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rossref logo
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6-0401(Print)
ISSN : 2383-6334(Online)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Vol.29 No.6 pp.828-848
DOI : https://doi.org/10.29049/rjcc.2021.29.6.828

A study on the cultural sustainability of contemporary fashion brands based on traditional fashion

Yu Ri Choi, Jin Joo Ma*
Master’s Student, Dept. of Fashion Design, Graduate School of Fashion, Hongik University, Korea
*Assistant Professor, Graduate School of Fashion, Hongik University, Korea
Corresponding author (majinjoo@hongik.ac.kr)
October 13, 2021 December 22, 2021 December 23, 202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modern fashion brands practice cultural sustainability by investigating the ways they use and reinterpret traditional culture and clothing. The transmission and reinterpretation of traditional cultural elements connect the past, present, and future. These forces also lead to the development of new creativity in the fashion industry. Three brands have been selected for case studies: Danha (Korea), Mittan (Japan), and Jan Jan Van Essche (Belgium). These brands possess in-depth understanding of traditional cultural elements, including clothing, dyeing techniques, and patterns unique to various regions and minority groups. The brands all make use of traditional cultural identities whose clothing contains the historical and sentimental values of various regions and ethnic groups. The use and mixing of various cultures can be seen as the respectful preservation of global culture. Also, in contemporary fashion, the use of traditional culture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presentation and development of creative designs. The use of traditional handicraft techniques and the use of traditional clothing in the past convey cultural diversity to future generations; they will have a lasting influence on future fashion trend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cultural sustainability in contemporary fashion has been implemented through safeguarding and respecting indigenous cultures and developing cultural elements into creative design.



전통 패션 기반 현대 패션브랜드에 나타난 문화적 지속가능성에 관한 연구
- 한국, 일본, 벨기에 브랜드 사례를 중심으로 -

최 유 리, 마 진 주*
홍익대학교 패션대학원 패션디자인전공 석사과정
*홍익대학교 패션대학원 조교수

초록


    I. Introduction

    문화적 다양성을 존중하고 보존하며, 이를 통한 새 로운 창의성 실천은 문화적 지속가능성의 주요 목표 이다. 패션을 통한 전통문화의 계승 및 재해석은 과거 세대와 미래의 연결점이자, 미래 패션 산업 안에서 창 의적인 디자인의 도출에 있어서 새로운 발전의 전환 점 역할로 떠오르고 있다. 현대 패션에서는 전통 복식 및 공예, 디자인 등을 차용하고 재해석하여 창의적인 패션 디자인을 구현하고 있는 추세이다. 뿐만 아니라 각국의 대중들에게 타국가 속 고유 전통문화가 지닌 가치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짐에 따라 다양한 문화의 수용 또한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타 문화에 대한 올 바른 이해 없이 단순히 조형적 요소만 차용하는 문화 적 전유 사례들을 적지 않게 발견할 수 있다. 문화적 전유로 인한 고유 전통문화의 정체성 훼손 및 의미 왜 곡의 방향으로 나아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문화 의 다양성을 존중하고, 전통 복식 및 기법을 기반으로 하는 패션 브랜드의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패션디자인에서 문화적 지속가능성과 관련된 선행 연구는 한국 전통성이 담긴 조각보 기법을 활용한 지 속 가능 패션디자인 연구(Kim, 2021)와 패션 브랜드 의 상품 전략으로 기술과 문화 융합, 지속 가능 경영 활동에 대한 연구(Park & Ko, 2017), 전통 누비를 사 례로 든 패션과 문화적 지속가능성에 관한 연구(Ma, 2021) 등이 있다. 하지만 다양한 국가의 전통문화 및 복식을 기반 현대 패션 브랜드에 나타난 문화적 지속 가능성에 관한 연구는 부재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전통문화적 요소들을 보존 및 재해 석한 현대 패션 브랜드 사례를 통해 각 브랜드가 전통 문화 및 복식을 활용하고 재해석하는 방식을 살펴봄 으로써 문화적 지속가능성을 어떻게 실천하고 있는지 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로 인해 다양한 전통문화들이 패션과 융합하여 전통을 보존하고 계승하며, 또한 창 의적 문화 구현의 원천으로서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 다. 그리고 전통성이 담긴 의상들은 미래세대에 전통 문화들을 계승시키면서도 전통문화에 대한 대중의 접 근을 유연하게 하는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최근 한복의 디자인 요소를 차용하고 재해석한 생 활 한복 및 현대 패션 브랜드의 수가 증가하는 추세이 나, 본 연구에서는 한국 외에 다른 국가 또는 민족의 전통 복식 및 문화를 재해석한 현대 패션 브랜드 사례 를 연구하고자 한다. 이에 따라 한국의 단하 외에 일 본, 인도, 아프리카 등의 염색기법, 문양 등을 비롯한 전통 복식을 재해석한 일본의 미탄, 벨기에의 얀얀반 에쎄를 선정하였다. 단하는 한국 대표 생활 한복 브랜 드로, 전통 복식 및 문화, 문물에 대한 가치를 인식하 고 대중적 접근을 꾀하고 있다. 동시에 전통과 현대 문화가 상생할 수 있는 창의적 디자인을 도출하고 있 다. 미탄은 기계산업 방식보다 전통 수공예 직조법, 염색법, 기모노 등 디자인에 차용하고 있다. 얀얀반에 쎄는 다양한 문화 보존 및 현대의 소재와 전통 소재와 의 융합 등 다양한 변주를 시도하여 미래 지속적인 디 자인을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는 문헌연구를 통해 문화적 지속가능성에 관한 개념을 고찰하고, 브랜드별 공식 사이트 및 SNS, 관련 뉴스 및 매거진 기사, 관련 학술지, 전통문화를 계승 및 홍보하는 공공 신탁 기관 사이트(https:// www.khamir.org) 등을 기반으로 사례연구 및 사진자 료 수집을 실시하였다. 전통 복식의 착장 방법 혹은 수공예 직물의 제작 과정 관련 자료는 구글 사이트와 유튜브 영상을 통해 참조하였다. 선정된 사례 기준은 브랜드별 공식 사이트 및 SNS 그리고 매거진 기사 등 에 게재된 이미지들을 중심으로 연구 기간은 2021년 3월부터 8월로 제한하였다. 최종 연구에 활용한 사례 수는 단하-13, 미탄-6, 얀얀반에쎄-13이다. 실루엣, 패 턴 및 염색 기법 등을 포함한 소재, 컬러, 디테일 등을 기반으로 조형적 특성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또한 각 브랜드를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단하는 2021년 8월 25일 서울시 종로구 팔판동에 위치한 매장에서 단하 대표 김단하와 브랜드의 조형 적 특성 및 문화적 지속가능성의 실천 방향에 대한 중 심으로 인터뷰를 1회 실시하였다.

    미탄과 얀얀반에쎄는 2021년 7월과 8월 사이 메일 을 통해 2-3회의 질의응답을 주고받으며 제작이나 생 산 방식, 지속가능성에 관한 브랜드 철학 등에 대한 답변을 들었다.

    앞서 도출한 조형적 특성과 인터뷰 내용을 더하여 각 사례들이 지닌 문화적 지속가능성 측면에서의 실 천 방향에 대해 도출하였다.

    II. Theoretical Background

    1. Cultural sustainability

    1972년 UN 인간 환경 회의에서 환경문제에 따른 성 장 한계를 논의하면서 최초의 지속가능성에 관한 회의 가 시작되었다. 2002년에 들어서면서는 지속 가능한 발전 세계 정상 회의(World Summit on Sustainable Development)가 남아프리카공화국 요하네스버그에서 개최되었으며, 회의에서의 주요 쟁점은 지속 가능한 발전이라는 개념이 현 세대와 미래세대 인류의 보편 적인 발전 전략을 함축하는 핵심 개념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고 선언하였다(Kim, 2006). 지속가능성에 대해 서는 환경적 측면에 이르러 사회 및 경제적 측면에 대 한 문제까지 도출되어 왔으나, 1990년대 이후부터는 문화적 측면까지 포괄하여 4가지가 중요 개념으로서 전 세계에 공유되고 있다.

    제일 처음 문화 지속가능성이 언급된 것은 1995년 세계문화개발위원회(World Commission on Culture and Development)이며, 세대 간 혹은 동일 세대 내 에서의 문화적 자원에 대한 접근성이라고 정의하였 다(Shao, 2019). 2001년에는 유네스코(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 UNESCO)가 문화를 지속가능성의 4대 축으로 포함 시키기 위하여 문화 다양성에 관한 세계 선언을 발표 하였다(UNESCO, 2001). 2015년에는 세계지방자치단 체 연합(United Cites and Local Governments, UCLG) 이 ‘Culture 21 Actions: Commitments on the role of culture in sustainable cities’를 통하여 지속 가능한 도 시를 위해서 문화의 중요성을 강조하기도 했다(Choi, 2021).

    이에 Lee and Ma(2020)는 지속가능성을 4가지로 분류하여 분석했고, 사회적 불평등과 불균형으로 인 한 문제 외에도 문화 간 불평등 문제에 대해서도 지적 했다. 이처럼 끊임없이 문화적 지속가능성에 대한 논 의와 실천들이 활성화되었으며, 중요성이 점차 회자 되고 있다. 이에 문화적 지속가능성은 과거 및 현재 그리고 미래를 이어가는 중요한 연결점 역할로 여겨 지고 있다. 처음에는 문화 지속성은 유형 문화재들의 보존에 대해 중점적으로 다루어졌다.

    예를 들면 지리적 형태, 건축물, 인간이 만든 각종 유형의 산물 등이 있으며, 이는 인간과 환경의 상호작 용으로 인해 생겨났다고 볼 수 있다(UNESCO, 1972). 그리고 시간이 지나면서 본래의 전통, 고유한 지식들, 정체성, 가치, 다양성, 정신성 그리고 미학이 담긴 무 형 문화재도 다양한 문화의 표현과 보존 및 홍보가 지속 가능한 발전에 기여하였다(Colantonio, 2007;UNESCO, 2003, 2005).

    인간의 뛰어난 기술이나 감성 역시 무형 문화재로 서 문화적 지속가능성을 실현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 다(UCLG, 2006, 2010). 인간은 특정 지역적 특성을 대변하고, 그 지역적 특성으로부터 기인한 관습을 구 성하고 이어오는 고유문화의 한 부분으로 여겨질 수 있다(Ma, 2021). 또한 Pop은 문화적 정체성을 담은 패션 상품에서 지속가능성이 실현될 수 있으며, 이는 나아가 창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고 하였다(Pop, 2016).

    문화적 지속가능성의 실천은 패션디자인 분야에서 국가와 민족의 다양한 전통화(traditionalizing)를 통하 여 상품들과 대중들 사이에 전통적 문화 경험들에 대 한 연결을 구축한다. 유형과 무형의 전통적인 문화 요 소들로 인하여 많은 문화적 원천들이 생기게 되는데, 이러한 원천들로 인한 문화적 영감들이 현 세대와 미 래세대에 걸쳐 여러 국가와 민족의 문화의 정체성을 알리거나 전승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문화간의 결합 혹은 변주는 창의적인 발상을 표출할 수 있는 방향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문화적 지속가 능성은 전통 고유문화를 보존하고 계승하며, 동시에 새로운 창의성을 구현하는 원천으로서 그 의미가 있 다고 할 수 있다.

    III. Traditional Fashion-Based Brand Cases in Terms of Cultural Sustainability

    1. Danha

    1) Brand history

    K-문화가 전 세계적으로 주목받음에 따라 한복에 대한 관심 역시 높아지는 추세에 맞춰 신진 생활 한복 브랜드 수가 증가하고 있다. 단하는 이들 중에서 명확 한 브랜드 정체성 설립 아래 차별화된 디자인으로 주 목받고 있는 브랜드라고 할 수 있다. 한복과 전통 유 물의 존중 및 융합으로 한국 고유 전통성을 전 세계에 알리고자 했으며, 한복도 현대 패션의 일부분으로 여 기며, 대중들의 쉬운 접근성을 위해 생활 한복을 디자 인했다. 한복 본연의 소재를 리사이클링 원단으로 재 현함으로써, 전통과 사람 그리고 환경이 상생하는 브 랜드 정체성을 성립하고 있다. 2020년 문화체육관광 부가 선정한 <한류 협업 기획개발 사업>의 한복 분야 에서 대표 브랜드로 선정되었다. 그리고 2020년 한국 의 아이돌 그룹인 ‘블랙 핑크’의 뮤직비디오 의상을 제작하면서 국내뿐 아니라, 글로벌 팬들에게 브랜드 를 알리고 본격적인 해외 판매를 시작하게 된 계기를 마련했다.

    2) Formative characteristics

    (1) Reinterpretation and modernization of traditional clothing

    단하는 전통 한복의 복식 형태를 활용하여 대중들 의 현대 패션에 맞는 실용성과 착용성을 고안하며 재 해석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저고리 위에 덧입는 배자, 전통복식 여자 속치마 중 하나인 대슘치마, 그리고 무 관이 입던 공복인 철릭 등 다양한 전통 복식 아이템들 을 활용하고 있다.

    저고리 위에 덧입는 배자 같은 경우, 일반적인 민 소매 상의처럼 착용할 수 있도록 재해석하여 디자인 했다(Fig. 1). 그리고 전통복식에서 겉치마 안의 속치 마로 불리는 대슘치마를 드레스 형식으로 재구성했다 (Fig. 2). 뿐만 아니라 공복인 철릭을 여밈 형식의 카디 건 혹은 드레스 형식으로 디자인하기도 하였다(Fig. 3).

    이처럼 단하는 전통복식의 아이템과 실루엣은 전 승하면서도 의상의 쓰임 형태는 현대 패션에 맞게 디 자인을 재구성하고 있다. 여성 한복과 남성 한복 복식 형태에 제한이 없이 한복의 전통미를 현대적으로 재 해석한 것 또한 볼 수 있다.

    (2) Eco-friendly materials and zero-waste design

    단하는 환경과 사람이 상생할 수 있는 선순환 구조 에 기여하기 위하여 친환경 소재 활용에 관심을 갖고 있다(Lee, 2020). 이에 점진적으로 친환경 소재 사용 을 늘려가는 것을 원칙으로 내세우고 있다. 이 중 페 트병에서 추출된 원사로 만든 소재를 활용하고 있다. 플라 치마라고 불리는 둘러서 입는 스커트에는 11개 의 폐플라스틱 페트병으로 만든 원사와 오가닉 원사 가 첨가되어 만들어진다(Fig. 4).

    또한 면화 생산공정에서 배출되는 폐기물을 활용 하여 제작한 실크 대체 소재인 큐프로(Cupro) 역시 활 용하고 있다. 비건 실크로도 불리는 큐프로는 생분해 폐기가 가능한 친환경 소재이다(Komodo, n.d.).

    단하 대표는 인터뷰에서 오가닉 코튼이나 오가닉 폴리에스터가 혼용된 친환경 원단의 활용을 2021년 기준으로 전체 의류 비중 중에서 70%를 친환경 원단 으로 제작할 것을 목표로 두고 있다고 언급했다.

    단하는 2019년 ‘2019 조선 순백의 정원’이라는 테 마로 살롱쇼(Fig. 5)를 진행했는데, 빈티지 웨딩드레 스를 업사이클링한 생활 한복을 선보이기도 했다. 이 를 통해 대중들에게 전통 한복과 제로 웨이스트를 통 한 지속 가능한 패션 문화를 알리고자 했다. 향후 해 외에서 실험적으로 생산하고 있는 의류 폐기물로 만 든 재활용 소재를 사용할 예정이기도 하다(Choi, n.d.).

    (3) Textile design

    단하는 한국 전통 문물의 문양을 기반으로 텍스타 일 디자인에 구현했다. 대표적으로 궁중 보자기의 봉 황문인문보를 비롯하여 조선 궁중 도배지에 새겨진 거북문, 노란 국화문, 당초문, 홍국화백분문, 그리고 모닷금 단청문양 등을 활용했다(Table 1). 전통 문물 속 문양을 활용한 텍스타일은 본연의 문양을 재현한 것이 특징이다. 전통 문화적 요소를 수용 및 보존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를 적용한 단하 의상에는 랩스커 트와 드레스를 예로 볼 수 있다(Table 1).

    단하 대표는 인터뷰에서 전통 문물 기반의 텍스타 일은 대중에게 알려지지 않거나 잊혀가는 전통 유물 속 전통성에 대한 접근을 쉽게 도와주기 위함이라 하 였으며, 한국 전통에 대한 대중의 관심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것으로 본다고 언급했다.

    (4) Colors

    조선시대의 예복에 나타난 색상들은 유교철학을 바탕으로 한 음양오행사상을 바탕으로 원색과 보색의 대비를 활용하여 음양의 조화를 이루도록 배색되어 사용되었다(Eum, 2009). 한국은 전통적으로 색채에 대하여 백색을 선호하는 성향도 있는데, 이는 색이 있 다는 것이 점잖지 못하고 부도덕하다고 인식하여 다 양한 색채 활용을 금한 것에서 비롯되었다. 단하는 의 상 속 컬러 사용에 있어서 한복 고유의 감성을 디자인 에 반영하도록 노력하였다. 그리고 디자이너의 성향 에 따른 컬러 조합과 함께 현대 트렌드에 따른 컬러 사용을 했다. 단하 대표는 인터뷰에서 이러한 컬러 조 합들은 대중의 이목을 잡기 위함이며, 한국의 전통문 화와 생활 한복에 대한 관심도와 호응도를 높이기 위 한 것이라 언급하였다. 단하의 컬렉션에서는 조선시 대 예복에 나타난 화려한 색상들을 활용하되 동시에 단하만의 스타일로 컬러를 재해석하였다.

    2020 S/S layered collection에서 가장 번번이 활용 한 컬러는 pastel blue(담청)-28%, pastel pink(연지)- 22%, jade(옥색)-22%, achromatic color(무채색)-28% 로 나타났으며, 4가지 컬러 분포도는 비슷한 비율로 나타났다(Fig. 8).

    파스텔 톤의 사용은 현대 대중성을 고려한 것으로, 단하만의 컬러 재해석을 통해 의상에 온화하고 경쾌 한 이미지를 나타냈다(Fig. 6). 특히 화이트 계열의 활 용은 한국의 백색 선호사상을 토대로 사용함과 동시 에 다양한 컬러 조합들의 밸런스를 맞추는 역할을 하 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2021 Joseon wallpaper collection에서는 색채의 강 한 대비가 나타났다. 전통복식의 대비 배색 구성을 활 용한 것으로 보인다. 전통복식에서 대비 배색 구성은 각각 다른 색상의 상의와 하의의 착장을 통해 표현하 는 것이 보편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Park, 2011). 단 하의 2021 Joseon wallpaper collection에서는 블루와 레드 계열의 대비를 중심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Navy (감청색), Black(블랙)과 White(화이트)도 함께 사용 하여 상하의를 매치하는 등(Fig. 7) 강한 색채 대비 구 현에 집중하였다. 컬러 분포도를 볼 때 Blue(블루) 사 용이 33%로 가장 많은 비중을 지녔고, 화이트, 감청 색, 블랙 컬러의 사용은 균일하다(Fig. 9).

    (5) Details and accessories

    저고리나 두루마기 등 상의의 목 부분에 나타나는 깃은 크게 네모진 깃 형태의 방령 깃과 긴 직사각형의 띠 형태로 된 목판깃으로 나눌 수 있다. 단하는 방령 깃을 스퀘어 네크라인(Fig. 10)으로 디자인하였고, 넓 적한 칼라 형태와 목판깃 형태를 혼합한 네크라인 (Fig. 11)으로 재해석하였다.

    한복의 여밈은 끈을 매는 형식이지만 현대에 사용 하는 단추나 지퍼, 버클 등 또한 같이 사용하여 대중 들로 하여금 착장이 편리하도록 구현하였다. 그 밖에 히든 지퍼, 히든 단추(Fig. 12) 등을 사용하여 한복의 고유 디자인 요소에 방해되지 않도록 하였다.

    노리개는 상의와 하의의 색채의 조화를 이루는 역 할을 하고 신체의 작은 움직임에 따라 흔들리는 가시 적 효과를 극대화한다(Park, 2011). 단하는 저고리 혹 은 스커트에 장신구인 노리개를 매치하여 한복의 고 유한 전통미를 가미시켰다(Fig. 13).

    2. Mittan

    1) Brand history

    미탄은 2013년도에 론칭한 일본 유니섹스 하이패 션 브랜드로 일본을 비롯해 인도, 라오스 등의 전통복 식과 직물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하고 있다. 미탄은 염 직 기술이 발달한 일본의 직조법을 이용하여 다양한 소재들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특징적이라 할 수 있다. 소재에 있어서 인도, 라오스 등의 국가나 소수민족의 전통 직기 기법으로 생산된 인도의 수빈면, 칼라면 등 이 대표적이다. 특히 미탄은 시대적 흐름으로 인해 낡 거나 손상이 된 의상들이 버려지지 않고 지속적으로 쓰이길 원하여 전통 수선 기법 등을 차용하여 새로운 의상 디자인을 보이고 있다. 대표적으로 전통 수공예 수선 기법인 칸타(Kantha) 등을 이용하여 의상 착용 의 지속성 및 내구성 또한 강화시키고 있다.

    그밖에 식물 등의 자연에서 추출되는 컬러의 아름 다움을 대중들에게 알리고 있다.

    2) Formative characteristics

    (1) Modernization of Japanese traditional flat pattern-cutting

    미탄은 일본 기모노의 평면패턴 기법을 적극 활용 하고 있다. 일본 전통 복식인 기모노(Fig. 14)는 상하 의가 이어진 연속의로서, 한 장의 천으로 재단하여 제 작하는 것이 특징이다(Namkung, 1999). 평면적인 재 단법은 착용자와 의상 사이에 여유 공간을 만들기 때 문에 신체에 밀착되지 않는다. 기모노의 구성으로는 길, 소매, 배래, 치마 등으로 나뉘며, 모든 부분이 직선 적인 형태를 이룬다(Li, 2016). 직선 패턴을 바탕으로 제작된 의상은 착용자의 신체적 특성에 크게 관여하 지 않고 자연스럽게 착장되는 특성이 있다. 이에 성별 을 구분 짓지 않는 유니섹스 스타일 연출이 가능하다.

    기모노의 여밈 방식은 ‘오비’라고 불리는 폭이 넓 은 띠를 허리에 두르는 형태이다. 오비를 사용하여 앞 부분의 좌우를 여밀 경우 사선으로 보이는 비대칭 형 태가 이루어지는데, 한 면은 안쪽으로 들어가고, 다른 한 면은 겉면에서 허리를 두르는 듯한 형태를 띠기 때 문이다(Namkung, 1999). 미탄은 이러한 비대칭 형태 를 차용한 코트를 제작했다(Fig. 15). 기모노는 여유로 운 폭을 가진 것이 특징이며, 기본 총장은 158cm로 기성복보다 긴 길이를 띄고 있다(Namkung, 1999). 미 탄은 이 특징을 차용하여 소매 부분이나 바지의 길이 를 일반 기성복 평균 길이보다 길게 설정해 착용자들 이 소매나 바지 기장을 원하는 길이만큼 롤업해서 입 도록 하고 있다. 리버서블 원단을 사용하여 롤업할 때 각기 다른 스타일링을 연출할 수 있게 하고 있기도 하 다(Fig. 16).

    (2) Use of traditional fabrics from other countries

    미탄은 기계 생산보다는 장인 정신이 깃든 수공예 로 제작된 직물과 타국가의 천연자원을 즐겨 사용한 다(Mittan, n.d.a).

    먼저 인도의 토종 섬유인 수빈면(Suvin cotton)을 사용하고 있다. 수빈면은 수확하기까지 220일이 걸리 며, 세계에서 가장 긴 천연 장 섬유로 불린다. 그리고 수빈면은 방적을 할 때 제작되는 실 주변의 잔털을 제 거하여 촘촘한 밀도로 직조된 것이 특징이다. 그래서 일반 면섬유보다 강하면서 실크처럼 광택이 나고 부 드럽다. 인도에서는 장기간의 재배기간과 복잡한 생 산공정 때문에 수빈면의 활용 빈도가 줄어드는 추세 인 반면, 일본에서는 수빈면을 고급 소재로 인식 (Fibre2Fashion, 2019)하고 있다. 미탄 역시 티셔츠 아 이템을 중심으로 수빈면을 적극 활용하고 있다.

    인도 카미르(Khamir)의 칼라면(Kala cotton) 역시 즐겨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카미르는 인도 의 쿠치(Kachchh)지역에 위치한 인도의 공공 신탁 기 관으로, 다양한 장인 정신이 깃든 전통문화를 계승하 고 홍보하기 위한 플랫폼을 운영하고 있다(Kachchh Heritage, Art, Music, Information and Resource [KHAMIR], n.d.). 칼라면은 어떤 농약과 합성비료도 사용하지 않은 친환경 소재로 환경에 주는 악영향이 적다. 또한 여름철 잦은 해충에 대한 내성이 높고, 땀 이 배출된 피부에 닿았을 때 불편함이 없는 것이 특징 이다. 그리고 청바지 원단의 대체 사용이 될 정도로 강 하고 거칠며 신축성을 가진 섬유질을 형성하고 있다.

    미탄은 또한 인도의 타사르 누에(Tasar silkworm) 가 뽑아낸 실크인 나시(Nasi)를 사용하고 있다. 누에 가 번데기로 변하기 위하여 실을 토해 길쭉한 원형의 집을 만드는데, 그 중에서 나무와 연결되어 있는 과일 꼭지 형태를 띠는 부분이 나시이다(Mittan, n.d.b). 일 반 실크보다 내구성이 강해 섬유가 질기고 뻣뻣하나, 착용을 반복할수록 유연해져 부드러워지는 특성이 있 다. 그리고 생사를 염색 가공이 없이 원단을 만들기 때문에 스테인리스처럼 광택이 나는 회색빛을 띈다. 나시는 일반적으로 전통 수공예 기법을 통해 원단을 제직되는데, 미탄은 나시를 일본 시가(Shiga)에 위치 한 실크 공장으로 가져와 직접 원단을 제직하고 있다. 주로 스카프 아이템에 나시 소재를 활용하고 있는 것 으로 나타났다.

    (3) Dyeing techniques

    미탄이 사용하는 원단의 컬러는 대부분 농담이 고 르지 않고, 낮은 채도가 특징이다. 자연 속 천연자원 들을 이용한 전통 염색 기법을 사용하기 때문이다. 전 통 염색 기법 사용 후의 잔여물은 토양에 해가 없이 흡수되어 환경적 측면에서 지속적으로 쓰일 수 있다 는 장점이 있다.

    미탄이 사용하고 있는 벵갈라 염색법(Bengala dyeing)은 산화 제2철을 주성분으로 한 값싼 황적색 안료인 인도의 벵골에서 많이 생산되는 벵갈라를 사 용한 염색기법이다(Kosyokunobi, n.d.a). 벵갈라는 1965년부터 일본의 사원이나 신사 및 목조 주택에 벵 갈라 염료 전문점인 코쇼쿠노비로부터 쓰여졌다(Loop of the loom, n.d.). 벵갈라가 곤충으로 인한 감염과 방 부 효과 및 자외선으로부터 목재를 보호한다고 하여 주택 건축에 주로 활용하였으나, 현대사회에는 기능성 이 뛰어난 목재 수입이 늘어나면서 벵갈라의 사용이 현저히 줄어들고 있는 추세이다(Kosyokunobi, n.d.a). 이에 일본은 벵갈라를 다시 효율성 있게 활용하고자 의상에 쓰일 염료로 연구 및 개발하였다. 초창기에는 벵갈라 본연의 황적색만 존재하였으나, 일본의 가공 기술을 토대로 노란색, 검은색, 회색, 보라색, 녹색 등 약 12가지의 컬러로 염색이 가능하다(Fig. 17). 미탄 은 벵갈라 염색이 인체에 무해하면서도 다양한 컬러 를 나타낼 수 있어서 지속적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보 인다. 대표적으로 2018년도 S/S 시즌에 회색 컬러의 반소매 셔츠를 제작하는 등 적극 활용을 하고 있다.

    소나무 연기 염색법은 소나무를 태워서 생긴 그을 음을 원재료로 하여 손으로 직접 의상에 염색하는 것 이다. 이 염색기법은 자외선에 강해 변색되지 않는다. 미탄은 셔츠와 티셔츠 등에 이 염색기법을 활용하고 있다(Fig. 18). 염색의 원재료인 소나무는 환경과 장소 의 영향 및 태워지는 시간에 따른 다양한 형태와 컬러 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그렇기에 의상 염색 시에 나타나는 컬러들은 균일하지 않고 미세한 톤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미탄은 이러한 톤의 차 이를 자연이 지닌 고유의 아름다움으로 보고, 이를 셔 츠나 재킷 등의 의상에 표현한 것으로 보인다.

    미탄은 위 염색법과 유사한 호두껍질로부터 브라 운 계열 컬러를 추출하는 호두 염색법(walnut dye)도 사용하고 있다(Fig. 19).

    (4) Color palette inspired by the climate characteristics of Japan

    일본의 기후는 남방의 난류와 북방의 오는 오호츠 크 한류가 교류하여 고온다습한 것이 특징이다(Yoon, 2006). 습윤한 지역은 공기 중의 수증기로 인해 하늘 색이 뿌옇게 보이게 된다. 이로 인해 시각적으로 보이 는 컬러는 높은 명도와 낮은 채도로 나타나게 된다. 그래서 일본은 대체적으로 탁한 색조의 양상이 두드 러지고 중간색인 간색이 발달하게 된 것으로 보인다 (Yoon, 2006).

    이러한 기후는 각종 나무와 식물, 꽃, 열매 등을 풍 부하게 한다. 따라서 이 천연자원들을 활용한 염색기 법이 자연스럽게 발달하였다(Yoon, 2006). 그중에서 미탄은 이러한 일본 풍토의 영향으로부터 비롯하여 자연에서 찾아볼 수 있는 일본 특유의 색채가 나타나 는 것이 특징적이다.

    (5) Details

    미탄은 손바느질로 의상의 마감 혹은 수선 처리를 하고 있다. 주로 소매 끝단, 바지 밑단, 몸 판 밑단 등 에 블랭킷 스티치(blanket stitch)를 활용하는데, 올이 풀려 쉽게 헤지는 가장자리를 보강하면서도 미적인 효과를 주기 위한 것이다.

    또한 인도의 전통 스티치 기법인 칸타(Kantha)를 사용하는데, 칸타는 서벵골 지역의 여성들이 오래 되 거나 버려진 의상들을 사용하여 침대 보나 쿠션 등을 제작할 때 활용하는 스티치 기법이다(Indigowares, n.d.). 얇은 천 조각들을 여러 겹 겹쳐놓고 겉과 안의 바늘땀을 일정한 간격으로 하는 것이 특징이다.

    일본 전통 스티치 기법인 사시코(Sashiko)는 에도 시대(1600-1800년대)에서 시작된 것으로 ‘작은상처’ 라는 의미처럼 촘촘한 스티치 기법이다(Fall, 2020). 사시코는 닳아서 찢어진 부분을 수리하는데 주로 사 용되는데, 헤진 부분 위에 패치를 덧댄 후 사시코 기 법으로 부착하여 내구성 및 보온성을 높이는 것이 특 징이다.

    미탄은 일본 전통 스티치 기법의 계승을 통해 이를 기능성뿐만 아니라, 장식적 요소로도 활용하여 새로 운 의상이 나타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미탄과의 인 터뷰에 의하면, 미탄의 노리코 키카와(Noriko Kikawa) 는 “미탄은 손상된 의상이라도 수선 스티치 기법을 통 해 내구성과 기능성을 높여 오랜 기간 지속적으로 사 용되기를 원합니다.”(메일 인터뷰中)라고 언급했다.

    3. Jan Jan Van Essche

    1) Brand history

    얀얀반에쎄는 2010년 앤트워프에서 론칭된 유니섹 스 브랜드로, 2010년 유쿠리(Yukkuri)컬렉션에서 내 건 슬로건 느리게(slow)와 의상 착용 시의 편안함을 기반으로 브랜드의 정체성을 나타내고 있다. 메인 컬 렉션(main collection)은 매년 여름에 진행하며 남성복 위주의 캡슐 컬렉션(project capsule collection)은 겨울 에 진행하고 있다. 최근에는 COVID-19로 파리에 있 는 쇼룸에서 컬렉션을 사람들에게 보여줄 수 없기에, 라미 모하람 포우드(Ramy Moharam Fouad) 감독과의 콜라보레이션을 통해 패션필름을 진행하고 있다.

    얀얀반에쎄는 전 세계의 전통복식과 염색 및 직기 기법들이 새로운 디자인을 도출하게끔 하는 영감의 매개체라 여기고 있다. 이에 다양한 전통문화를 수용 및 연구를 진행하고, 디자이너만의 독창성을 의상에 결합시킴으로써 창의적인 의상 디자인의 방향성을 도 출해 내는 것이 특징이다. 대표적으로 승려 복식인 케 사(Kesa)를 활용했는데, 착용자가 의상을 입었을 때 신체의 움직임에 있어 구애받지 않고 편안함을 느끼 기 때문이다. 일본의 전통 직기 기법으로 알려진 사키 오리(Sakiori) 등을 사용하기도 한다.

    2) Formative characteristics

    (1) Design that cares about the free movement of the body

    얀얀반에쎄의 의상은 착용자가 의상을 입었을 때 신체의 움직임에 있어 방해를 받기보다는 해방감이 느껴지는 것을 선호한다(Zsuzsanna, n.d.). 이를 평면 패턴을 활용하여 구현해 내고 있다. 브랜드 초기부터 마들렌 비오네(Madeleine Vionnet)디자이너의 기하학 적 패턴 디자인으로부터 영감을 받아 디자인하기 시 작했으며, 그중 사각형 조각을 이용한 평면패턴 기법 을 기반으로 잡았다(Jorinde, 2015). 그래서 평면패턴 으로 제작되는 전통복식 중 튜닉과 기모노를 즐겨 사 용하였으며, 다트와 봉합선을 최소화한 형태로 봉제 하고 있다.

    얀얀반에쎄의 의상에서는 그리스, 일본 등의 전통 문화 특성을 디자이너의 특색과 융합하여 네크라인이 깊게 파진 티셔츠, 주름이 깊게 내려간 배기팬츠, 그 리고 스카프와 카디건으로 동시 사용이 가능한 다용 도 스카프 등의 자유롭고 편안하면서도 창의적인 디 자인이 주를 이루고 있다.

    (2) Silhouette using traditional costumes from other countries and ethnic group

    얀얀반에쎄는 인도로부터 전해져 내려온 승려 법 복인 케사(Kesa)를 활용하고 있다. 케사의 어원인 ‘흐 린 색’을 의미하는 산스크리트어는 카사야(Kasaya)인 데, 케사는 이 어원의 의미와 같이 주로 옅은 갈색이 나 회색을 띤다. 혹은 승려들이 버려진 천 조각들을 식물이나 금속의 녹으로 염색하기 때문이기도 하다 (Art Institute of Chicago [ARTIC], 2015). 케사의 형 태는 각기 다른 크기의 사각형의 천 조각들을 이어 붙 여 만들어졌다(Fig. 20). 케사(Fig. 21)를 착용하기 위 해서는 어깨 부분에 걸쳐질 부분을 외주름으로 접어 놓은 후, 어깨에 둘러 싸매야 한다(Ra Soso HD, 2020). 얀얀반에쎄는 이러한 사각형 패턴 조각들이 이어진 케사의 구조의 특성을 차용한 봄버 재킷을 제작했다 (Fig. 22). 또한 케사의 실루엣을 바지에 구현 및 변형 시켰는데, 밑위 밑까지 케사의 주름을 접목시켜 얀얀 반에쎄만의 배기팬츠 디자인을 나타냈다(Fig. 23).

    튜닉(tunic) 또한 얀얀반에쎄에서 빈번히 활용되고 있다. 튜닉은 고대 그리스인들 남녀 모두 착용했던 복 식으로 라틴어로 튜니카(tunica)로부터 파생된 어원이 다(“Tunic”, n.d.). 소매가 없는 T자 실루엣을 띄고 있 고 속옷 또는 겉옷 등으로 이용되어 왔다. 또한 현대 까지 블라우스나 원피스 형식으로 지속적으로 이어지 고 있다. 튜닉은 티셔츠 같은 일반적인 상의처럼 편리 하게 입을 수 있으며, 일반 상의보다 2배 이상의 넓은 폭을 이루고 있는 특징이 있다. 얀얀반에쎄는 이러한 튜닉의 실루엣과 특징들을 블라우스(Fig. 24)와 드레 스에 재현하고 있다.

    아프리카의 보우보우(BouBou)는 세네갈 지역의 전 통 로브(robe)로, 서아프리카 전역에 남녀 모두 착용 하고 있는 의상이다(Julia, 2021). 보우보우는 폭이 150cm 정도 되는 직사각형의 천의 원단 중앙에만 구 멍을 뚫어 제작하는데 이는 네크라인 부분에 속한다. 보우보우는 착용자의 몸 형태에 따라 의상 실루엣이 돋보이게 하는 것이 특징으로, 얀얀반에세는 이 특징 을 차용하여 티셔츠, 후드(Fig. 25) 등에 디자인을 재 해석하고 있다.

    그 밖에 얀얀반에쎄의 팬츠 실루엣이 독특한 것을 볼 수 있는데, 일본의 하카마(Hakama)를 기반으로 디 자인했기 때문이다. 일본의 하카마는 크게 우마노리 (Umanori) 하카마와 안돈바카마(Andon-Bakama) 하 카마로 분류할 수 있다. 우마노리 하카마는 일반적인 바지와 같이 양 다리를 각각 감싸는 형태이며, 안돈바 카마 하카마는 스커트처럼 양다리를 함께 감싸는 형 태이다(“Hakama”, n.d.).

    안돈바카마 하카마의 경우, 여성들의 기모노 착용 후에 하반신 노출을 방지하면서도 활동성이 있는 움 직임을 편하게 하기 위해 입었다. 하지만 얀얀반에쎄 가 차용한 우마노리 하카마는 앞면과 뒷면에 각각 2 개의 끈이 골반 위치에 부착되어 있으며, 이 끈을 여 며서 착용하게 된다. 그리고 앞면에 5개 그리고 뒷면 에 2개의 주름이 있는데, 이 주름은 허리부터 발끝까 지 이어져 있다(Fig. 26). 앞면에 있는 5개의 주름은 비대칭성을 나타내는데, 그 이유는 중심선을 기준으 로 한쪽은 2개 그리고 한쪽은 3개의 주름이 잡혀 있기 때문이다(“Hakama”, n.d.).

    얀얀반에쎄에서는 우마노리 하카마의 주름 특성을 팬츠에 차용하고 있다(Fig. 27). 하카마의 허리 여밈 형태인 끈을 현대 복식에서 많이 쓰이는 단추로 대체 하였는데, 전통복식과 현대복식의 결합으로 인한 지속 적이고 창의적인 디자인을 나타낸 것으로 볼 수 있다.

    일본의 하카마 말고도 기모노 또한 활용했다. 일 본의 기모노는 단추 없이 오비라고 불리는 끈을 이 용하여 허리에 묶어 입는 원피스 형태의 포이다(Park, 2011). 기모노는 소매가 길고 총장은 발목까지 내려 올 정도로 긴 기장이다. 그리고 기모노는 직사각형 천 조각들을 이용한 재단 기법이 특징인데, 이는 굴 곡이 있는 신체의 라인을 부각시키지 않는 특징을 지 니고 있다.

    얀얀반에쎄는 기모노의 전통성에 대한 연구를 통 하여 직사각형 패턴 기법과 실루엣을 보존하면서도 독창적인 디자인 또한 결합하고 있다. 전통성을 지니 면서도 미래 지속적인 창의적 디자인 개발을 위해 기 모노 스타일의 의상들을 꾸준히 제작하고 있다.

    얀얀반에쎄는 아이누(Ainu)민족의상의 디테일을 사용하기도 했다. 아이누족은 일본 열도 북부 지역 출 신으로 영신을 믿는 원주민으로 훗카이도뿐만 아니 라, 사할린 등 동북아시아의 주변 민족들과의 교류를 통하여 수많은 전통 춤이나 문양, 무용 등의 문화들이 깃들어 있다(Upopoy, n.d.). 아이누는 앞판과 뒤판의 패턴을 한 폭의 옷감으로 연결되어 만들어짐에 따라 옆선에는 솔기선이 없다. 의상에서 절개라인은 여밈 부분인 앞판에만 있으며, 기모노 같이 의상을 여밀때 의 존재하는 겹침부분인 칼라가 없는 것이 특징이다 (Kang, 2001). 끈을 이용하여 아이누를 착용할 때, 여 밈 방향은 좌측이 위로 가는 좌임인 것으로 사료된다 (Kang, 2001). 얀얀반에쎄는 이러한 아이누 민족의상 의 특성을 활용한 재킷을 제작하고 있다.

    (3) Use of traditional fabrics from other countries

    얀얀반에쎄에서 쓰인 타국가 및 민족의 전통 직물 활용으로는 먼저 보로(Boro)이다. 보로는 일본어로 보 로보로(BoroBoro)라는 단어로부터 내려져 왔으며, 천 들이 형편없이 너덜너덜해진 모양을 의미한다. 19세 기와 20세기 초 가난했던 농촌들이 닳아버린 천들에 다시 천을 덧대어 바느질하거나, 오래된 의상들을 다 시 재단하여 다른 옷들과 결합해 수선을 하기 시작하 면서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했다(Victoria and Albert Museum, n.d.b). 보로 수선으로 만들어진 의상들은 새 로운 원단으로 탄생되었고, 동시에 잊혔던 수선 기법 의 전통 가치를 되살리며 예술의 일부분으로 간주되 고 있다. 얀얀반에쎄는 잊혀 갈 수 있는 한 나라의 전 통기법을 찾아서 현대에까지 계승해오면서 디자인에 접목하고 있다. Project#4 ‘each one teach one’이라는 테마에 ‘Boro Collection’이 있을 정도로 이러한 장인 정신이 깃든 예술을 선호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니트 나 울, 면 원단의 종류 상관없이 여러 원단을 활용하 여 보로 기법을 사용하였다.

    일본의 사키오리(Sakiori) 직물은 버려지는 천 조각 들을 13~16인치의 길이로 말아놓고 손으로 베를 짜는 형식으로 이루어져 있다(Saorinomori, 2013). 사키오 리는 주로 실생활 용품이면서 실용성이 높은 이불이 나 배게 보 등의 상품들로 제작되었다. 사키오리의 특 징은 각기 다른 문양과 색상들이 담긴 천들을 활용하 기 때문에 복제품을 제작할 수 없고, 독자적인 디자인 이 탄생하게 된다(Kimonoboy, n.d.). 얀얀반에쎄는 이 러한 빈티지 원단을 사용해 재킷(Fig. 28)을 제작했으 며, 원단을 낭비하지 않게 되는 장점을 적극 활용한 것으로 보인다.

    얀얀반에쎄는 일본의 전통 수공예 종이인 와시 (Washi) 또한 사용하고 있다. 일본 헤이안 시대(794년 -1185년)부터 일본만의 제지법을 통해 만들어진 것으 로, 현대까지 계승되고 있다(Nippon, 2016). 와시는 일반적으로 감피나무와 뽕나무껍질이 원재료로 만들 어지며, 대나무나 쌀 등을 이용하여 만들 수 있다. 와 시 종류는 3가지로 나뉘는데, 화폐에 쓰이는 미스마 타가미(Mismatagami), 책에 쓰이는 히시(Hishi) 그리 고 의복과 가구에 쓰이는 코조가미(Kozogami)이다 (Japan Info, 2017). 그중에서 뽕나무껍질이 원재료인 코조가미와시가 의복에 쓰이는 대표 종이로 해충방지 효과 및 통기성, 보온성을 지닌다(Hanawa, 2021). 이 종이는 의복에 쓰이기 위해 기계로부터 세로로 길고 얇은 조각으로 잘라진 후, 꼬아져서 실로 만들어지며 이는 천연섬유에 속한다(Hanawa, 2021). 얀얀반에쎄 는 일본의 전통문화가 깃든 코조가미 와시를 활용하 여 셔츠나 재킷 등을 제작하고 있으며, 현대의 소비자 들의 니즈에 맞는 착용감 및 창의적인 소재 개발을 구현하기 위해 면과 울 등을 혼용시켰다. 그리고 계 절에 따른 보온성을 고려하여 의상의 가치성 또한 높 였다.

    (4) Dyeing technique

    진흙 염색(Mud dyed)은 중국 기원전 14세기, 명나 라 광동성에서 진흙으로 염색한 비단이 2011년 중국 무형문화재가 되면서 각광받기 시작했다. 진흙은 화 학원료가 사용되지 않은 중국의 전통적인 염색 기법 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RURI, n.d.). 중국 광둥성 출신 장인들이 강에서 얻은 진흙을 이용한 것으로부터 시 작되었다(Selvedge, 2020). 천연섬유와의 염색 시 진 흙에 들어있는 철분 성분과 천연섬유의 탄닌이 결합 되어 검게 염색된다(RURI, n.d.). 진흙 염색의 검은색 은 일정한 농도를 지니고 있지 않으나 색상의 지속력 이 길다는 특징이 있다. 얀얀반에쎄는 진흙 염색 기법 을 활용해 실크 소재를 누빔 처리한 후 보온성을 높인 재킷을 디자인하였다(Fig. 29).

    그밖에 과야칸 염색(Guayacan dyed)과 인디고 염 색(Indigo dyed)이 빈번히 보이고 있다. 과야칸 염색 의 원재료인 과야칸(Guayacan)은 남아메리카 대륙의 북부 해안에 서식하는 나무이다(“Guayacan”, n.d.). 얀 얀반에쎄는 이 과야칸 나무의 껍질들을 활용하여 원 단에 천연 염색을 했다. 컬러는 과야칸 나무의 껍질이 지닌 황갈색이 주로 나타나지만, 천연 염색할 때 나타 나는 불균일한 농담의 특성에 맞게 다양한 톤이 나타 나는 것이 특징이다. 얀얀반에쎄는 이 특징이 의상에 두드러지게 표현되도록 하기 위해 스카프를 제작했는 데, 톤의 대비를 나타내는 톤온톤으로 천 조각들을 매 치했다(Fig. 30).

    인디고 염색(Indigo)은 인디고페라 틴토리아 (Indigofera tinctoria) 식물로부터 얻는 원료를 사용한 염색기법을 일컫는 말로, 이 인디고 염색은 기원전 3 천 년 전부터 널리 사용되었다고 추정된다(Natural Dyes, n.d.;Wild Colours, 2021). 현대에 들어 화학원 료로 만들어진 인디고를 많이 사용하는데, 이는 유해 폐기물을 만들어 내는 단점이 있는 반면, 천연 인디고 는 식물에서 직접 염색 원료를 추출하고 잔여물들을 토양 비료로 사용한 친환경 염료이다(Wild Colours, 2021). 얀얀반에쎄는 시대를 초월한 천연 전통 염색기 법을 애용하고 있으며, 순수한 자연에서 나오는 색상 들의 아름다움을 계승하고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얀 얀반에쎄의 의상들 중에서 천연 인디고 염색은 주로 원피스, 셔츠 등에 쓰여지고 있으며, 천연 인디고 염 색을 통해 활기찬 여름 이미지 안에서도 차분함을 표 현하기 위함으로 나타났다(Santafedrygoods, n.d.a).

    (5) Colors

    얀얀반에쎄의 컬렉션에서 색상 팔레트는 대부분 채도가 낮은 상태의 자연의 색상이 주를 이루고 있다 (Eco Fashion Talk, 2012). 얀얀반에쎄의 컬렉션은 4 계절 내내 입을 수 있는 편안한 의상을 제작하는 데 초점을 두고 있기 때문에 색상 또한 유행에 구애를 받 지 않는 차분한 톤과 흰색, 회색, 검정의 무채색으로 구성한 것으로 보인다(Fig. 31).

    얀얀반에쎄의 제품 색상에 관한 설명을 보면 ‘에크 루(Ecru)’ 또는 ‘키나리(Kinari)’를 자주 발견할 수 있 다. 에크루는 프랑스어로 ‘탈색되지 않은 린넨’이라는 의미이며, 키나리는 일본어로 ‘생사’를 일컫는데, 둘 다 공통적으로 형광이나 표백하지 않은 광목 원단의 색상처럼 옅은 회색빛이 도는 노르스름한 톤을 지칭 한다(Ask Any Difference, n.d.). 염색이 되지 않은 본 연의 소재를 이용함으로써 얀얀반에쎄가 추구하는 의 상의 편안함을 빗댄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날 것 그 대로인 본연의 소재 안에 언제든지 타 국가의 전통 기 법들을 접목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했을 것으로 사료 된다.

    얀얀반에쎄의 전체적 의상의 톤을 보면, 자연으로 부터 나오는 옅은 톤 색상(pale tone color)이 주를 이 룬다. 얀얀반에쎄는 여러 국가들의 전통적인 염색기 법도 선호하였기에 나무껍질, 흙, 식물 등에서 나오는 자연의 색상들 또한 컬렉션의 주된 컬러 팔레트로 활 용되고 있다. 회색, 황갈색, 올리브 그린 그리고 옅은 푸른색 등이 있다. 예외적으로 종종 컬렉션에 내포되 어 있는 의미에 맞게 포인트 컬러가 들어가기도 하는 데 대표적으로는 밝은 빨간색 및 선홍색이다. 이는 2022 S/S의 ‘Collection#12-Cycle’에서 볼 수 있다 (Fig. 32). 얀얀반에쎄는 ‘Collection#12-Cycle’ 안에서 대중들로 하여금 시선을 이끌 수 있는 주목성을 높이 면서도 자연 속의 색상을 추출하고자 강렬한 붉은 색 상과 물이 빠진듯한 선홍색을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 다(Templeton, 2021).

    IV. Traditional Fashion-Based Brand Cases in Terms of Cultural Sustainability

    글로벌 패션 산업에서 국가와 민족이 지닌 전통문 화들을 의상에 재해석하려는 움직임이 일고 있는 추 세이다. 그러나 타 국가의 전통문화의 정체성에 대한 심도 있는 이해 없이 단순히 전통문화 속의 조형적 요 소만 의상에 결합한 문화적 전유 사례들을 적지 않게 발견할 수 있다. 따라서 전통문화적 요소들을 재해석 한 3개의 현대 패션 브랜드 사례를 통해 패션에서의 문화적 지속가능성에 대하여 비교 및 고찰한 결과, 각 사례들은 앞서 이론적 배경에서 고찰한 문화적 지속 가능성의 두 가지 요소를 실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 났다(Table 2).

    1. Practicing cultural sustainability as a safeguarding and respecting traditional cultures

    각 사례들은 전통문화적 요소를 보존하고 계승하 는 방식으로서의 문화적 지속가능성을 실천하는 것으 로 나타났다. 사례 모두 공통적으로 문화의 가치에 대 한 훼손과 고갈 없이, 다양한 국가와 소수민족의 역사 적, 정서적 가치가 담긴 고유 전통문화의 정체성을 수 용하여 의상에 접목하였다. 이는 다양한 문화들의 활 용 및 융합으로 글로벌 문화에 대한 보존과 존중이 나 타났다고 볼 수 있다.

    단하는 저고리와 철릭의 실루엣을 현대에 맞게 드 레스나 카디건으로 활용 및 변형하면서도 한복이 지 닌 전통성을 한복의 실루엣과 소재의 재현으로 유지 하고 있다. 또한 전통 궁중 유물인 봉황문인문보와 궁 중 도배지의 거북문 등에서 유래한 문양을 텍스타일 디자인에 적극 활용한 것이 특징적이다. 이는 대중들 에게 한국 전통문화와 생활 한복의 가치성과 접근성 을 높이는데 주력하며 문화적 지속가능성을 실천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미탄은 일본의 염색기법 및 기모노 평면패턴을 주 로 사용함으로써 일본의 전통 복식을 계승하고 있다. 그리고 타국가의 토종 섬유 혹은 누에 등의 천연자원 들이 전통 수공예 기법으로 제작된 소재인 수빈면, 나 시 등을 사용하여 장인 정신이 깃든 수공예적 직기법 및 천연자원들을 전승하고 있다. 산업의 발달을 기반 으로 생산 비용 절감을 위한 대량생산 프로세스는 전 통 수공예적 기법들의 가치와 활용도를 감소시키고 있다. 미탄은 이를 보존하기 위한 방식으로서의 문화 적 지속가능성을 실천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얀얀반에쎄는 케사, 튜닉 등 전통복식의 실루엣 차 용을 중심으로 한 디자인을 선보이고 있다. 또한 점차 사라지고 있는 수선 기법인 보로나 중국의 전통 진흙 염색 등의 기법들을 보존하기 위하여 이를 디자인에 접목하고 있다. 얀얀반에쎄는 서유럽 브랜드임에도 불구하고, 인도와 중국을 비롯한 동양의 전통 기법 및 복식에 대한 존중을 드러내며 디자인에 적용하고 있 는 것으로 나타났다.

    2. Practicing cultural sustainability as a developing new colors creativity

    각 사례들은 창의적 디자인의 발전에 기여하는 것 으로 나타났다. 즉, 브랜드 사례 모두 공통적으로 전 통문화를 활용하되, 이를 현대 패션과 융합하여 새로 운 디자인 방향을 제시하는 데에 역할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다양한 전통 수공예적 기법 혹 은 전통복식 등의 특성을 활용한 디자인 변주는 문화 의 다양성을 미래세대에 전달할 뿐만 아니라 미래 지 속적인 패션 트렌드에 영향을 준다고 보고 있다.

    단하는 전통 한복에 나타난 컬러들을 존중하면서 동시에 현대 소비자들의 취향에 따라 트렌디한 컬러 들을 적용함으로써 대중들에게 전통문화에 대한 친밀 도를 높이고 있다. 또한 단하는 전통 문양을 활용한 현대적인 텍스타일 디자인과 한복에 주로 사용되는 소재 외에 친환경 소재 사용 등을 민감해지는 미래 패 션 시장에서 전통과 사람이 지속적으로 상생할 수 있 는 창의적 디자인을 도출해 낼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보인다.

    미탄은 다양한 전통 기법이나 복식을 융합함으로 써 창의적 디자인을 선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도나 일본의 전통 바느질 기법을 적극적으로 활용 하여 이국적인 심미성을 표현함으로써 새로운 디자인 을 제시하고 있다. 창의적이라 함은 완전한 새로운 것 을 창출해 내는 것 외에도 기존의 다른 두 가지 이상 의 요소들을 융합하였을 때에 나타나기도 한다. 이러 한 측면에서의 창의적 디자인을 미탄이 보여주고 있 음을 확인하였다.

    얀얀반에쎄는 전통 승려 복식인 케사를 접목하여 바지나 재킷 등의 현대 패션 아이템으로 변주하며 창 의적인 디자인들을 제안하고 있다. 전통 복식은 착용 감이나 기능적 측면에서 현대 소비자가 일상에서 착 용하기에는 부적합한 경우가 다소 발견된다. 얀얀반 에쎄는 전통 복식의 특징적 디자인 요소를 차용하되, 편안한 착용감과 실루엣 구현을 통해 전통 복식이 지 닌 한계의 극복을 시도하고 있다. 얀얀반에쎄 특유의 동양과 서양의 미적 감성을 융합한 브랜드 정체성이 여기에서 비롯된다고 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전통 직물인 와시 종이 등을 면이나 울 등의 현대 소재와 결합을 통해 미래 지속적인 창의적 디자인의 개발 방 향성을 나타내고 있다.

    V. Conclusion

    본 연구는 현대 패션 브랜드 사례를 통해 전통문화 및 복식을 활용하고 재해석하는 방식을 살펴봄으로써 문화적 지속가능성을 어떻게 실천하고 있는지 문헌연 구와 브랜드 사이트 및 인터뷰 실시를 통해 분석하였 다. 공통적으로 문화의 가치에 대한 훼손과 고갈 없이 다양한 국가와 소수민족의 역사적, 정서적 가치가 담 긴 고유 전통문화의 정체성을 수용하고 있다. 그리고 전통문화를 현대 패션과 융합하여 문화의 다양성을 미래세대에 전달하면서도 새로운 디자인 방향을 제시 하는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브랜드별 의상 속 전통문화의 활용 차이는 문물 속 문양을 통한 텍스 타일 구현, 전통 수공예 직조법과 염색법의 차용 및 변형, 다양한 국가의 전통 복식과 소재의 융합을 통한 디자인 변주 등을 볼 수 있었다.

    앞서 도출한 연구 결과를 미루어 볼 때, 현대 패션 을 통한 전통문화의 계승 및 재해석이 과거 세대와 미 래의 연결점이자, 창의적인 디자인에 있어서 새로운 발전의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으로 여겨진다. 뿐만 아 니라 전 세계 패션 디자이너들이 전통문화에 대한 연 구와 차용이 활발히 이루어져 앞으로의 패션시장에 문화적 지속가능성의 실천 방향을 제안할 수 있을 것 으로 기대된다. 이에 향후 다양한 전통 문화들이 패션 과 융합하여 전통을 보존하고 계승하며, 또한 창의적 문화 구현의 원천으로서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전 통문화에 대한 존중이 함축적으로 내포되어 있는 의 상은 후속 세대에 전통성을 전달하고 있으며, 전통문 화에 대한 대중의 접근이 용이해지게 하는 역할을 하 고 있다. 그러므로 다양성과 정체성이 요구되는 미래 패션 산업에서 문화적 지속가능성의 실현은 중요한 역할을 지니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문화적 지속가능성을 실천하는 3개의 패 션 브랜드 사례를 선정함에 따라 도출된 연구 결과를 일반화시키기에는 한계가 있음을 밝힌다. 이에 따라 더 많은 사례를 연구 대상으로 하거나, 의상 외에 타 패션 아이템 디자인에 나타난 문화적 지속가능성에 관한 후속 연구가 진행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후 속 연구로 패션 산업에서의 문화적 지속가능성의 실 천에 대한 꾸준한 모색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 된다.

    Figure

    RJCC-29-6-828_F1.gif

    Waist coat transformed into a sleeveless top Reprinted from Danha. (n.d.a). https://danhaseoul.com

    RJCC-29-6-828_F2.gif

    The underskirt (Daesum) transformed into a dress Reprinted from Danha. (n.d.b). https://danhaseoul.com

    RJCC-29-6-828_F3.gif

    Chulic Reprinted from Danha. (n.d.c). https://danhaseoul.com

    RJCC-29-6-828_F4.gif

    Pla skirt–made by plastic yarn Reprinted from Danha. (n.d.d). https://danhaseoul.com

    RJCC-29-6-828_F5.gif

    Danha salon show Reprinted from Danha. (2019). https://danhaseoul.com

    RJCC-29-6-828_F6.gif

    2020 S/S layered collection Reprinted from Danha. (n.d.i). https://danhaseoul.com

    RJCC-29-6-828_F7.gif

    2021 Joseon wallpaper collection Reprinted from Danha. (n.d.j). https://danhaseoul.com

    RJCC-29-6-828_F8.gif

    2020 S/S layered collection

    RJCC-29-6-828_F9.gif

    2021 Joseon wallpaper collection

    RJCC-29-6-828_F10.gif

    Square neckline one-piece inspired by Hanbok Reprinted from Danha. (n.d.k). https://danhaseoul.com

    RJCC-29-6-828_F11.gif

    Wide collar top inspired by Hanbok Reprinted from Danha. (n.d.l). https://danhaseoul.com

    RJCC-29-6-828_F12.gif

    Using hidden button Reprinted from Danha. (n.d.m). https://danhaseoul.com

    RJCC-29-6-828_F13.gif

    Korean traditional ornament (with silk skirt) Reprinted from Danha. (n.d.n). https://danhaseoul.com

    RJCC-29-6-828_F14.gif

    Kimono Reprinted from Victoria and Albert Museum. (n.d.a). https://collections.vam.ac.uk

    RJCC-29-6-828_F15.gif

    Unsymmetrical fastening coat (CT-14) Reprinted from Mittan. (2020a). https://www.instagram.com

    RJCC-29-6-828_F16.gif

    Reversible texture (CT-17) Reprinted from Mittan. (2020b). https://www.instagram.com

    RJCC-29-6-828_F17.gif

    Colors of bengala dyeing Reprinted from Kosyokunobi. (n.d.b). http://www.kosyokunobi.com

    RJCC-29-6-828_F18.gif

    Shirt using pine smoke dye Reprinted from Mittan. (n.d.c). http://mittan.asia

    RJCC-29-6-828_F19.gif

    Walnut dye Reprinted from Mittan. (2017). https://www.instagram.com

    RJCC-29-6-828_F20.gif

    Kesa (flat surface with square pieces) Reprinted from ARTIC. (n.d.). https://www.artic.edu

    RJCC-29-6-828_F21.gif

    Kesa robe Reprinted from Etsy. (n.d.). http://www.etsy.com

    RJCC-29-6-828_F22.gif

    Bomber jacket (inspired by Kesa) Reprinted from Grailed. (n.d.). https://www.grailed.com

    RJCC-29-6-828_F23.gif

    Pleated trousers (inspired by Kesa) Reprinted from Suspension Point. (n.d.). https://suspensionpoint.ca

    RJCC-29-6-828_F24.gif

    Tunic blouse Reprinted from Brownie. (n.d.). https://www.brownie-bro wnie.com

    RJCC-29-6-828_F25.gif

    Boubou style hoodie Reprinted from Atelier Solarshop. (2009). http://ateliersolarshop.blogsp ot.com

    RJCC-29-6-828_F26.gif

    Umanori-Hakama (asymmetric hakama) Reprinted from Kyoetsu. (n.d.). https://www.desertcart.in

    RJCC-29-6-828_F27.gif

    Hakama style trousers Reprinted from Opener. (n.d.). http://openershop.co.kr

    RJCC-29-6-828_F28.gif

    Sakiori fabric coat Reprinted from Santafedrygoods. (n.d.b). https://santafedrygoods.com

    RJCC-29-6-828_F29.gif

    Mud-dyed silk jacket Reprinted from Vision of Fashion. (n.d.). https://visionoffashion.jp

    RJCC-29-6-828_F30.gif

    Scarf and shawl (Guayacan dyed) Reprinted from Glasswing. (n.d.). https://glasswingshop.com

    RJCC-29-6-828_F31.gif

    Main color & tone Reprinted from Jan Jan Van Essche. (n.d.). https://www.janjanvanessche.com

    RJCC-29-6-828_F32.gif

    2022 S/S collection#12-cycle-point color Reprinted from WWD. (2021). https://wwd.com

    Table

    Use of traditional artifacts and patterns

    A comparison table by brand for cultural sustainability

    Reference

    1. Art Institute of Chicago. (2015, August 21). Kesa: Japanese buddhist monks’ vestments. Artic. Retrieved July 15, 2021, from https://www.artic.edu/exhibitions/3031/kesa-Japanese-buddhist-monks-vestments
    2. Art Institute of Chicago. (n.d.). Kesa (flat surface with square pieces). Artic. Retrieved July 25, 2021, from https://www.artic.edu/artworks/793/kesa
    3. Ask Any Difference. (n.d.). Difference between ivory and ecru (with table). Retrieved July 25, 2021, from https://askanydifference.com/difference-between-ivory-and-ecru
    4. Atelier Solarshop. (2009, July 3). Boubou style hoodie [Blog Post]. Retrieved July 25, 2021, from http://ateliersolarshop.blogspot.com/2009/07/preview.html
    5. Brownie. (n.d.). Tunic blouse. Retrieved July 25, 2021, from https://www.brownie-brownie.com/items/38801628
    6. Chagov. (2017, April 16). Traditional wallpaper of Korea [Blog Post]. Retrieved March 27, 2021, from https://blog.naver.com/PostView.nhn?isHttpsRedirect=true&blogId=chagov&logNo=220983213688
    7. Choi, A. Y. (2021). A study on the cultural sustainability of the new Korean wave tourism: Applying the grounded theor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yung Hee University, Seoul, Korea.
    8. Choi, S. H. (n.d.). 전 세계에 한복 열풍 일으킨 블랙 핑크 뮤직비디오 “그옷” [Blackpink’s music video “The clothing,” which caused the Hanbok craze all over the world]. Chosun Media. Retrieved April 2, 2021, from https://topclass.chosun.com/board/view.asp?catecode=L&tnu=202009100013
    9. Colantonio, A. (2007). Social sustainability: An exploratory analysis of its definition, assessment methods metrics and tools. Oxford: Oxford Brooks University.
    10.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2010, July 30). Geobook pattern (court wallpaper). Retrieved March 27, 2021, from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4,003n.d.0,34&pageNo=1_1_1_0
    11. Danha. (2019, March 17). Danha salon show. Retrieved March 27, 2021, from https://danhaseoul.com/boardPost/110713/7
    12. Danha. (n.d.a). Waist coat transformed into a sleeveless top. Retrieved March 25, 2021, from https://danhaseoul.com/product/DH0153
    13. Danha. (n.d.b). The underskirt (Dae-sum) transformed into a dress. Retrieved March 25, 2021, from https://danhaseoul.com/product/DH0161
    14. Danha. (n.d.c). Chulic. Retrieved March 25, 2021, from https://danhaseoul.com/product/ss100
    15. Danha. (n.d.d). Pla skirt–made by plastic yarn. Retrieved March 27, 2021, from https://danhaseoul.com/product/plaskirt
    16. Danha. (n.d.e). Wrap skirt with bonghwangmun (relic of palace) pattern. Retrieved March 27, 2021, from https://danhaseoul.com/product/gungbopink
    17. Danha. (n.d.f). Wrap skirt with geobook pattern (court wallpaper). Retrieved March 27, 2021, from https://danhaseoul.com/product/DH0157
    18. Danha. (n.d.g). Wrap skirt with yellow chrysanchemum pattern. Retrieved March 27, 2021, from https://danhaseoul.com/product/DH0158-360
    19. Danha. (n.d.h). Ribbon one-piece with winder pattern. Retrieved March 27, 2021, from https://danhaseoul.com/product/DH0150
    20. Danha. (n.d.i). 2020 S/S layered collection. Retrieved March 30, 2021, from https://en.danhaseoul.com/collection
    21. Danha. (n.d.j). 2021 Joseon wallpaper collection. Retrieved July 30, 2021, from https://danhaseoul.com/collection
    22. Danha. (n.d.k). Square neckline one-piece inspired by Hanbok. Retrieved August 28, 2021, from https://danhaseoul.com/product/DH0172
    23. Danha. (n.d.l). Wide collar top inspired by Hanbok. Retrieved April 15, 2021, from https://danhaseoul.com/product/jeogori01
    24. Danha. (n.d.m). Using hidden button. Retrieved April 15, 2021, from https://danhaseoul.com/product/pinktop02
    25. Danha. (n.d.n). Korean traditional ornament (with silk skirt). Retrieved April 15, 2021, from https://danhaseoul.com/product/goldskirt
    26. Eco Fashion Talk. (2012, October 14). Jan Jan Van Essche. Retrieved July 30, 2021, from http://www.ecofashiontalk.com/2012/10/jan-jan-van-essche
    27. Etsy. (n.d.). Kesa robe. Retrieved July 25, 2021, from https://www.etsy.com/listing/629950050/thai-buddhist-monk-saffron-full-robe-set?ref=landingpage_similar_listing_top-1&frs=1
    28. Eum, J. S. (2009). Comparison study on traditional perceived meaning of color and clothing color of Korea and Japan.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29. Fall, C. (2020, February 20). Sashiko patterns, projects, and resources. The Spruce Crafts. Retrieved July 12, 2021, from https://www.thesprucecrafts.com/sashiko-patterns-projects-and-information-1177510
    30. Fibre2Fashion. (2019). Suvin cotton: World’s finest cotton [YouTube Channel]. Retrieved May 22, 2021, from https://www.youtube.com/watch?v=x1R35TtwlOk
    31. Glasswing. (n.d.). Scarf and shawl (Guayacan dyed). Retrieved July 30, 2021, from https://glasswingshop.com/products/jan-jan-van-essche-scarf-20-guayacan-cotten-voile
    32. Google Arts & Culture. (n.d.). Bonghwangmun (relic of palace). Retrieved March 27, 2021, from https://artsandculture.google.com/asset/wrapping-clothwith-phoenix-design/ZwFxazaGqywKXQ?hl=ko&ms=%7B%22x%22%3A0.5%2C%22y%22%3A0.5%2C%22z%22%3A9.403429019013576%2C%22size%22%3A%7B%22width%22%3A0.9743938556303174%2C%22height%22%3A1.237511883433964%7D%7D
    33. Grailed. (n.d.). Bomber jacket (inspired by Kesa). Retrieved July 26, 2021, from https://www.grailed.com/listings/17450557-jan-jan-van-essche-waxed-kesa-inspired-bomber-jacket-style-23-nwt
    34. Guayacan. (n.d.). In Merriam-Webster. Retrieved August 10, 2021, from https://www.merriam-webster.com/dictionary/guayacan
    35. Hakama. (n.d.). In Definitions. Retrieved July 16, 2021, from https://www.definitions.net/definition/hakama
    36. Hanawa, T. (2021, May 7). Hidden wonders of Japan -heard of Washi craft paper? This Japanese company uses it to make stylish jackets. Japan Forward. Retrieved July 20, 2021, from https://Japan-forward.com/hidden-wonders-of-Japan-heard-of-washi-craft-paper-this-Japanese-company-uses-it-to-make-stylish-jackets
    37. Indigowares. (n.d.). What is Kantha stitching? Retrieved July 10, 2021, from https://indigowares.com/what-is-kantha-stitching
    38. Jan Jan Van Essche. (n.d.). Main color & tone. Retrieved August 1, 2021, from https://www.janjanvanessche.com/collections/11/grace
    39. Japan Info. (2017, August 1). The art of Japanese paper cloth fashion could be making a revival. Retrieved July 20, 2021, from https://jpninfo.com/85392
    40. Jorinde, C. (2015, July 22). Jan-Jan Van Essche: The fashion designer embracing slowness. 1granary. Retrieved July 14, 2021, from https://1granary.com/interviews/designers/jan-jan-van-essche
    41. Julia, B. (2021, April 2). Boubou. Fashion History Timeline. Retrieved July 17, 2021, from https://fashionhistory.fitnyc.edu/boubou
    42. Kachchh Heritage, Art, Music, Information and Resource. (n.d.). About Khamir. KHAMIR. Retrieved May 24, 2021, from https://www.khamir.org/about/khamir/who
    43. Kang, S. C. (2001). A study on the cultural characteristic and folk costume of Ainu.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1(8), 141-157.
    44. Kim, C. W. (2006). 21세기 환경외교 [Global environmental diplomacy and Korea]. Seoul: Sangsang Communication.
    45. Kim, S. L. (2021). A study of sustainable fashion design using the Korea traditional patchwork ‘Chogakbo’ technique -Focusing on environmental and cultural sustainabili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okmin University, Seoul, Korea.
    46. Kimonoboy. (n.d.). An introduction to Japanese sakiori textiles. Retrieved July 17, 2021, from https://www.kimonoboy.com/sakiori.html
    47. Komodo. (n.d.). Cupro fabric [Blog Post]. Retrieved August 27, 2021, from https://komodo.online/blogs/blog/cupro-rediscovering-sustainable-fabrics
    48. Kosyokunobi. (n.d.a). About Kosyokunobi. Retrieved June 10, 2021, from http://www.kosyokunobi.com/English%20Page/EnglishKosyokunobi.html
    49. Kosyokunobi. (n.d.b). Colors of bengala dyeing. Retrieved July 3, 2021, from http://www.kosyokunobi.com/English%20Page/EnglishKosyokunobi.html
    50. Kyoetsu. (n.d.). Umanori-Hakama (asymmetric hakama). Desertcart. Retrieved July 30, 2021, fromhttps://www.desertcart.in/products/114125837-kyoetsu-hakama-pants-men-Japanese-umanori-horse-riding-type-aikido-kendo-uniform-washable-xs-xl
    51. Lee, H. A. (2020, September 16). 전통을 재해석한 한복 디자인, 세계인의 마음을 사로잡다 [The Hanbok design that reinterprets traditions captivates the hearts of people around the world]. HR Insight. Retrieved March 31, 2021, from https://www.hrinsight.co.kr/view/view.asp?in_cate=115&bi_pidx=31173
    52. Lee, H. R. , & Ma, J. J. (2020). A study of the trend in sustainable fashion research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 achievements of the centre for sustainable fashion.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28(5), 652-668.
    53. Li, W. Q. (2016). A study on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global fashion brand in Japan.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Korea.
    54. Loop of the loom. (n.d). About bengala dye. Retrieved June 11, 2021, from https://loopoftheloom.com/bengala-info
    55. Ma, J. J. (2021). Traditional fashion practice and cultural sustainability: A case study of nubi in Korea. Fashion Practice. Retrieved December 10, 2021
    56. Mittan [@mittan.asia]. (2017, November). Walnut dye [Instagram Photograph]. Retrieved July 10, 2021, from https://www.instagram.com/p/BbL8M09HsWJ/?utm_medium
    57. Mittan [@mittan.asia]. (2020a, November). Unsymmetrical fastening coat (CT-14) [Instagram Photograph]. Retrieved June 2, 2021, from https://www.instagram.com/p/CHEmtS0luPh/?utm_medium
    58. Mittan [@mittan.asia]. (2020b, November). Reversible texture (CT-17) [Instagram Photograph]. Retrieved June 2, 2021, from https://www.instagram.com/p/CH-KI8IFS3o/?utm_medium
    59. Mittan. (n.d.a). Mittan-about. Mittan. Retrieved May 20, 2021, from http://mittan.asia/about
    60. Mittan. (n.d.b). SC-27 ナーシシルクストール [SC-27 Nasi silk stall]. Mittan. Retrieved May 30, 2021, from https://mittan.asia/SC-27
    61. Mittan. (n.d.c). Shirt using pine smoke dye. Retrieved July 3, 2021, from http://mittan.asia/SH-03BH
    62. Namkung, M. J. (1999). A study on the influence of Japanese folkcostume in the modern Japanese fash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63. Natural Dyes. (n.d.). How to dye with indigo. Retrieved July 23, 2021, from https://naturaldyes.ca/indigo
    64. Nippon. (2016, July 9). “Washi” (Japanese paper). Nippon. Retrieved July 20, 2021, from https://www.nippon.com/en/features/jg00083
    65. Opener. (n.d.). Hakama style trousers. Retrieved July 28, 2021, from http://openershop.co.kr/product/trousers62/18454/category/872/display/1
    66. Park, H. J. (2011). A study on the generation fashion design of Korea style -Case comparison of ChinaJapan fashion design-.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Korea.
    67. Park, S. H. , & Ko, E. J. (2017). The effect of technology culture convergence and sustainability management activities of fashion brands on sustainability evaluation.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19(2), 152-165.
    68. Pop. M. (2016). Sustainability and cultural identity of the fashion product. In M. Gardetti, S. Muthu (Eds.), Ethnic Fashion. (pp. 83-104). Singapore: Springer.
    69. Ra Soso HD. (2020). How to make a monk robe in buddhism | kon nen chandy teaching the way to making a monk robe [YouTube Channel]. Retrieved July 15, 2021, from https://www.youtube.com/watch?v=HW7uRDBhNqU
    70. RURI. (n.d.). About mud silk. Retrieved July 21, 2021, from https://www.ruri.world/pages/mud-silk
    71. Santafedrygoods. (n.d.a). Jan-Jan Van Essche: One in all and all in one. Retrieved July 21, 2021, from https://santafedrygoods.com/editorials/jan-jan-vanessche-one-in-all-and-all-in-one
    72. Santafedrygoods. (n.d.b). Sakiori fabric coat. Retrieved July 28, 2021, from https://santafedrygoods.com/product/jan-jan-van-essche-sakiori-kimono-coat-in-black
    73. Saorinomori. (2013). 見て納得!SAORIの溝付き織付 け棒 [I understand! SAORI’s grooved woven rod] [YouTube Channel]. Retrieved July 17, 2021, from https://www.youtube.com/watch?v=UprjQSusFxA
    74. Selvedge. (2020, April 22). Chinese mud silk [Blog Post]. Retrieved July 21, 2021, from https://www.selvedge.org/blogs/selvedge/chinese-mud-silk
    75. Shao, Y. (2019). A study of sustainable fashion design -Focused on corks-. Unpublished master’s thesis, Hongik University, Seoul, Korea.
    76. Suspension Point. (n.d.). Pleated trousers (inspired by Kesa). Retrieved July 27, 2021, from https://suspensionpoint.ca/collections/jan-jan-van-essche/products/jjve-kesa-trousers-40
    77. Templeton, L. (2021, June 25). Jan-Jan Van Essche men’s spring 2022. WWD. Retrieved July 27, 2021, from https://wwd.com/runway/mens-spring-2022/paris/jan-jan-van-essche/review
    78. Tunic. (n.d.). In Britannica. Retrieved July 16, 2021, from https://www.britannica.com/topic/tunic-clothing
    79. United Cities and Local Governments. (2006). Advice on local implementation of the Agenda 21 for culture. Barcelona: Author.
    80. United Cities and Local Governments. (2010). Culture: 4th pillar of sustainable development. Mexico: Author.
    81. 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 (1972). The protection of the world cultural and natural heritage. Paris: Author.
    82. 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 (2001). Universal declaration on cultural diversity. Paris: Author.
    83. 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 (2003). Convention for the safeguarding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CSICH). Paris: Author.
    84. 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 (2005). Convention on the protection and promotion of the diversity of cultural expressions. Paris: Author.
    85. Upopoy. (n.d.). Ainu culture. Retrieved July 29, 2021, from https://ainu-upopoy.jp/en/ainu-culture
    86. Victoria and Albert Museum. (n.d.a). Kimono. Retrieved May 28, 2021, from https://collections.vam.ac.uk/item/O1294929/kimono-unknown
    87. Victoria and Albert Museum. (n.d.b). Make your own: Japanese ‘Boro’ bag. Retrieved July 15, 2021, from https://www.vam.ac.uk/articles/make-yourown-Japanese-boro-bag
    88. Vision of Fashion. (n.d.). Mud-dyed silk jacket. Retrieved July 28, 2021, from https://visionoffashion.jp/collections/jan-jan-van-essche/products/jan-jan-van-essche-jacket-44-padded-mud-silk?variant=40820075364519
    89. Wild Colours. (2021, April 19). Indigo and natural indigo dye. Retrieved July 23, 2021, from http://www.wildcolours.co.uk/html/indigo.html
    90. WWD. (2021, June 25). 2022 S/S collection#12-cycle -point color. Retrieved July 13, 2021, from https://wwd.com/fashion-news/shows-reviews/gallery/jan-jan-van-essche-mens-spring-1234861625
    91. Yoon, J. Y. (2006). A study on the symbolism of color in the Edo period of Japan.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Seoul, Korea.
    92. Zsuzsanna, T. (n.d.). Jan Jan Van Essche (Antwerp). Friends of Friends. Retrieved July 13, 2021, from https://www.friendsoffriends.com/fashion/jan-jan-van-essche

    Appendi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