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rossref logo
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6-0401(Print)
ISSN : 2383-6334(Online)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Vol.28 No.4 pp.492-507
DOI : https://doi.org/10.29049/rjcc.2020.28.4.492

Development of fashion design applied to costume of the Chinese Minority Xinjiang Uygur

Lifeng Wang, Younhee Lee*
Ph. D., Dept. of Clothing & Textiles, Hanyang University, Korea
*Professor, Dept. of Clothing & Textiles, Hanyang University, Korea

This paper is a part of a doctoral dissertation.


Corresponding author (yiyhee@hanyang.ac.kr)
July 19, 2020 August 24, 2020 August 25, 2020

Abstract


This study aims to develop fashion designs that combine atlas fabric with the characteristics of Uygur costume to modernize the costume of the Xinjiang Uygur. Research contents and methods are as follows. First, based on previous studies, research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cultural background, clothing characteristics, and material of Uygur clothing. Second, based on such research contents, designs combining the characteristics of Uygur costume and atlas fabric were presented. Third, to analyze the utilization of atlas fabric and examine fabric characteristics, material was gathered from collections on domestic and foreign web sites. Through field explorations of local museums in the Xinjiang area, minority group culture was observed in more detail. Based on collection of traditional clothing and analysis of its characteristics, fashion designs that apply contemporary trends were developed. General silhouettes without any restrictions to the waist and decorations made using embroidery were often used. Atlas silk, developed in China using Ikat weaving methods, is an important traditional clothing fabric of the minority group Xinjiang. Based on such data collection analysis, the produced works highlighted traditional ethnic characteristics by extracting classical patterns of atlas fabric, modifying or partially expanding them, combining them with hand knitting, and adding contemporary sensations, thus providing confirmations of the possibility of popularizing classic patterns in more practical manners.



중국 신장 위구르족 복식의 특성을 활용한 패션 디자인

왕 리 봉, 이 연 희*
한양대학교 의류학과 박사
*한양대학교 의류학과 교수

초록


    I. Introduction

    최근 중국의 세계화와 함께 중국 전통 소수민족 복식에 관심이 많아지면서 중국 소수민족 복식에 관한 연구도 증가하고 있다. 2010년 이후 2020년까지 10년간 중국 소수민족 복식에 대한 연구로는 총 30여 건이 조사되었으며, 2000~2010년보다 2배 로 증가하였다. 중국의 소수민족 복식은 오랜 역사와 다양한 문화, 각 소수민족의 다양한 풍습과 생활방식에서 독특하고 아름다운 유형의 문화유산들을 발견할 수 있다(Wang, Lee, & Lee, 2017).

    중국의 소수민족 신장 위구르 자치구는 중국에서 이슬람 인구가 가장 많은 지역으로, 이 소수민족 집단 의 복식은 주변 환경과 종교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위구르족은 중국 55개 소수민족 중의 하나이자 이슬 람교를 신앙하는 10개 소수민족 중의 하나로서, 풍부 한 민족문화와 유구한 역사를 가지고 있다. 신장 위구 르족은 고대 실크로드에 위치한 신장 위구르 자치구 에 거주하는 주요 소수민족 중 하나이기도 하다.

    2013년부터 중국의 지속적인 발전과 ‘일대일로(一 带一路)’의 추가 구현으로 신장의 독특한 지리적 우세 는 서쪽으로 개방할 중요한 창문 역할을 하면서 그에 따라 신장 지역은 필연적으로 각지에서 점차 주목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중국의 문화는 지속적으로 연구 되고 관심을 받고 있으며, 소수민족 복식을 활용한 패 션디자인도 개발되고 있다. 최근 아르마니 2020 컬렉 션에서는 신장 위구르족 아틀라스 직물을 소재로 컬 렉션을 전개하기도 하였다.

    신장의 면적은 166만 평방킬로미터로 중국 국토 총 면적의 6분의 1을 차지하는 중국의 5개 소수민족 자치구 중 하나다. 이 다민족이 모인 지역에서 위구르 족 인구수가 48%에 육박하는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Xinjiang Ethnic Population, 2019). 위구르족의 체계 적인 복식 형태, 선명한 색채, 다양한 무늬, 뛰어난 공 예, 그리고 독특한 민족 심미는 신장의 지역성의 풍습 과 역사 문화의 침전을 구현하고 있다. 2008년 6월 위 구르족 복식과 전통직물 아틀라스 염직 기술은 제2차 중국무형문화유산 명부에 등재되었다(China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n.d.). 이와 같은 소수민족의 물질적 문화를 합리적으로 보호, 선전, 전승, 연구와 현대화, 다양한 모델 패턴의 상호 작용을 통해 신장 염직 등의 보호와 발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아틀라스 실크는 신장 소수민족 복식의 중요 한 부분으로 이카트(Ikat) 직조 방식으로 중국에서 발 전한 것이다. 이카트는 널리 사용되는 직물 염색 공예 로 일본의 가스리(Kasuri) 직물, 중앙아시아 우즈베키 스탄 아들라스(Adras) 직물, 인도 파톨라(Patola) 직 물, 인도네시아 이카트(Ikat) 직물과 중국 신장 아틀라 스(Atlas) 직물로 세계 다양한 직물 문화에 광범위하 게 존재한다. 환경과 문화에 따라 처리 방식이 약간 다 르지만, 모두 이카트 직조 공예에 속한다(“Ikat history”, n.d.). 이카트 직물과 패턴이 패션계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긴 했지만 신장 지역의 이카트 직물인 아틀라 스 실크에 대한 연구는 아직 많이 부족한 상황이다. 아틀라스 실크는 오래된 염색과 직조 기법을 채택하 고 있으며, 무늬와 색채가 강한 지방 민족의 특색을 지니고 있다.

    또한 아틀라스 실크는 신장 소수민족 복식의 중요 한 부분으로 이카트(Ikat) 직조 방식으로 중국에서 발 전한 것이다. 이카트는 널리 사용되는 직물 염색 공예 로 일본의 가스리(Kasuri) 직물, 중앙아시아 우즈베키 스탄 아들라스(Adras) 직물, 인도 파톨라(Patola) 직 물, 인도네시아 이카트(Ikat) 직물과 중국 신장 아틀라 스(Atlas) 직물로 세계 다양한 직물 문화에 광범위하 게 존재한다. 환경과 문화에 따라 처리 방식이 약간 다 르지만, 모두 이카트 직조 공예에 속한다(“Ikat history”, n.d.). 이카트 직물과 패턴이 패션계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긴 했지만 신장 지역의 이카트 직물인 아틀라 스 실크에 대한 연구는 아직 많이 부족한 상황이다. 아틀라스 실크는 오래된 염색과 직조 기법을 채택하 고 있으며, 무늬와 색채가 강한 지방 민족의 특색을 지니고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에 있어 중요한 지리적 위치인 신장 지역의 이슬람교를 믿은 위구르족 민족 들의 복식에 대해 일련의 분석을 하고, 위구르족 복식 의 특성을 적용시킨 창의적인 패션디자인을 실질적으 로 전개, 제작하여 패션디자인 영역의 다양한 가능성 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한 방법으로 중국 신장 위구르족의 생 활환경과 종교 문화 및 복식 주요 소재 아틀라스에 대 하여 문헌 자료와 국내외 웹 사이트를 통해 수집된 사 진 자료를 기반으로 위구르족 복식의 문화 배경, 디자 인 특징, 직물 등을 파악한다. 중국과 국제패션위크에 서 아틀라스와 이카트 직물을 응용한 디자인의 활용 현황과 현대 패션컬렉션에 나타나는 문양의 응용과 기법 등을 조사하고, 본 연구의 디자인을 위한 자료로 활용한다. 이러한 조사 내용을 바탕으로 위구르족 복 식의 디자인 특성과 에스닉 문양과 다양한 소재와 기 법을 활용한 디자인 4착장을 제안하였다. 신장 지역 의 현지 박물관 및 아틀라스 생산지 허톈(Hetian)과 카스가얼(Kashgar)의 현장 탐방을 통해 현지 소수민 족 문화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고, 아틀라스 만든 과정 과 작용 등에 대한 사진 촬영 및 역사적 자료를 수집 하였다.

    Ⅱ. Xinjiang Uygur Costume

    1. Xinjiang Uygur autonomous region, China

    1) Natural environment

    신장은 중국 북서쪽 국경에 위치하고 있는 신장 위 구르족 자치구이며, ‘신(新)’이라고 약칭한다. 신장은 중국에서 가장 큰 육지 면적의 성급 행정 구역인데, 면적은 166만 평방킬로미터로 중국 총면적의 1/6을 차지한다. 신장은 유라시아대륙의 중심부에 위치하며, 동서 교통의 중요한 통로이다. 이는 러시아, 카자흐스 탄, 키르기즈스탄, 타지키스탄, 파키스탄, 몽골, 인도, 아프가니스탄 등 8개국과 국경을 접하고 있으며, 역 사적으로 고대 실크로드의 중요한 통로였고, 지금은 두 번째 ‘유라시아 대륙교’에 반드시 거쳐야 할 길이 며 전략적 위치로 매우 중요하다(Han, 2019; Fig. 1).

    신장은 고대부터 실크로드의 중심 지역에 위치해 있으며, 여러 민족이 모여 사는 지역으로 각종 문화가 융합되었다. 중국 56개 민족, 신장에는 47개 민족성분 이 거주하고 있으며, 이중 상주 민족은 위구르족, 한족, 키르기즈족(kirghiz), 회족, 카자흐족(kazakh), 몽골족, 타지크족, 시보족, 만주족, 우즈베크족, 러시아, 다우 르(Daur)족, 타타르(Tatar)족 등 13개 거주 민족이 있 다. 2015년 말, 신장 인구는 약 2,360만 명으로, 각 민 족에서 위구르족 인구 총 1,130.33만 명으로 전체 인 구의 48%를 차지하였다(Xinjiang Ethnic Population, 2019). 위구르족은 광범위하게 분포되어 있으며, 신장 은 북부와 남부로 나누고 위구르족은 주로 남부의 카 슈가르, 허톈에 분포하고 있으며, 북부는 하미, 투루 판, 우루무치와 같은 지역에 많이 분포한다. 신장의 위치는 바다와 멀고 높은 산들이 둘러있고, 습한 공기 가 들어가기 어려워서 건조한 대륙 기후가 형성되었 다. 맑은 날씨가 많고 일조가 강하며 비가 별로 없고 건조하다. 겨울은 춥고 여름에 덥고 밤낮의 온도차가 크고 풍사가 매우 심하다. 그래서 기후적인 영향으로 위구르족은 겨울에 보온 성능이 좋고 여름에 상쾌한 옷을 선택하여 입는다(Lee, 2012).

    2) Religious cultural environment

    신장 위구르족은 역사적으로 샤머니즘(Shamanism), 현교(Mazdaism), 마니교(Manichaeism), 불교(Buddhism) 등 다양한 종교를 믿은 적이 있다. 16세기 이슬람으로 개종한 이후부터 지금까지 이슬람교의 영향은 위구르 족의 경제, 정치, 문화에 깊이 스며들었다. 위구르족 의 의복 문화는 이슬람교 문화를 반영하고 있으며, 이 슬람교 문화 위주의 다양한 종교 문화의 함의를 보여 주는 초기 종교의 흔적도 보존하고 있다(Liu, 2003).

    샤머니즘은 만물이 영혼을 가지고 있다고 믿으며, 샤만의 복식 및 분장은 특정한 신앙의 근거를 가지고 있으며, 샤만교가 위구르족의 복식에 미치는 영향은 지금까지도 존재한다(Liu, 2009). 마니교가 우상을 숭 배하지 않고 태양과 달을 숭배하는 것은 신의 광명을 상징한다는 종교의식인 “상백(尚白)”이라는 관념을 부여한다. 이 관념은 나중에 이슬람교의 색 개념과 일 치하므로 흰색도 신장 위구르족 전통 민족 복식의 주 요 색상이다. 불교는 최초로 카슈미르 등지에서 위구 르족이 살았던 우전현(Keriya)에 고창왕국(Chotscho)으 로 전해지며 위구르족에서 유행하게 되었으며, 하미 지구에 위구르족의 전통 복식 중의 연꽃 패턴은 불교 의 영향을 반영한 것이다.

    16세기 초에 이슬람교는 신장에서 불교를 대신하 여 지배적인 종교가 되었다. 이슬람교에서는 알라는 우주의 모든 것을 창조하고 지배자와 피지배자라고 생각한다. 이슬람교의 이런 관점은 신자의 복장 착용 으로 하여금 통일되고 소박한 특성을 표현하였다. 이 슬람교가 자신의 신앙민족 복식에 미친 영향은 주로 신도들이 무엇을 입어야 하는지, 무엇을 입지 말아야 하는지에 대한 것으로 나타났다.

    2. Uygur clothing features

    위구르족 복식의 발전은 역사적 과정에서 점차 발 전하고 변화하였다. 지리적 환경과 유목생활의 적응 은 의상 스타일과 소재의 선택 시 신체 보호에 더 중 점을 둔다. 또한 고대 거주 민족, 한족 및 중앙아시아 지역 민족과의 교류는 위구르족의 복식 문화를 더욱 풍요롭게 만들었다. 신장위구르족 사회에서 이슬람이 민족 중심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지만, 역사 발전에서 나타났던 종교, 민간의 민족 신앙이 완전히 사라진 것 도 아니고, 여전히 복식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공존의 조짐은 위구르족의 복식이 다채로운 것을 보 여주는 근본적인 요소이기도 하다.

    패션 스타일에서 위구르족 의상은 폭과 길이, 노출 을 피하기 위해 신체의 여러 부위를 충분히 커버할 수 있는지부터 고민한다. 위구르족에게 패션 스타일의 요구는 도덕의 품격을 가늠하는 중요한 기준이 된다. 남성복은 스타일이 짧거나 너무 타이트하고, 상의는 무릎에 못 미치고, 바짓가랑이는 발에 못 미치고, 심 지어 반바지를 입고 사교활동에 나선다면 비난을 받 을 수 있다. 위구르족 전통 사회에서 남녀 패션의 혼 동 스러운 착용을 금하기 위해서는 자신의 성별에 맞 는 의상 스타일을 선택해야 한다.

    이슬람 남성들은 의복의 착용 목적은 장식을 위해 착용하거나, 자기가 다른 사람보다 우월하거나 오만 하다는 것을 드러내는 것이 아니다. 이슬람교에서는 여성의 아름다운 자태와 장식을 드러내는 것을 엄격 히 금지되어 있으며, 또한 여성들이 양손, 두 발 및 얼 굴을 제외한 신체 부위를 모두 가려야 하고, 남편과 지친이 아닌 다른 남자에게 노출되어서는 안 된다고 생각한다. 이슬람교는 또한 무슬림들이 다른 교복을 입는 것을 금지하고, 남녀가 서로 말과 행동, 복장 등 여러 방면 금지하는 관념은 아직까지도 위구르족의 사상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Abuliz, 2013). 이슬람교 는 또한 우상 숭배를 엄금하고 사람이나 동물의 조형 을 의복이나 건물에 패턴으로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위구르족은 주로 자연 문양 예술 창작을 통해 아름다 움에 대한 추구를 표현한다. 위구르족은 다양한 식물 과 꽃, 생활도구를 패턴문양으로 채택하고, 규칙적이 거나 불규칙적인 기하학적 무늬를 의상에 그려 이슬 람적 특색을 지닌 신장 소수민족 복식의 매력을 보여 준다(Huang & Wu, 2018).

    3. The form and composition of the Uygur traditional costume

    1) Men’s wear

    위구르족의 남성복식은 주로 챠판(chapan), 셔츠와 바지, 모자로 구성되며, 셔츠와 바지를 입고 외의로 챠판을 착용하며 외출 시에는 화모를 착용한다(Fig. 2). 속옷은 짧고, 가슴을 열지 않고, 흰색이 많다. 챠판 은 무릎 아래까지 길이의 긴 겉옷으로 넓은 깃의 대섶 이며, 칼라, 단추, 주머니가 없이 허리띠를 묶어 몸을 조이게 할 수 있다. 허리띠의 길이는 다양해서 긴 것 은 2m가 넘어 허리에서 몇 번 휘감았고, 사각형의 허 리띠는 맬 때 허리에서 하나의 각을 드러낸다. 젊은이 들의 허리띠는 색채가 화려하고 문양과 꽃들이 수놓 아져 있으며, 노인들의 허리띠 색채는 소박하다. 색상 은 청색, 짙은 회색과 흰색이 많고, 신분과 직업에 따 라 부자나 종교인이 흰색 옷을 많이 입는다(Lou & Li, 2013). 여름철에 홑겹으로 제작하여 입었고 겨울 철에는 솜을 넣어 입었는데, 노인들이 즐겨 입는 솜 챠판은 대부분 청색이었고 홑 챠판은 주로 흰색이다 (Rao, 2006). 소재는 면 또는 실크가 많이 사용된다. 이 스타일은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신장 위구르 족 복식뿐만 아니라, 중앙아시아 국가에서도 흔히 볼 수 있다. 소재와 두께에 따라 챠판도 몇 가지로 나누 어 구체적으로는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Fig. 3>의 챠판에 사용된 줄무늬 문양의 원단은 ‘베헤삼(拜合散姆)’이라 하며, 카스 지역의 위구르족 전통 공예로 직조한 전문 원단으로 남성용 챠판만 사 용된다. 베헤삼은 색상이 많지 않고 네이비, 짙은 녹 색 투톤의 넓은 줄무늬로 흔히 볼 수 있다. 직조가 촘 촘하고 가볍고 부드러우며 위구르족 사람들의 사랑을 받고 있다. 챠판 외형은 전통적 양식을 유지했지만, 일부 구조에서는 서양의류의 입체적인 구조를 거울로 삼았으며, 옆선의 솔기를 뒤로 이동하여 옷의 전면 외 관의 무결성을 유지하도 한다(Yi, 2013). <Fig. 4>의 챠판은 위구르족 전통 아틀라스 실크로 만들고, 소재 가 얇고 문양이 자유롭다. 주 문양은 마름모 문양, 빗 살 문양, 태슬 문양, 귀걸이 문양과 함께 구성되었다. 옷 안감의 색이 더 짙고 소맷부리, 네크라인, 옷자락, 밑단 부분 모두 금색 장식을 박힌다(Beijing Institute of Fashion Technology National Costume Museum [BIFTNCM], n.d.a).

    위구르족의 남성은 챠판 외에도 흰색 십자수 셔츠 도 즐겨 입는다. 셔츠의 길이는 무릎, 엉덩이까지 길 고(Han, 2019), 칼라, 앞가슴, 소맷부리에 기하학형 십 자수, 중심대칭, 좌우균형으로 많이 장식되어 있다 (Isak, 2013; Fig. 5). 네크라인은 크루넥, 스탠딩 칼라, 라펠 등 여러 스타일이 있다. 청색의 롱 팬츠를 매치하 면 소수민족 특색을 더욱 돋보인다(Rao, 2006; Fig. 6).

    2) Women’s wear

    위구르족의 여성 복식은 긴 코트, 짧은 상의와 조 끼, 셔츠, 원피스, 바지, 치마, 두건, 화모(taqiyah)로 구성된다. 면사와 부츠 등이 있으며, 디자인에는 대부 분 라운드 네크라인, 좁은 소매와 헐렁한 가슴, 꽃문 양을 수놓아진 디자인이 남성 복식보다 구별된다. 여 성은 여름철 롱 아틀라스 원피스를 즐겨 입고 위에는 벨벳으로 타이트한 조끼를 많이 입으며, 겨울철에는 긴 코트, 소가죽 부츠를 신는다(Fig. 7). 옷감은 면, 비 단, 실크 무명 벨벳과 금실 벨벳 등을 사용하였고, 옷 깃, 가슴, 소매 단, 어깨 등 부위에 금이나 은실과 색 실로 기하학 형태의 소화(floret)이나 소엽(leaflet)을 수놓아 위구르족의 강한 장식 미감을 표현해 냈다.

    신장은 동서 교통의 중심에 위치하고 있으며, 복식 은 중원문화의 영향과 중앙아시아 문명 촉진의 영향 을 모두 받고 있다. 서로 다른 지역에 거주하는 위구 르족은 복식에서도 지역적인 특징을 뚜렷이 나타내 며, 의상의 스타일, 색채의 조화, 패턴 문양부터 제작 공정까지 차이가 있다. 복식 문양의 차이가 가장 두드 러지는데, 특히 동부 하미(Hami), 투루판(Turpan) 지 역에 사는 위구르족은 한족과의 교제가 많아 한족 문 화를 많이 흡수하고 전통 수놓아진 페이즐리(paisley), 수박, 포도, 석류꽃, 화초녹엽(leaves and flowers) 등 문양 외에도 만주 한족 문화의 용봉정상(prosperity brought), 길상여의(auspicious), 구름문양 등의 패턴을 많이 채택하고 응용하였다(Lou & Li, 2013; Fig. 8). 신장 북부 이리(Yili area) 지역에 사는 위구르족은 러 시아 문화의 영향을 받은 의복의 제작 공정에 십자수 와 망수(网绣) 기술을 많이 적용하였고, 남부 허톈 (Hotan), 카슈가르 지역의 위구르족 복식은 중앙아시 아 민족의 문양과 스타일을 많이 흡수하였다. 그중 허 톈 지역에서는 고대 화살복의 특징에 따라 특색 있는 여성 복장을 디자인하였다. 현재 이러한 화려하고 고 상한 전통 의상들은 대부분 중요한 명절에만 입는다. 동부와 남부 여성 복식 구성이 거의 동일하며 주로 긴 코트, 짧은 상의, 조끼, 셔츠, 원피스, 바지, 부츠이다. 중원 지역의 역사와 문화 영향으로 그 중 긴 코트, 짧 은 상의와 조끼의 색상과 문양의 차이가 제일 크다.

    동부 지역의 여성 긴 코트 디자인에는 대섶(Duijin), 대금(Dajin), 두 가지 종류가 많으며, 안에는 원피스와 바지를 입는다. 복식 색채는 화려하며, 붉은색, 자색, 푸른색, 짙은 남색 등 문양이 풍부하고 상서로운 의미 를 많이 담고 있다. <Fig. 9>의 의상은 전통 여성 코트 로, 등받이, 앞가슴, 네크라인, 소맷부리, 옆트임에 모란 무늬를 수놓아 중년 여성들이 많이 입는 스타일이다.

    짧은 상의의 원단은 긴 코트와 같은 비단을 많이 사용하고 안감은 면 소재 원단으로 되어 있다. 흔히 볼 수 있는 스타일은 대섶(Fig. 10), 대금(Fig. 11)과 비 파금(Pipa lapel; Fig. 12)이다. 기장은 힙 둘레까지 밑 단 트임 있는 것과 트임 없는 두 가지 종류로 앞자락 에는 매듭단추(frog)가 있고, 색상은 붉은색, 파란색과 보라색이 많으며, 소맷부리, 앞자락과 밑단에 자수로 장식한다(Yang, 2016). 여성들이 많이 착용하는 조끼 스타일은 거의 스탠딩 칼라의 비파금이다. 위구르족 여성들은 두루마기나 짧은 상의에 조끼를 씌워 보온 과 장식(Yi, 2013) 역할을 하고, 소재는 무명 벨벳이 나 실크를 주로 사용한다.

    동부 지역의 비단을 만든 긴 코트, 짧은 상의 및 조 끼가 뚜렷한 청대 의상 특색을 가지고 있다. 위구르족 은 청대 복식의 영향을 받는 기초에서 자신의 생활 풍 습에 근거해 심미적으로 지역 특색을 지닌 전통 복식 을 만들어냈다. 짧은 상의에 긴치마를 맞추는 복장은 지금까지 하미 지역에서도 볼 수 있다(Zhang, 2006). 남부 여성의 짧은 상의(Fig. 13)와 조끼(Fig. 14) 스타 일은 대섶과 대금이 많고 자수 방식은 동부 지역과 달 리 금, 은실 자수의 꽃, 가지 잎과 기하학적 문양 조합 이 몸에 분포해 장식하는 경우가 많다(Chen & Xu, 2015). 원단은 비단, 면, 무명 벨벳 소재가 많고, 색상 은 점정, 짙은 남색을 많이 사용한다. 위구르족 여성 들의 셔츠는 남성 셔츠 스타일과 거의 일치하며, 십자 수로 네크라인과 소매부리에 집중 장식되어 있고 다 른 부위는 장식이 없다.

    젊은 여성들은 다양한 색깔의 원피스를 즐겨 입는 다. 길이는 무릎 아래로 내리며, 속에는 바지나 치마 를 입고, 그 위에는 남성 스타일과 같은 구조의 긴 코 트를 많이 입는다. 젊은 여성들은 화려한 색의 원단으 로 의상을 만드는 것을 좋아하며, 노년 여성은 검은, 파랑, 철색 등 색깔의 큰 꽃무늬 의상을 즐겨 입는다 (Liu, 2009). 가장 많이 사용되는 소재는 아틀라스 실크 로(Fig. 15), 질감은 부드럽고 가볍고 특히 여름에 입 기 좋으며, 문양은 긴 막대로, 색깔이 매우 화려하여, 규칙적으로 배열한다(BIFTNCM, n.d.b). 사막의 단조 로운 환경에서 강렬한 색채 대조를 이루며 현실과 미 래생활에 대한 위구르 미족의 뜨거운 사랑과 추구가 돋보인다.

    위구르족 여성 전통 바지는 원피스와만 매치해 입 는다. 하나는 이슬람이 교리 중 몸에 가려지는 기능이 고, 다른 한편으로는 신장의 기후가 건조하고 풍사가 많기 때문에 원피스 안에 바지를 매치하면 모래 황사에 대비해서 위생적이기도 하고, 일하기도 편하다(Yang, 2016). 아틀라스 실크로 만든 바지(Fig. 16)는 허리와 바짓가랑이 모두 개더를 처리하여 중간이 크고 양쪽 이 작은 초롱 모양을 만들어 ‘벌룬 바지’라고 한다. 편 안하고 누구나 착용할 수 있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전 해지고 있다.

    4. Uygur traditional dress color

    위구르족 복식은 종교, 민족문화의 구속과 영향으 로 복식 착용에도 어느 정도 금기가 있다. 색깔로 볼 때 위구르족은 붉은색과 노란색은 여성복에 속하기 때문에 남성은 붉은색이나 짙은 노란색, 짙은 녹색 또 는 뚜렷한 무늬가 있는 옷을 입는 것을 금지하고 있어 여성복의 색깔과 혼동해서는 안 된다. 위구르족 전통 사회에서 남성들은 검은색, 파란색 또는 다른 차가운 연색 계열의 옷을 입는 것에 익숙하다. 위구르족 여성 들은, 보통 밝은색의 무늬가 있는 옷을 즐겨 입는다. 이뿐만 아니라 위구르족이 연령대에 따라 입는 의상 의 색깔도 엄격하다. 노인들의 경우, 전통적 관념과 옷차림에 대한 제약 때문에 색상은 차가운 색이나 짙 은 색의 천으로만 선택할 수 있고, 밝은색은 피한다.

    위구르족의 복식의 색채는 자신만의 독특한 매력 을 보여준다. 가장 독특한 특징은 화려한 색상의 다양 한 활용을 통해 의상의 예술적 감화력을 더해 더욱 매 력적이다. 그들은 선명하고 강렬하며 복합적인 색의 사용을 추구한다. 흰색은 행복, 선의, 순결의 상징이고, 파란색은 행운, 복, 신성을 상징이고, 빨간색은 승리, 행복, 즐거움의 상징이고, 노란색은 우울과 고민의 상 징이고, 녹색은 생명, 평화, 풍요의 상징이고, 검은색 과 다른 차가운 색들은 흉한 색으로 여기고, 때로 검은 색은 고귀하고 신비로운 상징으로도 나타난다(Abulizi, 2004) 화려한 색상 외에 신장 소수민족 복식의 패턴 은 주로 일상생활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것으로, 선이 깔끔하고 명쾌하다.

    신장 동부와 남부지역의 여성들은 모두 선명한 색 을 좋아하지만 색의 조화와 활용에 차이가 있다. 동부 지역 여성들은 화려하고 풍부한 색채를 선호하여 대 비가 강렬하며 주로 빨간색, 파란색, 분홍색, 녹색, 검 은색, 흰색 등을 사용한다. 색채의 사용은 연령에 제 한이 없다. 반면 남부지역 여성들은 연령에 따라 색깔 선택에 차별성 있으며, 젊은 여성 복식은 색깔이 선명 하고 연장자 복식은 색의 순도와 명도가 낮아 대비 색 을 적게 쓰고 톤 온 톤 배색 경우가 많다. 일반적으로 파란색, 녹색, 검정색 및 흰색을 사용하고 빨간색, 노란 색 등 색깔 포인트로 주는 것을 좋아한다(Yang, 2016).

    위구르족의 복식 색채는 자신만의 독특한 매력을 보여주고 위구르족의 복식 색채의 가장 독특한 특징 은 화려한 색상의 다양한 활용을 통해 의상의 예술적 감화력을 더해 더욱 매력적이다. 신장 지역의 위구르 족 여성들이 즐겨 입는 옷감인 아틀라스의 색상은 검 은색, 파란색, 빨간색, 녹색, 흰색이 주류이며, 이는 위 구르족 선민들이 초기에 신봉한 샤머니즘(shamanism) 과 관련이 있다.

    5. Uygur traditional atlas fabrics

    신장 아틀라스에 대한 역사적 연원은 학술적으로 아직 정확한 정설이 없다. 기존의 와다 허톈 지역 아 틀라스의 직조는 모두 수공예 인들이 조상대로부터 물 려받은 것으로 전해 내려오나 명확한 기록이 없다(Liu, 2010). ‘아틀라스(Atlas)’라는 용어에 대해서는 아랍어 로 해석되는 경우가 많은데, 아랍어로는 지도책이라 는 뜻이며, 인도․유럽 어족에서 아틀라스는 비단, 문 양이 있는 면, 모직물에 대한 통칭이다. 돌궐어족에서 아틀라스는 방염에 의한 문양을 표현한 특수 직물을 가 리키는데, 이 아랍어 어휘는 12세기에 ‘QARA ATLAS’ 또는 ‘ATLAS’로 위구르 문헌에 등장하였다. 허톈 위 구르어로 ‘AT’는 몸, 고기를 의미하며, ‘LAS’는 찰랑 찰랑, 깨면서 벗어나는 의미를 가진다.

    아틀라스는 오래전부터 전해 내려오는 염색과 직 조 기법을 사용하고 있으며, 문양과 색채가 지역적 문 화적 소수민족의 특색을 지니고 있다. 아틀라스는 신 장 위구르족의 가장 고전적인 전통 복식 소재이고, 종 류가 다양하여 위구르 중장년 여성부터 어린아이까지 취향에 맞게 선택하여 착용한다(Zhang, 2015). 아틀라 스는 색상에 따라 검정 아틀라스, 빨강 아틀라스, 노 랑 아틀라스, 사처 아틀라스(다색 아틀라스) 등 크게 4가지 종류로 나뉜다. 검정, 빨강, 노랑 아틀라스 실크 는 기본 색상은 단색이며, 다른 컬러와 포인트를 활용 하여 문양이 돋보이고 우아한 느낌을 보여준다(Song, Wang, Guo, & Du, 2015).

    검정 아틀라스 실크는 가장 오랜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검은색 배경에 무늬는 흰색이기 때문에 검은 아틀라스라고 하며 ‘안집연 아틀라스’라고도 부른다 (Fig. 17). 검정 아틀라스 실크 패턴은 양각의 모양이 변형된 것으로, 각 양각마다 질서 있게 배열되어 있 다. 보석 패턴을 장식해서 전체적인 단순함을 깨뜨리 고 페이즐리 모양에 도안을 넣어 패턴의 다양함과 차 원감을 더하였다. 패턴의 테두리는 불규칙한 선으로 처리되어, 전체적으로 딱딱하지 않고, 레이어링된 느 낌을 전해준다(Li, 2017). 검정 아틀라스 원피스는 중 년과 노년 여성들이 많이 착용한다(Qi, 2014).

    빨강 아틀라스는 붉은 바탕에 노란 페이즐리 문양 과 태슬, 빗살무늬, 배무늬 등으로 디자인되어 있다 (Fig. 18). 위구르족이 붉은색을 숭상하는 것은 이슬람 교에 귀의하기 전의 믿었던 종교와 관련이 있다. 또한 위구르족은 한족의 전통문화에서도 영향을 많이 받아 한족이 많이 사용하는 빨간색은 위구르족 주민들의 의류, 장식품, 카펫 직물 등에 주색으로 자주 사용되 었다(Mu, 2012). 조합된 문양의 요소는 순서대로 배열 되어 상하좌우 모두 대칭이 된다. 상부는 뾰족하고 하 부는 원형의 변형된 페이즐리 모양이 중첩되고 중간 에 파란색 포인트로 전체적으로 따뜻한 톤과 대비되 어 더욱 화사한 분위기를 연출한다. 페이즐리 아랫부 분은 태슬처럼 보리 이삭 문양에 이어져 있어 풍년의 기쁨을 상징한다. 전체적인 패턴은 심플하며 변화무쌍 하기도 하다. 화려한 색상은 열정이 넘치는 시각 체험 을 주고 위구르족의 열정이 표현되어 있다(Li, 2017).

    노란색은 대막과 황토의 색깔을 상징하는 의미로 위구르족의 생활환경을 나타낸다. 위구르족의 노란색 에 대한 애정도 한족의 전통적 색채의 영향을 받았다. 노랑은 황금의 색이고 고귀함과 존엄성, 화려함을 상 징하며 위구르족에게도 고귀함의 상징이다(Mu, 2012). 노랑 아틀라스 실크의 바탕은 주로 밝은 노란색으로, 문양은 주로 짙은 그린, 흰색, 피치 등으로 매치한다 (Fig. 19). 문양의 패턴은 빨강 아틀라스와 비슷하고 주로 악기 무늬, 배 무늬와 빗살무늬 등으로, 중요한 패턴이 가장 바깥쪽에 갈색으로 그려져 선명한 색상 과 조화를 이루었다. 색채가 다양하면서도 단정하고 실크의 광택을 더해 화사한 느낌을 전해준다(Li, 2017).

    파랑과 녹색 아틀라스도 자연환경과 종교의 영향 을 받아 위구르족의 사랑을 받고 있다. 파랑 아틀라스 는 위구르족의 자연선호 사상에서 유래되었으며 하늘 과 넓은 마음을 상징한다(Fig. 20). 신장 위구르족은 과거 풀과 물을 따라 사는 유목민이었으며, 풀과 물을 생명으로 생각하고 나무를 숭배하는 풍습이 있다. 사 막에서 녹색은 생명과 희망을 상징하며, 이슬람의 깃 발과 건축물에서는 녹색이 많이 사용되며, 이슬람교에 서는 신성한 색으로 여겨진다(Zhang, 2015a; Fig. 21).

    아틀라스의 문양은 주로 중앙아시아 문화와 예술 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대칭 패턴의 사용, 투 사이드 스 컨티니얼(two sides continual) 방법, 식물 형태의 원형 추출, 원색과 대비색 선호, 금․은 실 교차 사용 등, 중앙아시아 몇 주변 여러 나라 직물의 특징과 비 슷하다. 이러한 요소들은 신장 현대 예술의 표현에 신 비로운 중앙아시아 풍격을 더하였다(Zhang, 2015).

    아틀라스의 문양은 추상적으로 보이지만, 실제로는 다양한 실생활의 물상을 모티브로 하였다. 크게 식물 문양, 기하학적 문양, 가구 문양 등 세 가지 유형으로 나뉘며,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또는 몇 가지 종류의 무늬를 조합하여 다양한 패턴을 형성할 수도 있다(Hou & Wang, 2011). 아틀 라스 직물의 식물 문양은 주로 화초, 나무와 가지 잎, 사과, 배, 박, 석류 및 페이즐리 등이 있다. 이러한 문 양 디자인은 신장의 지리적 환경과 연계되어 있다. 기 하학적 문양 중 가장 많은 것은 마름모꼴, 물결, 타원, 하트, 긴 막대형 등이다. 마름모꼴 문양은 신장 지역 에서 2,000년 이상 발전해 왔으며, 청동기 시대의 색 채 문화에서부터 널리 사용되었다(Xinjiang Institute of Cultural Relics, 1999).

    6. Headdress of the Uygur traditional costume

    위구르족은 종교와 미의식에 기반하여 대부분의 남 녀노소가 화모(taqiyah)라 하는 모자를 착용한다(Fig. 22 and 23). 화모는 추위를 막아주는 보호품일 뿐만 아니라, 민족의 관습에 있어서도 특별한 장식품이며 스타일이 독특하고 다채롭다. 꽃문양부터 흩어진 문 양, 단독 문양, 십자대칭 모양 등으로 구분된다. 이슬 람 문화에서는 우상숭배가 금기로 되어 있어 위구르 족 모자의 문양은 화훼나 열매 등, 자연의 이미지를 소재로 하는 경우가 많다.

    위구르족 남성들은 외출할 때 언제나 모자를 써야 하고, 여성은 화모(Fig. 24)나 두건을 착용한다. 위구 르족의 여성들의 두건은 종류가 많은데, 꽃무늬가 많 고 비교적 화려하며 술 장식을 활용하기도 한다(Fig. 25). 재료는 실과 비단을 많이 사용한다. 두개 장식은 머 리 위에 덮은 후, 귀 뒤쪽 머리끝에서 눌러준다(Magepati, 2017).

    Ⅲ. Development of Works

    1. Development intention and method

    본 연구는 중국 신장 위구르족 복식의 현대화를 위 한 방향으로 위구르족 민족 복식의 특성을 활용한 패 션디자인을 제작하고자 하였다. 문헌연구와 선행연구 의 고찰을 통하여 위구르족 복식에 대한 조사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조사 내용을 바탕으로 현대적인 패션 디자인을 제안하였다. 아틀라스 직물은 소수민족 위 구르족이 선호하는 전통적인 원단이나 디자인, 문양, 색상 모두 응용의 한계를 가지고 있으며, 발전적이고 현대적인 개발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아틀라스 직물의 현대화를 위 한 개발 방법으로 다음과 같은 다양한 방법을 활용하 여 디자인을 전개하고자 하였다. 검정 아틀라스 실크 에서 고전적인 문양을 추출해서 변형하고 핸드 니트, 기계 니트, 자수 등 다양한 방식으로 전통적인 공예를 새로운 기법과 다른 재질감으로 표현한 디자인이다. 구체적인 디자인 의도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위구르족 복식 구성은 긴 코트, 짧은 상의, 조 끼, 원피스, 셔츠, 바지이다. 위구르족 복식 전체적인 실루엣은 느슨하고 특히 코트와 원피스는 기장이 길 고 허리 조임이 없다. 이러한 특징들을 바탕으로 디자 인은 챠판을 활용한 여성의 코트와 원피스를 중심으 로 니트 코트 2벌, 원피스 2벌, 조끼로 구성되었다. 스 타일은 주로 비대칭 디자인으로 현대적이고 에스닉한 디자인으로 전개하고자 하였다.

    둘째, 위구르족 복식과 아틀라스 직물의 디자인, 색 채, 문양 등에서 현대 패션 디자인에 사용할 특징적인 요소를 추출하였다. 디자인은 가장 오래되고 흔히 볼 수 있는 검정 아틀라스 실크를 선택했다(Fig. 26). 검 정 아틀라스 실크 문양은 주로 빗살문양, 꽃문양, 생 명나무와 기하학적 문양을 조합해 만들어졌다. 본 연 구의 작품은 검정 아틀라스 실크 문양을 소량 추출하 고 확대 및 변형해 사용하였다(Fig. 27).

    셋째, 다양한 소재와 문양을 조합하여 사용하거나 전통적 요소를 새로운 기법으로 표현하고자 하였다. 소수민족의 전통 염직공예를 핸드 니트 방식으로 실 크와 질감이 전혀 다른 니트 원단으로 표현하고, 직물 에 주름과 개더를 처리하여 아틀라스 실크를 더욱 입 체적이고 추상적으로 표현하였다.

    넷째, 자수는 위구르족 여성 복장 중 가장 많이 사 용되는 공예로 다양한 수작업 자수 방식을 통해 의상 을 더욱 아름답게 볼 수 있고, 네크라인, 커프스 부위 는 장식뿐 아니라, 마모에 강한 역할도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도 자수 기법을 적용하여 핸드 니트나 기계 니트와 결합해 아틀라스 문양이 경계 없이 자연스럽 게 확산되도록 특징을 표현하였다. 디지털 프린트 방 식으로 추출된 문양은 시폰, 인견 등 다른 재질에 표 현되며 여러 소재를 결합하여 사용하였다.

    2. Description of works

    작품 1은 굵은 태사를 사용한 핸드니트 작업의 롱 코트로 위구르 전통 문양 검정 아틀라스를 활용한 디 자인이다. CAD 일러스트레이션 프로그램으로 검정 아틀라스 문양을 변형하여 패턴을 디자인을 하였다. 문양을 크게 확대하여 커다란 롱 코트로 작업하였으 며, 아틀라스 문양은 인타시아(intarsia) 편직기법으로 핸드 니팅하여 뒷면을 겉면으로 활용하여 문양을 극 대화 하였다. 인타시아 편직기법은 문양을 활용할 때 사용되는 기법으로, 앞면에는 문양이 선명하게 나타 나나 뒷면은 배색컬러가 교차되는 부분이 엇갈리게 나타난다. 이러한 엇갈리는 효과로 아틀라스 문양의 자유성을 표현하고자 하였다. 앞판, 뒤판과 소매의 디 자인 모두 다른 문양을 활용했고 문양의 국부적 확대 화 사용은 전통 민족적 요소를 유지하면서도 현대적 감각을 더했다(Fig. 28). 핸드 니트 코트 디자인은 위 구르족의 가장 기본적인 의상일 뿐 아니라, 실용성 있 는 데일리웨어로 제안할 수 있다.

    작품 2는 니트 원피스 디자인으로 검정 아틀라스 문양에 베이지색을 활용하여 디자인하였다. 원피스의 앞판과 소매는 기계니트로 작업하였으며, 뒤판은 검 정 아틀라스 패턴의 디지털 프린팅 원단을 혼합하여 작업하였다. CAD 일러스트레이션 프로그램으로 검 정 아틀라스 문양을 추상화하여 디자인하고, 시폰과 인견 두 가지 원단에 문양을 디지털 프린트로 만들었 다. 니트 원피스의 앞몸판에는 추출된 아틀라스 문양 의 실루엣을 자수 기법으로 수놓았다. 디지털프린팅 의 시폰 원단은 주름 처리 후에 장식으로 어깨와 전면 에 고정하였다. 기존의 에스닉 문양을 다양한 소재를 활용하고 전통적인 손 자수를 현대적으로 표현하였으 며, 이러한 다양한 기법의 조합으로 표현된 문양을 더 욱 입체적이고 혁신적이다(Fig. 29).

    작품 3은 검정아틀라스 문양을 원피스와 핸드니트 베스트에 활용하여 디자인하였다. 검정 아틀라스 문 양을 편집하고 얇고 비치는 시폰 원단에 디지털 프린 팅하여 사용하였다. 위구르족 여성들은 원피스 겉에 조끼를 매치하는 것을 좋아해서 핸드 니트와 자수가 결합되는 방식을 디자인하였다(Fig. 30). 검정 문양이 가벼운 시폰 원단으로 표현하며 더욱 세련되고 일상 화했다. 원피스의 제작은 두 종류의 무늬 원단을 조합 하여 만들어지며, 실루엣은 느슨하고 허리가 조이지 않다. 추출한 아틀라스 문양의 실루엣은 베스트에 털 실로 자수하였다. 작고 촘촘한 문양의 민족적 풍격이 강렬하며, 확대된 문양이 더욱 패션 감각이 있으며, 두 가지 다른 크기의 문양이 결합되어 밸런스 효과가 있다.

    작품 4는 위구르족 전통 남성 복식인 차판을 여성 복에 활용한 디자인으로 기계 니트로 작업한 롱코트 디자인이다. 챠판은 원래 어깨에 걸치고 앞판의 구멍에 서 손을 내밀어 소매를 뒤로 고정시켜 장식을 했는데, 본 디자인은 소매가 전통 차판과 같이 뒤에 장식도 되 고 실제로도 활용할 수 있도록 변경하였다. 위구르족 전통 복식 화살복에서 추출한 줄무늬를 어깨, 네크라 인, 그리고 소매 부위에 굵은 니트 원사로 손 자수로 장식하였으며, 주머니 가장자리에는 코바늘 손뜨개로 모티브를 제작하여 덧대어 마무리하였다(Fig. 31).

    Ⅳ. Conclusion

    본 연구는 중국 소수민족 신장 위구르족의 복식과 전통 아틀라스 직물의 특성을 조사 분석하고 현대적 이고 일상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패션디자인의 방안 과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문헌고찰 및 선행연구 를 바탕으로 위구르족 복식과 아틀라스 직물 특성에 대해 정리하였으며, 아틀라스 직물을 변형, 분해하는 방법을 활용하여 위구르족 전통복식의 특성이 적용된 현대적인 여성 패션 디자인 4벌을 전개하였다.

    위구르족 복식의 특징을 다음과 같다. 첫째, 지리적 환경, 인문환경과 종교 환경 요인으로 신장 동부와 남 부지역의 위구르족 여성 복식은 통일성과 차별성을 모두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전체적인 구성은 머 리에는 모자나 두건을 착용하고, 상의의 안은 원피스 나 셔츠를 입고, 겉은 챠판, 짧은 상의, 조끼, 하의는 바지를 입고 있는 것으로 통일되었다. 대략적인 실루엣 은 넉넉하고 허리를 조이지 않으며, 코트 및 원피스의 길이는 무릎 아래로 내려왔으며 기본적으로 주머니가 없다.

    둘째, 신장 동부와 남부지역의 여성들은 모두 선명 한 색을 좋아하지만 색의 조화와 활용에 차이가 있다. 동부 지역 여성들은 화려하고 풍부한 색채를 선호하 여 대비가 강렬하며 주로 빨간색, 파란색, 분홍색, 녹 색, 검은색, 흰색 등을 사용한다. 남부지역은 일반적 으로 파란색, 녹색, 검은색 및 흰색이 사용되며, 빨간 색, 노란색 등 색깔 포인트로 주는 것을 좋아한다. 복 식 색은 순도와 명도가 낮아 톤 온 톤의 배색에 치우 쳐 수수하게 매치하는 경우가 많다. 노년층도 선명한 옷차림으로 젊은 여성과 차별이 없지만, 남부지역은 노년 여성 복식 색상이 주로 짙은색으로 많이 사용되 며, 젊은 여성들의 화려한 색감과 대비된다.

    셋째, 위구르족의 복식의 수공예는 남부지역과 동 부 지역 모두 자수로 장식하는 것을 좋아한다. 동부 지역의 자수 장식은 주로 앞섶, 밑단, 그리고 양쪽 트 임에 집중 분포되어 있으며, 남부지역의 자수 장식은 주로 전신으로 분포하거나 네크라인과 소맷부리에 집 중된다. 동부지역은 중원지역과 가까워 이슬람교를 제외한 불교의 영향을 받고 한족 문화를 많이 흡수하 여 자수의 패턴이 풍부하며, 각 주제에서도 다양한 문 양변화가 있다. 남부지역의 여성 복식은 문양 패턴이 적어 화초 등 식물 문양과 기하학 문양 위주이며, 이 슬람교 영향으로 인물과 동물 문양이 없다.

    넷째, 남부지역에서는 특히 홀치기 염색법이 흔히 사용된다. 위구르족 여성들이 즐겨 입는 아틀라스 실 크 원피스가 대표적이다. 이는 남부의 허톈 지역이 아 틀라스 실크 산지 중 하나이기 때문이다. 위구르족의 아틀라스 실크는 중국 신장 소수민족 복식의 중요한 전통 직물로, 이카트 직조 방식에 의해 중국에서 발전 되었다. 아틀라스는 환경과 문화에 따라 처리 방식이 약간 다르지만 모두 이카트 직조 공예에 속한다.

    다섯째, 아틀라스 실크의 패턴은 크게 식물 문양, 기하학적 문양, 기구 문양 등 세 가지 유형으로 나뉜 다. 빈도가 높은 문양은 페이즐리 문양, 생명나무 문 양, 석류 문양, 배(pear)문양, 마름모꼴 문양, 빗살문 양, 물방울 문양 등이 있다. 아틀라스는 색상에 따라 검정, 빨강, 노랑, 다색 아틀라스 크게 4가지 종류로 나뉘고, 원산지에 따라 사처 아틀라스와 허톈 아틀라 스로 2가지로 나뉜다. 아틀라스는 중국의 전통 실크 에 비해 다양한 색상을 무늬와 패턴으로 결합해 강렬 한 비주얼을 형성하였고, 과감한 대비 효과가 중국의 전통 컬러와 독특하게 조화를 이루었다.

    이러한 문헌 자료 조사와 사진 수집 분석을 바탕으 로 본 연구에서는 신장 위구르족 복식의 현대화를 위 해 방향으로 위구르족의 민족 복식 특징과 아틀라스 직물을 활용한 패션디자인을 전개하였다. 작품제작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위구르족 복식과 아틀라스 직물의 디자인, 색채, 문양 등에서 현대 패션 디자인 에 사용할 특징적인 요소를 추출하였다. 디자인은 가 장 오래되고 흔히 볼 수 있는 검정 아틀라스 실크를 선택했다. 검정 아틀라스 실크에서 고전적인 문양을 추출하고 핸드 니트, 기계 니트, 자수 등 다양한 방식 으로 민간 전통적인 공예를 새로운 기법과 다른 재질 감으로 표현한 디자인이다. 둘째, 아틀라스 직물의 문 양을 추출하여 변형하거나 국소적으로 확대하여 사용 함으로써 전통 민족적 특색을 살리면서 현대적인 감 각을 가미하여 전통 문양을 실용화하고 대중화 가능 성을 확인하였다.

    지리적 환경의 영향과 경제수준의 제약으로 인해 신장 지역에서는 수공예 산업에 의존하면서 생계를 유지하고 있다. 이로 인해 소수민족의 무형문화유산 전승에 대한 적극성이 높지 않게 되었고, 일부 민족특 색 수공예는 점차 사라지게 되었다. 그러므로 국가 민 족문화의 보호와 계승, 그리고 더 넓은 범위에서의 적 용과 디자인 개발에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하다.

    Figure

    RJCC-28-4-492_F1.gif

    Map of Xinjiang, China Reprinted from Djfslkjfsl. (2017). https://blog.naver.com/

    RJCC-28-4-492_F2.gif

    Uygur men’s clothing Reprinted from Li. (1995). p.257.

    RJCC-28-4-492_F3.gif

    Behesam chapan Reprinted from Yi. (2013). p.64.

    RJCC-28-4-492_F4.gif

    Atlas chapan Reprinted from BIFTNCM. (n.d.a). www.biftmuseum.com

    RJCC-28-4-492_F5.gif

    Men’s embroidery shirt Reprinted from Lou & Li. (2013). p.40.

    RJCC-28-4-492_F6.gif

    Traditional pants Reprinted from Chen & Xu. (2015). p.24.

    RJCC-28-4-492_F7.gif

    Uygur women’s costume Reprinted from Li. (1995). p.260.

    RJCC-28-4-492_F8.gif

    Hami women’s costume Reprinted from Zhang. (2006). p.30.

    RJCC-28-4-492_F9.gif

    Duijin robe Reprinted from Zhang. (2006). p.35.

    RJCC-28-4-492_F10.gif

    Duijin short top Reprinted from Zhang. (2006). p.88.

    RJCC-28-4-492_F11.gif

    Dajin short top Reprinted from Zhang. (2006). p.86.

    RJCC-28-4-492_F12.gif

    Pipa lapel vest Reprinted from Zhang. (2006). p.71.

    RJCC-28-4-492_F13.gif

    Southern female short top Reprinted from Lou & Li. (2013). p.13.

    RJCC-28-4-492_F14.gif

    Southern female vest Reprinted from Chen & Xu. (2015). p.12 Lou & Li. (2013). p.13.

    RJCC-28-4-492_F15.gif

    Atlas dress and taqiyah Reprinted from Huang. (2015). p.65.

    RJCC-28-4-492_F16.gif

    Atlas balloon pants Reprinted from Yi. (2013). p.40.

    RJCC-28-4-492_F17.gif

    Black atlas Reprinted from Zhang & Han. (2015). p.41.

    RJCC-28-4-492_F18.gif

    Red atlas Photographed by the author. (January 12, 2020).

    RJCC-28-4-492_F19.gif

    Yellow atlas Photographed by the author. (January 12, 2020).

    RJCC-28-4-492_F20.gif

    Blue atlas Photographed by the author. (January 12, 2020).

    RJCC-28-4-492_F21.gif

    Green atlas Photographed by the author. (January 12, 2020).

    RJCC-28-4-492_F22.gif

    Taqiyah Reprinted from Birch zhaizhu. (2017). www.meipian.cn

    RJCC-28-4-492_F23.gif

    Turpan taqiyah Reprinted from Birch zhaizhu. (2017). www.meipian.cn

    RJCC-28-4-492_F24.gif

    Hetian taqiyah Photographed by the author. (August 21, 2018).

    RJCC-28-4-492_F25.gif

    Head cover of Uygur Reprinted from Zhang. (2006). p.101. Wu. (n.d.). www.g-photography.net

    RJCC-28-4-492_F26.gif

    Black atlas Reprinted from Zhang & Han. (2015). p.42.

    RJCC-28-4-492_F27.gif

    Extraction and deformation of patterns From the author of the drawing.

    RJCC-28-4-492_F28.gif

    Design 1, hand knit coat

    RJCC-28-4-492_F29.gif

    Design 2, embroidery knit dress

    RJCC-28-4-492_F30.gif

    Design 3, embroidery knit vest and dress

    RJCC-28-4-492_F31.gif

    Design 4, chapan type embroidery knit coat

    Table

    Reference

    1. Abuliz, A. (2004). On the Uyghur dressings cultur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Xinjiang University, Xinjiang, China.
    2. Abuliz. A. (2013). 维吾尔族传统服饰文化研究 [On the Uyghur dressings culture]. Urumqi: Xinjiang People’s Publishing House.
    3. Beijing Institute of Fashion Technology National Costume Museum. (n.d.a). Xinjiang Uygur atlas qiapan. Retrieved July 20, 2019, from http://101.201.53.226/collection/technics-info?sid=%203002&feature _id=96&colCatSid=2&nationSid=5#at
    4. Here Beijing Institute of Fashion Technology National Costume Museum. (n.d.b). Uygur atlas dress. Retrieved July 20, 2019, from http://101.201.53.226/collection/info?sid=707&colCatSid=2#atHere
    5. Birch zhaizhu. (2017, April 8). Uygur hat art appreciation. Retrieved July 20, 2019, from https://www.meipian.cn/grst6ss
    6. Chen, L. , & Xu, H. (2015). 新疆少数民族服饰艺术 [The art of Xinjiang minority costumes]. Urumqi: Fine Art Photography Publishing House in Xinjiang.
    7. China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n.d.). Uygur clothing. Retrieved July 2, 2019, from http://www.ihchina.cn/Article/Index/detail?id=15270
    8. Djfslkjfsl. (2017, May 5). 중국의 소수민족 위구르족 [Chinese minority Uygur] [Blog Post]. Retrieved July 20, 2019, from https://blog.naver.com/djfslkjfsl/220999031490
    9. Han, X. (2019). A study on the Muslim costumes of China’s Xinjia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Korea.
    10. Hou, S. X. , & Wang, B. (2011). 和田艾德莱斯 [Adeles, Hotan]. Suzhou: Suzhou University Press.
    11. Huang, W. B. , & Wu, X. L. (2018). Clothing innovation spreads regional visual culture-review of “Research on Xinjiang minority costumes and culture”. Textile Auxiliaries, 35(9), 74-75.
    12. Huang, Y. Z. (2015). 新疆民族服饰精品集 [Xinjiang national costume collection]. Urumqi: Xinjiang People’s Publishing House.
    13. Ikat history. (n.d.). In Wikipedia. Retrieved July 2, 2019, from https://en.wikipedia.org/wiki/Ikat
    14. Isak, A. (2013). Research on Uygur national costume culture. Unpublished master’s thesis, Tianjin Polytechnic University, Tianjin, China.
    15. Lee, B. (2012). A study on the ethnic costumes of the minority nationalities of the Chinese Muslim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Korea.
    16. Li, W. (2017). Redesign of glass surface with atles grain appearance. Design, 8, 132-133.
    17. Li, X. B. (1995). 中国西域民族服饰研究 [Study on the national costume of western regions in China]. Urumqi: Xinjiang People’s Publishing House.
    18. Liu, J. L. (2009). Symbolic symbol of Xinjiang Uygur traditional costum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Xinjiang University, Xinjiang, China.
    19. Liu, Y. (2003). Analysis of the meaning of religion in Xinjiang Uygur costume culture. Northwest Ethno-National Studies, (2), 140-146.
    20. Liu, Y. (2010). The research of atlays history and the study of atlays legend context. Journal of Kashgar Teachers College, 31(5), 29-31.
    21. Lou, W. H. , & Li, X. B. (2013). 民间服饰 [Folk clothes]. Urumqi: Fine Art Photography Publishing House in Xinjiang.
    22. Magepati, Y. (2017). Study on the effect of Uygur traditional costumes on stage costum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Xinjiang University, Xinjiang, China.
    23. Mu, H. (2012). Analysis of color culture of Atlas. Artistic Sea, (11), 183-184.
    24. Qi, C. Y. (2014). Uyghur adelais silk craft. Costume History and Culture Skills and Development, 1, 188-192.
    25. Rao, L. (2006). Research on Uygur costume culture. Journal of Nanning Polytechnic, 15(4), 16-19.
    26. Song, D. H. , Wang, X. S. , Guo, J. N. , & Du, J. G. (2015). Study on the structure and cutting technology of atlas textile dress. Modern Textile Technology, 23(1), 38-41.
    27. Wang, Y. F. , Lee, J. K. , & Lee, Y. H. (2017). Fashion design applying to the features of the Chinese Zhuang costume.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25(5), 694-707.
    28. Wu, G. H. (n.d.). Uygur woman’s scarf. Retrieved April 15, 2020, http://www.g-photography.net/file_userpic/0/13/13731/367/367132_1000.jpg
    29. Xinjiang Ethnic Population. (2019). Personal library. Retrieved May 2, 2020, from www.360doc.com/content/19/1227/12/37289152_882518157.shtml
    30. Xinjiang Institute of Cultural Relics. (1999). 新疆察吾乎: 大型氏族墓地发掘报告 [Chawuhu, Xinjiang excavation report of large gens cemetery]. Beijing: Orient Press.
    31. Yang, B. Y. (2016). A comparative study of Xinjiang Uygur women’s clothing art. Unpublished master’s thesis, Xinjiang Normal University, Xinjiang, China.
    32. Yi, X. F. (2013). A study on the clothing structure of the ethnic minorities in Northwest China. Unpublished master’s thesis, Beijing Institute of Fashion Technology, Beijing, China.
    33. Zhang, H. D. , & Han, L. F. (2015). 新疆刺绣纹样艺 术 [Xinjiang art of embroidery]. Urumqi: Fine Art Photography Publishing House in Xinjiang.
    34. Zhang, J. H. (2015). 新疆艾德莱斯绸传统工艺 [Traditional crafts of Xinjiang atlas silk]. Urumqi: Xinjiang Art Photography Press.
    35. Zhang, X. Z. (2006). 哈密维吾尔族服饰 [Hami Uygur clothing]. Urumqi: Fine Art Photography Publishing House in Xinjiang.
    36. Zhang, Y. (2015a). The research of Atlas pattern’s application in indoor textile design. Unpublished master’s thesis, Zhejiang Sci-Tech University, Hanzhou, China.

    Appendi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