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rossref logo
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6-0401(Print)
ISSN : 2383-6334(Online)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Vol.28 No.4 pp.429-445
DOI : https://doi.org/10.29049/rjcc.2020.28.4.429

A study on the expression types and aesthetic formativeness of tassels and fringe in modern bag design

Giyoung Kwon†
Professor, Center for Beautiful Aging, Dept. of Clothing & Textile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Korea
Corresponding author (gykwon@knu.ac.kr)
July 12, 2020 August 14, 2020 August 15, 202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ideas for the development of bag design by analyzing the expression types and aesthetic formativeness of modern bag design using tassels and fringe given the newtro trend pursuing analog sensitivity in modern society. The methods and scope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lated literature and internet data were reviewed in order to examine the expression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bags of the West and East. Next, the definition and characteristics of tassel and fringe decoration in terms of the history of clothing were analyzed. Finally, the expression types and aesthetic formativeness of tassels and fringe were derived through the analysis of modern bag design shown in the fashion collections since 2010. The bags decorated with the tassels and fringe bring a variety of visual effects depending on the attachment position, direction and material composition, concentrating the gaze and radiating original style. In this study, the expression of tassels and fringe in modern bag design was classified into three types: surface decoration, shape variability, and object combination. Next, the aesthetic formativeness of modern bag design using tassels and fringe as decorative elements appeared through the mixture of heterogeneous materials and playfulness through imagination, exaggeration through extension of length and volume, and retro characteristics through reinterpretation of tradition.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creative ideas of modern bag design which requires a global sense, which has been used in various cultures for a long time.



현대 가방 디자인에 나타난 술 장식의 표현유형과 미적 조형성 연구

권 기 영†
경북대학교 의류학과․장수생활과학연구소 교수

초록


    I. Introduction

    현대 소비자들의 유행에 대한 높은 관심은 구두나 장신구를 함께 갖춰 입는 토털 코디네이션에 대한 요구의 증대로 나타나고 있다. 트렌드를 따르면서도 개성을 드러 내고자 하는 소비자 욕구의 증대는 의류 중심에서 벗 어나 토털 패션 상품의 활발한 전개를 추구하는 경향 을 가져왔으며, 가방은 패션연출의 완성도를 높이는 데 필수적인 품목으로 큰 비중을 차지한다. 오늘날 다 양한 프린트와 소재, 그리고 디테일이 가방 디자인에 접목됨으로써 가방은 단순히 소지품을 넣는 기능적인 도구로서의 역할에서 벗어나 차별화된 개성적인 품목 으로 일종의 조형물로 발전하고 있다.

    디자인에 시각적인 아름다움과 개성을 부여해주는 장식에는 주름, 자수, 스티치, 패치워크, 술 장식 등 다 양한 기법들이 있으며, 이 중 술 장식은 최근 뉴트로 열풍으로 히피 스타일이 대세로 떠오르면서 가방의 화려한 멋을 내는데 효과적인 기법으로 크게 대두되 고 있다. ‘술’은 동서양을 막론하고 고대부터 복식에 부착되어 장식적이거나 실용적인 성격을 띠면서 사용 되어 왔고, 과거에는 지위와 신분을 강조하는 상징적 의미를 내포하기도 하였다. ‘술’은 옷이나 기타 액세 서리에 실을 꼬아 만든 것으로, 스웨이드, 가죽, PVC 등의 다양한 소재를 활용한 술 장식은 의복, 가방, 신 발 등의 제품에 활용되며 자유롭고 개성적이며 독창 적인 미의식을 선보이고 있다. 그러나 술 장식에 관한 선행연구는 주로 의복디자인에서 활용된 술 장식의 기법과 표현특성 등에 관한 연구(Kim, 2001;Kim, 2011;Kwan, 2014)로서 가방이 지닌 특수한 기능과 디자인을 고려한 관점에서 보이는 술 장식의 표현유 형이나 특성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못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술 장식의 정의와 특징, 복식사 적으로 살펴본 동서양의 술 장식 가방의 표현기법과 특징을 이론적으로 고찰하고, 최근 디자이너들의 컬 렉션에서 보여지는 술 장식을 이용한 가방 디자인의 표현유형과 미적 조형성을 살핌으로써 조형 표현 대 상으로써 술 장식을 활용한 독창적인 가방 디자인의 개발에 기여하고자 한다.

    술 장식은 형태, 용도, 소재, 제작기법 등에 따라 터 프트(tuft), 장식끈 등 종류가 다양하나, 본 연구에서는 태슬과 프린지로 한정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으로 술 장식의 정의와 특징, 복식사적 측면에서 동서양의 술 장식 가방의 표현기법과 특징을 고찰하기 위해 관 련 문헌과 박물관 인터넷 자료 등을 분석하였다. 그리 고, 현대 가방디자인에서 보여지는 술 장식의 실증적 연구를 위해 2010년부터 2020년까지 파리, 밀라노, 뉴욕, 런던 컬렉션에서 발표한 디자이너들의 술 장식 가방을 보그닷컴(http://www.vogue.com)을 이용하여 사진자료 총 164점을 추출하여 분석하였다.

    Ⅱ. Theoretical Background

    1. Definition and characteristics of tassels and fringe

    술 장식은 직물의 올을 뽑아 몇 올씩 묶어준 것, 또 는 가죽에 가위집을 넣어 만든 것으로, 스톨이나 케이 프 끝에 여러 가닥의 실 또는 끈을 모아 장식다발 형 태로 만든 것을 태슬(tassel)이라 하고, 가장자리나 구 성선을 따라 나열하듯이 올을 늘어뜨리거나 가죽에 절개를 넣어 만든 것을 프린지(fringe)라 한다(Fashion Professional Resources Dictionary Committee, 1997).

    태슬은 프린지와 유사한 형태이나 낱낱이 된 실올 을 하나로 모아 장식다발을 이루는 수공예적인 공정 을 거쳐 제작한 것으로서 프린지에 비해 인위적이면 서도 정돈된 느낌을 준다. 태슬을 만드는 재료에는 실 외에 원단, 가죽 등이 있으며, 주로 옷, 가방, 신발 등 에 장식적 용도로 많이 사용된다. 태슬은 의복에 부착 되어 떨어지지 않는 프린지와 달리 탈부착이 가능하 다. 프린지를 만드는 방법은 직조 시 가장자리 끝을 마감하지 않고, 직물 끝의 올이 자연스럽게 풀어지도 록 해서 이용하는 방법이 있으며, 인위적으로 직물 가 장자리의 올을 풀어서 수공예적인 느낌이 들도록 만 들 수 있다(Kim, 2001). 그리고 올이 풀리지 않는 직 물이나 가죽, 비닐 등의 원단에 가위집을 넣어 해체함 으로써 프린지 효과를 주거나 별개의 다른 실이나 장 식 천, 깃털 등의 다양한 소재들을 잘라 의복이나 장신 구의 가장자리를 따라 나열하여 부착하는 방법이 있다.

    술 장식은 길이의 차이, 또는 소재가 주는 시각적 무게감이나 재질감에 따라 각기 다른 느낌을 준다 (Kim, 2001). 술 장식은 움직임에 의해 율동적인 리듬 감을 표현하는데, 긴 길이의 술 장식은 짧은 길이의 술 장식에 비해 움직이는 범위가 크고 훨씬 큰 동적 효과를 가진다. 그리고 깃털이나 털 소재로 된 술 장 식은 유연한 움직임으로 인해 가볍고 부드러운 느낌 을 주며, 반면 견고하고 힘 있는 소재는 시각적 무게 감을 주며 율동미를 표현한다. Kwan(2014)은 패션에 장식된 술이 움직임에 따라 형태적으로 가변하면서 은폐와 노출이 이루어지고, 이로 인해 의복 내외부를 시각적으로 연속되게 보이도록 한다고 하였다. 또한 프린지의 절개된 선들은 인체의 움직임에 의해 한 방 향으로 집중되거나 중첩되어 원래 위치에서 축소되거 나 소실되는 시각적 변형이 진행된다. Kim(2001)에 의하면 부착된 술 장식은 평면의 표면 위에서 돌출되 어 나타남으로써 입체적 효과와 더불어 움직임에 따 른 동세미를 부여하며 패션을 돋보이게 하는 강조의 역할을 한다. 그리고 술 장식은 전통으로부터 이어져 내려온 장식기법으로서 자연스럽게 풀리는 올에 의해 만들어지는 형태는 토속적 자연미를 표현한다.

    2. Tassels and fringe in modern bag design by historical analysis

    가방은 물건을 넣어 들고 다니기에 편리하도록 가 죽이나 헝겊․비닐 등으로 만든 일종의 주머니로서 핸드백에서부터 트렁크, 지갑, 사무용 가방 등에 이르 기까지 다양한 디자인 형태를 보이며 발전해 왔다.

    가방의 어원은 네덜란드의 카바스(kabas)에서 와전 되었다는 설과 중국의 카반에서 유래되었다는 설이 있다(Kwon, 1989). 영어의 ‘백(bag)’이라는 말은 ‘부 (富)’라는 의미도 있는데, 이는 식량 보관을 위한 자루 의 의미로 자루를 많이 지닐수록 부유해진다는 점에 서 유래되었다(Jeon, 2005).

    술 장식이 된 가방은 동서양을 막론하고 오랜 역사 를 갖고 있다. 가방은 <Fig. 1>에서 보이는 B.C. 9세기 경 앗시리아(Assyria)의 부조에 나타난 사각의 손가방 을 기원으로 추측하고 있다(Chung & Kim, 2001). 이 것은 당시 여성이 남성의 종속물이던 사회의 풍습이 나 부조에 나타난 인물이 신이라는 점으로 보아 특권 층의 남성이 사용하였으리라 여겨지며, 앗시리아인들 의 의복에서 많이 볼 수 있는 프린지 장식이 달려 있 다(Cho, 2018). 특히 앗시리아에서는 술 달린 숄이 공 식적 의상의 징표로서 술의 길이와 양으로 신분과 지 위를 표현하였다. 고대 이집트 여성들은 허리에 작은 주머니를 달았으며, 고대 그리스인들도 보석이나 장 신구 등을 수가 놓여 있는 작은 주머니에 넣어 허리에 매달았는데, 이러한 풍습은 중세 말까지 계속 존속하 였다(Lee & Cha, 1996). 바이사(byrsa) 또는 버사(bursa) 라 불렸던 그리스인들의 주머니는 오늘날 지갑을 의 미하는 퍼스(purse)의 어원이 되었다. 직조와 바느질 기술이 발전한 그리스와 로마는 소박하고 절제된 사 회 분위기로 인해 술 장식이 의상에 활용되기보다는 투구, 머리장식, 지갑 등에 태슬을 장식하는 형태로 축소되어 표현되었다(Kwan, 2014). <Fig. 2>의 실크와 금속사로 제작된 13세기 가방 하단부에는 태슬 장식 이 달려 있으며, <Fig. 3>의 태슬로 가장자리를 장식한 지갑에는 중세시대를 특징짓는 종교적 이미지가 수놓 여 있다. 16세기에 들어서 가방의 크기와 장식 정도는 부를 상징하게 되었는데, 예를 들면 왕족이나 귀족은 다양한 종류의 끈과 술로 장식한 작은 가방에 돈이나 보석을 넣어 다녔고, 큰 가방은 서민들이 신변용품이 나 음식 등을 넣는 데 이용하는 등 실용적인 목적의 가방이 대거 등장하였다. <Fig. 4>의 16세기~17세기 에 제작된 사각형의 드로우스트링백에는 푸른 실크새 틴에 금빛 메틸릭사 등이 중후한 느낌으로 수놓여 있 으며, 가방 입구와 사각형의 중앙에 나와 있는 끈의 끝에는 장식사를 풀어 엮은 태슬이 장식되어 있다. <Fig. 5>의 리본 다발로 만든 커다란 태슬 장식은 17 세기 유럽에서 크게 유행하였는데, 어떤 식물학자는 향낭의 긴 장식줄을 꽃이 달린 식물 줄기에 비유하기 도 하였다(Haye, Evans, Phillips, Wilcox, & Clark, 2012/2012). 당시는 복식 실루엣이 넓어지면서 겉옷 속에 주머니를 찼는데, 후프스타일의 스커트 안에 다는 향수를 담는 포켓 같은 가방이 여성들의 주요 소지 품목 으로서 백의 역할을 하였다(La Fillette, 2015). 17세기 무 렵에는 남녀 모두가 패션소품으로 사용할 정도로 다 양한 가방이 등장했는데, 남성들은 주머니가 달린 옷을 입고 지갑 대신 어태세 케이스(attache cases)라고 불 리는 작은 서류가방 형태를 들고 다녔다(Toba, 2011).

    프랑스 혁명 이후 신고전주의 양식이 대두하면서 고대 그리스의 클래식한 모드를 재해석한 엠파이어 스타일의 의상이 유행하게 되었다. 이것은 신체를 거 의 드러내는 스타일이어서 포켓 대신 레티큘(reticule) 이라고 불리는 작은 백이 유행하게 되었다. <Fig. 6>은 끈으로 주머니의 입구를 조일 수 있는 형태로서 주머 니 가장자리와 끈의 양 끝에 태슬이 장식되어 있으며, <Fig. 7>은 작은 비즈를 꿴 프린지로 장식한 레티큘이 다. 이러한 레티큘은 작은 주머니 크기에서 20세기의 일반적인 핸드백 크기에 이르기까지 다양하였으며, 핸드백의 효시라 할 수 있다(Cho, 2018). 초기에는 핸 드백이 남녀 공동의 지갑이나 주머니 등으로 이용되 었으며, 여성 전용의 핸드백은 18세기 말에 등장하여 1910년경부터 대중화되었다. 시대에 따라 다양한 디 자인과 형태적 특징을 보이는 핸드백은 물건을 나르 는 도구이자 여성의 작고 섬세한 장식 욕구를 세밀히 표현한 액세서리라 할 수 있다.

    1820년대 제작된 <Fig. 8>의 백에는 비즈로 수놓인 아름다운 꽃이 장식되어 있으며 하단 가장자리에도 동일한 비즈 소재로 길게 프린지를 늘어뜨려 통일감 과 조화미를 부여하고 있다. 1900년대에는 자수가 놓 인 원단에 큰 태슬 장식이 있는 가방이 유행하였다. <Fig. 9>는 아르누보 스타일의 곡선적 장식이 세공된 손잡이에 메탈소재의 비즈와 체인 프린지가 장식된 가방이며, <Fig. 10>의 아르데코의 기하학적인 패턴을 표현한 가방 하단부에는 다양한 색상의 비즈로 만든 프린지가 연속적인 무늬를 형성하며 장식되어 있다. 1926년에는 직물에 가까운 질감을 갖는 매시(mesh) 제작기술이 발달하여, 금속 매시백에 다양한 체인 프 린지가 장식되기도 했다(Cho, 2018). 구슬백 역시 1920년대 내내 유행하였는데, <Fig. 11>의 1920년대 후반의 백은 유리와 구슬로 만든 프린지가 가방의 하 단부를 둥글게 장식한 것으로 소재의 색상과 재질을 달리하여 조형미를 높였다. 1940년대는 밀리터리 스 타일의 영향으로 심플한 형태의 기능적이고 실용적인 가방디자인들이 주로 유행하였으나, <Fig. 12>에서 보 이는 바와 같이 프린지 장식의 가방도 여전히 여성들 에 의해 애용되었다. 어두운 암청색 비즈로 만든 루프 가 전면에 장식된 파우치 스타일의 가방 아랫단 중앙 부분에는 비즈로 만든 태슬이 달려 있다.

    태슬과 프린지는 이후에도 가방 디자인에 다양한 형태로 활용되었다. 특히 60년대 후반 반전과 평화주 의를 주창한 히피들에 의해 전원적인 취향을 보이는 집시 의상이나 러플, 프린지 장식의 민속풍 의상이 유 행하면서 태슬과 프린지로 장식한 가방은 에스닉 감 성을 나타내며 큰 인기를 얻게 되었다. <Fig. 13>은 1970년대 히피들이 사용했던 가방으로서 스웨이드 가죽으로 된 프린지가 가방의 중앙과 가장자리에 장 식되어 있다. 이후 90년대 들어 자연과 환경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지구 생태계에 관심을 갖게 되면 서 에스닉, 그런지, 뉴 히피 스타일, 레트로 무드가 패 션계에 불게 되었고, 술 장식은 가방의 미적 조형성을 부여하는 디테일로서 여러 많은 디자이너들에 의해 다양한 디자인과 분위기로 나타났다(Cho, 2018).

    다음으로 비서구권의 술 장식 가방을 살펴보면, 매 우 오래전부터 다양한 지역과 문화권에서 사용되어 왔음을 알 수 있다. 중동의 사막에서 유목생활을 하는 아랍인인 베두인족(Bedouin)은 얼굴에 쓰는 가면을 비롯하여 전통 가방에 술 장식을 하고 있는데, <Fig. 14>를 보면 태피스트리 기법으로 제직한 가방의 아랫 단에 여러 줄의 태슬이 층층이 달려 있다. <Fig. 15>는 이란고원에 거주하는 발루치족(Baluch)의 가방으로서 사각형의 주머니 각 귀퉁이와 하단 중앙에 굵고 풍성 한 실매듭 다발로 이루어진 태슬이 장식되어 있다. <Fig. 16>의 북아프리카 튀니지에 거주하는 베르베르 족(Berber)의 가방은 가죽소재에 손자수가 놓여 있으 며, 픙성한 프린지 장식 위에 같은 소재를 엮어 만든 태슬이 좌우 및 하단부에 달려 있다. <Fig. 17>의 북아 프리카 사하라 지방의 이슬람 유목민인 투아레그족 (Tuareg)의 가방은 낙타를 타고 이동할 때 음식의 수 송과 저장을 위해 사용한 것으로 다양한 색채로 염색 한 가죽끈과 부족 고유의 전통적인 기하학적 패턴이 장식되어 있다(Anawalt, 2007/2009). 이처럼 아프리카 의 가방에는 각 소수민족 고유의 기하학적 문양이 자 수로 장식되어 있으며, 염색이나 가죽 컷팅 등의 기법 을 이용해 만든 프린지를 가방의 전면 또는 아래에 길 게 늘어뜨리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동아시아에 위치한 한국, 중국, 일본에서도 주머니 를 비롯해 술 장식이 있는 여러 가지 장신구를 볼 수 있다. <Fig. 18>에서 보이는 우리나라 전통주머니에는 ‘복(福)’을 상징하는 다양한 글자와 문양을 수놓았으 며, 주머니에 꿴 끈에는 태슬로 된 술 장식을 달았다. 매듭과 술은 주머니의 기능적 역할뿐 아니라, 자수와 금박 문양과 더불어 자연스러운 아름다움을 표현하는 장식적 역할에도 한몫을 하였다. 중국 청나라 시대의 주머니인 <Fig. 19>의 여밈끈의 가장자리에는 태슬이 장식되어 있으며, 자수가 놓인 <Fig. 20>의 일본 전통 가방에는 한쪽 가장자리에 화려한 태슬이 부착되어 있다. <Fig. 21>의 인도의 전통가방에도 아름다운 색 실로 수놓인 네모 가장자리에 작고 섬세한 태슬이 장 식되어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과거부터 이어져 내려 온 술 장식은 시대와 문화권별로 다양한 특징들을 보 이며 발전해 왔다. 서구권에서는 고대부터 19세기에 이르기까지 대부분 올풀기 기법으로 만든 태슬이 가 방 입구의 여밈끈이나 가장자리를 장식하는 형태로 나타났으며, 시대의 흐름에 따라 리본이나 매듭으로 만든 태슬이 가방을 장식하는 것으로 발전하였다. 19 세기 이후에는 태슬보다는 다양한 색상과 크기의 비 즈와 메탈 소재를 프린지로 만들어 장식한 가방이 주 로 나타났다.

    한편, 가죽이나 원단을 절단하여 가장자리를 늘어 뜨려 프린지 형태로 장식하는 것은 아시아와 아프리 카 원주민들의 가방을 비롯한 비서구권에서 주로 보 이며, 특히 한국, 중국, 일본이 속한 동아시아권에서 는 대부분 태슬이 가방 장식으로 활용되어 왔다.

    술 장식은 미적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목적과 신 분 계급의 과시를 위해 착용하는 심리적․상징적 목 적으로 활용되어 왔다. 오늘날 술 장식은 의복과 장신 구 등 복식의 가장자리를 마감하는 장식효과와 더불 어 공간을 구성하는 면에 적용되어 패션에 미적 가치 를 부여하고 리듬감과 조형미를 형성하는 역할을 하 고 있으며(Kwan, 2014), 현대적인 감각의 민속적 이 미지를 추구하는 경향이 대두되면서 가방을 비롯한 복식에서 새롭게 재해석되어 나타나고 있다.

    3. The classification of tassels and fringe in modern bag design

    술 장식의 종류와 특성, 그리고 복식사적으로 살펴 본 술 장식 가방을 조형면에서 살펴본 결과, 현대 가 방에서 표현되는 술 장식은 <Table 1>에서 보이는 바 와 같이 부착 위치, 방향, 소재에 따라 다양한 디자인 으로 나타났다.

    술 장식의 부착 위치는 <Fig. 22>처럼 프린지가 가 방의 전면을 채워 장식한 경우와 <Fig. 23>, <Fig. 24>, <Fig. 25>, <Fig. 26>, <Fig. 27>처럼 가방의 가장자리, 상단부, 하단부, 좌우, 어깨끈 등 특정 부분에만 프린 지나 태슬로 장식하는 경우로 분류할 수 있다. 가방 전면 또는 특정한 일부분에 장식된 태슬과 프린지는 위치에 따라 움직임의 방향이나 시각적인 율동미에 차이를 보인다.

    다음으로, 술 장식이 달려 있는 방향에 따라 착용 시 흔들림에 의해 형성되는 리듬감과 율동미가 달라 진다. <Fig. 28>, <Fig. 29>, <Fig. 30>, <Fig. 31>, <Fig. 32>는 각각 수평, 세로, 커브, 원, 교차 방향으로 술 장 식이 부착된 사례로서 가방의 전면 또는 부분에서 겹 쳐지는 선의 방향과 중첩되는 술 장식의 양이 달라지 며, 이것이 가방의 볼륨과 시각적 움직임에 따른 율동 미에 영향을 준다.

    소재는 술 장식의 개성과 다양한 조형미를 표현하 는 데 기본 요소로서 가죽, 직물, 메탈, 비닐, 깃털, 플 라스틱, 비즈 등 다채로운 질감과 특성을 가진 재료들 이 가방 제작에 사용되고 있다. <Fig. 33>의 가방은 광 택이 있는 가는 실을 프린지 소재로 활용한 것이며, 메탈 소재의 체인 프린지가 장식된 <Fig. 34>의 가방 과 <Fig. 35>의 화려한 반짝임을 연출하는 큐빅 체인 프린지가 장식되어 있는 가방은 소재가 지니는 견고 함과 광택이 시각적 무게감에 영향을 주며 빛의 반사 에 따라 시각적 환영을 나타내는 것을 보여준다. <Fig. 36>은 가방 크기에 어울리지 않는 과장된 크기의 태 슬 장식이 소재와 색상면에서도 이질적인 대비를 이 루고 있음을 보여준다. <Fig. 37>은 가죽을 절단하여 만든 프린지에 메탈 재질의 스터드를 장식한 가방으 로써 이질적인 소재의 복합에 의한 독특한 시각 효과 를 나타내고 있다. <Fig. 38>은 에스닉한 감각의 비즈 를 스웨이드 가죽 프린지에 꿰어 장식한 가방으로서 소재 간의 색감 차이는 있지만 어울리는 조합을 통해 조화미를 보이고 있다. 이처럼 술 장식에 이용되는 재 료를 단일 소재 또는 두 가지 이상의 소재를 복합하여 사용하는가에 따라 색채나 재질의 유사 또는 대비를 나타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독특한 시각효과를 표현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원단이나 가죽 재질 이외에 플라스틱, 금속, 비닐, 깃털, 홀로그램 등 시각 적으로 독특한 재질감을 갖는 소재를 사용할 경우 시 선을 집중시키는 효과는 커지게 된다.

    Ⅲ. The Expression Types and Aesthetic Formativeness of Tassels and Fringe in Modern Bag Design

    1. The expression types of tassels and fringe in modern bag design

    현대 가방 디자인에 나타난 술 장식은 소재와 제작 기법의 발달로 다양한 형태로 등장하고 있으며 술 장 식 또한 가방 자체의 기능적인 목적뿐 아니라 의복과 의 코디네이션이 중요시되면서 디자인의 조형미가 더 욱 강조되는 추세이다. 특히 최근에는 여러 시대와 문 화권별로 다양한 특징들을 보이며 발전해 온 술 장식 이나 다른 오브제를 차용하여 현대적인 감각의 디자 인에 조합한 가방들이 보이고 있다.

    술 장식은 디자인 조형면에서 선의 속성을 활용한 것으로서 면을 분할하여 선을 만들 수 있고, 선을 절단 또는 분할하여 중첩하거나 방향 전환을 통해 2차원이 나 3차원 공간에서 영역을 구현할 수 있다(Youn, 2014). 1차원의 요소인 선을 3차원에서 전개할 때 움직임에 따른 선의 영역 변화는 율동성을 보이며 공간의 확장 을 가져온다. 술 장식은 원단을 절단하거나 올을 푸는 등 해체의 과정을 거쳐 이루어진 것으로 2차원과 1차 원 사이를 왕복하는 선의 흐름은 새로운 형태로 변형 되며 행동의 흔적으로 나타나는데, Ponty(1964/2008) 는 선을 긋는 순간 선의 양태가 정립되거나 정착된다 고 하였다. 이처럼 술 장식은 일종의 선의 분할과 중 첩을 활용한 것으로서 선의 움직임의 정도에 따라 시 각적 조형미는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이는 가방의 전체 디자인 분위기를 지배하는 주요한 역할을 한다.

    현대 가방 디자인에 나타난 술 장식의 표현유형은 다양한 사례들에서 보여지는 특성을 고찰한 결과, 표면 장식형, 형태 가변형, 오브제 조합형으로 분류하였다. 첫째로, 표면 장식형은 태슬이나 프린지를 가방 표면 에 부착하여 장식하는 경우로 정지 상태에서 가방의 전체적 크기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으나, 표면에 입체 적인 볼륨이나 재질감을 부여하는 유형을 의미한다. 둘째로, 형태 가변형은 술 장식이 가방의 가장자리나 특정 부위에 장식되어 가방의 경계를 시각적으로 확 장하거나 변화시키는 유형을 의미한다. 셋째로, 오브 제 조합형은 술 장식이 된 의복이나 숄 등의 패션 아 이템을 가방과 조합하여 나타내거나 술 장식을 통해 다른 오브제를 표현하는 경우를 의미한다.

    1) Surface decoration type

    가방에 프린지나 태슬 등의 술 장식을 부착함으로 써 평면적인 표면에 독특한 재질감과 입체감을 부여 할 수 있다. 술 장식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직물이나 원단 등 소재를 절단하거나 올을 풀더라도 물리적 움 직임이 없는 정지된 상황에서는 기존 소재의 대략적 인 경계와 형태를 비슷하게 재현하며, 표면에 시각적 입체감을 부여한다. 특히 태슬이나 프린지의 겹치는 분량과 두께에 따라 가방 표면에 부조적인 효과를 내 며, 소재 특성에 따라 빛의 흡수나 반사가 일어나면서 풍부한 재질감과 입체적 효과는 극대화된다.

    <Fig. 39>의 크리스찬 디올(Christian Dior) 백은 색 색의 비즈를 엮은 프린지 장식이 기하학적 도형 형태 로 디자인된 것으로 움직임에 따라 기존 프린지 장식 의 형태가 흩어졌다 새로이 재현되며 가방 표면에 독 특한 형태미를 부여하고 있다. <Fig. 40>은 크리스찬 디올의 아이코닉한 새들백에 비즈를 활용한 에스닉한 패턴의 20세기 초반의 전통적인 프린지 장식을 한 것 으로 전통미와 현대미가 잘 조화되어 표현되어 있다. <Fig. 41>의 로에베(Loewe)의 빅백은 브랜드 로고와 메시지가 프린팅된 가방 위에 가죽 원단을 일정한 간 격으로 절단하여 늘어뜨린 것인데, 정지 또는 움직임 에 따라 타이포그라피가 나타나거나 은폐됨으로써 우 연에 의한 디자인의 다양성을 보여준다. 이처럼 가방 위에 겹쳐진 프린지나 태슬의 간격이나 볼륨에 따라 형성되는 음영은 가방 표면에 입체감을 부여하며, 술 의 움직임에 따른 가방 표면의 노출 내지 은폐는 일종 의 표면 장식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다.

    2) Shape variability type

    가방에 표현된 술 장식은 부착되는 위치와 크기, 길이에 따라 가방의 형태를 변화 또는 확장하는 역할 을 한다. 프린지나 태슬이 가방의 경계를 벗어나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거나 볼륨을 확장하는 형태로 부착되 면 가방 크기의 시각적 확장을 가져오며, 움직임에 따 른 율동미가 가방의 표면 위가 아닌 공간에서 나타남 으로써 가방의 가시적 범위가 유기적으로 변한다. 이 처럼 가방에서 태슬이나 프린지의 위치와 길이, 볼륨 의 차이는 가방 형태에 가변성을 부여하며 시선을 집 중시키는 시각적 효과의 규모에 영향을 준다.

    바네사 브루노(Vanessa Bruno)의 <Fig. 42>에는 가 방 크기와 맞먹을 정도로 큰 사이즈의 태슬이 장식되 어 있어 시선을 끌며, 움직임에 따라 변화되는 태슬의 위치는 가방에 시각적인 가변성을 부여한다. <Fig. 43> 의 보테카 베네타(Bottega Veneta)의 가방은 하단부에 같은 소재의 가죽을 세로로 길게 절단하여 프린지로 장식한 것으로서 바닥에 이끌릴 정도로 긴 프린지는 풍성한 볼륨감을 나타내며, 의복의 일부가 된 듯한 느 낌을 준다. 체크 원단으로 만든 <Fig. 44>의 살바토레 페라가모(Salvatore Ferragamo)의 백은 블랙의 모직을 길게 절단하여 프린지로 장식하였다. 가방을 매는 각 도에 따라 다양한 방향으로 자연스럽게 늘어지는 프 린지는 가방 형태의 시각적 확대와 변화를 보여준다.

    3) Object combination type

    현대 가방에 표현된 술 장식은 기존의 술 장식이 들어간 아이템 이미지를 차용하거나 조합하여 디자인 에 새로운 조형미를 부여하고 있다. 기존의 오브제를 새로운 형태로 변형하는 것은 특정 대상이 갖는 정형 화된 역할에서 탈피하여 새로운 도구로서의 의미를 부여하는 것이다. 여기에는 해체주의와 업사이클링 트렌드의 대두가 영향을 미치고 있다. 메종 마르지엘 라(Maison Margiela)의 <Fig. 45>는 가장자리에 올을 풀어 장식한 거친 모직 체크 원단의 숄을 조합한 형태 의 가방이다. 프린지가 체크 문양에 조합된 각각의 색 상을 그대로 갖고 있음으로써 정적일 때는 착시에 의 해 원래의 체크 패턴의 흔적을 유지하며 유사하게 재 현하나, 움직임이 있을 시에는 율동적인 선의 흐름에 의해 새롭게 재구성되어 나타난다. <Fig. 46>의 로베 르토 카발리(Roberto Cavalli)의 작품은 블랙 가죽 프 린지를 둥글게 배치하고 새의 꼬리 날개처럼 자연스 럽게 길이차를 두어 늘어뜨림으로써 부엉이 눈을 형 상화한 것처럼 보인다. 이는 술 장식의 부착 위치와 방향, 그리고 길이에 따라 다양한 오브제의 구현이 가 능함을 보여주는 것으로 기발한 발상에 의한 유희성 을 보여준다. 로에베(Loewe)의 <Fig. 47>의 작품은 프 린지 장식이 있는 머플러를 차용하여 가방의 손잡이 로 표현한 디자인으로서 원래의 용도를 전환하여 새 로운 기능과 역할을 부여한 것이다.

    이처럼 오브제 조합형의 가방은 술 장식이 되어 있 는 기존 아이템의 형태적 요소를 차용하여 용도의 전 환을 가져오거나, 술 장식을 통해 새로운 대상이나 캐 릭터를 표현함으로써 기발한 상상력과 새로운 조형미 를 발산하고 있다.

    <Fig. 48>은 가방 디자인에 나타난 술 장식의 표현 유형에 따른 표현기법을 정리한 것으로 이를 근거로 이질적 소재의 혼합과 발상을 통한 유희성, 길이 연장 과 볼륨 확장을 통한 과장성 그리고 전통의 재해석을 통한 복고성이라는 미적 조형성을 도출하였다.

    2. Aesthetic formativeness of tassels and fringe in modern bag design

    1) Playfulness through the mixture of heterogeneous materials and imagination

    디자인 형태를 이루는 가장 근원적인 요소인 소재 는 변화와 변동의 잠재력을 가지며, 다채로운 소재의 혼합을 통해 생성되는 새로운 오브제는 독특한 조형 미를 창출한다(Kim, 2014). <Fig. 49>의 펜디(Fendi)의 작품은 가방 스트랩에 서로 다른 색상과 모양을 지닌 여러 개의 작은 지갑들을 부착하여 재미를 부여한 것 으로, 그 중 하나의 지갑을 장식하고 있는 붉은 태슬 은 움직임에 따라 율동미를 보여주며 시선을 끄는 역 할을 한다. 각기 다른 재질과 문양을 지닌 작은 지갑 들을 연결하여 하나의 가방으로 연출한 <Fig. 50>의 작품을 보면 마치 누들같은 느낌을 주는 굵은 프린지 가 일부 가장자리를 장식하고 있다. 가방과 어울리지 않는 이러한 이질적인 질감의 프린지 장식은 키치적 감성과 유머러스한 분위기를 자아내며 움직임에 따라 경쾌한 리듬감을 표현한다. 다음으로 실버 계열의 금 속 오브제를 가방 중앙의 절개선 가장자리를 따라 장 식함으로써 프린지 효과를 연출하고 있는 <Fig. 51>의 알렉산더 왕(Alexander Wang)의 디자인은 색상과 소 재의 이질성에 따른 대비를 통해 시각적, 촉각적 측면 에서 독특한 재미를 제공한다.

    2) Exaggeration through extension of length and volume

    술 장식을 가미한 가방은 술의 길이와 겹쳐진 분량 에 따라 기존 가방의 형태와 볼륨을 확장하는 시각적 효과를 갖게 된다. 특히 인체의 움직임으로 술 장식이 흔들리면서 생성되는 율동감과 리듬감은 가방이 차지 하는 공간의 면적을 확대하며, 시각적 자극을 유발하 고 시선을 집중시킨다.

    <Fig. 52>의 살바토레 페라가모(Salvatore Ferragamo) 의 가방에서 좌우 대등하게 부착된 프린지 장식은 여 러 겹 중첩되고 반복됨으로써 실제 가방의 볼륨을 시 각적으로 더 크게 확장시키는 역할을 한다. 코치 (Coach)가 디자인한 <Fig. 53>은 가방의 크기에 비해 큰 사이즈의 태슬을 여러 개 제작하여 지퍼고리와 가 방 밑면에 장식한 것으로서 다소 과한 비율을 통해 시 선을 끌며 디자인의 조형미를 강조하고 있다. 제이더 블유 앤더슨(JW Anderson)이 디자인한 <Fig. 54>의 플 랩백 하단부에 장식된 과장된 길이의 프린지는 길게 늘어뜨린 길이만큼 가방을 시각적으로 길게 연장하고 있다. 프린지나 태슬 장식으로 인해 확장된 길이나 볼 륨만큼 인체의 움직임에 따른 율동의 크기 또한 확대 되어 시각적 강조 효과는 커지게 된다.

    3) Retro through reinterpretation of tradition

    가죽이나 원단을 절단 또는 분할하여 중첩시켜 표 현하는 술 장식은 오랜 역사 동안 전해져 내려온 장식 표현기법의 하나로 의복을 비롯한 다양한 액세서리 디자인에서 활용되어 왔다. 이러한 전통적인 장식 기 법은 새롭게 현대적인 감각으로 재해석되어 아날로그 적인 감수성을 추구하는 현대인들에 향수를 불러일으 키며 가방 디자인에 나타나고 있다.

    프로엔자(Proenza)가 디자인한 <Fig. 55>의 클러치 백은 수공예적인 위빙방식으로 제작한 직물을 이용해 만든 것으로 중앙을 장식하고 있는 전통적인 이미지 의 커다란 태슬은 자연미와 함께 복고적인 분위기를 연출하고 있다. <Fig. 56>의 알투자라(Altuzarra)의 작 품은 동양적인 분위기를 띠는 주머니 형태의 가방에 태슬을 달아 장식한 것이며, <Fig. 57>의 자카드 조직 으로 만든 클러치백은 무명실이 프린지로 장식되어 토속미와 함께 에스닉한 감각을 보여준다. 이와 같이 술 장식의 형태와 제작 기법 면에서 타문화의 전통 양 식을 차용하여 전혀 새로운 독특한 이미지로 재구성 해서 창조하는 것은 기존의 틀을 탈피하여 새로운 조 형 감각을 표현하는데 효과적이다.

    Ⅳ. Conclusion

    본 연구는 과거의 아날로그적인 감수성을 추구하 는 뉴트로 경향이 대두되는 시점에서 가방의 디테일 장식기법으로 활용되는 술 장식을 이론적으로 고찰하 고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술 장식의 특성과 표현유형 을 체계화하고 조형미를 도출하여 가방디자인의 아이 디어를 제공하는데 목표를 두었다.

    술 장식은 역사적으로 동서양을 막론하고, 오랫동 안 여러 문화권에서 의복과 장신구를 비롯한 다양한 아이템에 활용되어온 기법으로서 구성방법과 형태에 따라 태슬과 프린지로 구분된다. 시대의 흐름과 기술 발전에 따라 술 장식에 사용되는 소재와 표현기법의 변화가 나타났으며, 당시대를 지배하는 예술양식의 영향을 받아 다양한 조형미를 보이며 발달해 왔다. 과 거 술 장식은 신분 계급 상징과 미적 욕구 충족이라는 목적으로 주로 활용되어 왔으나, 오늘날에는 복식의 가장자리를 마감하는 장식효과와 더불어 패션에 개성 과 미적 가치를 부여하고 율동미와 새로운 조형미를 창출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술 장식이 들어간 가방은 부착 위치와 방향 그리고 소재 구성에 따라 다양한 디자인 형태로 구현되고, 실 제 착용시 술 장식의 움직임에 따른 율동미가 시각적 효과를 유발하며 시선을 집중시키고, 독창적인 형태 미를 발산한다. 본 연구에서 현대 가방 디자인에 나타 난 술 장식의 표현유형은 표면 장식형, 형태 가변형, 오브제 조합형으로 분류되었다.

    첫째, 표면 장식형은 원단을 절단하거나 올을 풀어 만든 술 장식이 평면의 가방 표면에 독특한 재질감과 입체감을 부여하는 것을 뜻한다. 프린지와 태슬을 만 들 때 겹치는 술의 분량과 두께에 따라 가방 표면의 입체감은 다양하게 형성되며, 특히 소재 특성과 움직 임에 따라 빛의 반사와 흡수, 그리고 음영의 위치가 달라지면서 시각적 효과도 다채롭게 표현된다.

    둘째, 형태 가변형은 술 장식이 부착되는 위치와 크기, 길이에 따라 가방이 시각적으로 확대되거나 경 계가 변하는 등 형태의 변화를 가져오는 유형을 의미 한다. 가방의 경계를 벗어나 길이 방향으로 길게 달린 프린지나 큰 볼륨을 형성하며 만들어진 태슬 등은 가 방 크기를 시각적으로 확장되어 보이게 하는 착시효 과를 유발한다. 그리고 움직임에 따른 율동미가 공간 에서 나타남으로써 가방의 가시적 범위가 유기적으로 변하며, 이는 시선을 집중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셋째, 오브제 조합형은 술 장식이 된 기존의 아이 템이 지닌 형태와 이미지를 차용하여 조합하거나 술 장식을 통해 새로운 대상이나 캐릭터를 표현하는 유 형으로 디자이너의 상상력이 새로운 디자인의 영감이 된다. 가장자리의 올을 푼 스카프나 숄 등을 가방 손 잡이로 활용하는 등 원래의 용도와 맞지 않는 새로운 위치에 기존의 오브제를 차용해 옴으로써 가방은 새 로운 조형미를 발산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다음으로 술 장식을 활용한 현대 가방 디자인의 미 적 조형성을 살펴보면, 이질적 소재의 혼합과 발상을 통한 유희성, 길이 연장과 볼륨 확장을 통한 과장성, 전통의 재해석을 통한 복고성으로 나타났다.

    첫째, 서로 이질적인 소재로 만든 태슬이나 프린지 는 기존의 전통적인 술 장식 표현기법을 탈피한 것으 로 이러한 과감하고 새로운 조합과 구성은 차별화된 개성을 추구하는 현대의 트렌드를 반영하며, 키치적 감성과 독창적이고 유머러스한 분위기를 느끼게 한다.

    둘째, 프린지의 겹침 분량과 길이 그리고 태슬 굵 기의 확대는 원래의 가방이 지닌 실루엣을 길이 방향 으로 연장 또는 3차원적인 볼륨을 확장하는 효과를 가져온다. 특히 착장시의 움직임에 따른 술 장식의 흔 들림은 공간에서 가방이 차지하는 시각적 면적을 가변 적으로 확대하며 자극을 유발하고 시선을 집중시킨다.

    셋째, 여러 문화권에서 전통적으로 이용되어온 술 장식은 현대적인 감각으로 재해석되어 복고미를 나타 내며, 과거의 아날로그적 감성을 추구하는 현대인들 에게 신선한 감각으로 소구하고 있다. 전통적인 소품 이나 장신구에서 차용한 가방 디자인에 소재나 분위 기를 달리하여 제작한 술 장식을 가미함으로써 최근 의 뉴트로 트렌드를 반영하면서 독특한 조형미를 표 현하고 있다.

    가방에 표현된 술 장식은 오늘날 장식적 또는 상징 적 의미로 활용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독특한 미와 독자적인 표현을 나타내는 잠재성으로 패션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Kim, 2001). 본 연구는 패션에 새 로운 영감을 주며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는 술 장식을 이론적으로 체계화하여 살펴봄으로써 미적 표현대상 으로 지대한 역할을 하고 있는 현대 가방디자인 개발 에 독창적인 아이디어를 제공하는데 기여하리라 기대 한다. 후속연구로서 다양한 가방 장식기법의 트렌드 변화를 의복의 유행과 비교하여 시기별로 살펴봄으로 써 디자인의 상호 연관성과 활용가능성을 높이는데 일조할 것을 제언한다.

    Figure

    RJCC-28-4-429_F1.gif

    Assyria relief B.C. 9C Reprinted from Wikimedia Commons. (n.d.). https://commons. wikimedia.org

    RJCC-28-4-429_F2.gif

    Seal bag 13C Reprinted from Museum of Fine Arts Boston. (n.d.b). https://collections.mfa. org

    RJCC-28-4-429_F3.gif

    Purse depicting lovers Reprinted from Flickr. (n.d.). https://www.flickr.com

    RJCC-28-4-429_F4.gif

    Drawstring bag 16C~17C Reprinted from Museum of Fine Arts Boston. (n.d.c). https://collections.mfa.org

    RJCC-28-4-429_F5.gif

    Incense pouch 1670~1680 Reprinted from Haye et al. (2012/2012). p.38.

    RJCC-28-4-429_F6.gif

    Bag 19C Reprinted from Museum of Fine Arts Boston. (n.d.d). https://collections. mfa.org

    RJCC-28-4-429_F7.gif

    Evening 19C Reprinted from McCord Museum. (n.d.). https://www.museemccord. qc.ca/fr/

    RJCC-28-4-429_F8.gif

    Purse 1820s Reprinted from Metropolitan Museum of Art. (n.d.a). https://www.met museum.org

    RJCC-28-4-429_F9.gif

    Art Nouveau style purse 1920~1925 Reprinted from Ladylimoges. (2011). https://ladylimoges. tumblr.com

    RJCC-28-4-429_F10.gif

    Art Deco beaded purse 1920s Reprinted from Popscreen. (n.d.). http://www.popscreen. com

    RJCC-28-4-429_F11.gif

    Purse late 1920s Reprinted from Metropolitan Museum of Art. (n.d.b). https://www.met museum.org

    RJCC-28-4-429_F12.gif

    Pouch bag 1940s Reprinted from Etsy. (n.d.a). https://www.etsy.com

    RJCC-28-4-429_F13.gif

    Suede fringe purse 1970s Reprinted from Etsy. (n.d.b). https://www.etsy.com

    RJCC-28-4-429_F14.gif

    Bedouin wool tasseled tapestry bag Reprinted from Chairish. (n.d.). https://www.pinterest.co.kr

    RJCC-28-4-429_F15.gif

    Baluch salt bag Reprinted from Rugrabbit. (n.d.). https://rugrabbit.com/

    RJCC-28-4-429_F16.gif

    Berber’s bag Reprinted from Amazigh. (n.d.). https://www.amazigh. it/

    RJCC-28-4-429_F17.gif

    Tuareg’s camel saddle bag 20C Reprinted from Minneapolis Institute of Art. (n.d.). https://collections.artsmia.org

    RJCC-28-4-429_F18.gif

    Pearl Dooru Jumeoni, Chosun Reprinted from 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 (n.d.). https://www.gogung.go.kr

    RJCC-28-4-429_F19.gif

    Butterfly-shaped drawstring purse, Chung dynasty 1870-80 China Reprinted from Museum of Fine Arts Boston. (n.d.a). https://collections.mfa.org

    RJCC-28-4-429_F20.gif

    Traditional bag, Japan Reprinted from Jugem. (2019). http://rombako.hako seko.mods.jp

    RJCC-28-4-429_F21.gif

    A vintage hand embroidery bag, India Reprinted from Viabanjara. (n.d.). https://i.pinimg.com

    RJCC-28-4-429_F22.gif

    JW Anderson 2020 Spring Reprinted from Vogue. (2019e). https://www.vogue.com

    RJCC-28-4-429_F23.gif

    Valentino 2014 Spring Reprinted from Vogue. (2013e). https://www.vogue. com

    RJCC-28-4-429_F24.gif

    Bottega Veneta 2013 Spring Reprinted from Vogue. (2012a). https://www.vogue.com

    RJCC-28-4-429_F25.gif

    Gucci 2014 Spring Reprinted from Vogue. (2013b). https://www.vogue.com

    RJCC-28-4-429_F26.gif

    Balmain 2020 Spring Reprinted from Vogue. (2019d). https://www.vogue.com

    RJCC-28-4-429_F27.gif

    Giorgio Armani 2017 Fall Reprinted from Vogue. (2017c). https://www.vogue.com

    RJCC-28-4-429_F28.gif

    Proenza Schouler 2018 Spring Reprinted from Vogue. (2018a). https://www.vogue.com

    RJCC-28-4-429_F29.gif

    Ralph Lauren 2016 Fall Reprinted from Vogue. (2016b). https://www.vogue.com

    RJCC-28-4-429_F30.gif

    Issey Miyake 2020 Spring Reprinted from Vogue. (2019g). https://www.vogue.com

    RJCC-28-4-429_F31.gif

    Oscar de la Renta 2019 Spring Reprinted from Vogue. (2018d). https://www.vogue.com

    RJCC-28-4-429_F32.gif

    Bottega Veneta 2013 Spring Reprinted from Vogue. (2012b). https://www.vogue.com

    RJCC-28-4-429_F33.gif

    Armani Privé 2019 Spring Reprinted from Vogue. (2019a). https://www.vogue.com

    RJCC-28-4-429_F34.gif

    Elie Saab 2017 Spring Reprinted from Vogue. (2016d). https://www.vogue.com

    RJCC-28-4-429_F35.gif

    Area 2019 Fall Reprinted from Vogue. (2019b). https://www.vogue.com

    RJCC-28-4-429_F36.gif

    Vanessa Bruno 2014 Spring Reprinted from Vogue. (2013c). https://www.vogue.com

    RJCC-28-4-429_F37.gif

    Prada 2017 Fall Reprinted from Vogue. (2017b). https://www.vogue.com

    RJCC-28-4-429_F38.gif

    Roberto Cavalli 2011 Spring Reprinted from Vogue. (2010). https://www.vogue.com

    RJCC-28-4-429_F39.gif

    Christian Dior 2018 Fall Reprinted from Vogue. (2018b). https://www.vogue.com

    RJCC-28-4-429_F40.gif

    Christian Dior 2018 Fall Reprinted from Vogue. (2018c). https://www.vogue.com

    RJCC-28-4-429_F41.gif

    Loewe 2018 Spring Reprinted from Vogue. (2017h). https://www.vogue. com

    RJCC-28-4-429_F42.gif

    Vanessa Bruno 2014 Spring Reprinted from Vogue. (2013d). https://www.vogue.com

    RJCC-28-4-429_F43.gif

    Bottega Veneta 2020 Fall Reprinted from Vogue. (2020). https://www.vogue. com

    RJCC-28-4-429_F44.gif

    Salvatore Ferragamo 2019 Fall Reprinted from Vogue. (2019c). https://www.vogue.com

    RJCC-28-4-429_F45.gif

    Maison Margiela 2017 Fall Reprinted from Vogue. (2017d). https://www.vogue.com

    RJCC-28-4-429_F46.gif

    Roberto Cavalli 2014 Fall Reprinted from Vogue. (2014a). https://www.vogue.com

    RJCC-28-4-429_F47.gif

    Loewe 2018 Spring Reprinted from Vogue. (2017i). https://www.vogue. com

    RJCC-28-4-429_F48.gif

    The expression types and aesthetic formativeness of tassels and fringe in modern bag design

    RJCC-28-4-429_F49.gif

    Fendi 2018 Spring Reprinted from Vogue. (2017f). https://www.vogue.com

    RJCC-28-4-429_F50.gif

    Fendi 2018 Spring Reprinted from Vogue. (2017g). https://www.vogue.com

    RJCC-28-4-429_F51.gif

    Alexander Wang 2018 Spring Reprinted from Vogue. (2017e). https://www.vogue.com

    RJCC-28-4-429_F52.gif

    Salvatore Ferragamo 2015 Spring Reprinted from Vogue. (2014b). https://www.vogue.com

    RJCC-28-4-429_F53.gif

    Coach 2017 Fall Reprinted from Vogue. (2017a). https://www.vogue.com

    RJCC-28-4-429_F54.gif

    JW Anderson 2020 Spring Reprinted from Vogue. (2019f). https://www.vogue.com

    RJCC-28-4-429_F55.gif

    Proenza Schouler 2014 Spring Reprinted from Vogue. (2013a). https://www.vogue.com

    RJCC-28-4-429_F56.gif

    Altuzarra 2017 Spring Reprinted from Vogue. (2016a). https://www.vogue.com

    RJCC-28-4-429_F57.gif

    Loewe 2017 Spring Reprinted from Vogue. (2016c). https://www.vogue.com

    Table

    Attachment position, direction, material of tassels and fringe decoration

    Reference

    1. Amazigh. (n.d.). Berber’s bag. Retrieved January 23, 2019, from https://www.amazigh.it/berber-bag-zaaboula-rif-mountain-north-morocco/img_4541/
    2. Anawalt, P. R. (2009). 세계복식문화사 [The worldwide history of dress]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Trans.). Seoul: Wisdomhouse. (Original work published 2007)
    3. Chairish. (n.d.). Bedouin wool tasseled tapestry bag [Pinterest]. Retrieved January 23, 2019, from https://www.pinterest.co.kr/pin/442619469629281226/
    4. Cho, W. S. (2018). The story of handbag design. Seoul: Knowledge and Sensibility.
    5. Chung, H. S. , & Kim, E. H. (2001). A study on the history of hand-bag. Chung-Ang Journal of Human Ecology, 14, 187-207.
    6. Etsy. (n.d.a). Pouch bag. Retrieved January 23, 2019, from https://www.etsy.com/listing/211969093/limited-time-20-off-vintage-beaded-purse
    7. Etsy. (n.d.b). Suede fringe purse 1970s. Retrieved January 23, 2019, from https://www.etsy.com/listing/786256075/suede-fringe-purse-hippie-leather-fringe?epik=dj0yJnU9TXpqa2Z0aUlqemJyQjZPS1lPMTRzSjk5TVdrV3ZCQkQmcD0wJm49cUwtb05MRHpDM1JlWVQ0d1pGUi1vdyZ0PUFBQUFBRjlBNG1B
    8. Fashion Professional Resources Dictionary Committee. (1997). Fashion 전문자료사전 [Fashion professional resources dictionary]. Seoul: Korea Dictionary Research Publishing.
    9. Flickr. (n.d.). Purse depicting lovers. Retrieved October 25, 2018, from https://www.flickr.com/photos/medievalarchive/2143878844/in/faves-la-fleur-de-lafolie/
    10. Haye, A. , Evans, C. , Phillips, A. , Wilcox, C. , & Clark, J. (2012). 핸드백의 모든 것: 시몬느 핸드백 뮤지엄 [Handbags: The making of a museum] (Simmonne Handbag Museum, Trans.). Paju: Nanda. (Original work published 2012)
    11. Jeon, G. H. (2005). The study of bag design: Focused on brand identi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Hongik University, Seoul, Korea.
    12. Jugem. (2019, May 19). Traditional bag, Japan. Retrieved January 23, 2020, from http://rombako.hakoseko.mods.jp/?eid=982195&imageviewer&image=20190516_2744178.jpg
    13. Kim, E. Y. (2001). A study on the clothing design adating the fringe & tassel. Unpublished master’s thesis, Hongik University, Seoul, Korea.
    14. Kim, J. H. (2014). A study on the texture expression through mixing of materials and repetitive structure.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15. Kim, S. Y. (2011). Transactions: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 fringe in modern fashion.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13(6), 856-865.
    16. Kwan, J. S. (2014). A study on the expression analysis in fringe of modern fashion design. Journal of the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8(4), 73-82.
    17. Kwon, M. S. (1989). The research on the bag design for busines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18. La Fillette. (January 19, 2015). The origin and history of the bag [Blog Post]. Retrieved February 19, 2019, from http://lafi21.blog.me/220244610054
    19. Ladylimoges. (2011, April 14). Art Nouveau style purse 1920~1925. Retrieved January 10, 2019, from https://ladylimoges.tumblr.com/post/4609639257/omgthatdress-bag-ca-1920-1925-via-manchester
    20. Lee, Y. H. , & Cha, E. J. (1996). A study on the shoes and handbags design applying Kim, Su-Geun’s architecture. The Collection of Jinju Tech, 19, 561-578.
    21. McCord Museum. (n.d.). Evening bag 19C. Retrieved January 10, 2019, from http://collections.museemccord.qc.ca/en/collection/artifacts/M974.107.1?Lang=1&accessnumber=M974.107.1
    22. Metropolitan Museum of Art. (n.d.a). Purse 1820s. Retrieved January 21, 2019, from https://www.metmuseum.org/art/collection/search/116964
    23. Metropolitan Museum of Art. (n.d.b). Purse late 1920s, German. Retrieved January 21, 2019, from https:// www.metmuseum.org/art/collection/search/117316?rpp=90&pg=10&rndkey=20141223&ft=*&deptids=8&pos=821
    24. Minneapolis Institute of Art. (n.d.). Tuareg’s camel saddle bag 20C. Retrieved February 12, 2019, from https://collections.artsmia.org/art/24932/camel-bag-tuareg
    25. Museum of Fine Arts Boston. (n.d.a). Butterfly-shaped drawstring purse. Retrieved January 23, 2019, from https://collections.mfa.org/objects/6407
    26. Museum of Fine Arts Boston. (n.d.b). Seal bag. Retrieved October 21, 2018, from https://collections.mfa.org/objects/46906
    27. Museum of Fine Arts Boston. (n.d.c). Drawstring bag. Retrieved November 3, 2018, from https://collections.mfa.org/objects/116689
    28. Museum of Fine Arts Boston. (n.d.d). Bag 19C. Retrieved January 11, 2019, from https://collections.mfa.org/objects/115931
    29. 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 (n.d.). 영친왕비 진주화접문 자수 향주머니 [Embroidered incense dooru jumeoni with pearl flower for Queen Young chin]. Retrieved February 12, 2019, from https://www.gogung.go.kr/searchView.do?pageIndex=3&cultureSeq=00017194AK&searchRelicDiv4=&searchGubun=ALL1&searchText=%EB%91%90%EB%A3%A8%EC%A3%BC%EB%A8%B8%EB%8B%88
    30. Ponty, M. (2008). L’oeil et l’esprit (J. A. Kim, Trans.). Seoul: Maumsanchaek. (Original work published 1964)
    31. Popscreen. (n.d.). Art Deco beaded purse 1920s. Retrieved January 22, 2019, from http://www.popscreen.com/p/MTAzODYyMTAw/Vintage-Art-Deco-Beaded-Roaring-20s-Chain-Clasp-Purse-Blue-Yellow-
    32. Rugrabbit. (n.d.). Baluchi salt bag. Retrieved January 23, 2019, from https://rugrabbit.com/node/206615
    33. Toba. (2011, September). Why a woman needs 100 handbags [Blog Post]. Retrieved October 20, 2018, from http://hunza.tistory.com/359
    34. Viabanjara. (n.d.). A vintage hand embroidery bag, In dia [Pinterest]. Retrieved January 23, 2020, from https://i.pinimg.com/originals/aa/a7/77/aaa7778713b4f947d2d1cd8dd0294c72.jpg
    35. Vogue. (2010, September 27). Roberto Cavalli 2011 Spring. Retrieved May 23, 2020, from https://www.vogue.com/fashion-shows/spring-2011-ready-towear/roberto-cavalli/slideshow/details#7
    36. Vogue. (2012a, September 22). Bottega Veneta 2013 Spring. Retrieved April 23, 2020, from https://www.vogue.com/fashion-shows/spring-2013-ready-towear/bottega-veneta/slideshow/details#22
    37. Vogue. (2012b, September 22). Bottega Veneta 2013 Spring. Retrieved April 23, 2020, from https://www.vogue.com/fashion-shows/spring-2013-ready-towear/bottega-veneta/slideshow/details#24
    38. Vogue. (2013a, September 11). Proenza Schouler 2014 Spring. Retrieved August 28, 2019, from https://www.vogue.com/fashion-shows/spring-2014-readyto-wear/proenza-schouler/slideshow/details#22
    39. Vogue. (2013b, September 18). Gucci 2014 Spring. Retrieved April 23, 2020, from https://www.vogue.com/fashion-shows/spring-2014-ready-to-wear/gucci/slideshow/details#29
    40. Vogue. (2013c, September 27). Vanessa Bruno 2014 Spring. Retrieved May 21, 2020, from https://www.vogue.com/fashion-shows/spring-2014-ready-towear/vanessa-bruno/slideshow/collection
    41. Vogue. (2013d, September 27). Vanessa Bruno 2014 Spring. Retrieved April 23, 2020, from https://www.vogue.com/fashion-shows/spring-2014-ready-towear/vanessa-bruno/slideshow/collection#4
    42. Vogue. (2013e, October 1). Valentino 2014 Spring. Retrieved April 23, 2020, from https://www.vogue.com/fashion-shows/spring-2014-ready-to-wear/valentino/slideshow/details#18
    43. Vogue. (2014a, February 22). Roberto Cavalli 2014 Fall. Retrieved January 23, 2020, from https://www.vogue.com/fashion-shows/fall-2014-ready-to-wear/roberto-cavalli/slideshow/details#107
    44. Vogue. (2014b, September 21). Salvatore Ferragamo 2015 Spring. Retrieved August 28, 2019, from https://www.vogue.com/fashion-shows/spring-2015-readyto-wear/salvatore-ferragamo/slideshow/details#35
    45. Vogue. (2016a, September 12). Altuzarra 2017 Spring. Retrieved August 28, 2019, from https://www.vogue.com/fashion-shows/spring-2017-ready-to-wear/altuzarra/slideshow/details#17
    46. Vogue. (2016b, September 15). Ralph Lauren 2016 Fall. Retrieved February 4, 2020, from https://www.vogue.com/fashion-shows/fall-2016-ready-to-wear/ralph-lauren/slideshow/details#139
    47. Vogue. (2016c, September 30). Loewe 2017 Spring. Retrieved August 28, 2019, from https://www.vogue.com/fashion-shows/spring-2017-ready-to-wear/loewe/slideshow/details#15
    48. Vogue. (2016d, October 2). Elie Saab 2017 Spring. Retrieved April 23, 2020, from https://www.vogue.com/fashion-shows/spring-2017-ready-to-wear/eliesaab/slideshow/collection#22
    49. Vogue. (2017a, February 15). Coach 2017 Fall. Retrieved August 28, 2019, from https://www.vogue.com/fashion-shows/fall-2017-ready-to-wear/coach/slideshow/details#53
    50. Vogue. (2017b, February 24). Prada 2014 Spring. Retrieved May 21, 2020, from https://www.vogue.com/fashion-shows/fall-2017-ready-to-wear/prada/slideshow/details#128
    51. Vogue. (2017c, February 27). Giorgio Armani 2017 Fall. Retrieved February 4, 2020, from https://www.vogue.com/fashion-shows/fall-2017-ready-to-wear/giorgio-armani/slideshow/details#39
    52. Vogue. (2017d, March 1). Maison Margiela 2017 Fall. Retrieved April 23, 2020, from https://www.vogue.com/fashion-shows/fall-2017-ready-to-wear/maisonmartin-margiela/slideshow/details#78
    53. Vogue. (2017e, September 10). Alexander Wang 2018 Spring. Retrieved August 28, 2019, from https://www.vogue.com/fashion-shows/spring-2018-readyto-wear/alexander-wang/slideshow/details#48
    54. Vogue. (2017f, September 21). Fendi 2018 Spring. Retrieved August 28, 2019, from https://www.vogue.com/fashion-shows/spring-2018-ready-to-wear/fendi/slideshow/details#9
    55. Vogue. (2017g, September 21). Fendi 2018 Spring. Retrieved August 28, 2019, from https://www.vogue.com/fashion-shows/spring-2018-ready-to-wear/fendi/slideshow/details#27
    56. Vogue. (2017h, September 29). Loewe 2018 Spring. Retrieved April 23, 2020, from https://www.vogue.com/fashion-shows/spring-2018-ready-to-wear/loewe/slideshow/details#3
    57. Vogue. (2017i, September 29). Loewe 2018 Spring. Retrieved August 28, 2019, from https://www.vogue.com/fashion-shows/spring-2018-ready-to-wear/loewe/slideshow/details#28
    58. Vogue. (2018a, January 23). Proenza Schouler 2018 Fall. Retrieved February 4, 2020, from https://www.vogue.com/fashion-shows/fall-2018-ready-to-wear/proenzaschouler/slideshow/details#22
    59. Vogue. (2018b, February 27). Christian Dior 2018 Fall. Retrieved May 22, 2020, from https://www.vogue.com/fashion-shows/fall-2018-ready-to-wear/christiandior/slideshow/details#69
    60. Vogue. (2018c, February 27). Christian Dior 2018 Fall. Retrieved May 22, 2020, from https://www.vogue.com/fashion-shows/fall-2018-ready-to-wear/christiandior/slideshow/details#109
    61. Vogue. (2018d, September 11). Oscar de la Renta 2019 Spring. Retrieved April 23, 2020, from https://www.vogue.com/fashion-shows/spring-2019-readyto-wear/oscar-de-la-renta/slideshow/details#57
    62. Vogue. (2019a, January 23). Armani Privé 2019 Spring. Retrieved April 23, 2020, from https://www.vogue.com/fashion-shows/spring-2019-couture/armaniprive/slideshow/collection#6
    63. Vogue. (2019b, February 10). Area 2019 Fall. Retrieved April 23, 2020, from https://www.vogue.com/fashionshows/fall-2019-ready-to-wear/area/slideshow/collection#12
    64. Vogue. (2019c, February 23). Salvatore Ferragamo 2019 Fall. Retrieved April 23, 2020, from https://www.vogue.com/fashion-shows/fall-2019-ready-to-wear/salvatore-ferragamo/slideshow/details#46
    65. Vogue. (2019d, February 27). Balmain 2020 Spring. Retrieved May 4, 2020, from https://www.vogue.com/fashion-shows/spring-2020-ready-to-wear/balmain/slideshow/details#58
    66. Vogue. (2019e, September 16). JW Anderson 2020 Spring. Retrieved April 23, 2020, from https://www.vogue.com/fashion-shows/spring-2020-ready-towear/j-w-anderson/slideshow/details#37
    67. Vogue. (2019f, September 16). JW Anderson 2020 Spring. Retrieved January 28, 2020, from https://www.vogue.com/fashion-shows/spring-2020-readyto-wear/j-w-anderson/slideshow/details#3
    68. Vogue. (2019g, September 28). Issey Miyake 2020 Spring. Retrieved January 28, 2020, from https://www.vogue.com/fashion-shows/spring-2020-ready-to-wear/issey-miyake/slideshow/collection#20
    69. Vogue. (2020, February 23). Bottega Veneta 2020 Fall. Retrieved April 23, 2020, from https://www.vogue.com/fashion-shows/fall-2020-ready-to-wear/bottegaveneta/slideshow/details#13
    70. Wikimedia Commons. (n.d.). Assyria relief. Retrieved September 18, 2018, from https://commons.wikimedia.org/wiki/Category:Assyrian_art_from_Dur-Sharrukin#/media/File:Apadana_winged_man.jpg
    71. Youn, S. R. (2014). Principles and characteristics of 3D linear constructions with threads. Journal of Basic Design & Art, 15(6), 383-398.

    Appendi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