합적 패턴과 특수한 이미지를 가진 텍스타일을 만들어낸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가스리는 8세기부터 접해 왔지만, 초기에는 이카트 염색 기술 을 사용하지 않았으며, 역사가들은 가스리가 실제로 12세기와 13세기의 고대 류큐(琉球) 왕국에서 유래된 것이라고 주장한다. 현지에서 생산된 파초 가스리 직 물은 무역 유통과 함께 중국, 한국, 일본, 동남아시아 로 속속 수출되고 있다. 1609년에는 가스리 기술이 일 본에서 재조명되었으며, 요구 사항과 옷차림의 변화 에 따라 세밀한 디자인과 개선이 이루어졌다. 1950년 대에 가스리의 생산은 이미 일본해 연안부터 중남부 의 빙고지역 및 4국도의 이과 지역으로 퍼졌다. 그 중 에서도 오키나와 지방의 직물과 후쿠오카시의 구루메 가 가장 유명하다(Liao & Wang, 2017). 오키나와 지 역은 염직공예가 매우 다양하여 유명한 붉은 염색 외 에도, 현지의 특색이 있는 직조를 위주의 공예품도 많 이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오키나와 나하 지방에서 보 존되고 인기 있는 슈리직(首里織)은 류큐 왕국 수도 슈리(首里)성의 이름을 따서 명명된 특색 염색 품이다 (Cui, Liu, & Zhen, 2016). 구루메시 가스리의 경, 위 선은 면으로 만들어졌으며, 중국 신장 지역 Atlas 직물 의 직조 과정과 차이가 거의 없고, 무늬가 작고 정교 하며 배열이 균일하며 순수한 느낌을 준다.

    가스리 기법은 문양의 경계선이 번지는 것처럼 보 이는 것에서 유래된 명칭으로, 일본에서는 서민들에 의해 발전되어 상류층에 이르렀으며, 간단하고 단순 하며 정결한 염직으로 제작되고 있다(Kim & Lee, 2015). 일본 가스리의 패턴은 대부분 간결하지만 변화 가 풍부하며, ‘변위’는 일본 직조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변화의 수법이다. 화살 무늬는 일본 전통 문양에서 흔 히 볼 수 있는 변위 무늬로(Fig. 17), 정사각형 무늬를 (Fig. 18) 엮을 때 양끝사선을 높게 잡아당겨 하나의 화살 모양을 형성한다. 지금까지 천연 인디고를 가스 리 직물에서 흔히 볼 수 있다(Fig. 19). 19세기 중반부 터 홍색 장식과 도안이 모던하게 변모하기 때문에 인 디고를 제외한 다른 색상을 사용하게 된다.

    4. Central Asia Uzbekistan Ikat

    우즈베키스탄의 이카트 직물은 아들라스(Adras) 또 는 아틀라스(Atlas)라고 한다. 아들라스는 실크와 면 화의 혼합물이며, 실크는 아틀라스에만 사용된다. 중 앙아시아는 아시아의 중부지역으로, 현재 카자흐스 탄, 우즈베키스탄, 타지키스탄, 키르기스스탄, 투르크 메니스탄 등 다섯 개의 독립국이 있다. 지리적으로 바 다에서 멀리 떨어져 있고, 공기가 건조하고 강수량이 적고 사면이 산으로 둘러싸여 있는 골짜기 분지와 넓 은 황막 속의 오아시스는 중앙아시아에서 가장 생명 력 있는 곳으로 아시아와 유럽의 주요 무역 중심지가 되었다. 이러한 지리적 환경의 영향은 중앙아시아 아 들라스 직물의 예술적 특성에 반영되며, 예를 들어 부 하라와 같은 오아시스 도시의 아들라스 직물 패턴에 는 꽃, 과일, 조류 및 일상생활과 밀접한 관련 있는 문 양이 많고, 색깔도 아름답고 산뜻하다(Liao, 2017; Fig. 20 and 21).

    종교적 영향으로 7세기 말 8세기 초 이슬람교는 중 앙아시아로 전파되기 시작해 우즈베키스탄의 주요 신 앙이 되었고 후에 국교로 전해졌다. 이슬람의 예술 형 식은 아들라스 직물의 문양에 깊은 영향을 미쳤으며, 직물 패턴에는 흔히 볼 수 있는 문양 외에도 건축 조 형과 관련된 기하적인 요소들이 나타나고, 추상적이 고 요약적이며 전체적인 배치가 치밀하여 여백이 많 지 않다는 것을 강조했다.

    우즈베키스탄의 아들라스는 “국가 직물”로 알려져 있으며, 남성과 여성의 아들라스 의상은 스타일과 질 감이 다르며 문화유산의 상징이 되었다. 중앙아시아 에서 긴 아들라스 의복(두루마기; Fig. 22 and 23)은 높은 지위의 상징으로 여겨지고 일반적으로 귀빈께 감사 선물을 드리거나 시상하는 데 사용되며, 수상자 의 지위에 맞는 아들라스를 수여한다. 19세기 중기 아 들라스 두루마기는 사회의 등급을 상징하고 화폐의 다른 형태로 공로자에게 상으로 많이 사용되었다. 이 외에도 아들라스는 혼례 혼수로 사용되었고, 주택의 벽장식이나 신생아를 감싸는 용도로도 사용되었다 (Liao, 2017).

    이와 같이 많은 연구와 발전이 이루어져 있지만, 신장 소수민족의 이카트 직물 아틀라스 직물의 연구 는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기존의 이카트 직물 연구를 토대로 신장 위구르족의 아틀라스 직물에 대해 분석 해 보고자 한다.

    Ⅲ. Xinjiang Uygur Minorities Traditional Fabrics’s Atlas

    1. Regional and religious environments of Xinjiang Uygur

    신장은 중국 북서쪽 국경에 위치하고 있는 신장 위 구르족 자치구이며, ‘신(新)’이라고 약칭한다. 신장은 중국에서 가장 큰 육지 면적의 성급 행정 구역인데, 면적은 166만 평방 킬로미터이며, 중국 총면적의 1/6 를 차지한다. 신장은 유라시아대륙의 중심부에 위치 하며 동서 교통의 중요한 통로이다. 이는 러시아, 카 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 파키스탄, 몽골, 인도, 아프가니스탄 등 8개국과 국경을 접하고 있으 며 역사적으로 고대 실크로드의 중요한 통로였고, 지 금은 두 번째 ‘유라시아 대륙교’에 반드시 거쳐야 할 길이며, 전략적 위치는 매우 중요하다(Han, 2019).

    신장은 여러 민족이 모여 사는 지역으로, 55개의 민 족성 요소들로 이루어져 있다. 이중 상주 주민은 위구르족, 한족, 키르기즈족(Kirghiz), 회족, 카자흐족(Kazakh), 몽골족, 타지크족, 시보족, 만주족, 우즈베크족, 러시 아, 다우르(Daur)족, 타타르(Tatar)족 등 13개 거주 민 족이 있다. 각 민족에서 위구르족 인구 총 897만 6,700 명으로 전체 인구의 45.73%를 차지했다(“Number of population”, n.d.).

    신장 위구르족은 역사적으로 샤머니즘, 현교(祆敎), 마니교(摩尼敎), 불교 등, 다양한 종교를 믿었었다. 이 슬람교의 영향은 16세기 이슬람으로 개종한 이후부터 지금까지 위구르족의 경제, 정치, 문화에 깊이 스며들 었다. 위구르족의 복식 문화는 이슬람교 문화를 반영 하고 있으며, 이슬람교 문화 위주의 다양한 종교 문화 의 함의를 보여 주는 초기 종교의 흔적도 보존되어 있 다(Liu, 2003).

    16세기 초에 이슬람교는 신장에서 불교를 대신하 여 지배적인 종교가 되었다. 이슬람교에서는 알라는 우주의 모든 것을 창조하고 주재자와 수배자라고 생 각한다. 이에 이슬람교 신자의 복장 착용을 통일되고 소박하게 특성을 표현했다. 이슬람교에서는 남성들이 고귀한 복장을 착용하는 것을 금지하고 있으며, 착용 목적은 몸을 가리나 장식을 위해 입은 것으로, 자기가 다른 사람보다 우월하거나 오만하다는 것을 드러내는 것이 아니다. 이슬람교에서는 여성의 아름다운 자태 와 장식을 드러내는 것이 엄격히 금지되어 있으며, 또 한 여성들이 양손, 두발 및 얼굴을 제외한 신체 부위 를 모두 가려야 하며, 남편과 친지가 아닌 다른 남자 에게 노출되어서는 안 된다고 생각한다. 또한 이슬람 교는 무슬림들이 다른 교복을 입는 것을 금지하고, 남 녀가 서로 말과 행동, 복장 등 여러 방면 금지하는 관 념은 아직까지도 위구르족의 사상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Abulizi, 2005).

    2. Characteristics of Xinjiang Uygur clothing

    위구르족의 아틀라스, 화모, 긴 옷과 스카프는 자기 민족 복식의 상징이며, 현대 사회의 리듬에 어울리는 다른 의상들의 조합이 현대 위구르족 복식의 주요 특 징이다. 위구르족 복식의 전체적인 특징은 느슨하고 넓고 대법하다. 또한 색채의 대비가 강렬하고 큼직한 문양은 위구르족의 열정적이고 명랑하여 호방한 성격 과 서로 조화를 이룬다(Li, 2012).

    1) Shape and silhouette

    남자 복식은 상하의와 겉옷, 그리고 허리띠, 장화와 소모(小帽)로 구성된다. 즉 셔츠와 바지를 입고 외의 인 장포를 입는다. 셔츠는 앞가슴 부분까지만 트인 관 두의형을 즐겨 입었으며, 칼라나 목둘레 트임 등에 자 수 장식이 되어 있다. 장포(長袍)는 챠반(袷袢)이라 칭 하다. 위구르족 남자는 대개 허리에 하나의 허리띠 묶 기를 좋아하는데, 이것은 챠반에 묶으므로 단추와 주 머니 착용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소재는 면 또는 실 크를 주로 사용한다(Wu & Lee, 2006). 위구르족의 남 성 복식은 독특한 챠판 외에도 셔츠도 매우 독특하다. 셔츠의 대부분은 머리에서부터 뒤집어쓰며 입고 길이 는 무릎이나 엉덩이까지 덮는다(Han, 2019). 청색의 롱 팬츠를 매치하면 소수민족의 특색이 더욱 돋보인 다(Rao, 2006).

    여성은 여름에는 아틀라스 긴소매의 원피스를 즐 겨 입고 벨벳 소재의 타이트한 조끼를 즐겨 착용한다. 긴외의(長外衣), 단외의(短外衣)와 치마, 원피스, 바지, 셔츠, 조끼와 더불어 두건(頭巾)이나 화모(花帽)이나 면사(面絲) 등의 복식으로 이루어지며, 대부분 꽃문양 이 수놓아져 있다. 위구르족 여성들의 전통 복식품들 은 종류가 많으며, 수놓은 꽃문양 또한 풍부하고도 다 채롭다. 옷감은 대개 포(布), 주(綢), 무명 벨벳과 금실 벨벳 등을 사용하고, 각종 의복의 깃, 앞가슴, 수구(袖 口), 어깨 등의 부위에 금이나 은실과 색실로 기하학 소화(小花)이나 소엽(小葉)을 수놓아 위구르족의 강한 장식 미감을 표현해냈다. 위구르족 여성들은 대부분 무릎길이의 치마를 즐겨 입으며, 얇고, 속치마를 매치 하며, 속치마와 겉치마의 색채를 변형시켜 미감을 더 한다. 가장 대표적인 것은 아틀라스 스커트로 질감이 부드럽고 가볍고 특히 여름에 입기 좋다. 사막의 단조 로운 환경색채가 강렬한 대조를 이루며 현실과 미래 생활에 대한 위구르족 사람들의 뜨거운 사랑과 추구 가 돋보인다(Fig. 24).

    2) Color

    신장 위구르족은 복식의 색채 사용에 강한 대비와 색을 선호한다. 이것은 신장 위구르족이 활발하고, 밝 고, 열렬한 성격과 관계가 있을 뿐만 아니라, 신장 위 구르족이 광활한 대막 고벽 속에 살고 있고, 단조로운 색채를 띠고 있는 환경과 종교도 관련이 있다. 위구르 족이 의식에는 흰색은 행복, 선의, 순결의 상징이고, 파란색은 행운, 복, 신성을 상징이고 빨간색은 승리, 행복, 즐거움의 상징이고, 노란색은 우울과 고민의 상 징이고, 녹색은 생명, 평화, 풍요의 상징이고, 검은색 과 다른 차가운 색들은 흉한 색으로 여기고, 때로 검 은색은 고귀하고 신비로운 상징으로도 나타난다(Abulizi, 2005). 화려한 색상 외에 신장 소수민족 복식의 패턴 은 주로 일상생활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것으로 선이 깔끔하고 명쾌하다.

    신장 지역의 위구르족 여성들이 즐겨 착용하는 복 식 소재 “아틀라스”의 색상은 검은색, 파랑색, 빨강색, 녹색, 흰색이 주류이며, 이는 위구르족 선민들이 초기 에 신봉한 샤머니즘(shamanism)과 관련이 있다. 회족 은 흰색을 정결한 색깔로 생각했고, 그들의 주요 신앙 인 이슬람에서 흰색을 가장 아름답다고 여겼기 때문 이다(Wan, Li, Wang, & Li, 2014).

    3) Patterns and materials

    이슬람교는 우상숭배를 금하며, 인간이나 동물의 도안은 의류나 건물 등 위에 그려지는 것이 허락되지 않는다. 그들은 자연이나 사물 패턴으로 디자인을 하 며 미의 추구를 표현한다. 또한 신장 소수민족 초기의 원시 종교는 자연에 대한 숭상과 경배로 인해 자연으 로 디자인한 문양이 신장 소수민족 디자인의 주류가 되었다. 각종 꽃과 생활 도구를 패턴으로 하고, 여러 가지 규칙적이나 불규칙한 도형으로 각자의 옷을 장 식하고, 이슬람풍의 신장 소수민족 의상의 아름다움 을 선보이고 있다(Huang & Wu, 2018).

    신장의 누에와 실크 가공은 동한(東漢)에서 시작되 었고, 수당(隋唐)에서 발전하여 페르시아(Persia), 동 유럽, 로마와의 실크 무역과 교류가 잦았다. 현대 실 크로드 교류의 중심으로, 신장 문화예술의 발전, 직물 의 생산가공과 중앙아시아문화예술, 직물 가공 제조 물은 상호영향과 촉진 작용을 한다. 그 중에서 위구르 족 여성 복식의 특성은 원피스로 특히 아틀라스 실크 (Atlas silk)로 제작된 원피스를 즐겨 입었다. 겉에는 자주색이나 진한 남색과 검정색 등의 수놓은 조끼를 입었다.

    3. The background of Atlas in Xinjiang Uygur minorities

    1) The origin and definition of Atlas in Xinjiang Uygur

    아틀라스는 신장 위구르족의 가장 고전적인 전통 복식 소재이다. 언어 번역의 차이로 Atlas는 Aidelaisi, Silk Yidelaisi, Etles silk 등으로 음역되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 ‘Atlas’ 용어로 사용하며 ‘아틀라스’ 번역을 기준으로 한다. ‘아틀라스(Atlas)’라는 용어에 대해서 는 아랍어로 해석되는 경우가 많은데, 아랍어로는 지 도책이라는 뜻이며, 인도․유럽 어족에서 Atlas는 비 단, 문양이 있는 면, 모직물에 대한 통칭이다. 돌궐어 족에서 Atlas는 방염에 의한 문양을 표현한 특수 직물을 가리키는데, 이러한 아랍어 어휘는 12세기에 ‘QARA ATLAS’ 또는 ‘ATLAS’로 위구르 문헌에 등장했다. 허톈 위구르어로 ‘AT’는 몸, 고기를 의미하며, ‘LAS’ 는 찰랑찰랑, 깨면서 벗어나는 의미를 가지며, 오늘날 Atlas는 신장 위구르어에서 특정한 의미를 지닌 어휘 가 되어 찰랑찰랑하고 추상적인 비단 의미를 가진다 (Hou & Wang, 2011). 아틀라스는 위구르어로 “옥파 프능카나티구리(玉波甫能卡那提古丽)”라는 별명을 붙 였고, 그 뜻은 봄의 향기를 상징하는 ‘뻐꾸기 날개 꽃 (布谷鸟翅膀花)’이다.

    아틀라스는 종류가 다양하여 위구르 여성 어르신 부터 어린아이까지, 자신의 취향에 맞게 선택할 수 있 다. 이런 변화가 많고, 배색이 넓고, 섬세하고 정교한 직물은 나이와 계층에 상관없이 위구르 여성들에게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Y. Zhang, 2015). 신장 아틀라 스에 대한 역사적 자료는 아직까지 정설이 없으며, 기 존의 와다 허톈 지역 아틀라스의 직조는 모두 수공예 인들이 조상대로부터 물려받은 것이나 명확한 기록이 없다(Liu, 2010). 아틀라스는 2008년 신장 염직류 무 형문화유산이 되었다.

    2) Color features of Atlas

    아틀라스 실크는 원산지에 따라 크게 두 가지 유형 으로 나뉜다. 첫 번째 유형인 카슈가르(Kashgar)와 사 처(Shache) 아틀라스는 화려하고 산뜻한 색채로 잘 알려져 있다. 주로 청록색, 보라색, 노란색, 분홍색, 금 색 등 색깔을 이루고 있고, 대비가 강하며, 패턴이 섬 세하고 정교하게 가공되어 있다(Qi, 2014). 두 번째 유형은 허톈(Hetian)과 뤄푸현(Lop County)의 아틀라 스이다. 이 유형은 흑백색의 조화를 중시하는 반전 효 과, 허․실 교체 변화효과를 가지고 있고, 무늬의 모 양이 거칠고 색채가 간결하여 명쾌하며 자유로운 느 낌이 강하다. 항상 흰색 바탕의 검은 꽃이나 검은 바 탕의 흰 꽃, 또 빨간색, 파란색과 함께 골드, 로열블루 로 포인트를 주어 구성색은 적지만 무늬 변화는 다양 하다(Song, Wang, Guo, & Du, 2015).

    허톈 아틀라스 실크(Fig. 25) 패턴은 디자인 구성이 풍부하지만, 크게 두 가지 기본 색상만을 사용하고 포 인트를 더하였다. 카슈가르 지역의 아틀라스 제작은 주로 사처에 집중되어 있다. 허톈 지역보다 컬러가 더 화사하고 3개에서 6가지 고순도 대비 컬러로 구성되 었다. 전체적인 문양은 긴 막대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긴 줄무늬는 서로 독립적이다. 배치는 질서가 있으 며, 윤곽선이 뚜렷하다. 문양은 주로 빗 무늬, 방추 무 늬, 깃털 무늬를 구성한다. 패턴 배열 법칙에 따라, 단 일 열 반복, 열이 포함된 데칼코마니, 다중 열 반복의 세 종류로 구분하였다(Li, 2018; Fig. 26).

    아틀라스는 중국의 전통 실크에 비해 다양한 색상 을 무늬와 패턴으로 결합해 강렬한 비주얼을 형성하 였고, 과감한 대비 효과가 중국의 전통 컬러와 독특하 게 조화를 이뤘다. 이것은 신장 위구르 민족의 활발하 고, 밝고, 열정적인 성격과 관련이 있을 뿐만 아니라, 단조로운 사막이나 초원 자연환경과도 관련이 있다. 그들은 자연과 선명하게 대조되는 밝은 색의 옷을 좋 아한다(Mu, 2012). 아틀라스는 색상에 따라 검은 아 틀라스, 빨강 아틀라스, 노랑 아틀라스, 사처 아틀라 스(다색 아틀라스) 등 크게 4가지 종류로 나뉜다. 사 처 아틀라스(Fig. 27)를 제외한 세 종류의 아틀라스실 크는 기본 색상은 단색이며, 다른 컬러와 포인트를 주 면서 무늬가 돋보이게 하고, 우아하고 시크한 느낌을 보인다(Song et al., 2015).

    검은 아틀라스 실크는 가장 오랜된 역사를 가지고 있다. 검은색 배경에 무늬는 흰색으로 검은 아틀라스 실크라고 하며(Fig. 28), 민간에서 ‘안집연 아틀라스’ 라고도 부른다. 중, 고령 여성의 의상을 만드는 데 많 이 쓰인다(Qi, 2014). 검은 아틀라스 실크 패턴의 핵 심 부분은 양각의 모양이 변형된 것으로 각 양각마다 질서 정연하게 배열되어 있다. 가운데에 보석 패턴을 장식해서 전체적인 단일성을 깨뜨리고, 보석 가운데 는 빠단무(巴旦木, almond) 모양에 도안을 넣어 패턴 입체감을 더했다. 모든 패턴의 테두리 처리는 불규칙 한 선으로, 전체적인 무늬가 딱딱하지 않고, 레이어링 된 느낌을 준다(Li, 2017).

    빨강 아틀라스 실크는 붉은 바탕에 노란 빠단무 무 늬와 빗살무늬를 이루고, 젊은 여성과 중년 여성에게 많은 사랑을 받다(Fig. 29). 위구르족이 붉은색을 숭상 하는 것은 이슬람교에 귀의하기 전에 믿은 종교와 관 련이 있는데, 당시의 종교에서 빨강은 신비로운 색으 로 여겨지며, 한편 위구르족은 한족 전통문화의 영향 도 많이 받았다. 빨간색은 위구르족 주민들의 의류, 장식품, 카펫 직물 등에 주색으로 자주 사용된다. 빨 강 아틀라스의 문양은 주로 태슬, 빗살무늬, 배무늬 등이 있다(Mu, 2012). 문양의 요소가 순서대로 배열 되어, 상하좌우 모두 대칭이 된다. 상부는 뾰족하고 하부는 원형의 변형된 빠단무 모양이 겹겹이 중첩되 고 중간에 파란색 포인트가 있어 전체적인 따뜻한 톤 과 대비되어 더욱 화사하고 빠단무 밑부분은 태슬처 럼 보리 이삭 문양에 이어져 있어 풍년의 기쁨을 상징 한다. 전체적인 패턴은 심플하고 변화무쌍하며, 화려 한 색상은 열정이 넘치는 시각 체험을 주고 위구르족 의 열정이 표현되었다(Li, 2017).

    노란색은 위구르족의 생존 환경을 의미하며, 대막 과 황토의 색깔을 상징한다. 위구르족의 노란색에 대 한 애정은 한족의 전통적 색채의 영향을 받았다. 노랑 은 황금의 색이고, 고귀함과 존엄성, 화려함을 상징하 며, 위구르족에게도 고귀함의 상징이다(Mu, 2012). 노랑 아틀라스 실크의 바탕은 주로 밝은 옐로우 컬러 로, 무늬 색은 항상 짙은 그린, 흰색, 피치 등으로 매 치한다. 문양 패턴은 빨강 아틀라스와 비슷하고 주로 악기 무늬, 배 무늬와 빗살무늬로 되어 있으며, 핵심 패턴이 가장 바깥쪽에 갈색으로 그려져 선명한 색상 을 조화를 이루었다(Fig. 30). 색채가 다양하면서도 지 저분하지 않고 실크의 광택을 더해 화사한 느낌을 준 다(Li, 2017).

    자연환경과 종교의 영향으로 파랑과 녹색 아틀라 스도 점차 위구르족의 사랑을 받고 있다(Fig. 31). 파 란색 아틀라스는 위구르족의 자연에 대한 선호에서 유 래되었고, 하늘과 웅장한 마음을 상징하고 있다. 역사 적으로 서돌궐(Western Turkic Khaganate)은 ‘블루돌 궐’이라고 했는데, 이는 위구르족이 파란색을 선호한 다는 것을 보여준다(Fig. 32). 신장 위구르족은 서천 이 전에는 풀과 물을 따라 사는 유목민이었고, 풀과 물을 생명으로 생각하고 나무를 숭배하는 풍습이 있다. 사 막에서 녹색은 생명과 희망을 상징하며, 이슬람 깃발과 건축물에서는 녹색이 많이 사용되고, 이슬람교에서는 신성한 색으로 여겨진다(Mu, 2012;Y. Zhang, 2015).

    3) Pattern features of Atlas

    아틀라스의 문양과 공예는 모두 중앙아시아 문화 예술의 특징을 지니고 있다. 대칭 패턴의 사용, 투 사 이드스 컨티니얼(Two sides continual) 방법 이용, 식 물의 형태에서 원형 추출, 원색과 대비 색 계열을 선 호, 금․은사 교차 사용은 중앙아시아 몇 주변 여러 나라 직물의 특징과 비슷하다. 이것은 신장 현대예술 의 표현 요소들에 신비로운 중앙아시아 풍격을 더했 다(J. H. Zhang, 2015).

    아틀라스의 문양은 추상적으로 보이지만, 실제로는 다양한 실생활의 물상을 모티브로 하여 이미지 추상 화된 결과이다. 크게 식물 문양, 기하학적 문양, 가구 문양 등 세 가지 유형으로 나뉜다. 이 세 가지 종류의 문양은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또는 몇 가지 종류의 무늬를 조합하여 다양한 패턴을 형성할 수도 있다(Hou & Wang, 2011).

    아틀라스 식물 문양은 주로 화초, 나무와 가지 잎, 사과, 배, 박, 석류 및 빠단무 등이 있다. 이런 문양의 디자인은 신장의 지리적 환경과 분리할 수 없다. 기하 학적 문양 중 가장 흔한 것은 마름모꼴, 물결, 타원, 하트, 긴 막대형 등이다. 그중 마름모꼴 문양은 신장 에서 2,000년 이상 발전해 왔으며, 청동기 시대의 채 도문화에서 마름모꼴 문양은 이미 당시 주민들에게 널리 사용되었다(Xinjiang Institute of Cultural Relics, 1999). 기구 부품 문양은 소품을 원형으로 그려 제작 한 도형으로 독특한 민속 예술 특성을 가지고 있다. 신장 위구르족은 옛날부터 노래도 잘하고 춤도 잘 추는 민족이기 때문에 자주 사용하는 전통 악기는 사람들의 마음에 신성한 의미를 지닌다. 사람들은 사 랑하는 악기를 예를 들어 러와프(Rawap, 热瓦普), 깃작 (Ghijak, 艾捷克), 두타르(Dutar, 都塔尔)와 같은 악기 의 이미지를 아틀라스 실크에 표현한다. 이들 외에도 아틀라스 문양에는 깃털 문양, 태슬 문양, 조합 문양 등이 자주 나타난다(Table 1).

    본 연구는 신장위구르족의 아틀라스 직물의 특성 을 파악하기 위하여 아틀라스와 같은 직물제작 기법 으로 알려진 아카트의 지역별 특성을 조사하였으며, 이카트와 아틀라스 직물의 특성을 정리하면 <Table 2>와 같다.

    4) Fabrication and processing method of Atlas pattern

    아틀라스는 가공 방법에 따라 수공과 프린트 아틀 라스 두 종류가 나누어진다. 수공으로 경사 염색한 아 틀라스는 원료와 날염 가공 방법에 따라 천연 아틀라 스, 순수 실크 아틀라스, 실크와 다른 소재가 섞여 있 는 혼합 아틀라스, 합성 아틀라스 네 가지로 나누어진 다. 천연 아틀라스는 실크를 원료로 직조하여, 식물의 뿌리, 줄기, 잎, 꽃 및 과일 껍질(석류 껍질, 홍유 나무 뿌리, 꼭두서니, 홍화, 회화나무, 또는 호두나무 썩은) 등 및 미네랄(명반, 흑연, 연망간광)에서 추출한 염료 로 염색했다. 이 과정은 실을 뽑는 것부터 염색 및 조 직까지 모든 단계를 전통적인 수작업 방식으로 완성 했다(Hou & Wang, 2011).

    순수 실크 아틀라스는 경사와 위사가 다 실크 원사 로 사용되고 화합합성 연료로 염색하여 전통적인 수 작업으로 생산했다. 실크와 다른 소재가 섞여 있는 아 틀라스는 경사가 실크 원료로 사용하여 위사가 인조 필라멘트 원사로 능직(warp twill effect) 방식으로 경 사를 묶어 기계나 수공으로 만들었다. 기존의 아틀라 스 원피스는 패턴이 완벽하게 제작되어 있어서, 각각 제직 원단의 길이와 폭은 한계가 있고, 일반적으로 성 인 옷감은 한 필에 7미터의 원피스 한 벌만 만들 수 있다(Li & Zhang, 2004). 수공 아틀라스는 아주 오래 된 6페달 목공기계를 사용하기 때문에 폭은 보통 35~52cm 정도다.

    프린트 아틀라스는 현대 날염 기법을 사용하여 기 계로 짜임된 천위에 아틀라스 문양을 인쇄한다. 프린 트 아틀라스는 현대 기계로 직조하기 때문에 폭이 거 의 90cm 넘는데, 전통 편물기로 모조한 경우 45cm 정 도 밖에 되지 않는다. 현대의 아틀라스는 프린팅 기술 의 발달로 인해 시각적으로 혁신을 거듭하고, 문양의 번짐의 효과를 한 층에서 다층으로 바꾸고, 패턴의 구성도 교유한 연속적인 패턴을 깨고, 예술적인 추상 과 과장이 가득한 패턴의 자유로움을 조합했다(J. H. Zhang, 2015). 프린트 컬러가 제한되지 않으며, 이국적 인 색채를 보존하고 모던한 배색을 더해 디자인된다.

    Ⅳ. Conclusion

    무형문화재는 국가와 민족의 역사적인 성취의 중 요한 상징으로, 인간 문명의 진화를 연구하는 데 중요 한 의미가 있을 뿐만 아니라, 세계 문화의 다양성을 드러내는 독특한 작용을 하며, 인류의 공통 문화적 자 산이다. 따라서 소수민족의 물질적 문화를 합리적으 로 보호, 선전, 전승, 연구와 현대화, 다양한 모델 패턴 의 상호 작용을 통해 신장 염직 등의 보호와 발전에 대한 연구를 중점으로 삼았다. 본 연구는 신장 지역의 특성을 가지고 있는 소수민족 위구르족의 아틀라스에 대해서 조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카트 직조 기술은 국가마다 민족문화, 생활 방식에 따라 표현되는 색상, 무늬, 적용 방식이 다르 지만 모두 이카트 직조 공예에 속한다. 각 지역의 인 문적 의미와 특색을 갖춘 방직물을 형성했으며, 같은 직조 공예는 서로 다른 문화적 맥락에서 서로 다른 효 과를 발전시킨 것을 확인하였다. 동시에 그들은 매우 귀중한 것으로 간주되며, 사회적 지위를 상징하고 특 별한 행사나 결혼식 등 선물용으로 많이 사용되었다.

    둘째, 인도 파톨라 직물은 윤곽이 뚜렷하며 패턴이 정연하고, 인도네시아 지역 이카트 직물은 원주민 부 족의 영향을 받아 부족 원소들을 더해주고, 일본 가스 리 직물은 조형이 생활 및 민속 관념에서 영감을 얻었 고, 중앙아시아 우즈베키스탄과 중국 신장 지역의 아 틀라스 직물은 지리적 환경과 종교 및 민족문화의 영 향을 받으며, 색채는 더욱 화려하고 패턴이 많은 식물 이나 악기와 기하학적 도형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나 고 있다. 또한 우즈베키스탄과 달리 신장 아틀라스 직 물 패턴에는 사람과 동물의 문양이 나타나지 않는다.

    셋째, 신장 지역의 아틀라스는 오래된 염색과 직조 기법을 채택하고 있으며, 문양과 색채가 강한 지방 민 족의 특색을 지니고 있다. 색채 구도의 관점에서 보면 투톤 대비와 멀티 컬러 선염으로 변화하는 스타일을 선호한다. 가장 클래식한 것은 흑백색, 청색과 흰색, 녹색과 흰색, 빨간색과 노란색, 파란색과 녹색 등이 조화를 이룬다. 큰 대비 색으로 강렬한 시각적 충격을 주고, 이를 바탕으로 다른 컬러 포인트로 장식해 전체 적인 미감을 강화한다.

    넷째, 아틀라스의 패턴은 대부분은 긴 스트랩, 반 복, 깔끔하고 규칙적인 배열을 가지고 있고, 풍부하고 자유로운 패턴은 위구르족 사람들의 열정적이고 호방 한 성격을 반영하고 있다. 이러한 성격은 신장 위구르 족의 문화 심리를 형성하고, 또한 그들은 밝고 다채로 운 심미 이념을 선호하는 것을 결정하였다. 아틀라스 는 신장 위구르족 여성의 인기 있는 옷감일 뿐만 아니 라 민족의 정신과 문화를 담은 매개체이기도 하다.

    이와 같은 전통문화 유산의 현대화와 응용은 최근 친환경 소재 사용, 신기술, 재생 자원 활용 등과 고려 하여 다양하게 응용되고 발전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무형문화재는 더욱 보호하고 이해하여 계승 발전에 대해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Figure

    RJCC-28-2-199_F1.gif

    India From Kahlenberg & Bérinstain. (2001). p.105.

    RJCC-28-2-199_F2.gif

    Indonesia From Kahlenberg & Bérinstain. (2001). p.203.

    RJCC-28-2-199_F3.gif

    Japan From Kahlenberg & Bérinstain. (2001). p.269.

    RJCC-28-2-199_F4.gif

    Uzbekistan From Kahlenberg & Bérinstain. (2001). p.71.

    RJCC-28-2-199_F5.gif

    China XinJiang From Yang. (n.d.)www.biftmuseum.com

    RJCC-28-2-199_F6.gif

    India Gujarat From PlaneMad. (2008a). https://commons.wikimedia. org

    RJCC-28-2-199_F7.gif

    Gujarat Double ikat silk From Kahlenberg & Bérinstain. (2001). p.104, p.106.

    RJCC-28-2-199_F8.gif

    India Orissa From PlaneMad. (2008b). https://commons.wikimedia .org

    RJCC-28-2-199_F9.gif

    Orissa ikat From Strand of silk. (n.d.)www.strandofsilk.com

    RJCC-28-2-199_F10.gif

    Andhra pradesh From PlaneMad. (2008c). https://commons.wikimedia .org

    RJCC-28-2-199_F11.gif

    Weft ikat From Andhra Pradesh. From Strand of silk. (n.d.)www.strandofsilk.com

    RJCC-28-2-199_F12.gif

    Centre Sumatra, warp ikat From Kahlenberg & Bérinstain. (2001). p.182.

    RJCC-28-2-199_F13.gif

    Bali, weft ikat From Kahlenberg & Bérinstain. (2001). p.198.

    RJCC-28-2-199_F14.gif

    Bali Group, double ikat From Sarajo. (n.d.)www.sarajo.com

    RJCC-28-2-199_F15.gif

    Lombok, weft ikat (Sokong) From Pusaka collection. (n.d.)http://ikat.us

    RJCC-28-2-199_F16.gif

    Sulawesi, warp ikat From Kahlenberg & Bérinstain. (2001). p.165.

    RJCC-28-2-199_F17.gif

    Vegetable fibre with double ikat From Kahlenberg & Bérinstain. (2001). p.266.

    RJCC-28-2-199_F18.gif

    Okinawan banana fibre kasuri (double ikat) From Kahlenberg & Bérinstain. (2001). p.257.

    RJCC-28-2-199_F19.gif

    Omi Okinawan double ikat (i-kasuri) From Kahlenberg & Bérinstain. (2001). p.269.

    RJCC-28-2-199_F20.gif

    Plant pattern: Floral, floral & geometry, paisley, tree of life From Liao. (2017). p.25.

    RJCC-28-2-199_F21.gif

    Animal pattern: spider, ram horn, scorpion From Liao. (2017). p.26.

    RJCC-28-2-199_F22.gif

    Silk coat with warp ikat From Kahlenberg & Bérinstain. (2001). p.71.

    RJCC-28-2-199_F23.gif

    Silk velvet coat of a dignitary with ikat From Kahlenberg & Bérinstain. (2001). p.74.

    RJCC-28-2-199_F24.gif

    Uygur traditional men’s and women’s clothing From Li. (1995). pp.257-264.

    RJCC-28-2-199_F25.gif

    Hetian Atlas From Zhou. (2017). p.17.

    RJCC-28-2-199_F26.gif

    Shache Atlas From Zhou. (2017). p.19.

    RJCC-28-2-199_F27.gif

    Shache Atlas From J. H. Zhang. (2015). p.63.

    RJCC-28-2-199_F28.gif

    Black Atlas From J. H. Zhang. (2015). p.41.

    RJCC-28-2-199_F29.gif

    Red Atlas From J. H. Zhang. (2015). p.53.

    RJCC-28-2-199_F30.gif

    Yellow Atlas From J. H. Zhang. (2015). p.62.

    RJCC-28-2-199_F31.gif

    Green Atlas From J. H. Zhang. (2015). p.84.

    RJCC-28-2-199_F32.gif

    Blue Atlas From J. H. Zhang. (2015). p.45.

    Table

    Types of Atlas pattern

    Characteristics of Ikat textiles and Atlas textiles by region

    Reference

    1. Abulizi, A. (2005). Uygur traditional costume designs and cultural connotation. Journal of Northwest Minorities University (Philosophy and Social Science), 5, 147-152.
    2. Choi, H. J. , & Ha, J. S. (2006). Traditional Indian textile design found in 21st century fash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6(7), 133-147.
    3. Cui, Y. , Liu, Y. F. , & Zhen, R. (2016). The traditional Japanese textile art journey - A case study of Tokyo and Okinawa. Art & Design Research, 4, 21-26.
    4. Guy, J. (1998). Woven cargoes: Indian textiles in the East. London: Thames and Hudson.
    5. Han, S. (2019). A study on the muslim costumes of China’s Xinjia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Korea.
    6. Han, Y. G. (1996). A study on warp ikat. Unpublished master’s thesis, Dongduk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7. Hou, S. X. , & Wang, B. (2011). 和田艾德莱斯 [Adeles, Hotan]. Suzhou: Suzhou University Press.
    8. Huang, W. B. , & Wu, X. L. (2018). Clothing innovation spreads regional visual culture-review of “Research on Xinjiang minority costumes and culture”. Textile Auxiliaries, 35(9), 74-75.
    9. Ikat history. (n.d.). In Wikipedia. Retrieved July 2, 2019, from https://en.wikipedia.org/wiki/Ikat
    10. Kahlenberg, M. H. , & Bérinstain, V. (2001). Asian costumes and textiles from the Bosphorus to Fujiyama: The Zaira and Marcel Mis Collection. Milano: Skira.
    11. Kax, W. (1979). History of textiles. Colorado: West view Press.
    12. Kim, G. H. , & Lee, K. H. (2015). The creative chara cteristics of Kimono utilizing the Ikat technique. Journal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 18(1), 149-163.
    13. Koo, H. K. (2005). Analysis of pattern for Indonesian traditional textile design. Journal of the Korea Fashion and Costume Design Association, 7(3), 83-94.
    14. Li, A. N. , & Zhang, H. D. (2004). The researches on atlays and behesam. Journal of Xinjiang Arts University, 2(3), 22-27.
    15. Li, W. (2017). Redesign of glass surface with atles grain appearance. Design, 8, 132-133.
    16. Li, X. B. (1995). 中国西域民族服饰研究 [Study on the national costume of western regions in China]. Urumqi: published by Xinjiang People’s Publishing House.
    17. Li, Y. (2018). Atlas visual language art performance in jewelry design.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ina University Of Geosciences, Wuhan, China.
    18. Li, Y. J. (2012). The symbolism of the Xinjiang uygur costumes. Folk Art and Culture, 7, 102-104.
    19. Liao, W. H. (2017). The artistic features and innovative applied research of ikat fabric pattern in Central Asia. Unpublished master’s thesis, Jiangnan University, Wuxi, China.
    20. Liao, W. H. , & Wang, H. F. (2017). Discussion on kasuri pattern in Japan and features of its representative patterns. Silk, 54(1), 56-63.
    21. Liu, Y. (2003). The religious connotations of the uygur’s dresses. Northwestern Journal of Ethnology, 2, 140-146.
    22. Liu, Y. (2010). The research of atlays history and the study of atlays legend context. Journal of Kashgar Teachers College, 31(5), 29-31.
    23. Ma, A. X. (2017). Atlas’ inheritance from the perspective of ecological spa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Nanjing Normal University, Nanjing, China.
    24. Ming, F. , & Liao, Z. Y. (2017). The influence of adlai silk on the cultural value of Xinjiang. In 2017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novations in Economic Management and Social Science 29, 934-940. Paris: Atlantis Press.
    25. Mu, H. (2012). Analysis of color culture of Atlas. Artistic Sea, 11, 183-184.
    26. Number of population. (n.d.). In Baike. Retrieved July 2, 2019, from https://baike.baidu.com/item/新疆/132263
    27. Park, Y. S. (1999). A study on technique of ikat. Unpublished master’s thesis, Dankook University, Seoul, Korea.
    28. PlaneMad. (2008a, December 29). India Gujarat locator map. Retrieved September 10, 2019, from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India_Gujarat_locator_map.svg
    29. PlaneMad. (2008b, December 29). Orissa locator map. Retrieved September 10, 2019, from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1/1f/India_Orissa_locator_map.svg
    30. PlaneMad. (2008c, December 29). Andhra Pradesh locator map. Retrieved September 10, 2019, from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India_Seemandhra_locator_map.svg
    31. Pusaka collection. (n.d.). Sulawesi, Toraja. Retrieved September 10, 2019, from http://www.ikat.us/ikat_064.php
    32. Qi, C. Y. (2014). Uyghur adelais silk craft. Costume History and Culture Skills and Development, 1, 188-192.
    33. Rao, L. (2006). Research on uygur costume culture. Journal of Nanning Polytechnic, 15(4), 16-19.
    34. Sarajo. (n.d.). Geringsing double Ikat. Retrieved September 10, 2019, from https://www.sarajo.com/product/geringsing-double-ikat/
    35. Sim, K. H. (1999). Regional characteristics of Indonesian ikat fabrics. 18th Anniversary Conference on Opening of Onyang Folk Museum, Southeast Asian Fabric and Clothing Culture, 141.
    36. Song, D. H. , Wang, X. S. , Guo, J. N. , & Du, J. G. (2015). Study on the structure and cutting technology of atlas textile dress. Modern Textile Technology, 23(1), 38-41.
    37. Strand of silk. (n.d.). Uncovering the history of ikat. Retrieved September 10, 2019, from https://strandofsilk.com/journey-map/andhra-pradesh/ikat/history
    38. Wan, S. H. , Li, G. P. , Wang, J. , & Li, J. (2014). Research on the traditional dress culture for Xinjiang minority nationality in the process of the modernization. Journal of Tarim University, 26(4), 42-46.
    39. Warming, W. , & Gaworski, M. (1981). The world of Indonesian textiles. New York: Kodansha International.
    40. Wu, Z. , & Lee, H. J. (2006). Characteristics of national races’ costumes in Chinese contemporary costumes.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14(6), 956-970.
    41. Xinjiang Institute of Cultural Relics. (1999). 新疆察吾 乎:大型氏族墓地发掘报告 [Chawuhu, Xinjiang: excavation report of large gens cemetery]. Beijing: Orient Press.
    42. Yang, H. H. (n.d.). Uygur atlas skirt’s material. Retrieved September 10, 2019, from http://www.biftmuseum.com/collection/info?sid=707&nationSid=5&colCatSid=2&nationName=维吾尔族#atHere
    43. Zhang, J. H. (2015). 新疆艾德莱丝绸传统工艺[Xinjiang atlas silk traditional crafts]. Urumqi: Xinjiang Art Photography Press.
    44. Zhang, Y. (2015). The research of Atlas pattern’s application in indoor textile design. Unpublished master’s thesis, Zhejiang Sci-Tech University, Hangzhou, China.
    45. Zhou, Y. (2017). The study of adras pattern and its innovation and adhibition in modern design.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zhou University, Suzhou, China.

    Appendi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