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rossref logo
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6-0401(Print)
ISSN : 2383-6334(Online)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Vol.29 No.4 pp.585-602
DOI : https://doi.org/10.29049/rjcc.2021.29.4.585

Development of fashion design applying to costume and Huangping batik of the Chinese minority Miao

Lulu Long, Younhee Lee*
Ph. D., Dept. of Clothing & Textiles, Hanyang University, Korea
*Professor, Major in Human-Tech Convergence, Dept. of Clothing & Textiles, Hanyang University, Korea
Corresponding author (yiyhee@hanyang.ac.kr)
August 2, 2021 August 21, 2021 August 23, 202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wofold: First, to develop new sustainable design methods (aligned with ethnic elements and traditional culture) combined with three-dimensional digital clothing technology throughout the design process, which can be presented as guideline materials for various fashion designs to be developed in contemporary sensibilities. Second, it is the intention to produce creative fashion designs by incorporating the characteristics and methods of Miao’s Huangping batik dyeing technique and to present various possibilities in the fashion design field. The overall design characteristics sought by Miao minority are in line with the complex terrain and the ecological and climatic conditions. Miaoist batik dyeing (registered as part of Chinese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features unique production methods and patterns.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is attempt has enabled understanding of the national costume culture as Chinese Miao’s traditional cultural heritage to be promoted, while the direction of contemporary design development using traditional elements has been presented. Second, the study demonstrated new and innovative expressions and styles relying on three-dimensional digital contouring technology and identified the possibility of developing various designs. Third, it was confirmed that the dyed batik pattern design created by the three-dimensional digital contouring technology could be recombined or expanded as digital printing to express the traditional ethnic designs in a practical manner utilizing digital printing techniques based on traditional characteristics.



중국 소수민족 묘족(苗族) 복식과 황평 납염 특성을 활용한 패션디자인

용 루 루, 이 연 희*
한양대학교 의류학과 박사
*한양대학교 의류학과 휴먼테크융합전공 교수

초록


    I. Introduction

    중국은 56개 민족으로 구성된 다민족 국가로, 소수 민족의 오랜 역사 속에서 각 민족은 고유한 문화와 복식을 가진다. 중국 현대사회 에서 소수민족은 변화하는 역사, 사회, 문화적 환경 안에서 각 민족 특유의 풍속과 관습을 간직하며, 그들 만의 독특한 복식문화를 형성하고 있다. 제6차 인구 통계 조사에 따르면 중국 내 55개 소수민족은 전체 13억 3,281만 인구 중 1억 1,197만 인구로 8.4%를 차 지하고 있다(National Bureau of Statistics of China, 2019).

    현대에 들어 이들과 같은 소수민족의 생태 문화적 지위가 높아짐에 따라 문화 인류학적인 관점에서 중 국 소수민족의 복식문화 연구 가치에 대한 인식이 증 가하고 있다. 동양적인 요소가 반영된 에스닉 룩이 강 하게 대두되고 있는 현대 트렌드에서 중국풍도 세계적 인 문화로 등장하고 있다(Wang, Lee, & Lee, 2017). 따라서 소수 민족의 물질적 문화를 합리적으로 보호, 선전, 전승에 대한 연구와 현대의 다양한 모델 패턴의 상호 작용을 통해 묘족 전통 수공예 기술과 독특한 복 식 문화 등 보호와 발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중국 소수민족 묘족은 독특한 지역적 특색을 바탕 으로 오랜 역사, 신화, 전설, 종교 문화 등을 형성하고, 민족의 문화를 대표하는 복식으로 발전해왔다. 이들 은 특히 수공예 기반의 섬세하고 화려한 의상, 신발, 액세서리 등 다양한 복식 문화를 전개해 왔으며, 묘족 과 관련이 있는 국가급 무형문화유산 목록은 1-3차 연 도 평균 4%로 인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China’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2018). 특히 납염 부분은 묘족 납염만 등재되어 있음 을 알 수 있다.

    묘족 복식에 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묘족 전 통 복식의 특성과 조형성에 관한 연구(Hong & Kim, 2001;Jeon, Beak, & Kim, 2007;Zhang & Kim, 2011) 가 있으며, 묘족의 복식 문양에 관한 연구(Kim, 2002;Kim, 2009)에서는 묘족 전통 문양을 분류하고 심미성 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묘족의 자수(Li, 2017), 묘족 장신구(Jiang, Jin, & Lee, 2020), 묘족 납염(Kim, 2010; Meng, Choi, & Kim, 2018) 등의 연구에서는 전통 묘 족 납염 기법을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 묘족 복식의 지역적인 차이와 스타일에 대해 조사하고, 묘족 복식 납염 직물 중 독특한 지역적 특성을 보여주는 황평 지역 납염 특 성을 적용시킨 창의적인 패션디자인을 제작하여 패션 디자인의 다양한 가능성을 제시해 보는데 있다. 또한 민족적 요소들과 전통 문화가 결합된 패션 디자인 개 발을 위하여 디자인 과정에 IT 기술을 활용하고 현대 적 감성으로 발전할 수 있는 다양한 패션디자인의 자 료로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으로 중국 소수민족 묘족의 역사, 생활환 경과 종교 문화, 지역적인 특성 및 복식 형태와 구성 등에 대하여 문헌 자료와 사진 자료를 조사하였다. 또 한 중국 국가급 무형문화유산에 등재된 묘족 납염 중 독특한 특징을 가지고 있는 황평 지역 납염의 문양 특 성에 대하여 문헌 자료와 사진 자료를 수집하였다. 문 헌과 사진 자료는 중국묘족복식도지(Wu, 2000), 중국 묘족복식(The Cultural Palace of Nationalities, 1986), 중국 직수복식전집: 6권 소수민족복식(Chang, 2005). 중화민족복식구성도해(Liu & He, 2013), 묘족복식문 화(Yang, 2002), 중국민족복식문화도전(Yang, 1999) 등을 참고하였으며, 중국 묘족복식의 역사와 문양 자 수 장신구 등의 자료를 조사 수집하였다. 또한 바이두 (https://www.baidu.com), 구글(https://www.google.cn), 중국민족복식박물관(https://www.biftmuseum.com) 등 의 사이트를 통하여 388개의 사진 자료를 수집, 분석 하였다. 이와 같은 자료를 바탕으로 묘족 복식과 황편 납염 특성을 활용한 여성복 디자인을 전개하였으며, CLO 3D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4착의 가상착의 디자 인과 2착의 실물 작품을 제작하였다.

    Ⅱ. Costume of the Chinese Minority Miao

    1.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Miao costume

    중국의 다양한 소수민족은 각 민족의 언어가 있으 나 문자가 없는 민족이 많이 있으며, 복잡한 지파로 인해 각 지역 간에 언어 차이가 크고, 심지어 일상 교 류까지 못 할 수도 있다. 묘족도 그러한 민족으로, 묘 족 복식 연구에서 지파는 가장 중요한 부분이다. 묘족 은 여러 차례 이주 과정에 따라 많은 문화적 차이가 생겨났으며, 각 지파의 복식도 다양한 유형을 보이고 있다. 이에 묘족 복식은 지역에 따라 독특한 형태, 색 채, 문양, 머리 장식, 자수 방법 등 디자인 특성이 형 성되었다.

    1985년 북경 민족문화공이 발간한 ‘중국묘족복식 (The Cultural Palace of Nationalities, 1986)에서는 복 식의 형태 및 구성, 소재, 각 지역의 자칭, 방언의 분 포 등 여러 방향으로 구분하고, 지역에 따라 ‘향시형 (湘西型)’, ‘검동형(黔东型)’, ‘검중남형(黔中南型)’, ‘천 검전형(川黔滇型)’, ‘해남형(海南型)’으로 구분하였다. 향시형은 향시 방언 지역인데, 호남성의 서부에 분포 하여, 검동형은 검동 방언 지역이고, 귀주성의 동부지 역에서 위치한다. 또한 검중남형과 천검전형은 모두 천검전 방언으로 구분되지만 검중남형은 귀주성의 중 남부 지역에서 분포하게 되며, 천검전형은 사천, 귀 주, 운남 등 지역에서 분포한다. 이들을 다시 세분 하여 23식으로 구분하고 있다.

    이와 같은 분류는 아직 완벽하지 않다고도 하지만 묘족 복식에 대한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역사적으로 묘족은 연구가 부족하며, 또한 묘족은 문자 없는 민족 이라서 참고 문헌이 많이 없다. 이에 방언은 크게 분 류할 수 있는 근거이며, 형식의 명칭은 대표 지역 명으 로 정하였다. 묘족 복식 특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Xiangxi style

    향시형(湘西型) 복식은 주로 향시 방언 지역에서 착용한다. 주로 호남성의 향시토가족묘족자치주(湘西 土家族苗族自治州), 귀주성의 송동(松桃), 칭룽(晴隆) 그리고 사천성(四川省)의 슝산(秀山), 유양(酉阳) 등 지역에서 분포하고 있다(Chang, 2005). 봉항송도식 (凤凰松桃式, Fengsong)의 복식 형태는 둥근 깃과 둥 근 어깨 천에 꽃을 수놓은 상의를 입는데, 옷섶에는 꽃무늬가 적다(Fig. 1). 봉황 지역은 꽃을 수놓은 앞치 마와 같은 형태의 Chest pocket(Fig. 2)을 달고 다닌 다. 체크무늬가 있는 수건으로 머리를 감싸며, 통바지 를 입고 꽃을 수놓은 헝겊신을 신는다(The Cultural Palace of Nationalities, 1986). 마리형(麻栗型, Mali)은 호남성 화원현(花垣县) 마리향(麻栗乡)을 표본으로 한 다. 청색 두건을 머리를 감싸며, 상의는 칼라 없는 옷 섶이 오른쪽으로 열리는 옷을 입고 소매통이 크다. 하 의는 주로 넓고 긴 바지를 입으며, 바지 밑에 자수 문 양을 놓고 장식한다(Fig. 3). 수놓은 신발을 착용하며, 은 장신구로 은배(银牌), 은반지, 은팔찌를 주로 사용 한다(Wu, 2000). 칭룽식(晴隆式, Qilong)은 주로 귀주 성의 칭룽(晴隆), 푸안(普安), 수성(水城) 등 지역에서 분포한다. 복식 특성은 향시 지역과 거의 비슷하여 여 성복은 상의 길이가 무릎까지 오고 소매가 넓다. 칼 라, 소매 등 장식은 청포(青布)로 주로 하고, 도두 자 수를 하고 꽃무늬를 꾸민다(The Cultural Palace of Nationalities, 1986). 청색이나 남색 벨트를 하고 수가 놓인 수화신(绣花鞋)을 신는다(Fig. 4).

    2) Qiandong style

    검동형(黔东型)은 검동 방언 지역으로, 귀주성(贵 州省) 검동남묘족동족자치주(黔东南苗族侗族自治州), 도운(都匀), 산도(三都), 광서성의 융수(融水), 산강(三 江), 귀주성 서남부에서 착용한다. 여성 복식은 지역 적인 차이가 크고 복잡하나, 직령 교임의 단추가 없는 상의와 주름치마를 착용하며(Park & Cho, 2002), 은 장신구가 특징이다.

    시동식(施洞式, Shidong)의 상의는 큰 칼라의 대금 옷이고 소매와 칼라 부분에 자수를 장식하며, 하의는 청포 주름치마를 입고, 명절복을 입을 때는 은 장신구 를 많이 사용하는 편이다(Yang, 1999; Fig. 5). 태공식 (台拱式, Taigong) 여성들은 청색 직사각형 두건으로 머리를 감싼다. 상의는 큰 칼라 대금 옷이며, 소매가 넓다. 상의는 앞판이 뒤판보다 길다(Chang, 2005). 칼 라, 어깨, 소매 부분에 자수 장식을 하고, 하의는 청색 주름 긴 치마를 입는다. 수놓은 신발에 은 장신구를 많이 사용한다(Fig. 6). 게르동식(革东式, Gedong)의 여성들은 머리를 묶어 두건을 한다. 상의는 칼라가 없 고 대금 형태이며, 어깨, 소매 부분에 장식이 많으며 주름치마를 주로 착용한다. 긴 앞치마를 착용하며, 역 시 은 장신구를 많이 사용한다(Fig. 7). 게르이식(革一 式, Geyi)의 여성들은 두건으로 머리를 감싸고 상의는 단추가 없는 큰 옷깃에 옷섶이 서로 교차되게 착용한 다. 복식 소재는 자체적으로 염색한 ‘두문포(斗纹布)’ 나 비단을 많이 사용한다. 상의의 어깨, 칼라, 소매 등 에 장식하며 주름치마를 착용한다. 명절 복식은 은 장 신구가 가장 많은 복식이다(Wu, 2000; Fig. 8).

    서강식(西江式, Xijiang)의 여성복의 상의는 짧고 옷깃이 작으며 소매가 좁고, 일자형의 통바지를 입는 다. 중년 여성들이 흰색 꽃 수건으로, 노년 여성들은 납염이나 흑색 천으로 머리를 감싼다(Chang, 2005). 주름치마를 겹겹으로 착용하며, 치마와 같은 길이의 앞치마를 두르거나 표대(飘带) 치마를 겹쳐 착용한다. 은 장신구를 가장 많은 복식이다(Yang, 2002; Fig. 9). 파교식(坝桥式, Baqiao) 여성들은 두건을 하며, 상의 는 청포의 다금 형태이다. 칼라, 뒤판 등에는 도화(挑 花) 문양이 있으며, 주름치마를 착용한다(Fig. 10). 주 시식(舟溪式, Zhouxi)은 머리 장식이 특징적이며 명절 복식은 은각(银角)을 꽂으며, 목에는 3~7개의 은테를 두른다(Wu, 2000). 상의는 청색 토포에 넓은 소매와 반소매로서 대금 형식으로 소매를 밖으로 거두어 올리 고 토시를 한다. 하의는 주름치마를 많이 입는다(Fig. 11). 단도식(丹都式, Dandu) 여성복은 다금 단의이며, 옷의 앞섶은 자수 꽃띠로 장식되어 있다. 이 지역은 납염을 활용하며, 옷의 어깨, 옷섶 변두리, 소매 등 부 분을 주로 납염으로 장식한다. 하의는 주로 바지이며, 명절복으로 긴 치마를 착용한다(Yang, 2002; Fig. 12).

    야회식(雅灰式, Yahui)의 여성복 상의는 단추가 없 는 다금의이다. 소매, 옷 뒤판, 옷 밑에서 자수 문양 장식이 있고, 하의는 청포 주름치마에 화려한 문양의 자수 앞치마를 한다(Fig. 13). 배조식(排调式, Paidiao) 의 상의는 검은색 대금이나 다금으로 타이트한 긴소 매이다. 하의는 짧은 주름치마에 앞치마를 두르고, 밑 부분에는 도화(挑花) 무늬가 새겨져 있다(Wu, 2000; Fig. 14). 융강식(榕江式, Rongjiang) 상의는 단추 없는 대금의로 여러 개의 자수 띠가 달려 있는데, 아래는 흰 깃털이 붙어 있으며, ‘백뇨의(百鸟衣)’라는 명칭이 있 다. 명절복으로 청색 주름치마를 입고 자수 능형 앞치 마를 하며, 발에 각반을 착용한다(Chang, 2005; Fig. 15). 구간식(久敢式, Jiugan) 상의는 청색의 긴팔 셔츠 형이며, 엉덩이 길이이다. 평상시에는 치마를 2벌 겹 쳐 입는데, 명절 때는 6~7벌을 겹쳐 입는다. 허리에 담황색 띠를 매고 앞치마의 문양은 기하학이나 능형 을 많이 활용하며, 도화(挑花)가 특징이다(Fig. 16). 구 양식(久仰式, Jiuyang) 여성들은 자체적으로 염색한 반물색(藏青色) 두건으로 쪽 진 머리를 감싸 고정한 다. 상의는 둥근 깃에 큰 옷섶으로 자수가 없다. 명절 복으로 겉에 도화 조끼를 입으며, 장신구가 많이 달려 있다. 하의는 치마를 착용한다(Wu, 2000; Fig. 17).

    3) Qianzhongnan style

    검중남형(黔中南型) 복식은 주로 천검전 방안 지역 의 귀주성 중남부 지역의 묘족 복식이다. 여성복의 양 식은 복잡하나, 기본형은 교령(交领)의 대금(大襟)의 와 중장 주름치마를 입는다. 상의에 앞치마, 배패(背 牌)가 있고, 머리 장식은 주로 모자, 포파(包帕)를 한 다. 문양은 도화(挑花)가 보편적이며, 납염, 평수, 사슬 수, 아프리케, 직화 등으로 화조와 기하학 도안을 위 주로 한다(Park & Cho, 2002).

    나박하식(罗泊河式, Luobohe)의 여성들이 착용하는 화파(花帕), 화의(花衣), 화치마(花裙)를 보면 결혼 상 태를 알 수 있다. 명절 복식은 다금 원령 상의를 입고 옷섶, 뒷등, 소매는 기하학 문양으로 장식한다. 하의는 납염치마를 착용한다(Fig. 18). 화계식(花溪式, Huaxi) 여성복은 뒤가 길고 앞이 짧은 관두의(贯头衣)의 ‘기 치복(旗帜服)’이다. 하의는 주름이 많은 치마에 도화 (挑花) 앞치마를 입고 문양이 다양하다. 명절에는 은 장신구와 은방울, 은팔찌 등으로 장식한다(Wu, 2000; Fig. 19). 바이방식(摆榜式, Baibang)의 상의는 청색이 나 남색 대금의이며, 하의는 백색 주름치마를 착용한 다. 넓은 허리띠를 매고 꽃문양 형태의 머리 장식을 한다. 명절복은 머리를 감싸고 은빗을 꽂는다. 배패는 이 지역 묘족 복식의 특성으로 자수를 놓거나 여러 가 지 은포(银泡), 은벨(银铃), 조개류 등으로 장식한다 (Chang, 2005; Fig. 20).

    바이긴식(摆金式, Baijin)의 일상복은 거의 단색이 나, 명절복은 도화 자수가 아름답고 은 장신구가 많고 화려하다. 하의는 안에 바지를 입고 겉에는 검정 주름 치마를 착용하며, 허리 부분은 은벨로 장식한다. 머리 는 독특한 원반식(圆盘式)으로 장식한다(Wu, 2000; Fig. 21). 아영식(鸭绒式, Yarong) 여성들은 머리를 감 싸서 두건으로 맨다. 상의는 교령 옆섶(斜襟)의 긴 소 매로 소매 중간 부분에 자수를 놓는다. 하의는 독특한 주름치마를 착용하며, 묘족의 많은 공예 기술을 이용 하여 7가지 부분의 문양을 조합하여 화려하게 만든다 (Fig. 22). 남단식(南丹式, Nandan)은 광서성 남단형 묘 족 여성복식이 대표이다. 앞판이 짧고 뒤판이 긴 관두 의(贯头衣)가 상의이고, 안에는 다금 옷을 입는다. 하 의는 주름치마를 입으며, 앞치마를 허리 부분에 맨다. 뒤판 부분은 납염 문양을 장식하고 달려 있다. 명절복 은 도화 자수와 납염을 전신에 거의 장식하고 문양은 주로 기하학, 인물, 말 문양이다(Wu, 2000; Fig. 23).

    안청식(安清式, Anqing) 여성복은 청색을 주로 사 용한다. 대령(大领) 대금(对襟) 상의에 소매, 뒤판에 전통 꽃문양을 장식하고 있다. 하의는 주름치마로, 치 마 위에 빨간 가로 무늬가 있다. 명절에는 뾰족한 모 자를 쓴다(Fig. 24). 닝안식(宁安式, Ning’an)의 여성 전통 상의는 검은 다령 우임(右衽)의 짧은 상의이며, 허리 부분은 타이트하고 선상 문양이 나타난다. 하의 는 납염 주름치마를 착용한다(The Cultural Palace of Nationalities, 1986; Fig. 25). 게르가식(亻革家式, Gejia) 은 귀주성 황평현(黄平县) 중안강 지역으로 대표된다. 일상복은 대금 상의와 주름치마를 착용하며, 납염 장 식이 특징이다. 명절에는 ‘홍영모(红缨帽)’를 머리에 쓰고 대금의 납염상의와 배패, 앞치마, 주름치마 등으 로 구성하여 자수와 납염의 장식이 풍부하다. 은 장신 구를 화려하게 장식한다(Chang, 2005; Fig. 26). 구룽 식(谷拢式, Gulong) 여성들은 원형형식의 ‘딩(鼎)’이 라는 자수 모자를 쓴다. 상의는 단추가 없는 다금 우 임 옷이며 옷섶, 어깨, 소매 끝에 무늬를 장식하며, 뒤 판의 자수가 풍부하고 아름답다. 하의는 주름치마로 홍, 황, 남색의 선으로 장식한다. 은 장신구가 매우 화 려하다(Chang, 2005; Fig. 27).

    4) Chuanqiandian style

    천검전형(川黔滇型)은 주로 천검전 방언 지역의 귀 주성 서부, 사천성의 남부 그리고 운남성의 동남부 및 동북부, 광서 서부 지역의 복식이다. 지역이 넓어서 복식의 특성이 다양하다. 여성복은 대금이나 다금의 에 중장 치마를 입으며, 앞치마를 하고 난 표대(飘带) 가 뒤편에 늘어진다. 도화․납염을 주로 사용하며 은 장신구가 적다.

    웨이닝식(威宁式, Weining) 상의는 대금의 짧은 옷 이며, 홍색과 백색 털실을 방직하는 기하학문양 사각 형 피견(披肩)을 장식한다. 피견 뒤에는 사각형 도화 배패를 달고 있으며, 배패 아래는 색실과 동전으로 만 든 장식이 있다. 여러 가지 납염 문양 장식의 긴 주름 치마를 착용한다(Wu, 2000; Fig. 28). 초형식(楚雄式, Chuxiong)은 칼라가 없는 대금의 짧은 상의로, 소매 부분에 자수 문양으로 장식한다. 하의는 납염의 긴 치 마에 앞과 뒤는 자수 앞치마를 두르며, 자수 허리띠를 매고 있다. 명절에 미혼 여성들은 특별한 머리 장신구 로 보탑식(宝塔形) 검은색 양모 모자를 쓰며, 모자위 에 ‘관면(冠冕)’이라는 동전을 붙어 있다(Chang, 2005; Fig. 29). 현모채식(显母寨式, Xianmuzhai)은 대금의 짧은 상의에 옷섶의 길이는 무릎까지 있고, 안에는 백 색 마 속옷을 입으며, 겉에는 화의를 착용한다. 칼라 와 어깨 부분은 기하학 문양을 자수로 장식하고, 소매 는 납염과 패치워크로 조합된다. 하의는 백색 마 주름 치마와 납염 주름치마를 겹쳐 착용한다. 소뿔과 유사 한 빗을 머리로 둘러친 머리장식이 특징이다(Fig. 30). 백신식(百兴式, Baixing) 여성의 머리장식은 ‘기수(髻 首)’라고 하며, 빨강 나무 빗으로 머리를 얽매고 뾰족 한 형태만 보이게 한다. 납염 대금의 상의에 앞판은 뒤판보다 짧다. 옷섶, 소매, 뒤판 등 부분은 납염과 도 화 자수를 많이 장식한다. 하의는 납염 주름치마이며, 도화 앞치마를 매고 있다. 이 지역의 납염은 색상이 화려하고 유명하다(Chang, 2005; Fig. 31).

    노어바이식(老凹坝式, Lao’aoba) 상의는 대금 긴 소 매 옷이고, 옷섶과 소매는 납염으로 장식하고 있다. 옆 에만 주름이 있는 주름치마를 착용한다(Fig. 32). 도청 식(陡箐式, Douqing) 상의는 단추 없는 다금의 옷이 고 띠를 맨다. 옷섶은 색채 원단이 달려 있으며, 소매 와 앞뒤 판은 자수를 많이 놓는다. 하의는 납염 도화 긴 치마를 착용한다. 앞치마도 길게 있고 백색 각반을 한다(Chang, 2005; Fig. 33). 르완식(乐旺式, Lewang) 여성 상의는 단추 없는 대금 옷이며, 기하학 문양의 사각형 피견을 장식하고 납염 주름치마를 입는다. 명 절에는 은장식으로 머리를 장식한다(Wu, 2000; Fig. 34). 강룽식(江龙式, Jianglong) 여성 복식의 상의는 교령에 소매통이 좁으며, 백색 조끼를 착용한다. 하의 는 흑백의 긴 치마를 입는다. 구북식(丘北式, Qiubei) 상의는 청색, 흑색 원단을 하고 대금에 단추없이 착용 하고 소매가 좁고 길다. 옷깃 뒤의 목 부위에는 배패 (背牌)를 꿰매고 소매에는 여러 가지 기법으로 장식한 다. 하의는 백색 마포 치마로 주름이 많으며, 앞치마 로 장식도 한다. 부녀들은 머리에 쪽을 얽어서 청포 두건을 감는다(Fig. 35). 고린식(古蔺式, Gulin)은 사천 성 구린현 묘족의 대표 복식이며, 여성복의 상의는 청 색의 대금이나 다금이다. 하의는 납염 치마로 도화 자 수를 박는다. 슝떨(胸兜)을 장식하여 명절복은 상단 에 도화 장식을 많이 한다(The Cultural Palace of Nationalities, 1986; Fig. 36). 청교식(箐脚式, Qingjiao) 은 귀주성 즈진현 청교향의 대표 복식이다. 여성들이 머리에 쪽을 감아서 머리 위에 쪽을 얹고 원형 모양을 잡는다. 사의는 단추 없는 대금 옷이며, 소매가 길고 옷섶 부분은 자수 문양이 되어 있다. 소매, 뒤판 등 색 채 납염 문양이나 도화 자수를 장식하며, 아래는 긴 치마를 착용한다(Chang, 2005; Fig. 37).

    용장식(龙场式, Longchang)은 귀주성 즈긴현 용장 향의 대표 묘족 복식으로, 여성 복식은 다금 근 소매 상의이며, 겉에는 긴 도화 조끼를 입는다. 두 섶은 가 슴 부분은 교차하고 뒤 허리 부분에서 끝을 맺는다. 명절복은 10벌 이상의 치마를 겹쳐 입으며, 치마의 형 태가 풍부하여 아름답다. 달리는 각반을 착용한다(Fig. 38). 푸디식(普底式, Pudi)은 귀주성 대방현 푸디향에 거주하는 묘족의 복식으로, ‘대방묘(大方苗)’라고도 한 다. 상의는 다금 우임(右衽)의 긴 소매이며, 칼라, 섶, 어깨 부분은 자수로 테두리를 장식한다. 소매는 주로 납염이나 자수로 장식한다. 주름이 적은 자수 치마를 착용하며, 화려한 장식이 특징이다(Chang, 2005; Fig. 39). 흑석채식(黑石头寨式, Heishitouzhai)의 일상복은 짧은 우밈 상의이고, 칼라, 섶, 소매 부분은 화조 납염 문양이 있으며, 백색 앞치마를 착용한다. 명절복 상의 는 빨간 ‘상교의(上轿衣)’를 착용하고 납염 원단이나 자수로 장식한다. 하의는 도화 치마에 납염 무늬가 있 는 백색 앞치마를 착용한다(Zhou, 2013; Fig. 40). 동 장식(铜厂式, Tongchang) 여성들은 머리를 감싸 머리 뒤에 빨강 털실로 얽는다. 상의는 검정색 대금 옷이며 소매가 좁고 옷섶, 소매 부분은 도화 자수를 놓고 흑 색 앞치마를 착용한다(Wu, 2000; Fig. 41).

    5) Hainan style

    해남형(海南型)은 중국 해남성 묘족의 언어 분류이 다. 해남은 아열대 기후로 계절의 구별이 없으므로 여 성들이 남색 원령의 우편금 단의(单衣)를 무릎에 오도 록 착용하며, 납염 문양의 짧은 치마를 착용한다. 다 른 지역보다 복식이 비교적 단조롭고 은장신구와 장 식도 적다(Park & Cho, 2002). 아남식(牙南式, Yanan) 여성들이 쪽을 묶어서 도화 두건으로 감싸고, 상의는 둥근 깃에 우임 옷섶이며 소매는 좁고 가늘다. 소매 끝에 자수를 장식하며, 하의는 짧은 납염 치마를 착용 한다. 청색 각반을 한다(Wu, 2000; Fig. 42).

    Ⅲ. Characteristics of Miao Huangping Batik

    중국 소수민족 묘족은 독특한 지역적 특색을 바탕 으로 그들만의 오랜 역사, 신화, 전설, 종교 문화 등을 형성하고, 독특한 민족 문화를 대표하는 복식으로 발 전해왔다. 특히 전통 수공예의 섬세하고 화려한 납염 염색 방법이 대표적으로, 납염으로 밀랍으로 그림을 그린 후 문양을 방염 처리하여 무늬를 얻는다(Meng et al., 2018). 묘족 납염 문양의 기원은 묘족의 전설이 나 신화, 고가(古歌, Ancient song)에서 기원하며, 문 양의 의미나 포함된 스토리 내용은 고대로부터 전해 지는 신화, 토템, 조상숭배, 자연현상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본 연구에서는 납염으로 유명한 검중남형 (黔中南型) 황평현(黄平县, Huangping) 남염을 활용한 패션디자인을 전개하고자 황평 납염에 대한 조사를 하였다. 귀주성의 황평현은 ‘납염의 고향’으로 귀주성 전통납염의 3대 납염 기지 중의 하나로(Lee, 2008) 중 안강형 납염이라고도 한다. 이곳은 묘족 게르가족(亻 革家, Gejia)이 대집거하고 있는 지역이고, 묘족 복식 은 게르가식이라 하며, 황평현 납염은 게르가형 납염 이라고도 부른다.

    게르가는 예로부터 태양을 숭배하고 화살을 모시 고 무술(武术)을 숭상함으로써 조상이 전쟁으로 족속 들의 생존을 쟁취한 것을 기념한다. 특히 명절용 명절 복이 가장 화려하고 대표적이다. 납염과 자수로 제작 된 상의와 관두 갑옷 형태의 배패를 착용한다. 게르가 식 상의는 납염에 대금으로 무릎길이다. 상의 뒤판부 분은 밑에 네 가지 납염 원단으로 짜깁기하여 만들었 는데, 현지인들이 ‘사과와(四块瓦, Sikuai wa)’라고 부 른다(Fig. 41). 복식 전체는 납염 도고문양과 화초 문 양 등 장식하고, 하의도 납염 주름치마를 입는다. 게르 가식 앞치마가 매우 특별하고 방패처럼 생긴 조형 형 태로 나타나며, 중국 전통 무장 모습과 더욱 비슷하다.

    게르가의 납염 문양은 동물과 식물의 자연문양과 기하 문양으로 나타난다. 기하 문양은 구름문양, 태양 문양, 톱니문양, 삼각문양, 케이블 문양 등이 있으며, 자연 문양은 새, 물고기, 매, 화조, 석류 등으로 나타난 다. 자연 문양과 기하 문양을 조합한 형태는 가장 많 이 나타날 뿐만 아니라, 자연 문양의 묘사는 다른 지 역보다 과장되고 다양하다. 또한 동물 문양은 몸체 일 부만 보이거나 서로 관계없는 동물, 식물과 함께 묘한 조화를 이루고 있기도 한다.

    문양은 묘족 민족 신양, 토템을 위주로 하고, 조형 적 표현 기법에 있어서는 구도적이며 대칭적이고, 작 은 점문으로 선을 표현하는 특성도 있다. 색채는 남청 색 바탕과 백색 문양사이에 노란색 수를 놓거나 붉은 색 또는 노란색을 섞어 화려함을 보이기도 한다(Lee, 2008). 게르가의 생활 환경과 조상에 대한 마음이 납 염 문양에서 많이 나타나며, 납염의 중심이라고 할 수 있다.

    1. Animal pattern

    황평 납염에 동물문양은 주로 새 문양, 나비문양, 애벌레 문양, 매 문양 그리고 물고기 문양 등이 있다. 문양이 과장, 간략화, 변화 등의 기법으로 창조하면서 착각적인 효과를 보여준다. 새 문양은 황평 납염에서 많이 나타난 문양의 하나로 다른 지역의 납염 새문양 보다 더 추상적이고 예술적이다. 항상 짝수로 나타나 며, 화면의 중심은 태양 문양이나 동고 문양을 위주 로 새 문양은 중심 주위를 도는 듯한 느낌을 준다(Fig. 43 and 45).

    물고기 문양은 기본적으로 다산을 상징하는 의미 로, 많이 나타나는 중국의 문양이며, 황평 납염에서도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Fig. 44). 황평 납염에서는 새 문양과 함께 자주 나타나며, 대표적인 어조문(鱼鸟 纹)이다. 어조 문양은 매우 추상적이고 신비로운 조형 성을 지니며, 다양한 상상의 공간을 연출하며 게르가 사람들의 창의적인 디자인을 볼 수 있다(Fig. 45 and 46). 황평 게르가에는 ‘잔선도잎(蚕仙偷叶)’이라는 누 에를 치게 되는 전설이 있는데, 게르가 부녀들에게 누 에를 기르는 방법을 전수한 잔선(蚕仙)의 은혜를 감사 하기 위해 누에의 이미지를 납염에 적용하게 되고, 둥 글고 볼륨감 있는 누에의 애벌레 모양을 만들어냈다. 또한 이 문양으로 게르가 사람들의 누에를 치는 생활 모습도 기록할 뿐만 아니라, 아름다운 생활이나 착한 마음을 기원하고 상징한다(Zhu, 2011; Fig. 47). 용 문 양은 게르가 납염에서 특별한 형태로 중국의 전통 용 문양보다는 추상적으로 표현된다. 게르가의 전설 ‘이 (羿)는 화살로 태양을 쏘고 그때의 쓰던 화살은 신용 (神龙)이 보호한다.’는 내용에 따라 활(弓), 살(箭), 용 은 각 형태로 문양을 만들어냈다(Fig. 48).

    2. Plant pattern

    황평 납염에는 식물문양이 다양하지만 대부분 보 조적인 장식문양으로 나타난다. 문양의 종류를 분석 하면 부귀길상(富贵吉祥)을 상징한 모란, 연꽃, 복숭 아 꽃, 석류(Fig. 49) 등으로 구성되며, 산속에서 쉽게 보이는 화초식물의 원형으로 변형된 등꽃 문양(Fig. 50), 국화 문양(Fig. 51), 조롱박 문양(Fig. 52), 수초 문양, 고사리 문양 등이 나타난다.

    납염의 점묘 기법으로 기하학적인 표현을 하기도 하며, 사실적 표현과 더불어 단순화된 식물문양을 표 현하기도 한다. 게르가의 여성들이 손만 뻗으면 닿을 수 있는 화초 식물에서 아름다움을 얻었고, 머리의 풍 부한 상상력과 독특한 심미성을 갖고 납염을 통해서 점, 선의 리듬으로 운율을 주며, 정교하고 대담함과 과장적인 표현도 하고, 자유롭고 호방한 은유적 표현 으로 창조적 매력을 지니고 있다는 것을 보인다.

    3. Geometric pattern

    기하 문양은 황평 납염 문양 중에서 중요한 부분 이다. 동물이나 식물 문양을 위주로 된 납염작품에서 도 기하학문양을 많이 장식하였다. 기하 문양은 삼각 형, 원형, 사각형, 팔각형 등이 있는데, 이런 문양들이 단독으로 문양을 나타내기도 하고, 많은 수량으로 배 열, 중첩, 교차 등의 기법을 통해 새 문양도 만들어낼 수 있다. 황평 납염에 나타난 동고문(铜鼓纹, bronze drum), 태양문(太阳纹), 나선문(螺旋纹), 팔각문(八角 纹), 톱니문 등 새롭게 만든 문양이 있다.

    게르가는 고대부터 태양을 숭배하였는데, 게르가 사람들은 태양이 여성의 상징을 가진 아름다운 새로 여겼는데, 이 전설들은 게르가의 삶에 나타나고 있다 (Zhou, 2013). 또한 게르가는 오랜 벼농사민족의 하나 로 태양이 생산생활에 미치는 영향을 충분히 인식하 여 태양 문양을 납염으로 표현하는 방법을 통해 태양 과 접촉하는 것처럼 나타내기도 한다. 태양 문양은 게 르가 납염의 가장 중심 부분에 두고, 새나 나비 등 다 른 문양은 태양문양을 둘러싸고 있다. 태양이 절대 중 심이라는 사상을 갖고 있어 하나의 원형을 기분단위 로 하거나, 원형의 외곽에 여러 가지 형태의 원형이나 광각 등을 붙이며 과장된 기법으로 풍부한 태양 형태 를 만들어낸다(Fig. 53 and 54).

    나선문양은 나선형 문양의 도자기 전통문양으로 물 이 흐르는 소용돌이처럼 생겨서 ‘오문(涡纹)’이라고 도 한다. 소용돌이 문양은 중국 역사에서 조상에 대한 진전성이 있는 그리움이나 소수민족의 조상 제사에 기인하는 제물 혹은 악기나 장구 등에 형태를 얻고 변 화된 문양이라고 한다. 토템숭배나 고대 신화 이야기 의 연장선상에 있든, 음양팔괘라는 설이든 게르가 납 염에 나타난 나선문양은 높은 지위를 유지하고, 문양 이 계속 나타난 것에 따라 게르가의 정신에도 모르는 사이에 감화한 교화가 되어 그 의미가 더 중요하다 (Zhu, 2011).

    이와 같이 황평 묘족 지역 납염의 큰 특성은 추상 적인 문양 형태이다. 문양 종류에 따라 동물, 식물, 기 하학 문양으로 구성된다. 동물 문양은 다른 지역과 다 르게 주로 새, 나비, 누에, 매, 물고기문양이 있다. 색 채가 짙은 남색, 연한남색, 흰색, 황색을 주로 사용한 다. 동물문양의 형태는 간략화가 된 문양이 많으며, 추상적인 변화가 많다. 문양이 좌우대칭이고 반복적이 며 화면이 리듬과 동세를 표현되어 있다. 또한 조상숭 배, 토템숭배, 생식숭배 등의 상징적인 의미를 남긴다.

    Ⅳ. Development of Works

    1. Development intention and method

    본 연구는 중국 소수민족 복식의 현대화를 위한 창 의적인 개발을 위하여 묘족의 복식 및 묘족 납염 중 동, 식물과 기하 문양의 추상적 문양을 주로 보여주는 황평 납염의 특성을 활용한 패션 디자인을 제작하고 자 하였다. 이론적 배경과 문헌 연구, 선행연구의 고 찰을 통하여 묘족의 복식 및 황평 게르가 납염에 대한 조사를 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현대적인 패션 디자 인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데님 원단을 활용하여 묘족 납염 문양을 추출하여 프린트 디자인을 하였으며, CLO 3D 프로그램을 활용한 가상착의 시뮬레이션을 통해 프린트와 다자인을 수정하며 디자인 전개를 완 성하였다.

    복식 형태와 제작 방식에 따라 작품은 황평 지역의 게르가 사람의 자칭인 ‘Gemo(크모, 哥摩)’의 테마로 납염 문양을 추출하고, 디지털 프린팅을 활용하여 현 대적인 기법과 다른 재질감으로 표현한 디자인으로 전개하였다. 황평 납염의 대표적인 새, 동고, 애벌레 등 문양 요소를 추출하여 반복적인 조합하여 새롭게 문양을 디자인하였다. 특히 묘족 복식에 대표적인 주 름치마와 황평 지역 여성들이 착용한 배패의 형태를 현대적 디자인으로 표현하고자 하였다(Fig. 55).

    실루엣은 묘족 복식의 직선을 기본으로 디자인하였 다. 짧은 상의와 짧은 주름치마, 짧은 상의와 긴 주름 스커트, 긴 원피스, 재킷과 앞치마 등 묘족 복식의 스 타일, 색채, 장식 등에서 현대 패션디자인에 사용할 특 성적인 요소를 추출하였다. 색상은 묘족 납염에 많이 나타난 짙은 남색, 흰색, 검정색 등의 색상을 추출하여 묘족 사람들의 열정과 민족 문화를 표현하였다. 남색 을 메인 컬러로 흰색과 혼합 사용하였으며, 데님과 가 죽을 혼합하여 디자인하였다. 묘족의 황평 납염의 대 표적인 문양을 추출하여 일러스트레이터(illustrator) 프로그램과 포토샵(photoshop)을 활용하여 소수민족 문양 패턴을 재구성하였으며, 데님 소재와 혼합하고 여러 가지 다양한 소재를 결합해서 디자인하였다. 데 님은 매우 실용적인 소재로 납염의 인디고 느낌과 비 슷해서 창의적 디자인 개발이 가능한 소재로 전통적 문양을 새로운 방식과 결합하고, 민속적 색채가 가미 된 현대 복식으로 디자인을 전개, 연출하였다. 직물에 주름과 개더를 처리하여 납염 문양과 복식 형태가 더 욱 입체적이고 추상적으로 표현하였다(Table 1).

    2. Deployment of digital clothing design

    본 연구의 작품 제작은 지속가능성을 추구하는 새 로운 디자인 방법으로, 디자인 과정에 IT 기술을 접목 해 에너지 절감과 재사용 가능한 디자인 데이터 생산 을 통해 생산 과정에서의 친환경적 지속가능성을 높 이고자 하였다. 문헌 고찰을 통해 조사된 묘족 복식과 횡평 납염의 특성을 활용하여 묘족의 민속적 특성이 담긴 4개의 여성복 디자인 작품을 CLO 3D 프로그램 을 활용하여 디지털 패션디자인을 전개하였다.

    검정 황평 납염 문양은 주로 동물, 문양 기하 문양 등 소재를 추상화하여 조합하였다. 특히 새 문양, 애 벌레 문양, 동고 문양은 가장 오래 되고 전통적인 문 양이다. 본 작품은 황평 지역의 대표 문양을 추출하여 Illustration CAD 프로그램으로 재 디자인하며 추출된 문양을 변위 디자인을 하였으며,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시뮬레이션을 하였다(Fig. 56, 57, 58, and 59).

    3. Production of a work

    묘족 복식 및 황평 지역 납염을 활용한 패션디자인 전개를 위하여 CLO 3D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가상착 의 디자인을 전개하였으며, 의도하는 디자인과 실루 엣을 구현하기 위하여 여러 차례의 수정 반복 작업을 통하여 2D 패턴을 수정하고 최종 가상 상태의 착장 렌더링을 진행하였다. 또한 반복적 문양을 데님 원 단을 활용하여 디지털 프린트작업을 활용하였다.

    작품 1은 셔츠형 상의와 팬츠 디자인으로 모두 황 평 납염의 문양을 활용했다. 상의의 부분은 황평 지역 의 독특한 배패 조형을 응용하여 변형하고 장식적으 로 디자인하였다. 전통적인 형태와 현대적인 표현 방 법을 혼합하였으며, 문양의 재조합으로 전통적인 요 소를 유지하면서도 현대적 감각을 더했다. 실물 착장 시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CLO 3D의 가상착의 프 로그램을 활용하여 디자인과 패턴을 수정하면서 실물 제작을 진행하였다(Fig. 60).

    작품 2는 짧은 상의와 스커트를 매치하였다. 묘족 여성 복식의 형태에서 디자인 영감을 받아 상의를 디 자인하였다. 소매는 퍼프소매의 볼륨감을 반복적으로 변형하고, 스커트는 묘족의 대표적인 주름치마의 형 태를 바탕으로 원단을 불규칙하게 주름잡아 스커트에 활용하였다. 다양한 묘족 납염 프린트 문양을 주름의 폭에 따라 다르게 처리함으로써 문양은 모두 다른 느 낌의 변화를 주었다. 데님과 디지털 프린트를 통해 묘 족 납염처럼 느낌을 느껴지며, 납염 직물을 은근히 보 이는 효과를 나타나게 디자인하였다. 주름치마의 작 품 진행 순서는 각 패턴의 형태적 구조가 다르기 때문 에 주름의 위치나 크기를 확인하기 위해 먼저 CLO 3D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구성 형태를 미리 시뮬레이 션으로 작업하면서 진행하였다(Fig. 61).

    Ⅴ. Conclusion

    본 연구는 중국 소수민족 묘족 복식과 황평 납염 특성을 조사 분석하고, 현대적이고 일상적으로 활용 될 수 있는 패션 디자인의 방향과 소재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으로 문헌고찰 및 선행연구를 바탕 으로 묘족 복식의 특징과 황평 납염 특징을 조사하였 다. 이러한 조사 내용을 바탕으로 묘족 복식과 납염 문양을 활용한 3D 가상착의 현대적인 여성 패션 디자 인으로 4벌을 전개하고 실물 작품 2벌을 제작하였다.

    묘족은 긴 시간을 가진 전쟁이나 이주과정에서 여 러 가지 지역에 분산되었는데, 문화적 특성은 고대부 터 전해 내려온 문화를 보존하고 있고, 복잡한 지파로 인해 각 묘족의 거주 지역에 따라 많은 차이가 있다. 묘족 복식의 특성 및 황평 납염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묘족 복식의 형태는 옷섶의 특성에 따라 다금, 대금, 관두의 형태로 나타난다. 복식의 색채는 주로 검정, 짙은 남색, 홍색 등으로 구성되며, 흰색, 초록, 파랑, 주황 등 다양하고 선명한 색상이 나타나며, 지 역별로 차이가 있다. 둘째, 묘족 납염은 중국 국가급 무형문화유산에 유일한 등재된 기법으로, 납염 문양 과 조형 등에서 독특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황평 묘 족 지역 납염의 특성은 추상적인 문양 형태이다. 문양 의 형태는 간략화가 된 문양이 많으며, 추상적인 변화 가 많다. 문양이 좌우대칭이며 반복적이고 리듬과 움 직임을 표현하고 있다.

    이러한 문헌 자료와 사진 수집 조사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묘족 복식 및 납염 문양의 현대화를 위한 방향으로 묘족 복식 특징, 납염 문양 특징을 활용한 패션 디자인을 전개하였다. 디자인 전개는 CLO 3D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복식의 형태나 문양이 배열 위 치를 확인하면서 3D 가상착의로 시뮬레이션으로 완 성하였다. 작품제작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묘족 복식의 독특한 형태와 납염 문양을 바탕으로 한 작품 제작은 민족적 요소의 현대적이고 창의적인 디자인 개발의 활용에 적절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납염 느낌 을 보여 주는 데님 원단을 위주로 사용하고, 인조 가 죽 등 현대적인 새로운 소재로 재창조시켰다. 둘째, 황평 납염 문양을 추출하여 확대와 반복을 활용함으 로써 디지털 프린트 기법으로 현대적인 패션 느낌을 표현하였으며, 다양한 소재, 전통적 문양과 현대 기법 을 결합하고 일상화와 다채로운 패션디자인의 적용 가능성을 제시하여 현대 패션디자인의 다양한 방향성 을 제시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전통 문화유산으로서의 민족 복식문화 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전 통문화 기반의 창의적인 현대 패션디자인 개발이 지 속적으로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Figure

    RJCC-29-4-585_F1.gif

    Fengsong costume Reprinted from Chang. (2005). p.85.

    RJCC-29-4-585_F2.gif

    Chest pocket Reprinted from The Cultural Palace of Nationalities. (1986). p.32.

    RJCC-29-4-585_F3.gif

    Mali costume Reprinted from Wu. (2000). p.581.

    RJCC-29-4-585_F4.gif

    Qilong costume Reprinted from The Cultural Palace of Nationalities. (1986). p.30.

    RJCC-29-4-585_F5.gif

    Shidong costume Reprinted from Yang. (1999). p.8.

    RJCC-29-4-585_F6.gif

    Taigong costume Reprinted from Chang. (2005). p.52.

    RJCC-29-4-585_F7.gif

    Gedong costume Reprinted from Wu. (2000). p.139.

    RJCC-29-4-585_F8.gif

    Geyi costume Reprinted from Wu. (2000). p.150.

    RJCC-29-4-585_F9.gif

    Xijiang costume Reprinted from Chang. (2005). p.5.

    RJCC-29-4-585_F10.gif

    Zhouxi costume Reprinted from Wu. (2000). p.102.

    RJCC-29-4-585_F11.gif

    Dandu costume Reprinted from Beijing Institute of Fashion Technology National Costume Museum. (n.d.a). http://www.biftmuseu m.com

    RJCC-29-4-585_F12.gif

    Taigong costume Reprinted from Yang. (2002). p.27.

    RJCC-29-4-585_F13.gif

    Paidiao costume Reprinted from Wu. (2000). p.114.

    RJCC-29-4-585_F14.gif

    Baqiao costume Reprinted from Chang. (2005). p.114.

    RJCC-29-4-585_F15.gif

    Rongjiang costume Reprinted from Chang. (2005). p.20.

    RJCC-29-4-585_F16.gif

    Jiugan costume Reprinted from Wu. (2000). p.188.

    RJCC-29-4-585_F17.gif

    Jiuyang costume Reprinted from Wu. (2000). p.184.

    RJCC-29-4-585_F18.gif

    Luobohe costume Reprinted from Yang. (2002). p.39.

    RJCC-29-4-585_F19.gif

    Huaxi costume Reprinted from Wu. (2000). p.455.

    RJCC-29-4-585_F20.gif

    Baibang costume Reprinted from Chang. (2005). p.94.

    RJCC-29-4-585_F21.gif

    Baijin costume Reprinted from Wu. (2000). p.250.

    RJCC-29-4-585_F22.gif

    Yarong costume Reprinted from Chang. (2005). p.102.

    RJCC-29-4-585_F23.gif

    Nandan costume Reprinted from Wu. (2000). p.597.

    RJCC-29-4-585_F24.gif

    Anqing costume Reprinted from The Cultural Palace of Nationalities. (1986). p.119

    RJCC-29-4-585_F25.gif

    Ning’an costume Reprinted from The Cultural Palace of Nationalities. (1986). p.127.

    RJCC-29-4-585_F26.gif

    Gejia costume Reprinted from Chang. (2005). p.61.

    RJCC-29-4-585_F27.gif

    Gulong costume Reprinted from Chang. (2005). p.39.

    RJCC-29-4-585_F28.gif

    Weining costume Reprinted from Wu. (2000). p.412.

    RJCC-29-4-585_F29.gif

    Chuxiong costume Reprinted from Chang. (2005). p.173.

    RJCC-29-4-585_F30.gif

    Xianmuzhai costume Reprinted from Wu. (2000). p.427.

    RJCC-29-4-585_F31.gif

    Baixing costume Reprinted from Chang. (2005). p.132.

    RJCC-29-4-585_F32.gif

    Lao’aoba costume Reprinted from Chang. (2005). p.134.

    RJCC-29-4-585_F33.gif

    Douqing costume Reprinted from Chang. (2005). p.126.

    RJCC-29-4-585_F34.gif

    Lewang costume Reprinted from Wu. (2000). p.331.

    RJCC-29-4-585_F35.gif

    Qiubei costume Reprinted from Liu & He. (2013). p.654.

    RJCC-29-4-585_F36.gif

    Gulin costume Reprinted from The Cultural Palace of Nationalities. (1986). p.187.

    RJCC-29-4-585_F37.gif

    Qingjiao costume Reprinted from Chang. (2005). p.136.

    RJCC-29-4-585_F38.gif

    Longchang costume Reprinted from Chang. (2005). p.138.

    RJCC-29-4-585_F39.gif

    Pudi costume Reprinted from Chang. (2005). p.145.

    RJCC-29-4-585_F40.gif

    Heishitouzhai costume Reprinted from Wu. (2000). p.260.

    RJCC-29-4-585_F41.gif

    Tongchang costume Reprinted from Wu. (2000). p.536

    RJCC-29-4-585_F42.gif

    Yanan costume Reprinted from Wu. (2000). p.625.

    RJCC-29-4-585_F43.gif

    Gejia batik costume Reprinted from Zhang & Liu. (2019). p.261.

    RJCC-29-4-585_F44.gif

    Animal patterns in Huangping batik costume Reprinted from Beijing Institute of Fashion Technology National Costume Museum. (n.d.b). http://www.biftmuseum.com

    RJCC-29-4-585_F45.gif

    Bird patterns in Huangping batik Reprinted from Zhang & Liu. (2019). p.184, 185, 204.

    RJCC-29-4-585_F46.gif

    Fish patterns (left) Reprinted from Zhang & Liu. (2019). p.174. (right) Reprinted from Wan & Ma. (2010). p.26.

    RJCC-29-4-585_F47.gif

    Caterpillar patterns Reprinted from Zhang & Liu. (2019). pp.183-217.

    RJCC-29-4-585_F48.gif

    Dragon pattern Reprinted from Echo of Things Chinese. (2007). p.32.

    RJCC-29-4-585_F49.gif

    Pomegranate pattern Reprinted from Zhang & Liu. (2019). p.198.

    RJCC-29-4-585_F50.gif

    Vine flowers pattern Reprinted from He & Yang. (2009). p.77.

    RJCC-29-4-585_F51.gif

    Mother chrysanthemum pattern Reprinted from Zhang & Liu. (2019). p.176.

    RJCC-29-4-585_F52.gif

    Gourd pattern Reprinted from Zhang & Liu. (2019). p.173.

    RJCC-29-4-585_F53.gif

    Sun pattern Reprinted from Zhang & Liu. (2019). p.183.

    RJCC-29-4-585_F54.gif

    Sun pattern Reprinted from Zhang & Liu. (2008). pp.188-254.

    RJCC-29-4-585_F55.gif

    Digital pattern design with Gejia batik with abstract features of animals and plants

    RJCC-29-4-585_F56.gif

    Digital clothing design 1

    RJCC-29-4-585_F57.gif

    Digital clothing design 2

    RJCC-29-4-585_F58.gif

    Digital clothing design 3

    RJCC-29-4-585_F59.gif

    Digital clothing design 4

    RJCC-29-4-585_F60.gif

    Production of a work 1

    RJCC-29-4-585_F61.gif

    Production of a work 2

    Table

    Work production planning chart: Gemo

    Reference

    1. Beijing Institute of Fashion Technology National Costume Museum. (n.d.a). Dandu batik costume. Retrieved February 13, 2021, from http://www.biftmuseum.com/collection/info?sid=15412&colCatSid=2
    2. Beijing Institute of Fashion Technology National Costume Museum. (n.d.b). Huangping batik costume. Retrieved February 13, 2021, from http://www.biftmuseum.com/collection/info?sid=15411&colCatSid=2
    3. Chang, S. N. (2005). Complete collection of Chinese embroidery costumes (Vol. 5). Tianjin, China: Tianjin People’s Fine Arts Publishing House.
    4. China’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2018). List of representative projects of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Retrieved July 20, 2020, from http://www.ihchina.cn/project#target1
    5. Echo of Things Chinese. (2007). 中国土布系列: 蜡染 (下) [Chinese local cloth series: Batik(2)]. Guizhou, China: Guizhou People’s Publishing House.
    6. He, C. , & Yang, W. B. (2009). 中华锦绣 贵州蜡染 [Guizhou batik]. Suzhou: Suzhou University Press.
    7. Hong, J. M. , & Kim, Y. S. (2001). A study on Miao traditional costume of Guizhou province in China (1): Centering around woman’s costume in Qiandongnan autonomous prefecture.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3(1), 53-60.
    8. Jeon, H. , Baek, G. , & Kim, H. (2007). A study on the women’s costume of Red Miao in Guizhou China (I): Comparing with the costume of Red Miao between modern and the Quing Dynasty. Journal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 10(3), 101-116.
    9. Jiang, Y. , Jin, S. , & Lee, Y. (2020). Formal characteristics of headdress in Chinese minorities.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28(3), 356-375.
    10. Kim, H. S. (2009). A study on pattern of the Miao costume in China: Focusing on the paraffin dyeing embroidery weaving. Journal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 12(2), 31-42.
    11. Kim, Y. S. (2002). A study on embroidered figures of Miao’s traditional costume Guizhou Province in China.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4(1), 31-39.
    12. Kim, Y. S. (2010). A study on Miao people batik dyeing of Guizhou province in China. Journal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 13(2), 63-79.
    13. Lee, M. J. (2008). A study on Miao batik (The art of crafts) in Guizhou China.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14. Li, L. (2017). Aesthetic value and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the China Miao embroidery.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15. Liu, R. P. , & He, X. (2013). Construction patterns of Chinese costume: Volume of costume. Beijing: China Textile & Apparel Press.
    16. Meng, Y. , Choi, J. , & Kim, J. (2018). A comparative study on Chinese batik of Miao and Buyi in GuiZhouSheng.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26(4), 531-546.
    17. National Bureau of Statistics of China. (2019). Population survey. Retrieved July 23, 2020, from https://data.stats.gov.cn
    18. Park, C. S. , & Cho, U. Y. (2002). 중국 소수민족 복 식 [Chinese minority costume]. Seoul: Publishing Company Minsokwon.
    19. The Cultural Palace of Nationalities. (1986). 中国苗 族服饰 [Chinese Miao costume]. Beijing: The Ethnic Publishing House.
    20. Wan, Z. X. , & Ma, X. R. (2010). 贵州蜡染 [Guizhou batik]. Guizhou, China: Guizhou Nationalities Publishing House.
    21. Wang, Y. , Lee, J. , & Lee, Y. (2017). Fashion design applying to the features of the Chinese Zhuang costume.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25(5), 694-707.
    22. Wu, S. Z. (2000). 中国苗族图志 [A picture album of China’s Miao costumes and Ornaments]. Guizhou, China: Guizhou People’s Publishing House.
    23. Yang, Y. (1999). 中国民族服饰文化图典 [Chinese national costume culture]. Beijing: Mass Fine Art Publishing House.
    24. Yang, Z. (2002). 묘족복식문화 [Miao costume culture]. Seoul: Kyungin Cultural Society.
    25. Zhang, S. S. , & Liu, Y. (2019). 中国贵州民族民间美 术全集: 蜡染 [The Collection set of folk art and crafts in Guizhou China: Batik]. Guizhou, China: Guizhou people’s Publishing House.
    26. Zhang, Y. , & Kim, S. J. (2011). Fashion design studies on reinterpretation of Chinese ethnic minority costumes. Journal of the Korea Fashion and Costume Design Association, 13(2), 175-183.
    27. Zhou, Y. (2013). 蜡去花现: 贵州少数民族传统蜡染手 工艺研究 [Remove the wax see flowers]. Beijing: Central University for Nationalities Press.
    28. Zhu, L. (2011). Research on batik decoration patterns in GeJia Southeast Guizhou]. Unpublished master’s thesis, Yangzhou University, Yangzhou, China.

    Appendi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