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rossref logo
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6-0401(Print)
ISSN : 2383-6334(Online)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Vol.28 No.3 pp.299-312
DOI : https://doi.org/10.29049/rjcc.2020.28.3.299

Building up the foundation for the elderly apparel industry through the development on shirt sloper of elderly obese males

Ok jin Seong, Sook jin Kim*
Lecturer, Dept. of Fashion Design, Sejong University, Korea
*Professor, Dept. of Fashion Design, Sejong University, Korea
Corresponding author (ksjina@sejong.ac.kr)

May 20, 2020 June 23, 2020 June 24, 202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eate a shirt sloper suitable for an elderly male body shape by producing virtual models using a 3D-virtualization program, making a torso prototype using the Yuka CAD system, and employing 3D simulation to virtualize and calibrate the model. First, the following three types of obese dummies are implemented through the CLO 3D program: Type 1 exhibits body fat in the lower body; Type 2 exhibits an obese abdomen; and Type 3 displays a balanced form of obesity. Second, for the design of the shirt pattern, the waist back length (measured value+1), back armhole depth (C/10+12+3+0.5~1.5), front armhole depth (back armhole depth 0~1), front interscye (2C/10‒1+0.5‒0.5), armscye depth (C/10+2+3.5+ 0.5), back interscye (2C/10‒1+1), front chest C (C/4+2.5+1), back chest C (C/4+2.5‒1), front hem C (C/4+2.5+1(+2)), back hem C (C/4+2.5‒1(+2)), cap height (AH/3‒5), and biceps width (Front AH‒1, Back AH‒1) are calculated. Third, the virtual attachment of the shirt pattern is resolved by increasing the front and back armhole depths, and the front and rear wrinkles are improved by adding a back armhole dart. The front hem lift and lateral pull caused by the protrusion of the abdomen are amended by increasing the margin of the chest, waist C, and hip C, with the appearance improved by balanced margin distribution in the front, back, and side panels. The improved retail pattern with an increase in the front armholes C was balanced on the torso plate.



노년 비만남성의 셔츠원형 개발을 통한 실버 의류산업 활성화 기반 구축
- CLO 3D 가상착의 시스템 활용 -

성 옥 진, 김 숙 진*
세종대학교 패션디자인학과 강사
*세종대학교 패션디자인학과 교수

초록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2017S1A5A2A01025719

    I. Introduction

    평균 수명이 증가함에 따라 빠르게 고령화 사회로 진입하였고, 이로 인해 노령인구의 증가뿐 아니라, 사회구조와 소비경제 유형의 변화를 초래하였다. 과거와 달리 의과학의 발달로 인해 한국 의 평균 수명이 80세를 넘어섰다(M. R. Kim, 2015). 오늘날 노년기 소비자들은 자신들의 나이를 젊게 인 식하며 건강하고 활동적으로 체육시설 및 복지관, 노 인정, 노인대학과 같은 사회교육기관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경제적 여유 속에 취미와 여가생활을 즐기 는 등 삶의 질을 높이려는 욕구가 강하다. 이들은 경 제, 문화적으로 생활수준이 높고, 젊음을 유지하며 건 강하고 아름다운 삶을 추구한다. 이러한 노년층의 사 회참여, 자아회복에 대한 인식 및 경제력 향상은 의복 과 외모에도 큰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이는 사회 활 동에 자신감을 주고 위축된 심리를 회복하는데 일조 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노년시기의 의복은 매우 중요 한 부분이 되었다(Choi & Chu, 2014).

    고령화와 더불어 비만인구는 지속적으로 증가되고 있고,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한국의 고도비만 인구가 2030년에는 현재의 2배 수준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비만으로 인해 야기되는 건강상의 악 영향 및 사회적 경제적 손실규모가 지속적으로 증가 하고 있는데, 특히 비만에 따른 사회 경제적 손실규모 는 남성이 여성에 비해 1.3배 큰 것으로 나타났다. 따 라서 기대수명이 늘어나는 상황에서 실질적 삶의 질 향상과 건강수명 향상을 위한 적극적인 예방과 비만 관리가 필요하며, 이에 노인대상 신체활동 프로그램 확대, 건강센터 확충 및 활성화 등 범정부 차원의 다 양한 대책이 수립되고 있다(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2018).

    그러나 노년기에 접어들수록 체형이 변하여 체중 이 크게 증가하고, 둘레는 확장되고, 등이 굽어 신장은 감소하며 체온조절 등의 신체기능이 약화된다. 근력 의 저하로 무거운 의복이나 여밈이 복잡한 형태의 의 복을 착용하는 것이 어렵지만, 새로운 직장이나 봉사 활동, 종교 활동으로 라이프스타일에 맞는 패션이 필 요하다(Yi, 2003). 이처럼 활발히 활동을 하는 노인들 은 외모에 대해 관심을 갖기 시작하였고, 실버 패션의 중요성이 커지면서 노인의 체형에 적합한 의복 개발 을 요구하게 되었다(Cha, 2019). 노년층의 체형 결점 을 보안하고, 신체의 불편함을 해소해주는 의복 디자 인과 패턴 개발은 그들에게 심리적으로 안정감을 주 고, 사회적 활동에서는 편안함과 쾌적함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실버의류산업의 중요한 과제라고 할 수 있다(J. E. Kim, 2015). 또한 비만인구의 증가로 인한 국내 플러스 사이즈 의류 시장은 대부분 중장년층에 맞추어져 있어, 소비자 특성에 따른 시장 세분화가 초 기단계에 있고, 플러스 사이즈 소비자에 대한 파악과 접근이 어려워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최근에는 디지털 생산기술의 발달로 3D 프로그램 을 활용한 패턴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데, 3D 가상착의(virtual clothing)는 빠른 생산과 소비 속도에 부합하는 의류제품 개발의 일환으로 그 역할과 비중 이 점차 증대되고 있다. 3D 가상착의는 샘플작업의 시 간 단축과 더불어 의류제품 개발비용의 축소가 가능 하며, 다품종 소량생산과 인터넷 소비의 가속화 및 스 파 브랜드의 난립 등으로 인한 빠른 제품개발을 위해 필요하며, 샘플사의 고령화에 따른 생산기술의 변화 속도를 더욱 가속화시킬 것이다(Ju & Jeong, 2016).

    따라서 본 연구는 활발히 상용화되고 있는 3D 가 상착의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샘플작업과 같은 방식으 로 가상모델을 제작하고, CAD 시스템을 이용하여 셔 츠 원형을 제작한 후 3D 시뮬레이션에 의한 가상착의 및 보정을 통하여 노년비만 남성의 체형에 적합한 셔 츠 원형을 제시하는데 연구목적이 있다. 이러한 노년 비만남성에 대한 패턴 연구는 의복착용의 안정감을 줄 뿐 아니라 의복의 생산을 위한 비용의 절약과 생산 효율성을 극대화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Ⅱ. Methods

    1. Subjects

    본 연구의 피험자 선택은 선행연구(Seong & Kim, 2018)를 바탕으로 하여 5차 한국인 인체치수조사’자 료(Korean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KATS], 2004) 중 60~85세의 노년 남성을 대상으로 하였다. 노년 비만남성의 피험자수는 노년 비만여성 보다 적어 피험자수가 많고 연령대가 넓은 제5차 인 체치수조사(KATS, 2004) 자료를 사용하였고, Rohrer 지수는 성인 기준 1.6 이상을, 체질량지수(BMI)는 25 이상을 비만 기준(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Obesity, 2012)으로 하여 판정기준에 적합한 249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2. Production of 3D avatar

    본 연구에 사용되는 3D 아바타는 선행연구(Seong & Kim, 2018)에서 구현된 아바타를 CLO 3D 5.2의 최신 버전 프로그램을 통해 재구현한 것으로 앞길이 와 뒤중심길이의 항목을 추가하여 등이 굽은 정도를 표현할 수 있는 새로운 아바타로 제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바른 체형에 국한되었던 연구에서 좀 더 노 년체형에 근접한 연구가 가능해졌다는 점에서 의의를 둘 수 있다. <Table 2>는 선행연구(Seong & Kim, 2018) 에서 분류된 3가지 비만유형의 아바타를 새롭게 제시 한 것이고, <Table 3>은 아바타 구현을 위해 사용된 비만체형의 신체 사이즈이다. 유형1은 복부가 비교적 날씬하고 하체가 발달한 하체비만 유형이며, 유형2는 상체가 가장 비만하고 특히 복부가 비만한 복부 비만 체형이다. 유형3은 상체와 하체가 균형 잡힌 비만체 형이다.

    3. Development of shirts sloper

    노년 비만남성의 체형으로 구현된 3개의 아바타를 위한 착의 실험용 패턴은 대학 교재(Kim & Park, 2004) 로 사용되고 있는 패턴을 사용하였다. 제도방법은 <Fig. 1>과 같으며 제도식은 <Table 9>에 제시되었다. 제작 방법은 YUKA CAD 프로그램을 통해 패턴을 제 작하여 .dxf 파일로 저장한 후 CLO 3D 프로그램에서 파일을 불러와 시뮬레이션을 시행하는 방법이다. 이것 은 착장 상태에서 패턴 창을 통해 수정이 가능하고 착 의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며, 패턴 수정 시 YUKA CAD 프로그램에서 패턴을 다시 불러오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으나 마지막 완성 패턴은 YUKA CAD에서 작업 하여 최종적으로 CLO 3D 프로그램에서 착장하여 완 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여러 번의 수정단계를 거처 3가지 체형에 모두 적합한 셔츠 원 형을 개발하여 제시하였다.

    4. Virtual garment simulation body measurement analysis

    가상착의 평가를 위해 사용된 프로그램은 CLO 5.2 의 최신 버전으로 착장 시뮬레이션과 투시도 및 변형 률, 접촉면을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착장 소재(fabrics) 는 CLO 3D 프로그램에 내장되어 있고, 셔츠 소재로 주로 사용되는 cotton 40’s chambray를 적용하였다. 투시도(opacity)는 아바타와 의상 사이의 간격을 시각 적으로 비교하는 것으로 0%~100%의 범위 중 40%로 설정하여 분석하였다. 변형율(strain)은 아바타와 의 상의 밀착정도를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의상이 잘 맞 는지 너무 타이트한지를 확인할 수 있다. 접촉면(show pressure point)은 아바타와 의상이 닿는 곳에 청색점 이 분포하여 청색점이 많을수록 여유가 적고 압력을 받는 위치임을 알 수 있다.

    5. Evaluations of appearance

    외관평가는 선행연구(Jeon, 2019;Kim, Kim, & Park, 2014;Lim, 2015)를 참조하여 정면, 측면45°, 측면, 후 면에 대한 사진을 보고 각 부위의 여유량, 실루엣, 기 준선 등을 관찰하여 5점 척도(1점: 매우 적절치 않다, 5점: 매우 적절하다)로 평가하였다. 총 평가항목은 앞 면, 뒷면, 옆면, 실루엣의 16문항으로 평가자는 의류 학을 전공한 전문가집단 10인으로 구성하였다.

    6. Data analysis of appearance evaluations

    착의평가 분석은 SPSS 21.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 하였으며 패턴을 비교 분석하기 위해 분산분석(ANOVA) 과 t-test를 실시하였다.

    Ⅲ. Results and Discussion

    1. Analysis of virtual garment simulation on the comparative patterns

    노년 비만남성의 체형에 적합한 셔츠 원형을 개발 하기 위해 체형별 비교패턴을 가상착의하여 외관평가 를 실시하였다(Table 4 and 5).

    유형1은 목너비가 작고 앞배부위를 중심으로 옆선 쪽으로 팔자형의 주름이 생기고, 암홀앞뒤로 주름이 있으며, 뒤가슴선에서 허리 쪽으로 당기는 주름을 볼 수 있다. 유형2는 목너비가 작고 복부 비만으로 인해 배 부위가 당기고 앞뒤가슴선와 엉덩이선에서 배 부 위쪽으로 당기는 타이트한 주름이 있으며, 암홀 앞뒤 로 주름이 있다. 유형3은 유형1과 유사한 상태를 나타 내고 있는데, 유형1보다 배 쪽으로 향하는 군주름이 적 으나 뒤암홀 쪽의 군주름은 유형1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나 체형 차이에서 오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외관평 가 결과를 살펴보면 목둘레선과 뒤품, 앞암홀 군주름은 유형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지만, 가슴둘레, 허리 둘레, 밑단둘레, 뒤암홀 군주름, 전체적인 외관의 경우 p<.001 수준에서 집단별로 유의한 차를 나타내 유형 1,3에 비해, 유형2는 외관이 좋지 못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배가 많이 돌출한 복부비만 체형인 유형2는 일 반적인 비만체형과 다른 형태의 패턴 연구가 필요하다.

    2. Modification for pattern development

    연구패턴을 개발하기 위한 수정과정을 단계적으로 정리하여 제시하였다(Table 6). 비교패턴에 대한 가상 착의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1차 수정을 실시하였는 데, 비교패턴의 목너비는 좀 작게 보여 앞뒤 목너비를 0.5cm 늘려주었다. 복부비만인 비만체형의 특징을 고 려하여 앞가슴둘레와 앞밑단둘레(C/4+2.5)는 1cm 늘 려주고 뒤가슴둘레와 뒤밑단둘레는 1cm 줄여주어 앞 뒤 균형을 유지하였다 또한 허리옆선의 들림 분량을 0.5cm 줄여주어 허리의 여유량을 증가시켰고, 뒤암홀 의 군주름을 줄이기 위해 암홀 다아트를 1cm 늘려주 었다. 그러나 1차 수정에도 여전히 암홀의 군주름과 앞뒤밑단둘레의 군주름이 남아있어서 2차 수정에서 는 앞품(2C/10‒1+0.5)을 0.5cm 줄이고, 겨드랑너비 (C/10+2+3.5)를 늘려 앞판, 뒤판, 옆판의 균형을 유지 하였다. 또한 배의 돌출로 인한 앞판의 들림 현상을 수정하기 위해 등길이를 기존의 계산식이 아닌 실제 계측치에 여유분 1cm로 늘려주었고, 뒤암홀깊이(C/10+ 12+3)를 유형1과 유형3은 0.5cm 늘려주고 유형2는 1cm 늘려주었다. 유형2는 앞뒤밑단둘레 당김이 남아 있어 1cm 여유분량을 주었고, 옆선 들임 분량을 없애 고 가슴둘레선과 밑단둘레선을 직선으로 연결하여 배둘레의 여유량을 좀 더 확보하였다. 또한 모든 유형 에서 뒤암홀의 군주름이 남아있어 뒤암홀 다아트를 0.5cm 더 늘려주었다. 앞판, 옆판의 확장과 뒤암홀 다 아트의 확장으로 앞암홀은 커지고 뒤암홀은 작아져 기존의 비교패턴 계산식(AH/2‒0.5~1.5)이 아닌 새로운 계산식(Ryu, 2001)을 적용(front AH‒1, back AH‒1)하 여 소매의 앞뒤 균형을 유지하였다.

    유형1과 유형3은 2차 수정에서 좋은 외관을 보였 지만 유형3은 배의 돌출이 다른 유형보다 커서 여전 히 앞밑단의 들림과 뒤암홀의 군주름이 남아있어 뒤 암홀 깊이(C/10+12+3)를 0.5cm 늘려주고, 앞암홀 깊 이를 뒤암홀 깊이와 같게 설정하여 앞길이를 늘려주 었다. 또한 앞뒤 밑단둘레를 유형1,3보다 1cm 늘려주 고, 뒤암홀 다아트를 3cm로 늘려 암홀부위 군주름을 줄여주어 외관을 향상시켰다.

    3. Evaluations of virtual garment simulation on the developed patterns

    3차례 수정에 의해 개발된 연구패턴의 가상착의와 외관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Table 7 and 8). 연구패턴 은 앞뒤 목너비를 좀 더 파주어 접촉면(show pressure point)이 안정적인 파란색을 유지하는 것을 알 수 있 고, 체형에 따라 앞뒤 암홀깊이를 늘려주어 배의 돌출 로 인한 앞들림 현상을 개선하였으며, 뒤암홀 다아트 를 늘려주어 뒤암홀 군주름을 줄려주었다. 또한 앞암 홀 군주름을 줄이기 위해 앞품은 줄이고 겨드랑너비 를 늘려 앞판, 뒤판, 옆판의 균형을 유지하였다. 배의 돌출로 측면의 당김 현상을 개선하기 위해 앞가슴둘 레와 앞밑단둘레는 늘려주고, 뒤가슴둘레와 뒤밑단둘 레는 줄여주어 배주위로 당겨지는 현상을 감소시켰으 며, 특히 유형2는 다른 체형에 비해 배의 돌출이 더욱 심해 밑단둘레선을 더 늘리고 가슴선에서 밑단을 긋 는 옆선을 직선으로 하여 배둘레의 여유분을 좀 더 증 가시켰다. 따라서 유형2와 같이 drop이 2cm 미만인 체 형은 유형1,3과 다른 패턴이 요구되는 것을 알 수 있 다. 이러한 결과로 앞판을 크고 뒤판이 작은 몸판의 특징을 반영하여 셔츠 소매의 제도법도 앞뒤를 동일 하게 나누는 기존의 패턴 제도법을 대신하여 앞뒤 각 각의 소매둘레에 여유분을 빼주는 식을 적용하여 몸 판과 소매가 균형을 이루도록 하였다. 이렇게 일반체 형과 달리 배가 돌출한 비만체형은 특히 복부 비만체 형은 일반 비만체형과 다른 패턴으로 제도되어야 하 는 것을 알 수 있다. 외관평가 결과는 세 체형 모두에 서 비교패턴에 비해 연구패턴이 고르게 향상된 것으 로 평가되어 연구패턴이 노년 비만체형에 적합한 패 턴으로 나타났다.

    4. Suggestion of shirts sloper for elderly obese males

    노년 비만남성의 체형적 단점을 보완하고 전체적 으로 여유량이 고르게 배분되도록 셔츠원형을 제작하 였다. <Table 9>는 비만체형의 유형에 따라 연구패턴 과 비교패턴의 계산식을 제시한 것이고, <Table 10>은 연구패턴과 비교패턴의 패턴 사이즈를 제시한 것이 다. <Fig. 2>는 유형1과 유형3의 셔츠원형(A형) 제도법 을 제시한 것이고 <Fig. 3>은 복부비만인 유형2의 셔 츠원형(B형)을 제도한 방법이며, <Fig. 4 and 5>는 각 유형별 연구패턴과 비교패턴을 비교한 그림이다.

    셔츠 원형의 가슴둘레는 일반적으로 앞뒤를 동일 하게 나누는 방법으로 제도하지만 본 연구의 셔츠 원 형은 복부비만의 특성을 반영하여 앞가슴둘레(C/4+ 2.5+1)가 뒤가슴둘레(C/4+2.5‒1)보다 1cm 크게 제도 하였다. 또한 밑단둘레는 유형1과 유형2는 가슴둘레 의 배분과 동일하게 유지하고, 옆허리선에서 0.5cm 들 임 분량을 줄여 배의 여유량을 증가시켰다. 특히 유형 2처럼 drop 2cm 미만의 복부비만형은 밑단 들림과 측 면 당김 현상을 완화하기 위해 앞뒤밑단둘레에 2cm 의 여유분을 주고, 가슴선에서 밑단선까지 직선으로 제도하여 유형1과 유형2보다 배의 여유량을 많이 증 가시켰다. 등길이도 기존의 신장을 기준으로 하는 계 산식을 사용하지 않고 복부비만으로 인한 앞길이 증 가로 인해 신체측정치에 1cm를 추가하여 제도하였다. 뒤암홀 깊이(C/10+12+3+0.5)도 유형1과 유형3은 0.5cm 늘려주고, 유형2는 1.5cm 늘려주어 앞길이의 여유량 을 증가시켰다. 앞암홀 깊이(뒤암홀 깊이‒1)도 유형1 과 유형3은 같으나, 유형2는 앞길이의 여유량을 좀 더 확보를 위해 뒤암홀 깊이와 동일하게 제도하였다.

    앞품(2C/10-1+0.5–0.5)은 앞진동둘레 군주름을 줄 이기 위해 0.5cm 줄여주고, 대신에 겨드랑 너비(C/10+ 2+3.5+0.5)를 0.5cm 증가시켜 앞판, 뒤판, 옆판의 균 형을 유지하도록 했다. 앞뒤목너비는 0.5cm 늘려주었 고, 뒤암홀 다아트는 배의 돌출로 인한 젖혀진 체형의 특징으로 뒤진동둘레의 군주름이 많이 생겨 유형1과 유형3은 2.5cm 다아트를, 유형2는 3cm의 다아트를 주어 뒤암홀 군주름을 해소하였다. 또한 소매 제도에 서도 앞뒤 암홀둘레를 이등분하는 기존 소매 제도방 식이 아닌 앞 암홀둘레 증가로 각각의 앞뒤암홀둘레 에서 1cm를 빼는 방식으로 제도하여 소매와 몸판의 균형을 유지하도록 하였다.

    연구된 원형은 선행연구(Nam & lee, 2005)의 남성 클래식 셔츠원형과 비교했을 때 등길이, 암홀깊이가 길고, 앞가슴둘레가 뒤가슴둘레보다 크며, 앞뒤밑단 둘레가 더 여유가 있으며, 소매도 커진 앞암홀 둘레를 반영하여 제도된 것이 차이점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노년 비만남성의 셔츠원형 개발을 통해 2가지 형태의 원형을 제시하였지만, 이를 사용하는 기준은 drop(가슴둘레‒허리둘레)를 기준으로 2cm 미 만인 경우는 유형2의 원형(B형)을 사용하고, 그 외에 는 유형1, 3의 원형(A형)을 사용할 것을 제시하고자 한다.

    Ⅳ. Conclusion

    본 연구는 복부비만과 같은 노년 비만남성의 형태 적 특징을 보완한 셔츠원형을 개발하고자 연구되었 다. 셔츠 원형의 연구과정은 YUKA CAD 시스템을 이용하여 패턴을 제작하고, 3D 가상착의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아바타를 제작한 후, 아바타에 셔츠 패턴을 착장시켜(시뮬레이션) 보정을 하는 과정으로 이루어 졌으며, 노년 비만남성의 체형에 적합한 셔츠원형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선행연구(Seong & Kim, 2018)에서 구현된 아바타를 최신 버전 프로그램을 통해 앞길이와 뒤중 심길이의 항목을 추가하여 등이 굽은 정도를 표현할 수 있는 새로운 비만유형의 아바타를 제시하였다. 비 만 유형별 비교패턴의 가상 착의를 실시한 결과, 유형 1과 유형3은 목너비가 작고 앞배부위를 중심으로 옆 선 쪽으로 팔자형의 주름이 생기고, 암홀 앞뒤로 주름 이 있으며 뒤가슴선에서 허리 쪽으로 당기는 주름을 볼 수 있다. 유형2는 목너비가 작고 복부 비만으로 인 해 배 부위가 당기고 앞뒤가슴선와 엉덩이선에서 배 부위쪽으로 당기는 타이트한 주름이 있으며, 암홀 앞 뒤로 군주름이 있다. 특히 유형2는 전체적으로 좋지 못한 평가를 받아 배가 많이 돌출한 복부비만체형은 일반적인 비만체형과 다른 패턴 연구가 필요하여 이 를 바탕으로 연구패턴을 설계하였다.

    둘째, 연구패턴은 일반적 비만체형에 속하는 유형1 과 유형3의 패턴과 복부비만에 속하는 유형2의 패턴 을 나누어 설계하였다. 셔츠 원형의 가슴둘레는 복부 비만의 특성을 고려하여 앞가슴둘레(C/4+2.5+1)가 뒤 가슴둘레(C/4+2.5‒1)보다 1cm 크게 제도하였다. 또한 밑단둘레는 유형1과 유형2는 가슴둘레의 배분과 동일 하게 유지하고, 옆허리선에서 0.5cm 들임 분량을 줄 여 배의 여유량을 증가시킨 반면에 유형2처럼 drop 2cm 미만의 복부비만형은 밑단 들림과 측면 당김 현 상을 완화하기 위해 앞뒤밑단둘레에 2cm의 여유분을 주고, 가슴선에서 밑단선까지 직선으로 제도하여 배 의 여유량을 증가시켰다. 등길이도 복부비만으로 인 한 앞길이 증가로 신체측정치(등길이)에 1cm를 추가 하여 제도하였고, 뒤암홀 깊이(C/10+12+3+0.5)도 유 형1과 유형3은 0.5cm 늘려주고 유형2는 1.5cm 늘려 주어 앞길이의 여유량을 증가시켰다. 앞암홀 깊이(뒤 암홀 깊이‒1)도 유형1과 유형3은 같으나 유형2는 앞 길이의 여유량을 좀 더 확보하기 위해 뒤암홀 깊이와 동일하게 제도하였다. 앞품(2C/10–1+0.5–0.5)은 앞진 동둘레 군주름을 줄이기 위해 0.5cm 줄여주고 대신에 겨드랑 너비(C/10+2+3.5+0.5)를 0.5cm 증가시켜 앞 판, 뒤판, 옆판의 균형을 유지하도록 했다. 앞뒤 목너 비는 0.5cm 늘려주었고, 뒤암홀 다아트는 배의 돌출 로 인한 젖혀진 체형의 특징으로 뒤진동둘레의 군주 름이 많이 생겨 유형1과 유형3은 2.5cm 다아트를, 유 형2는 3cm의 다아트를 주어 뒤암홀 군주름을 줄여주 었다. 또한 소매 제도는 앞암홀둘레 증가로 각각의 앞 뒤암홀둘레에서 1cm를 빼는 방식으로 제도하여 소매 와 몸판의 균형을 유지하도록 하였다.

    셋째, 셔츠 연구패턴의 가상착의 결과는 앞뒤 목너 비의 증가로 당김 현상이 해소되었고, 앞뒤 암홀깊이 의 증가와 뒤암홀 타아트의 증가로 진동둘레의 앞뒤 군주름이 개선되었다. 배의 돌출로 인한 앞밑단 들림 과 측면의 당김 현상은 가슴둘레, 허리둘레와 엉덩이 둘레의 여유량 증가로 개선되었고 앞판, 뒤판, 옆판의 균형 잡힌 여유량 배분으로 외관이 향상되었으며, 앞 암홀둘레 증가에 따라 개선된 소매 패턴의 제작은 몸 판에 균형을 이루도록 하였다. 각각의 체형에 맞게 연구된 패턴은 노년 비만남성의 체형에 적합한 셔츠 원형임을 알 수 있으며, 특히 복부비만체형의 경우 drop(가슴둘레-허리둘레)을 기준으로 2cm 미만인 경 우는 유형2의 원형(B형)을 사용하고, 그 외의 비만유 형은 유형1,3의 원형(A형)을 사용할 것을 제시한다.

    본 연구는 앞판, 뒤판, 옆판의 고른 여유량의 배분 으로 특히 복부비만의 형태적 특징을 보완할 수 있는 패턴을 제작하고자 하였다. 일반적인 체형에 맞게 제 작된 대부분의 의복은 복부비만과 같은 체형의 특징 을 커버할 수 없기에 의류 맞음새의 불만족을 초래하 였고 이는 시장 확대의 지장을 초래하였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개발된 원형은 비만남성의 착용 만족도를 향상시켜 실버의류산업 활성화에 촉매 역할을 수행할 것이며, 또한 디지털 생산기술인 3D 프로그램을 이용 한 아바타 제작 및 가상착의, 패턴개발 및 샘플 제작 과정은 시간과 비용을 절약하여 의류 생산의 실용화 에 기여할 것으로 여겨진다.

    Figure

    RJCC-28-3-299_F1.gif

    Drafting of comparative patterns

    RJCC-28-3-299_F2.gif

    Drafting of developed patterns for Group 1, Group 3 (A type)

    RJCC-28-3-299_F3.gif

    Drafting of developed patterns for Group 2 (B type)

    RJCC-28-3-299_F4.gif

    Comparisons of developed patterns and comparative patterns for Group 1, Group 3

    RJCC-28-3-299_F5.gif

    Comparisons of developed patterns and comparative patterns for Group 2

    Table

    The number of subjects

    3D avatar for elderly obese mem

    Body measurements of 3D avatar (Unit: cm)

    Appearance of comparative patterns

    Appearance evaluation of comparative patterns

    Modification of comparison patterns by body type (Unit: cm)

    Appearance of developed patterns

    Appearance evaluation of developed patterns

    Comparisons of formulas for patterns drafting (Unit: cm)

    Comparisons of patterns size by body types (Unit: cm)

    Reference

    1. Cha, S. J. (2019). Effects of clothing behavior and body image on the quality of life of elderly me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Design Culture, 25(2), 569-576.
    2. Choi, S. K. , & Chu, M. S. (2014). A study on the types of lower body shape of old-aged mal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8(5), 654-664.
    3. Jeon, S. Y. (2019). Development of the high school girls bodice pattern using virtual garment simulation.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21(2), 189- 202.
    4. Ju, K. S. , & Jeong, Y. H. (2016). Usage & education of the CLO 3D virtual clothing program in the development office & academic. Fashion Information and Technology, 13, 51-59.
    5. Kim, J. E. (2015).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outdoor wear for active senior males - Focused on males aged 55~69 -.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6. Kim, M. J. , Kim, M. O. , & Park, S. K. (2014). Comparison and analysis of men’s classic-fit and slim-fit shirt patterns - Utilizing the 3D virtual try-on system -.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22 (2), 209-224.
    7. Kim, M. R. (2015). A study of factors affecting the perception of old age and the difference in age of middle and older adults: A comparison between women and men.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Research, 44, 53-78.
    8. Kim, O. K. , & Park, K. E. (2004). 남성복 패턴디자인 [Men’s wear pattern design]. Seoul: Kyungchunsa.
    9. Korean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2004). 제5차 한국인 인체치수 조사사업보고서 [The fifth human body measurement report (Size Korea)]. Sejong: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10.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Obesity. (2012, October). 비만치료 지침 2012 [Obesity treatmentguide lines 2012]. Retrieved March 21, 2015, from http://www.kosso.or.kr/general/board/list.html?num=72&start=0&sort=top%20desc,num%20desc&code=general_03&key=&keyword=
    11. Lim, J. Y. (2015). Development of lower bodice pattern for late-elementary obese-schoolgirls using 3D virtual garment simulation.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23(4), 616-627.
    12. Nam, Y. J. , & Lee, H. S. (2005). 남성복 패턴메이킹 [Menswear pattern making]. Seoul: Kyohakyongusa.
    13.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2018). 비만백서 2018 [White paper on obesity 2018]. Retrieved June 5, 2019, from http://hi.nhis.or.kr/bb/ggpbb004/ggpbb004_m02.do?bm_idx=&bm_type=&bd_idx=BD00007568&view_type=view&rnum=2&search_gubun1=&search_gubun2=&search_gubun3=&search_str=&search_type=&pageIndex=
    14. Ryu, H. S. (2001). 여성복 패턴메이킹 [Women’s clothing pattern making]. Seoul: Suhaksa.
    15. Seong, O. J. , & Kim, S. J. (2018). Building up the foundation for the elderly apparel industry through the study on the body shapes of elderly obese males.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26(5), 665-678.
    16. Yi, K. H. (2003). 국내 실버의류시장의 현황과 과제 [Status and tasks of Korean silver apparel market]. Proceeding of The Korean Society of Human Ecology, 2003, 27-40.

    Appendi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