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rossref logo
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6-0401(Print)
ISSN : 2383-6334(Online)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Vol.29 No.5 pp.651-664
DOI : https://doi.org/10.29049/rjcc.2021.29.5.651

The paradox of feminism and beautification of outward appearance

Eun Su Jang, Soon Jae Lee*
Ph. D. Candidate, Dept. of Clothing, Graduate School of Konkuk University, Korea
*건국대학교 의상디자인학과 교수
Corresponding author (leesoon@konkuk.ac.kr)
August 4, 2021 September 13, 2021 September 16, 202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rst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appearanceenhancing beauty practices and feminism, and secondly, to analyze public images of contemporary women using this paradigm. Through the lens of this relationship, we present a literature review and empirical research focusing on the evolution of public image trends among girl groups, with special attention to the Refund Sisters, a South Korean supergroup currently drawing mainstream attention as female icons. The scope of analysis includes girl groups dating from the 1990’s to the year 2020 and photos of the Refund Sisters. Our results indicate that firstly, free sexual expression is evident based on active use of sexuality; images contain bold demonstrations of females desire, expressions previously considered taboo. Secondly, we note deviations from more standardized female images, unique adornment of outward appearance, and rejection of normative female images through freer forms of self-presentation. Lastly, there is greater cultural and racial diversity, rejection of modern race and gender binaries, and increased representation of queer identities. However, the relationship between appearance-enhancing beauty practices and feminism is sometimes considered paradoxical, with some arguing that beautifying one’s outward appearance is a compulsory strategy and that it should be rejected in order to resist aesthetic pressure.



페미니즘과 외모 꾸미기 패러독스
- 환불원정대를 중심으로 -

장 은 수, 이 순 재*
건국대학교 일반대학원 의류학과 박사 수료
*건국대학교 의상디자인학과 교수

초록


    I. Introduction

    오늘날 여성들의 외모 꾸미기에는 상반된 시각이 공존하고 있다. 외모를 가꾸고 활용하는 것이 여성의 힘이라고 보는 시각과 미용 관습을 억압으로 보고 탈 피하려는 시각이 공존하며 패러독스가 발생하고 있 다. 외모 꾸미기는 인간에게 중요한 관심사이며, 특히 메이크업과 헤어 스타일링이 수행되는 얼굴은 몸의 일부이기도 하지만, 때에 따라 그 사람 자체를 대신하 기도 한다.

    역사적으로 몸은 이성 중심주의의 위계적 이분법 안에서 열등한 대상으로 규정되었다(Shilling, 2003/ 2011). 특히 가부장제 사회에서 여성의 몸은 남성의 시각적 대상과 소유물로 간주되었고, 외모 꾸미기는 미적인 취향과 개성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압력으 로 작동했다(Kim, 2009). 여성의 몸은 감추어야 했고, 드러내는 것은 수치스러운 것으로 여겨졌으며, 짙은 화장과 노출이 심한 의상은 특정 직업군을 의미하며, 사실상 금기시되었다(Johnson, 2007/2012). 이러한 가 부장제 시각에 반하여 페미니즘 운동이 19세기 중반 부터 시작되었으며, 여성들에게 동등한 교육 기회와 사회적 평등을 주장하였고, 성적 해방으로 진행되었다 (Tong & Botts, 2017/2019). 이는 여성들의 사회 진출 이 활발해지는 계기가 되었으나, 화장과 하이힐, 코르 셋, 브래지어와 같은 미용 관습은 유지되었고, 지키지 않았을 경우 예의가 없는 것으로 평가되었다(Jeffreys, 2005/2018). 이에 대한 반발로 외모 꾸미기를 하지 않 을 것을 주장하는 탈코르셋 운동 또한 활발하게 전개 되고 있다. 탈코르셋 운동은 일상적인 외모 꾸미기가 남성들에게는 강요되지 않는 것에 대한 불공평을 주 장하며, 여성들의 꾸미기를 꾸밈 노동으로 규정하고, 화장을 하지 않는 것을 선택함으로써 규범적인 여성 성을 거부하는 것이다(Lee, 2019). 전통 사회에서는 조신하고 참한 여성의 이미지가 강요되었지만, 현대 사회에는 다양한 가능성이 존재하며, 과거에는 배척 당했던 강한 여성상이 인기 있는 이미지로 주목받게 되면서 걸 크러시 현상도 나타나고 있다. 걸 크러시는 순종적인 여성상을 타파하고 당당하고 주체적인 여성 을 매력적으로 평가하게 되면서 나타난 신조어로 사 회적으로 성공한 여성들을 롤 모델로 여기면서 닮고 싶어 하는 현상이다(“Girl Crush”, 2016). 이러한 인식 의 변화는 가부장적 가치관이 큰 비중을 차지하였던 대한민국에서 패러다임의 변화로 볼 수 있을 것이며, 현대 사회에서 외모 꾸미기를 통한 여성의 이미지 변 화에는 페미니즘이 미친 영향이 크다.

    본 연구는 문헌 연구를 통하여 페미니즘이 외모 꾸 미기에 미친 영향을 고찰하고, 최근 각 세대를 대표하 는 여성의 아이콘으로 주목받고 있는 환불원정대 멤 버들의 이미지 변화 분석을 통해 실증적 연구를 진행 하고자 한다. 환불원정대는 MBC의 ‘놀면 뭐하니?’라 는 예능 프로그램에서 걸 크러시를 컨셉으로 2020년 에 결성한 4인조 프로젝트 여성 그룹으로 이효리, 엄 정화, 제시, 화사가 멤버로 활동하여 각종 음원차트 1 위를 장악하며 이슈가 되었다. 환불원정대는 20대부 터 30대, 40대, 50대의 각 세대별로 멤버들이 분포되 어 있고, 각 세대를 대표하는 아이콘으로 주목받고 있 기 때문에 현대 여성의 이미지에 부합된다고 생각하 여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환불원정대 멤버들이 활동했던 1990년대부터 2020년도까지를 연구 범위로 설정하여 이 시기에 우리나라에서 이슈가 되었던 페 미니즘의 사례와 외모 꾸미기 특성을 연구하고, 환불 원정대 멤버들이 활동했던 기간에 따라 이미지 변화 를 분석하였다.

    Ⅱ. Review of Literature

    1. Changes in viewpoints toward the body

    현대에는 몸에 대한 관심의 증대와 함께 학문적인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몸은 존재하면서 부재 했던 대상으로 과거에 몸은 정신보다 관심이 제한적 이었으며, 몸은 정신과 물체의 이원론적인 사고방식 에서 물질 그 자체로 정신은 늘 몸보다 우위에 있었다 (Shilling, 2003/2011). 이성 중심주의 철학에서 미는 정신적인 것으로 여성들은 미적 대상으로만 가능하였 고, 정신이 있는 온전한 미는 남성들에게만 해당하였 으며, 여성의 신체는 정신이 없기 때문에 신체 미에만 빠지게 한다는 이유로 비난을 받고, 아름다운 신체를 가진 여성이 남성을 유혹한 후 파멸로 만든다는 요부 의 이미지로 표현되었다(Kim, 2009). 따라서 여성들 은 몸을 드러내지 않아야 하며, 드러내는 것은 숙녀답 지 못한 행위로 여겨졌다(Johnson, 2007/2012). 예술 사에 자주 등장하는 여성의 몸은 부드럽고 작고 약한 이미지로 표현되었으며, 남성에게 쾌락을 주는 미적 대상으로만 가능하여 늙고 병들거나 출산을 하는 몸 은 대상이 되지 못하며, 이러한 규범은 여성들의 신체 를 압박하였다(Kim, 2009). 여성들의 출산 능력은 20 세기까지도 열등한 것으로 간주하여 여성들의 사회적 위치는 줄곧 폄하되었고, 가정과 사회에서 요구하는 여성의 이미지를 체현하기 위해 노력해야 했다. 남성 들도 18세기 이전까지는 화려하게 꾸몄지만 프랑스 혁명 이후로 패션에 남녀 차이가 벌어지게 되었으며, 남성과 여성의 성차가 강조되면서 19세기부터 외모 꾸미기는 여성의 전유물로 인식되었다. 시대적 변화 에 따라 생물학적인 몸의 변형이 가능해지며, 현대 사 회에서 외모 꾸미기는 비단 여성들만의 행동이 아니 게 되었다. 현대의 몸은 자신을 표현하는 수단으로 여 겨지며, 지극히 개인적인 것으로 변화하였다. 패션과 미용에 관심을 두고 투자하는 것은 모두의 관심사가 되어가고 있으며, 여성들에게만 행해졌던 몸 관리와 외모 꾸미기가 오늘날에는 성별과 연령대를 넘어 당 연시되고 있다.

    2. Feminism and beautification of outward appearance

    페미니즘은 단일한 이데올로기가 아닌 다양한 관 점으로 나타나며, 남녀평등 사회와 여성의 권리를 주 장하는 이념이다. 19세기 중반부터 1950년대까지 전 개된 페미니즘을 1세대 페미니즘으로 제1의 물결이라 고 하며, 196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를 2세대 페미니 즘으로 제2의 물결로 지칭하고, 1990년대부터 현재까 지를 3세대 페미니즘인 제3의 물결로 구분한다(Tong & Botts, 2017/2019).

    1) The first wave (Mid-19th century~1950s)

    19세기 중반부터 1950년대까지 전개된 페미니즘을 1세대 페미니즘으로 지칭하는데, 1792년에 최초로 페 미니즘 저서를 발간하고, 여성 운동의 선구자로 알려 진 Wollstonecraft(1792/2011)는 여성의 동등한 교육 기회와 사회적인 평등을 주장하며, 페미니즘 운동 전 개에 영향을 미쳤다. 1세대 페미니즘은 영국과 미국 에서 활발히 일어났으며, 여성들이 정치에 참여할 수 있는 참정권 획득을 목적으로 발생하였다. 대부분 20 세기 초중반이 되어서야 여성들의 참정권 행사가 가 능하게 되었다.

    우리나라에서는 개항을 전후하여 동학사상과 천주 교의 유입으로 신분 계층과 남녀의 평등사상이 여성 들의 의식 변화에 영향을 주었으며, 수많은 노력으로 근대 교육을 받는 여성들이 늘어남에 따라 근대 여성 운동이 시작하게 되었다(Kim, 2005). 종교와 서양식 교육은 여성 교육의 중요성에 대해 인식하게 되었고 사회 진출에 바탕이 되었으며, 이때 여성들의 교육은 자녀들의 가정교육을 위해 필요하다고 주장하였다 (Jeon et al., 1995). 신식 교육을 받은 신여성들의 주 도하에 의복 개량 운동이 시작되어 장옷의 폐지와 가 슴을 매지 않는 유방의 해방 등을 주장하며, 가부장제 에 도전하고 여성을 가정에서 해방하자는 의식으로 개혁을 주창하였지만, 신여성의 차림새는 당시에 비 난의 대상이 되었다.

    이 시대에 나타난 외모 꾸미기 특성은 다음과 같다.

    19세기 말에 신분 제도가 무너지면서부터 여성들 의 복식과 헤어스타일에 큰 변화가 일어났으며, 개항 하면서 서양 문물의 유입이 시작되었다. 서양의 패션 과 화장법, 헤어스타일은 갑오개혁(1894)을 전후하여 일상생활에 수용되어 근대화의 상징으로 여겨졌다. 당 시에는 신식 화장법과 서양의 패션 등 모든 유행이 기 생들에게 먼저 유행했기 때문에 대중화의 한계와 반 발이 있었고, 여염집 여성들은 기생과 구별될 수 있도 록 더 엷은 화장을 하였다(Kim, 2005). 여성들은 외출 이 자유롭지 못하고, 남녀 내외법으로 인해 쓰개치마 나 장옷, 삿갓 등으로 얼굴을 가리고 다녔다. 쓰개치 마 착용이 폐지되면서 우산이 등장하였는데, 여학생 들이 사용했던 검정 우산은 쓰개치마 대신 내외를 하 기 위해 사용되다가 점차 화려한 양산으로 변하였다.

    제1차 세계대전 후에 여성들의 사회진출로 인해 의 식의 변화가 일어나면서 기능을 강조하는 여성복과 단발머리의 유행으로 근대화가 이루어졌다(Jeon et al., 1995). 전통사회에서 단발하는 것은 불효에 해당 하였지만, 신여성들 사이에서 단발머리는 크게 유행 하며 사회적인 문제로까지 대두되었다. 당시에는 위 생과 경제적인 측면에서 머리카락을 자르는 것을 권 장했지만, 유교적 의식에서 벗어나지 못한 다수의 사 람은 혼례 등 전통의식이 있을 때는 옛날 복제로 회귀 하였다.

    근대화를 시작한 한국에서 1920년대 신여성의 등 장은 큰 변화를 맞이하였는데, 서구식의 화려한 의상 과 화장, 머리, 장신구 등을 통해 당당하게 개성을 표 현하였지만, 1930년대 이후에는 강제로 전쟁에 동원 되어 사치품 금지령이 내려지면서 신여성들의 꾸미기 가 낭비와 사치의 상징으로 여겨져 퍼머넌트나 립스 틱은 금지되었다. 해방 이후에는 서양 문물이 들어오 면서 전통적인 한복에 단발머리와 하이힐을 신은 여 성과 같은 전통과 근대의 혼용이 지속되었다(Kim, 2004). 인체에 대한 미의식은 전통적으로 주어진 것에 서 의도적으로 만들어가는 것으로 점차 변화하였고, 사적 영역의 확장으로 몸은 평가의 대상이 되었으며, 급격한 서구화로 여성들의 확장된 역할이 몸치장을 통해 표현되었고, 여성이 인간으로서 자각하게 되는 페미니즘적 각성이 이루어졌다(S. J. Lee, 2010).

    2) The second wave (1960~1980s)

    2세대 페미니즘은 196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를 지칭하며, 직장과 가정 내의 성차별과 사회 모든 분야 에 해당하는 남녀평등을 주장하며, 여성의 성 역할에 대하여 해방을 추구하였다. Beauvoir(1949/2009)는 이 시기에 큰 영향을 미치며, 가부장제 사회와 여성을 타 자화하는 사회적 규범이 여성을 억압하는 것이라며 비 판하였다. 또한 생물학적인 성과 사회 문화적으로 구 성된 성을 젠더로 구분하여 여성으로 태어나는 것이 아니라, 사회 문화적인 배경으로 만들어지는 것이라고 보고, 여성 억압의 주체를 남성으로 지목하며 가부장 제 이데올로기를 강하게 비판하였다. 1968년 미국에 서 미인 대회 반대 시위를 통해 남성 권력을 거부하는 퍼포먼스로 시작하여 등장한 탈코르셋 운동은 여성에 게 강요되었던 미적 억압을 상징하는 코르셋에서 벗 어나자는 의미와 타인의 시선을 의식한 외모 꾸미기 를 하지 않을 것을 주장하는 사회 운동으로 나타났다.

    1960년대 우리나라에서는 정치적 격변기를 거쳐 1970년대의 경제 성장과 함께 생활수준이 올라가며 여성들의 교육 수준이 높아지고, 사회진출이 활발해 지는 계기가 되어 여성들의 외모 꾸미기 비중이 커지 게 되었다. 1970년대 이후에는 정보화 시대가 도래하 면서 1980년대부터는 대중매체의 발전으로 미디어가 외모 꾸미기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이 시대에 나타난 외모 꾸미기 특성은 다음과 같다.

    1960년대 이후 서구에서 유입된 페미니즘의 영향 으로 여성들은 얼굴과 몸매를 드러내게 되었는데, 이 러한 경향은 여성 해방의 한 단면으로 인식되었다 (Keum et al., 2002). 그러나 여전히 여성의 몸이 드러 나는 것은 미니스커트를 경찰이 단속하던 것에서 알 수 있듯이 사회적 비난의 대상이 되었다. 여성들에게 스타일은 신분을 상징했던 전통사회와는 달리 문화적 인 유행으로 변모하였고, 1960년대 후반부터 유행했 던 유니섹스 의상은 1970년대에 더욱 확대되어 남성 과 여성의 복식 차이가 좁혀지는 계기가 되었다. 타이 트한 의상으로 몸매를 드러냈던 유행은 점차 자유로 운 스타일로 인체를 해방했으며, 기성세대에게 반항 하는 의미와 분노 표출을 위한 수단으로 젊은이들은 의도적으로 단정하지 못한 스타일을 연출했다. 여성 들의 사회진출이 확산하면서 활동하기 쉬운 실용적인 스타일이 유행하였고, 여성들이 짧은 머리를 선택하 는 경우가 많아졌지만 남성들의 장발 유행 현상은 헤 어스타일만으로는 성별 구분이 어려웠다. 1980년대에 는 개인의 개성을 추구하는 경향과 함께 환경 문제가 대두되면서 자연에 대한 관심은 에콜로지 패션으로 나타났다. 전문직 여성들이 증가하면서 남녀평등주의 의 실현 방법의 하나로 남성의 전유물이었던 바지를 여성의 정장복으로 선택하면서 여성 활동이 가속화되 었다(Koh, 2001).

    3) The third wave (1990s~present)

    1990년대부터의 페미니즘은 3세대 페미니즘으로 구분되며, 이전 페미니즘이 백인 여성들에게 집중되 어 있는 것을 비판하여 계급과 인종 문제로 확대되었 다. 이 시기에 페미니즘과 퀴어 이론에 영향을 미친 Butler(1990/2008)는 생물학적인 성과 사회 문화적으 로 구성된 젠더의 이분법을 비판하며, 개인의 다양한 경험으로 인해 구성되는 복잡한 사회적 구성물이라는 젠더 수행성 개념을 발전시켰다. 젠더는 일상적 행위 를 통해 주체와의 문제를 연결시킨 오랜 수행의 결과 로 사회문화적으로 구성된다고 주장하며, 젠더가 아 닌 섹슈얼리티로 접근하여 주체가 없는 페미니즘을 제시하였다. 현대 페미니즘의 특징인 포스트모던 페 미니즘은 모더니즘의 이분법적인 사고와 여성이 타자 화되는 남성 중심 사상을 비판하였으며, 생물학적인 성의 해방과 더불어 억압하는 모든 구조 내의 인간 해 방을 목표로 하였고, 페미니즘의 문화적 전환인 포스 트모던 페미니즘은 2000년대 들어 우리나라에서도 시작되었다(Kim, 2009).

    3세대 페미니즘의 영향을 받은 여성의 이미지를 Park and Ha(2015)는 정숙한 이미지와 퇴폐적인 이미 지의 이분법적 대립을 해체하고, 여성이 권력의 주체가 되어 해방과 권리를 표현하는 성적으로 자유로운 여 성 이미지와 독립적이고 자율적인 여성상을 표현하는 다면적인 여성 이미지, 유색인종과 타 문화의 역사적 인 열등감을 타파하여 자유를 추구하는 다문화적 여 성 이미지, 자유로운 성 정체성을 추구하는 퀴어 여성 이미지로 분석하였다. 또한 Park(2003)은 현대 소비사 회의 패션에 표현된 포스트모던 페미니즘의 이미지를 고정된 여성성을 탈피하는 탈고정적 이미지와 남성적 기표를 사용하는 양성성의 이미지, 과거에는 금기시 되었던 동성애 이미지로 연구하였고, Choi(2000)는 포스트모던 페미니즘 이론 연구가들이 크게 본질주의 자와 해체주의자로 구분되어 패션에서 여성 인체의 긍정적 재해석과 해방, 겉과 속의 경계 와해를 본질주 의적으로 분석하고, 해체주의적 포스트모던 페미니즘 은 여성 대 남성의 경계 해체와 여성이라는 범주 자체 의 해체를 대안으로 양성성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선 행 연구를 바탕으로 포스트모던 페미니즘의 특성을 요약해 보면 획일화된 여성상을 탈피하고, 주체가 되 어 섹슈얼리티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자유롭게 성적 표현을 하는 것과 여성 범주 자체가 해체되면서 남성 적 기표를 사용하는 양성적인 이미지가 나타나면서 선택적인 외모 꾸미기가 가능하고, 고전적인 젠더 개 념이 금기시되었던 대담한 퀴어 이미지를 수용하게 되면서 성과 문화의 해체와 인종의 혼성으로 다양성 이 확대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퀴어 이미지는 성 소수자를 지칭하는 단어로 전통성을 거부하고 새로운 젠더 정체성을 표현하는 것이다.

    이 시대에 나타난 외모 꾸미기 특성은 다음과 같다.

    민감해진 환경 감수성으로 인해 자연에 관심이 높 아지고, 대중매체의 영향으로 유명 연예인들이 스타 일의 아이콘이 되었다. 개인의 취향에 따른 개성이 두 드러지게 나타났으며, 건강과 환경에 대한 관심은 지 속적으로 증가하였다. 21세기는 다양한 트렌드가 공 존하고 변형되어 복합적인 양상으로 나타났으며, 형 식적인 것으로부터 탈피하거나 해체하는 자유로운 스 타일이 나타났다. 포스트모더니즘의 특성으로 성과 계급, 문화의 경계가 해체되어 패션에서도 다양한 인 종과 스타일이 혼합되었다. 2015년 이후부터 페미니 즘에 대한 이슈가 부상하면서 망가뜨린 화장품이나 긴 머리를 짧게 자른 모습, 화장을 하지 않은 모습 등 의 인증 사진을 해시태그와 함께 SNS(Social Network Service)에 올리는 운동으로 탈코르셋이 빠르게 확산 되었다(Lee, 2019). 화장을 지우는 유튜브 영상을 통 해 유명세를 얻은 배리나는 OECD(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토론에 참 석을 하며 주목을 받기도 하였고, 연예인 설리는 개인 SNS를 통해서 브래지어를 착용하지 않은 일상의 사 진과 영상으로 노브라에 대한 이슈와 그에 따른 시선 강간 발언으로 화제가 되었다. 2016년 이후로는 걸 크 러시에 열광하는 사람들이 늘어남에 따라 순종적 여 성상을 타파하고, 여성들이 주체가 되는 당당한 이미 지가 호응을 얻었다. 미국에서 2017년에 시작된 미투 운동은 성범죄를 고발하는 해시태그 캠페인으로 국 내에서는 2018년에 본격적으로 일어나서 수동적으로 감내해야만 했던 여성들의 성적 자기 결정권에 대한 사회적 자각이 확산되었다. <Table 1>은 1900년대부 터 2020년도까지 우리나라의 중요 이슈와 외모 꾸미 기 특성을 정리하였다.

    Ⅲ. Research Method

    페미니즘과 실제 외모 꾸미기가 어떤 연관을 가지 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문헌적 연 구와 실증적 연구를 병행하였다. 문헌 연구는 국내외 서적과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몸을 바라보는 시각의 변화와 페미니즘에 관한 이론적 고찰을 실시하였다. 실증 연구로는 최근 각 세대를 대표하는 여성의 아이 콘으로 주목받고 있는 환불원정대의 멤버들을 위주로 모델을 선정하고, 시기별로 주목받는 여성 아이돌 그 룹을 추가하여 이미지 변화를 분석하였다. 대한민국 에서 가장 오래된 음악 시상식인 골든디스크와 1990 년도부터 진행된 서울가요대상에서 본상을 수상한 여 성 아이돌 그룹 중에서 수상 횟수가 많은 가수를 선정 하여 시대별로 정리하였다.

    연구 범위는 환불원정대 멤버인 엄정화, 이효리, 제 시, 화사가 활동했던 1990년대부터 2020년도까지 해 당하는 기간의 앨범 수록곡 중에서 연대별 유튜브 스 트리밍 조회 수가 가장 높은 상위 곡 중에서 선정하 고, 출연했던 예능 프로그램의 이미지나 공항 패션 사 진, 무대 의상 등 이슈가 있었던 사진을 수집하여 이 미지 변화를 분석하였다. 앨범은 정규, 싱글, 미니 앨 범으로 한정하고, 뮤직비디오나 음악 방송 활동 장면 을 캡처하였다.

    Ⅳ. Results and Discussion

    1. Transformations of the female image in respective periods

    1990년대에는 1세대 아이돌이 등장하여 활동했던 시기이며, 대중매체의 영향으로 연예인들이 유행에 미치는 영향이 크게 나타났다. 대표적인 여성 아이돌 그룹으로는 핑클과 S.E.S.가 있으며, <Fig. 1>, <Fig. 2>에서와 같이 청순한 컨셉이 여성 아이돌 그룹의 가 장 큰 특징이었다. 그러한 분위기 속에서 엄정화는 섹 시한 이미지의 컨셉으로 등장하여 <Fig. 3>에서처럼 뮤직비디오에서 가슴을 노출하여 당시의 시대 분위기 상 충격을 주었고, 일부 지상파 방송에서는 뮤직비디 오가 방송 금지 처분을 당하기도 하였다. <Fig. 4>의 베이비복스는 1997년에 데뷔하였으며, 초기의 페미니 즘적인 여전사 이미지로 반응이 좋지 못하였지만 섹 시한 컨셉으로 이미지 변신을 시도한 <Fig. 5>의 3집 앨범으로 1999년에 서울가요대상 본상을 수상하였다.

    2000년대부터는 화려하고 다양한 이미지를 적극적 으로 표현하기 시작하였는데, 소녀 같은 이미지 컨셉 으로 여성 아이돌 그룹의 표본이 되었던 핑클 멤버 이 효리는 2000년대부터 솔로로 데뷔하여 <Fig. 6>처럼 파격적인 노출과 섹시한 컨셉으로 이미지 전환을 시 도하여 성공하였다. 2005년에 제시카 HO로 데뷔한 제시는 <Fig. 7>과 같이 힙합 컨셉으로 데뷔하였으나, 여전히 보수적인 시각이 팽배하여 반응이 좋지 못하 자 <Fig. 8>과 같은 핑크 색상의 로맨틱한 공주풍의 컨셉을 연출하여 지금과는 정반대의 이미지를 확인할 수 있다. 2000년대 후반에는 <Fig. 9>의 엄정화와 <Fig. 10>의 원더걸스, <Fig. 11>의 브라운 아이드 걸스와 같이 가요계에 다채로운 컨셉이 나타나면서 아이돌의 전성기가 시작되었다. 초반에는 솔로 가수가 인기를 끌었지만, 후반에는 다양한 여성 아이돌 그룹이 등장 하면서 소녀 이미지, 섹시한 이미지, 복고 이미지 등 다양한 컨셉의 2세대 아이돌이 등장하였다.

    2010년대에는 아이돌 그룹의 수가 폭발적으로 증 가하였으며, 보수적 여성상에 가까운 걸 그룹의 고정 관념을 넘어서려는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다. 발표하 는 노래별로 새로운 컨셉을 제안하고 있으며, 소녀의 이미지를 추구하는 소녀시대가 <Fig. 12>에서처럼 치 어리더 컨셉의 앨범으로 골든디스크와 서울가요대상 에서 동시에 대상을 수상하며 인기를 끌었다. <Fig. 13>의 씨스타는 섹시한 컨셉으로 과감한 노출을 시도 하며 2010년대에 가장 많은 본상을 수상하였다. 이 시 기에 마마무라는 그룹으로 데뷔한 화사는 <Fig. 14>와 같이 짙은 메이크업과 탈색 머리, 특유의 표정과 제스 처로 걸 크러시한 면모를 보여 주고 있다. 제시는 다 시 등장하여 <Fig. 15>와 같이 태닝한 피부와 대비되 는 금발의 헤어스타일로 흑인풍의 분위기를 연출하며 솔직한 매력으로 주목을 받았다. 1990년대부터 2020 년도까지 골든디스크와 서울가요대상에서 본상을 수 상한 여성 아이돌 그룹은 점차적으로 그 수가 확연히 늘어나면서 과거에는 신비롭고 순수한 소녀상이 주를 이루었다면, 최근에는 다양한 이미지가 등장하여 인 기를 얻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2. Analysis of Refund Sisters image transformations

    걸 크러시 컨셉의 프로젝트 그룹인 환불원정대 멤 버들은 현재 엄정화(50대), 이효리(40대), 제시(30대), 화사(20대)로 나이대별 각 세대를 대표하는 아이콘으 로 주목받고 있다. 멤버별 활동을 시작했던 시기는 전 부 다르지만 현재까지 동시대에 활동을 하고 있다는 점에서 각자의 20대 모습을 분석하면 시대별로 보여 줬던 이미지를 비교할 수 있다.

    엄정화는 1990년대에 데뷔하여 <Fig. 16>의 모습처 럼 당시에는 섹시한 이미지의 여가수로 주목받았고, 2000년대부터는 <Fig. 17>과 같이 과감한 노출과 스 타일링을 시도하며 패션의 아이콘이 되었으며, 2010 년대에는 다양한 컨셉으로 <Fig. 18>처럼 파격적인 이 미지를 보여주고 있다. 요즈음에는 예능 프로그램 출 연을 통해 무대와 다른 친근한 이미지를 보여 주는 것 이 트렌드가 되었지만, 이전에는 예능 프로그램 활동 이 거의 없었으며, <Fig. 19>와 같이 오디션 프로그램 에 심사위원으로 등장하여 품위를 유지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이효리는 1990년대 후반에 핑클이라는 그룹으로 데뷔하여 <Fig. 20>처럼 소녀 같은 컨셉의 귀엽고 청 순한 이미지로 활동하며 1세대 대표 여성 아이돌 그 룹으로 활동했다. 2000년대에는 솔로로 데뷔하여 섹 시한 컨셉으로 이미지 변신에 성공하였으며, <Fig. 21>과 같이 코르셋 디자인의 섹시함을 극대화하는 의 상과 퍼포먼스로 주목을 받았다. 2010년대에는 <Fig. 22>와 같이 미스코리아를 컨셉으로 수영복을 입고 등 장하여 사람들의 시선을 의식하느라 외모 꾸미기에 지친 현대 여성들을 대변하였다. 이효리는 다양한 방 송활동에서 민낯과 편한 차림새로 등장하여 <Fig. 23> 에서처럼 화려한 여가수의 모습과는 정반대로 자고 일 어난 모습 그대로를 보여주며, 여성은 꾸며야만 시선 에 노출될 수 있다는 고정관념을 깨며 화제가 되었다.

    제시는 2000년대 후반까지 <Fig. 24>처럼 힙합 스 타일로 여전히 좋은 반응을 얻지 못하였으나, 2010년 대 후반에 다시 등장하여 소위 센 언니라고 하는 컨셉 으로 활발하게 활동을 하고 있다. <Fig. 25>는 뮤직비 디오에 등장했던 모습으로 가슴에 FAKE라고 쓰여 있는 브라 톱을 착용하여 가슴 성형수술을 의도적으 로 드러내고 있고, <Fig. 26>과 <Fig. 27>의 사진과 같 이 엉덩이를 노출하는 등 과감한 패션으로 숨겨야 하 는 것으로 여겨졌던 여성의 욕망을 거침없이 드러내 고 있다.

    2010년대에 마마무라는 그룹으로 데뷔한 화사는 다양한 여성 아이돌 그룹 중에서 실력 있는 그룹으로 평가받으며, 많은 여성 그룹이 선정적인 이미지를 추 구하는 것과 달리 강인한 여성의 이미지를 보여 주고 있다. 이효리와 제시가 데뷔했던 귀여운 소녀 같은 모 습과는 달리 강한 여성상의 팜파탈적 매력이 주로 나 타난다. 2018년도부터는 탈코르셋 해시태그 운동이 한국에서 시작되면서 유명인들이 각자의 방법으로 탈 코르셋을 인증하였는데, 화사는 ‘세계 노브라의 날’에 <Fig. 28>처럼 공항 패션 사진에 노브라로 등장하며 이슈가 되었다. <Fig. 29>는 팬티를 노출하는 히프 슬 렁 룩과 같이 여성의 옷 안에 숨겨져 있었던 팬티와 브래지어와 같은 속옷을 밖으로 드러내며 숨기고 꾸며 야 한다는 관습을 탈피하고 있다. 이처럼 당당하게 자 기표현을 하고 있는 화사는 무대에서의 강한 이미지 와는 달리 예능 프로그램에서 잠옷을 입은 모습과 민 낯의 편한 모습으로 가식 없이 음식을 먹는 모습을 보 여주면서 늘 꾸미고 예쁜 모습만을 보여주어야 한다 는 여성 아이돌 그룹의 인식과는 달리 <Fig. 30>의 모 습처럼 머리를 질끈 묶으며 일상생활의 자연스러운 모 습을 꾸밈없이 그대로 보여주면서 인기를 얻고 있다.

    3. Feature analysis of beautification of outward appearance

    페미니즘 전개 과정에 따른 시대별 외모 꾸미기 특 성은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우리나라는 개항 후 서양 문물의 유입으로 근대 교 육을 받은 여성들의 사회 진출을 바탕으로 가부장제 에 도전하며 여성 해방을 주창하였고, 신여성의 등장 으로 여성 의복 개량 운동이 시작되었으나, 당시에 신 여성의 차림새는 비난을 받으며 외모 꾸미기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이 팽배하였다(Koh, 2001). 1950년대에 는 전쟁의 영향으로 서양의 복식을 받아들이기 시작 하면서 코르셋이나 브래지어와 같은 속옷에 대한 관 심이 증가하였으며, 메이크업과 헤어스타일에서도 서 구화가 시작되었다(Jeon et al., 1995).

    1960년대 이후부터 여성들이 얼굴과 몸매를 드러 내는 데 거부감이 줄어들기 시작하였으며, 유니섹스 의상의 등장은 여성과 남성의 스타일 간극이 좁혀지 는 계기가 되었다(Keum et al., 2002). 1970년대의 경 제 성장과 함께 여성들의 교육 수준이 높아지고, 사회 진출이 활발해지면서 사회적으로 용인되고 요구되는 외모 꾸미기의 기준에 대한 문제가 제기되었다. 성 평 등을 중심으로 하였던 여성운동이 대중적으로 변화하 면서 1990년대에는 일상의 여성 문제에 집중하기 시 작하였다.

    포스트모던 페미니즘이 시작된 2000년대에는 페미 니즘의 문화적 전환으로 인간 해방을 목표로 확대되 어 다양한 인종과 문화를 받아들이기 시작하면서 외 모 꾸미기에서도 정해진 틀에서 벗어난 스타일이 유 행하였다. 또한 개개인의 취향과 개성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며, 점차적으로 다양성이 표현되어 다면적인 여성상이 등장하였다. 방송 프로그램에서는 여성들이 민낯으로 등장하기 시작한 시기로 여성은 꾸며야만 한다는 관념이 흔들리기 시작하였고, 2010년대에는 탈코르셋 해시태그 운동이 일어났으며, 꾸미는 것이 의무가 아닌 선택적 외모 꾸미기가 나타났다. 여성들 이 맨얼굴로 거리낌 없이 대중매체에 노출되었고, 음 식을 먹을 때도 입을 가리고 소식을 해야 한다고 생각 했던 과거와는 달리 방송에서 시선을 의식하지 않고 음식을 먹는 모습을 드러내면서 여성의 욕망을 당당 하게 드러내고 있다. 이에 따라 2016년도에 나타난 걸 크러시 현상은 당당하고 주체적인 여성상을 매력적으 로 평가하는 계기가 되어 과거에는 받아들여지지 못 했던 이미지가 현대에 와서 인기 있는 여성상으로 자 리를 잡게 되었다. 위와 같이 우리나라의 외모 꾸미기 특성을 정리하면 <Fig. 31>과 같다.

    Ⅴ. Conclusion

    여성들의 외모 꾸미기에는 외모를 가꾸는 것이 효 과적인 전략이라는 주장과 반대로 꾸미기를 사회가 가하는 압력으로 보고 거부하는 상반된 입장이 공존 하면서 패러독스가 발생한다. 페미니즘은 여성의 이 미지 변화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본 연구는 외모 꾸 미기의 흐름을 페미니즘과 연계하여 고찰하고, 각 세 대를 대표하는 여성의 아이콘으로 주목받고 있는 환 불원정대 멤버들의 이미지 변화를 바탕으로 현대 여 성의 이미지 특성 분석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섹슈얼리티의 적극적인 활용으로 자유로운 성적 표현이 나타났으며, 과거에는 금기시되었던 여 성의 욕망을 대담하게 드러내게 되었다. 현대 사회에 나타난 여성상의 가장 큰 변화로는 대담한 성적 표현 으로 여성이 성적 자기 결정권을 가지고 섹슈얼리티 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이다. 조신하게 행동하고 수줍게 말해야 했던 과거와는 달리 성적인 농담을 하 거나 가모장적인 발언, 생리 현상 등 금기시되었던 주 제를 언급하면서 순종적이었던 이미지에서 주체적인 여성상이 되어 가고 있다. 금기시되던 신체의 노출은 패션 트렌드가 되어 여성의 욕망을 표출하고 있으며, 이전에는 단정하지 못하고 퇴폐적으로 평가받았던 스 타일이 성행하며 도발적인 외모 꾸미기를 지향한다.

    둘째, 획일화된 여성상을 탈피하고 선택적 외모 꾸 미기가 가능해졌고, 자유롭고 능동적인 외모 꾸미기 를 통해 규범적인 여성상을 거부한다. 여성들에게만 강요되어 왔던 미용 관습에서 벗어나 여성용 속옷을 거부하고 메이크업을 하지 않는 민낯 노출, 남성을 상 징하였던 짧은 머리를 의도적으로 연출하여 전통적인 화장과 복식을 거부하는 것이 외모 꾸미기 특성 중 하 나로 나타나고 있다. 유니섹스 의상의 등장으로 외모 꾸미기에 남녀 차이가 줄어들기 시작한 이후, 포스트 모던 페미니즘 사회에서 여성과 남성의 생물학적인 경계로 인한 스타일 간극이 좁혀졌고, 이에 더해 현대 에는 남성들도 외모 꾸미기에 많은 시간을 할애하고 투자하면서 여성의 전유물로 인식되었던 꾸밈이 남성 과 여성 모두에게 생활 습관으로 자리 잡고 있다.

    셋째, 다양한 문화와 인종의 혼성이 나타나고, 모더 니즘의 이분법 해체를 통해 생물학적인 성의 해방과 문화와 인종의 혼성이 나타나고, 퀴어 이미지가 등장 하였다. 전통적 문화의 위계질서가 흔들리면서 다양 한 문화와 인종이 혼재되어 스타일에도 그 영향을 미 치고 있다. 과거에는 백색 피부를 선호하였기 때문에 태닝을 하는 사람들이 그리 많지 않았지만, 현대의 여 성들은 피부색에도 변화를 주고 인종 간의 특성을 혼 합하여 다양한 스타일을 시도하고 인간의 모습뿐만 아니라, 동물이나 식물, 무생물 등 기괴하거나 신비롭 고 화려한 모습을 표현하며 탈 인간화된 다양한 스타 일이 나타나기도 한다. 여성 해방에서 모든 인간의 해 방을 목표로 하면서 고전적인 젠더 개념에서 대담한 퀴어 이미지로 다양한 성 정체성이 수용되고 휴머니 즘을 강조한 젠더리스 스타일이 받아들여지고 있는 추세이다.

    넷째, 페미니즘 전개 과정에 따른 시대별 외모 꾸 미기 특성은 다음과 같다. 남녀평등을 주장하며 시작 된 페미니즘은 1920년대 신여성의 등장으로 서구식 의 화려한 외모 꾸미기를 하는 여성들이 나타났지만 부정적인 시각이 팽배하였고, 1950년대에 복식과 메 이크업, 헤어스타일의 급격한 서구화가 이루어졌다. 1960년대 성의 해방으로 전개되었던 페미니즘은 인 간 해방을 목표로 확대되었으며, 남녀 간의 외모 꾸미 기 차이가 현격히 줄어들었다. 2000년대 이후 포스트 모던 페미니즘에서는 다면적인 여성상을 수용하게 되 면서 탈코르셋 운동 등으로 선택적 외모 꾸미기가 가 능하게 되었다. 최근에는 여성의 욕망을 드러내고 섹 슈얼리티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게 되면서 걸 크러시 현상과 미투 운동이 나타났으나, 여전히 외모를 가꾸 는 것이 전략이라는 주장과 꾸미기를 미적 압력으로 보고 거부하는 상반된 입장이 공존하면서 외모 꾸미 기에는 패러독스가 발생한다.

    본 연구는 페미니즘 이슈가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 는 현시점에서 페미니즘 전개와 외모 꾸미기의 관계 를 고찰하고 환불원정대의 이미지 변화를 바탕으로 현대 여성의 이미지 특성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데 의의가 있다. 하지만 현대 사회에서 외모 꾸미기는 비 단 여성에 국한된 이미지 변화가 아니며, 젠더리스 경 향이 두드러지게 나타남에 따라 연구 범위를 여성으 로 한정한 것에 본 연구의 한계점이 있다. 따라서 남 성의 이미지 변화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며, 본 연구의 결과가 후속 연구에 대한 기초적 자료로 활용 되기를 기대한다.

    Figure

    RJCC-29-5-651_F1.gif

    Fin.K.L Reprinted from Lee. (2013). http://mobile.busan.com

    RJCC-29-5-651_F2.gif

    S.E.S. Reprinted from S.E.S. (1998). https://vibe.naver.com

    RJCC-29-5-651_F3.gif

    Uhm Jung Hwa Adapted from RIAK Official. (2016). https://youtube.com

    RJCC-29-5-651_F4.gif

    Baby V.O.X Reprinted from 20th Century Boy. (2019). https://blog.naver.com

    RJCC-29-5-651_F5.gif

    Baby V.O.X Reprinted from Baby V.O.X. (1999). https://vibe.naver.com

    RJCC-29-5-651_F6.gif

    Lee Hyo Ri Adapted from Kmm982000. (2005). https://youtube.com

    RJCC-29-5-651_F7.gif

    Jessi Adapted from Time Machine TV. (2016). https://tv.zum.com

    RJCC-29-5-651_F8.gif

    Jessi Adapted from MBCkpop. (2012a). https://youtube.com

    RJCC-29-5-651_F9.gif

    Uhm Jung Hwa Adapted from MBCkpop. (2012b). https://youtube.com

    RJCC-29-5-651_F10.gif

    Wonder Girls Reprinted from Internet Team. (2009). https://www.hkn24.com

    RJCC-29-5-651_F11.gif

    Brown Eyed Girls Adapted from Beopgyu. (2014). https://youtube.com

    RJCC-29-5-651_F12.gif

    Girls’ Generation Reprinted from M. Y. Lee. (2010). http://www.inews24. com

    RJCC-29-5-651_F13.gif

    Sistar Reprinted from Sistar. (2012). https://vibe.naver.com

    RJCC-29-5-651_F14.gif

    Hwa Sa Adapted from Stone Music Entertainment. (2016a). https://youtube.com

    RJCC-29-5-651_F15.gif

    Jessi Adapted from 1theK (Wonder K). (2017). https://youtube.com

    RJCC-29-5-651_F16.gif

    Uhm Jung Hwa Adapted from Gayo Cheonguk. (2016a). https://youtube.com

    RJCC-29-5-651_F17.gif

    Uhm Jung Hwa Adapted from Gayo Cheonguk. (2016b). https://youtube.com

    RJCC-29-5-651_F18.gif

    Uhm Jung Hwa Adapted from Stone Music Entertainment. (2016b). https://youtube.com

    RJCC-29-5-651_F19.gif

    Uhm Jung Hwa Reprinted from Aurabeauty. (2010). https://blog.naver.com

    RJCC-29-5-651_F20.gif

    Lee Hyo Ri Adapted from Korean701. (2011). https://youtube.com

    RJCC-29-5-651_F21.gif

    Lee Hyo Ri Adapted from Stone Music Entertainment. (2011). https://youtube.com

    RJCC-29-5-651_F22.gif

    Lee Hyo Ri Reprinted from Jeong. (2013). https://newsen.com

    RJCC-29-5-651_F23.gif

    Lee Hyo Ri Adapted from SBS. (2008). https://www.sbs.co.kr

    RJCC-29-5-651_F24.gif

    Jessi Adapted from PaiPai Chien. (2010). https://youtube.com

    RJCC-29-5-651_F25.gif

    Jessi Reprinted from Kim. (2019). http://www.fintechpost .co.kr

    RJCC-29-5-651_F26.gif

    Jessi Reprinted from Keitihan. (2019). https://blog.naver.com

    RJCC-29-5-651_F27.gif

    Jessi Reprinted from Keitihan. (2019). https://blog.naver.com

    RJCC-29-5-651_F28.gif

    Hwa Sa Reprinted from Yeongeophwangjae. (2019). https://blog.naver.com

    RJCC-29-5-651_F29.gif

    Hwa Sa Reprinted from Ohneuldohwayiting. (2019). https://cafe.naver.com

    RJCC-29-5-651_F30.gif

    Hwa Sa Reprinted from Cuddly. (2018). https://blog.naver.com

    RJCC-29-5-651_F31.gif

    Feature analysis of beautification of outward appearance

    Table

    Main issues in Korea and features of beautification of outward appearance

    Reference

    1. Aurabeauty. (2010, September 6). [M.NET] 슈퍼스타 K2 - 엄정화 [[M.NET] Superstar K2 – Uhm Jung-hwa] [Blog Post]. Retrieved April 13, 2021, from https://blog.naver.com/aurahair/140114207776
    2. Baby V.O.X. (1999, July 31). Come come baby (3rd Album) [Online music streaming]. NAVER Vibe. Retrieved June 14, 2021, from https://vibe.naver.com/album/1983
    3. Beauvoir, S. D. (2009). The second sex (H. Y. Lee, Trans.). Seoul: Dongseo Munhwasa. (Original work published 1949)
    4. Beopgyu. (2014). 브아걸 - 러브 무대 교차편집 | BG - Love live compilation / Stage mix | 브라운 아 이드 걸스 [Cross-editing of Brown Eyed Girls – Love | BG - Love live compilation / Stage mix | Brown Eyed Girls] [YouTube Channel]. Retrieved May 24, 2021, from https://youtu.be/fm2ewtHPrjU
    5. Butler, J. (2008). Gender trouble: Feminism and the subversion of identity (H. J. Cho, Trans.). Paju: Munhak Village. (Original work published 1990)
    6. Choi, H. S. (2000). Fashion as an expression of femininity defined by traditional convention, feminism and postmodern feminism.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7. Cuddly. (2018, July 21). 나혼자산다 화사 이번엔 간 장게장 !!! 침고여! [I live by myself Hwa Sa it’s soy sauce marinated crab this time!!! Makes my mouth water!] [Blog Post]. Retrieved April 13, 2021, from https://blog.naver.com/pinkpyh1018/221323270556
    8. Gayo Cheonguk. (2016a). K-pop 1998년 엄정화 초대 [K-pop 1998 Uhm Jung-hwa Invitation] [YouTube Channel]. Retrieved June 18, 2021, from https://youtu.be/92Zbd55ymRE
    9. Gayo Cheonguk. (2016b). K-pop 2001년 엄정화 다가 라 [K-pop 2001 Uhm Jung-hwa All go away] [YouTube Channel]. Retrieved May 10, 2021, from https://youtu.be/RvLrBPIxBf8
    10. Girl Crush. (2016, May 3). In PMG 지식엔진연구소 [PMG Knowledge Engine Research Institute] (Ed.), 시사상식사전 [Current affairs dictionary]. Seoul: PMG Books. Retrieved June 18, 2021, from https://terms.naver.com/entry.naver?cid=43667&docId=3348370&categoryId=43667
    11. Internet Team. (2009, July 21). 원더걸스 ‘노바디’ 미 국에서 훨훨 날았다 [‘Nobody’ by Wonder Girls fly high in US]. The Health Korea News. Retrieved May 24, 2021, from http://www.hkn24.com/news/articleView.html?idxno=29675
    12. Jeffreys, S. (2018). Beauty and misogyny: Harmful cultural practices in the West (H. D. Yoo, Trans.). Incheon: Yeolda Books. (Original work published 2005)
    13. Jeon, W. G. , Min, B. K. , Im, S. J. , Baek, Y. J. , Han, S. D. , Yoon, B. J. , ... Kim, S. H. (1995). 한국 생활문화 100년 [100 years of Korean living culture]. Seoul: Jangwon.
    14. Jeong, J. W. (2013, May 22). 이효리 수영복 입고 ‘미 스코리아’ 파격무대, 컴백쇼답네 [Lee Hyo-ri makes ‘Miss Korea’ comeback stage shocking by swimsuit]. News and Media. Retrieved April 26, 2021, from https://newsen.com/news_view.php?uid=201305221904271210
    15. Johnson, M. (2012). The meaning of the body: Aesthetics of human understanding (D. H. Kim, & Y. H. Choi, Trans.). Seoul: Dongmoonsun. (Original work published 2007)
    16. Keitihan. (2019, September 20). 제시 엉덩이 노출 공 항 패션의 승리자는 협찬사 (Feat. 현아) – 연예인 협찬 우수 성공 사례의 표본 [Sponsor is winner of Jessie’s butt exposing airport fashion (Feat. Hyun A) - Good example of celebrity sponsor] [Blog Post]. Retrieved May 10, 2021, from https://blog.naver.com/keitihan/221654144060
    17. Keum, K. S. , Kim, M. J. , Kim, Y. I. , Kim, Y. H. , Park, M. H. , Park, M. Y. , ... Choi, H. J. (2002). 현대 패션 100년: Fashion 1900-2000 [100 years of contemporary fashion: Fashion 1900-2000]. Seoul: Kyomunsa.
    18. Kim, H. K. (2019, September 30). 제시, “I’m real even when...” [Jessi, “I'm real even when...”]. Blockchain Valley. Retrieved March 16, 2021, from http://www.fintechpost.co.kr/news/articleView.html?idxno=74955
    19. Kim, J. H. (2009). 외모 꾸미기 미학과 페미니즘 [Aesthetics of beautification of outward appearance and feminism]. Seoul: Book World.
    20. Kim, K. I. (2004). 여성의 근대, 근대의 여성: 20세기 전반기 신여성과 근대성 [Modern times of women, women of modern times: Modern women in the first half of 20th century and modernity]. Seoul: Pureun Yeoksa.
    21. Kim, S. J. (2005). 한국미용 100년 [100 years of Korean beauty]. Seoul: Dongseo Gyoryoo.
    22. Kmm982000. (2005). Lee Hyori- 10 Minutes [You-Tube Channel]. Retrieved May 10, 2021, fromhttps://youtu.be/p5vQNAB_9p4
    23. Koh, B. J. (2001). 우리생활 100년․옷 [Our past 100 years․Attire]. Seoul: Hyeonamsa.
    24. Korean701. (2011). 핑클-내남자 친구에게 [Fin.K.LDear my boyfriend] [YouTube Channel]. Retrieved March 16, 2021, from https://youtu.be/r_EBNYjjOs8
    25. Lee, H. J. (2013, May 23). 원조 요정의 무한 변신 “역시 이효리” [Infinite transformation by original elf “Lee Hyo-lee”]. The Busan Ilbo. Retrieved July 29, 2021, from http://mobile.busan.com/view/busan/view.php?code=20130523000001
    26. Lee, M. K. (2019). 탈코르셋: 도래한 상상 [Escape the corset: Appeared imagination]. Seoul: Hani Book.
    27. Lee, M. Y. (2010, July 1). 소녀시대 ‘Oh!’, 상반기 최 고 인기 뮤직비디오 [‘Oh!’ by Girls Generation becomes best 1st half music video]. Joy News 24. Retrieved May 24, 2021, from http://www.inews24.com/view/502131
    28. Lee, S. J. (2010). The evolution of makeup methods of Korean women in response to changing standards of beauty in the early 20th centur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4(8), 1364-1377.
    29. MBCkpop. (2012a). Jessica H.o. - 1-2 step, 제시카 에이치오 - 원투 스텝, Music core 20060422 [Jessica H.o. - 1-2 step, Jessica H.O. - 1-2 step, Music core 20060422] [YouTube Channel]. Retrieved May 10, 2021, from https://youtu.be/qn7sbfQSmIY
    30. MBCkpop. (2012b). Uhm Jung-hwa - D.I.S.C.O (feat. T.O.P), 엄정화 – 디스코(feat. 탑), Music core 20080719 [Uhm Jung-hwa - D.I.S.C.O (feat. T.O.P), Uhm Jung-hwa - D.I.S.C.O (feat. T.O.P), Music core 20080719] [YouTube Channel]. Retrieved May 10, 2021, from https://youtu.be/oov_D6sGof0
    31. Ohneuldohwayiting. (2019, September 2). 화사 공항 패션 ‘팬티노출’ 슬렁룩!! [Hwa Sa’s slung look airport fashion ‘exposed underpants’]. Get it Fashion & Health. Retrieved April 26, 2021, from https://cafe.naver.com/sangin4and6/8117
    32. PaiPai Chien. (2010). 제시카 H.O 인생은 즐거워 Jessica Ho Life is good [Jessica H.O Life is good Jessica Ho Life is good] [YouTube Channel]. Retrieved March 16, 2021, from https://youtu.be/tI09a-JzrL8
    33. Park, J. S. , & Ha, J. S. (2015). A study on female image of the third wave feminism in fashion photographs.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17(1), 33-41.
    34. Park, M. R. (2003). Postmodern feminism expressed in the fashion of modern consumer society. Journal of Fashion Business, 7(2), 26-36.
    35. RIAK Official. (2016). [MV] 엄정화 Um Jung Hwa - 초대 Invitation [[MV] Um Jung Hwa – Invitation] [YouTube Channel]. Retrieved June 18, 2021, from https://youtu.be/SF8YrEUq_IA
    36. SBS. (2008, June 22). 2회 패밀리가 떴다 [Family is here episode 2]. Retrieved April 26, 2021, from https://programs.sbs.co.kr/enter/family1/vod/55951/22000288221
    37. S.E.S. (1998, October 31). Dreams come true (2nd Album) [Online music streaming]. NAVER Vibe. Retrieved July 30, 2021, from https://vibe.naver.com/album/1845
    38. Shilling, C. (2011). The body and social theory (2nd ed.) (I. S. IM, Trans.). Paju: Nanam. (Original work published 2003)
    39. Sistar. (2012, April 12). Alone (1st Mini Album) [Online music streaming]. NAVER Vibe. Retrieved May 24, 2021, from https://vibe.naver.com/album/317885
    40. Stone Music Entertainment. (2011). Lee Hyo Ri (이 효리) - Hey Mr. big [Lee Hyo Ri (Lee Hyo Ri) - Hey Mr. big] [YouTube Channel]. Retrieved March 16, 2021, from https://youtu.be/UDVzsIQmFc4
    41. Stone Music Entertainment. (2016a). 마마무 (Mamamoo) - 넌 is 뭔들 (You’re the best) MV [Mamamoo (Mamamoo) - You’re the best (You’re the best) MV] [YouTube Channel]. Retrieved May 10, 2021, from https://youtu.be/QbhmTM1cRro
    42. Stone Music Entertainment. (2016b). 엄정화 (Uhm Jung Hwa) - Watch me move MV [Uhm Junghwa (Uhm Jung Hwa) - Watch me move MV] [YouTube Channel]. Retrieved May 10, 2021, from https://youtu.be/vfSbfm5g40Q
    43. Time Machine TV. (2016, July 4). 【감성테잎】10년 전 제시의 무대! 제시카 H.O ‘Get up’ [【Sensible tape】 Jessi’s stage 10 years back! Jessica H.O ‘Get up’]. ZUM TV. Retrieved June 14, 2021, from https://tv.zum.com/play/583011
    44. Tong, R. P. , & Botts, T. F. (2019). Feminist thought: A more comprehensive introduction (5th ed.) (D. J. Kim, Trans.). Seoul: Hakyisiseup. (Original work published 2017)
    45. Wollstonecraft, M. (2011). A vindication of the rights of woman (S. H. Moon, Trans.). Seoul: Book World. (Original work published 1792)
    46. Yeongeophwangjae. (2019, July 11). 마마무 화사, 노 브라 공항패션 선보인 이유 있었네 [Reason why Mamamoo Hwa Sa displayed no bra airport fashion] [Blog Post]. Retrieved May 10, 2021, from https://blog.naver.com/aig0001/221582921417
    47. 1theK. (Wonder K). (2017). [MV] Jessi(제시) _ Gucci [[MV] Jessi (Jessi) _ Gucci] [YouTube Channel]. Retrieved May 10, 2021, from https://youtu.be/nhRUyVMkaNI
    48. 20th Century Boy. (2019, September 2). 베이비복스 - 머리하는 날 (M/V) [Baby V.O.X –Doing my hair day (M/V)] [Blog Post]. Retrieved June 14, 2021, from https://blog.naver.com/lsntoff/221635787579

    Appendi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