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rossref logo
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6-0401(Print)
ISSN : 2383-6334(Online)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Vol.30 No.1 pp.145-160
DOI : https://doi.org/10.29049/rjcc.2022.30.1.145

The influence of Art Nouveau on ‘Crimson Peak’

Ju-ae Kim†
Professor, Dept. of Clothing & Textile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Korea
Corresponding author (jakim@gnu.ac.kr)
January 18, 2022 February 7, 2022 February 9, 2022

Abstract


This study analyzes the influence of the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 of Art Nouveau on the costumes, architecture, and crafts in the period drama ‘Crimson Peak’. This research method captures images of women’s costumes, architecture, and crafts in the ‘Crimson Peak’ and selects and analyzes those with a clear Art Nouveau influence. Edith’s costumes are characterized by the Art Nouveau style that emerged in the 1890s, with an hourglass silhouette, pastel colors, soft materials, and organic curved embellishments. Lucille’s costumes show characteristics that were prevalent before the 1890s, using bustles, strong colors, and elaborate ornamentation. The architecture is characterized by gothic vertical lines and organic curves, naturalistic patterns featuring animals and plants, and steel and glass materials. The crafts of ‘Crimson Peak’ are characterized by flexible shapes with strong, organic curves. These costumes, architecture, and crafts share formal elements including waving, twisting, and organic curves and plant-shaped motifs. The influence of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 of the age of Art Nouveau expressed in movies on formative arts was examined as impressionism appeared in costumes made of pastel colors, thin and see-through materials, medieval Gothic historicism expressed in structures composed of vertical design and religious relief ornament, exoticism appeared in Chinese vase and Japanese-patterned tea sets, naturalism with an animal plant motif and phenomenon of active social activities of progressive women through women’s clothing that elements of men’s costume are introduced. This study will provide data for the production of period dramas set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Crimson Peak’에 표현된 Art Nouveau 영향

김 주 애†
경상대학교 의류학과 교수

초록


    I. Introduction

    19세기는 복식사에서 어느 시기보다 복식 스타일의 변화가 많았으며, 특히 19세 기 말과 20세기 초는 현대 사회로의 변화와 함께 복식의 변화가 현저한 시기였다. 새로운 양식에 대한 변혁의 욕구는 기존 질서와 완전히 다른 새로운 질서를 창조하 려는 미술공예운동으로 나타났다. 이 시기에 나타난 아르누보(Art Nouveau) 예술 양식은 현대 예술 형성 에 큰 영향을 미쳤으므로 시대적 예술사조에 대한 연 구로 중요하다. 특히 아르누보 예술 양식은 세기말의 급진적인 시대 변화와 함께 복식을 포함한 모든 조형 예술에 많은 영향을 끼쳤기 때문에 아르누보 예술 양 식이 적용된 조형예술의 다양한 분야를 함께 연구하 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19세기 말 시대 배경의 연 구는 현대 패션 디자인에 나타난 아르누보 특성(Kim, 2013), 아르누보 장신구의 조형적 특성(Nam & Song, 2009), 19세기 말 프랑스 포스터에 표현된 패션 이미 지(Choi & Choi, 2008), 후기 구조주의적 시각의 성에 따른 19세기 중•후반 패션과 반패션(Choi, 2007), 아 르누보 건축의 역사적 특성(Hwang & Lee, 2000), 건 축과 패션 분야만을 함께 비교한 연구(Park, 2015) 등 대부분 조형예술 중 한 분야 만에 국한되어 이루어졌 고, 조형예술의 다양한 분야들을 함께 다룬 연구는 매 우 미미하게 이루어져 왔으므로, 조형예술의 모든 분 야에 영향을 끼친 아르누보 영향기의 조형예술 분야 들에 대한 포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이와 같은 시대 의 사회•문화적 배경과 다양한 조형예술 분야를 종 합적으로 분석하기에는 시대극이 적합하다. 선행된 시대극의 복식 연구는 영화 ‘백설공주’ 의상에 표현된 매직리얼리즘 특성(Yang & Lee, 2017), 1920년대 배 경의 The Great Gatsby 의상(Oh & Lee, 2008), 아르 누보 예술 양식 시대의 영화 복식(Lee & Chung, 2007), 1950년대 영화의상 연구(Chung, 2004) 등이 이루어져, 다른 시기 배경 연구에 비해 19세기 말기의 아르누보 예술 영향기의 연구는 미흡한 편이다. 그러 므로 본 연구에서는 시대극 중 19세기 말과 20세기 초를 배경으로 하는 시대극 <Crimson Peak>(Greene & Toro, 2015)를 중심으로, 아르누보 예술 영향기의 복식•건축•공예 각 분야에 표현된 조형적 특징과 사회•문화적 배경이 조형예술에 끼친 영향을 고찰하 였다. 이 연구는 향후 19세기 말의 조형예술 분야를 표현할 수 있는 완성도가 뛰어난 시대극 및 복식 제작 의 기초자료로 활용하며, 아르누보 예술 양식이 표현 된 시대극 영화를 통해 복식•건축•공예 등 조형예 술을 총체적 관점에서 연구하는 데 의의가 있다.

    Ⅱ. Review of Literature

    1. Socio-cultural background

    아르누보 영향기는 프랑스의 제3공화국 시대에 해 당되며, 영국에서 빅토리아여왕 시대 말기와 에드워 드 7세의 에드워디안(Edwardian) 왕조기(1901~1910) 에 속한다(Chung, 2013). 19세기 후반 예술계에서는 리얼리즘 외에 순수한 고딕시대로 돌아가고자 하는 역 사주의(historicism) 운동이 건축을 중심으로 일어났 으며, 이것은 중세 장인정신을 회복하고자하는 미술 공예운동(arts and crafts movement)에 영향을 미쳤다. 19세기 말의 세기말적 경향(decadence)과 상징주의 미술 등의 영향으로 아르누보 운동이 시작되었다(Kim et al., 2010). 아르누보 스타일의 시효가 되었던 미술 수공예운동(art & craft movement)을 형성시킨 러스 킨(Ruskin)과 모리스(Morris)는 건축에서도 새로운 방 향을 모색•제시하였다. 러스킨은 기존의 신고전주의 양식(Neo-classic style)을 거부하고, 이상적 양식으로 일종의 신고딕(Neo-gothic)적 스타일을 제시하였다. 아르누보 예술의 영감은 자연의 유기적인 생명체로서 꽃과 줄기를 주제로 하며, 나선형의 파도치는 것 같은 율동감을 원천으로 표현하였다. 조형예술은 꽃을 포함 한 식물과 여인이 대표적인 소재로 이용되며, 곤충이 나 동물도 많이 사용되었다(Chung, 2013). 여인의 부 드러운 인체 곡선과 헤어스타일도 아르누보의 곡선에 영감을 제공하였다. 아르누보 스타일은 유기적인 곡선 외에도 추상적이고 비대칭적인 구성을 특징으로 하며, 당시 건축, 회화, 조각, 공예뿐만 아니라, 세기의 전환 시기에 등장한 여성의 복식에도 영향을 미쳤다(Kim et al., 2010). 색채 면에서는 인상주의(impressionism) 에 의해 형성된 부드러운 파스텔 색조가 주조를 이루 었다(Chung, 2013). 엑조티시즘(exoticism)의 주 요소 는 중국이나 일본의 동양적 요소였고, 당시로부터 먼 거리에 있던 켈트(celt)와 중세의 고딕(Gothic)적 요 소, 바로크(Baroque)적 요소 및 로코코(Rococo)적 요 소를 포함하였다(Chung, 1989). 19세기 후반에는 특 히 자포니즘(Japonism)이 전성기를 맞게 되어 기모노 의 평면적 구조는 20세기에 이르러 입체적인 유럽 복 식의 형태에 큰 영향을 미쳤다(Kim at el., 2006). 19 세기 말 서양 사회를 뒤흔들었던 자유와 평등사상의 팽창은 여성들의 사회 진출에 대한 욕구를 증가시켰 고, 결과적으로 여성 복식의 변혁의 기틀을 제공하였 다(Kim et al., 2010). 산업혁명 이후 여성의 사회참여 가 활발해지면서 1890년대에는 여성복을 만드는 것 이 중요한 산업의 하나가 되었다. 슈트는 일하는 여 성 증가와 함께 인기를 더해가게 되었고, 기능적이고 위생적인 의상을 원하는 추세가 되어갔다(Blanche, 1965/1988). 아르누보 예술 양식은 이러한 시대적 요 구에 부응하기 위해 1890년경에 등장하여 세기말을 장식한 다양한 예술사조들과 시대정신을 반영하면서 1910년경까지 지속되었다.

    2. Women’s costume

    아르누보 양식 복식 스타일은 1890년대의 아워글 래스 스타일(hourglass style)과 1900년대의 S-커브 스 타일(S-curve style)로 구분된다. 이 시기에는 이전의 러플•리본•브레이드•레이스•꽃 등이 과도하게 사용되어, 장식적인 버슬 스타일(Fig. 1)에서 벗어나 단순해진 아르누보 스타일과 기능적인 이성적 복식이 나 남성복에서 차용된 테일러드 슈트(Fig. 2)가 등장 하였다(Kim et al., 2010). 1890년대로 들어서면서 아 르누보의 흘러내리는 듯한 곡선 감각이 모든 조형분 야에 적용되기 시작하고, 전 세계적으로 붐을 일으키 기 시작한 스포츠 애호열이 기능적인 형태의 복식을 요구하게 되어 매끈하게 흘러내리는 곡선 분위기로 바뀌게 되었다(Chung, 2013). 1890년부터 스커트는 버슬의 엉덩이 부풀림이 갑자기 줄어들면서 장식이 감소하여 단순해지는 반면, 강조점이 상체의 어깨와 소매로 바뀌면서 어깨를 장식하고 소매를 다양한 형 태로 부풀리기 시작하였다. 여기에서 심한 곡선을 이 룬 큰 소매와 가는 허리, 플레어로 퍼진 스커트로 구 성된 전형적인 아워글래스 실루엣이 생성되었다. 상 의 소매는 거대한 퍼프 슬리브(puff sleeve), 레그 오 브 머튼 슬리브(leg-of-mutton sleeve), 지고 슬리브 (gigot sleeve)가 많이 이용되며, 어깨에는 요크나 프 릴 장식이 있고, 하이 네크라인이 일반적이었다(Kim et al., 2010). 투피스 슈트에 받쳐 입는 블라우스도 여 러 가지 형태로 디자인되었으며 특히 목 주위를 장식 할 수 있도록 화려한 레이스가 많이 이용되었다. 테일 러드 슈트는 사회 참여 외에 스포츠 붐으로 인한 필요 성으로 다양하게 개발되었다(Chung, 2013).

    세기말을 거쳐 1900년에 접어들자 의복의 부풀림 이 사라지고 자연스러운 실루엣의 S자형 스타일의 의 복으로 전환된다(Bae, 2008; Fig. 3). 아르누보 영향기 에는 환하고 연한 파스텔 계통의 부드러운 색조가 유 행했으며, 1890년대에는 노란색이 가장 인기가 있었 다(Cunnington & Cunnington, 1970). 복잡한 이중적 인 색채 효과를 위해 얇고 비치는 소재나 레이스를 이 용하여 오버 드레스 형태의 튜닉식으로 덧입었다. 이 시기의 복식에 많이 사용된 레이스와 러플은 부와 사 회적 지위의 상징 외에 환상적인 색채 효과를 내는 방 법으로 이용되었으며, 이것은 인상주의의 영향을 받 은 것이다(Chung, 2013). 복식에는 꽃문양과 곡선무늬 가 많았으며(Chung, 1989), 소재는 시폰(chiffon), 오건 디(organdy), 조젯(georgette), 차이나 크레이프(china crepe), 얇은 린넨(linen), 레이스(lace), 벨벳(velvet), 실크(silk) 등 주로 가볍고 부드러운 옷감을 사용하였 다(Blanche, 1965/1988). 빅토리아시대에 보통 유럽의 코드 자수 액세서리인 수타쉬(soutache) 브레이드와 금몰•은몰 등의 장식인 파스망트리(passementerie) 아플리케가 장식되었으며, 특히 빅토리아시대 후기에 성행한 애도 장신구는 감상적인 장신구와 머리카락으 로 연관되어 계속 지속되었다. 대부분 머리카락을 메 달리온(medallion)에 넣거나 시계줄, 팔찌에 한데 엮었 으며, 흑옥이 가장 이상적인 재료였다(Phillips, 1996/ 1999). 드레스의 실루엣이 날씬하고 간단해지면서 꽃 과 깃털, 브레이드 등으로 화려하게 장식된 메리 위도 우(Merry widow) 모자가 유행하였다(Chung, 1989). 1897년부터 모자는 더 커지고 앞이나 뒤로 뒤집어진 것이 유행하였고, 홈버그 햇(homburg hat)은 10년 동 안 착용되었다. 다양한 색상의 모자는 밀짚, 펠트, 벨 벳, 시폰 등 소재가 다양하였으며, 햇과 본넷에 사용 된 베일은 그물이나 셔닐로 만들어 얼굴을 덮거나 턱 아래에서 꼬여졌다(Cunnington & Cunnington, 1970).

    3. Architecture and crafts

    아르누보 건축은 구조와 형태면에서 건축의 기본으 로 추구되었으며, 모리스의 영향으로 식물 형태에 기 본을 둔 부드러운 선(line)의 표현이 주가 되어, 전통 적인 건축 장식이 추구하는 견고하고 직선적인 기하학 적 형태와 대조를 이루는 새로운 종류의 장식을 탄생 시켰다. 가우디(Gaudi)가 추구한 중세주의(Gothicism) 는 고딕의 뾰족한 아치를 독특한 포물선의 아치(arch) 로 대체시켰다. 이러한 포물선적인 강조는 아르누보 건축의 특성으로, 계속되는 선의 리듬이 깨어진 리듬 을 통제하는 자연적인 형상들에 대한 취향을 보여주는 것이다(Chung, 1989). 빅토르 오르타(Victor Horta)가 건축한 타셀 저택(Hôtel Tassel)은 내부의 개방적인 배 치가 특징적이었으며, 철제 계단기둥은 식물을 모방해 만들고, 철제 난간은 물결치듯 흐르는 형태로 만들었 다. 이 형태는 벽의 덩굴무늬 그림이나 바닥 모자이크 의 덩굴무늬에도 나타난다. 이런 나선형 모티프와 곡 선은 아르누보의 주요 모티프에 속한다. 특히 브뤼셀 계단은 채찍선과 같은 리듬을 가진 전형적인 아르누 보 곡선을 처음으로 공간과 구조로 변형시켰다(Lydia, 2002/2005; Fig. 4). 엑토르 기마르(Hector Guimard) 의 파리 카스텔 베랑제(Castel Béranger)에서 자유롭 고 비대칭적인 정문의 쇠창살이 특징적이었다. 여기에 는 로코코 양식 외에 중세의 플랑브아양(Flamboyant) 고딕 양식이 녹아 있으며, 모든 것을 움직이게 만드는 역동적인 비약은 일본 판화의 유연한 곡선에서 나온 것이다(Lydia, 2002/2005; Fig. 5). 가우디의 후기 작품 은 물결치는 선들과 부조(relief)장식으로 부풀려지거 나 움푹 들어가게 형성된 벽 표면이 특징적이다(Chung, 1989). 아르누보 예술 양식은 미국의 미술공예운동의 영향 아래 매우 다양한 나라와 도시에서 발전하였다 (Kim, 1999). 벨기에의 아르누보 장식은 유동적이고 힘차며, 추상적인 경우가 많다(Waddell, 1977/2014).

    유럽의 가구와 실내장식은 벨기에의 오르타에 의 해 개척된 벨지안 라인(Belgian Line)은 널따란 곡선 들과 거대하게 펼쳐지는 포물선들이나 나선들이 특징 적이다. 벨지안 라인(Chung, 1989)은 공예의 주요 부 분인 가구에서, 아서 맥머도(ArthurᅠMackmurdo)가 디 자인한 ‘식탁의자’의 구멍 뚫린 등받이의 덩굴모양 곡 선 장식(Fig. 6)은 아르누보에서 전형적인 S자 호형을 최초로 나타내었다(Lydia, 2002/2005). 탁자도 뿌리로 부터 꽃봉오리까지의 식물의 전체적 형상이 유기적으 로 탁자에 결합되어 아르누보적인 특징을 나타내었 다. 금속공예도 철과 구리로 만든 문에서 무성한 식물 들이 유기적인 선과 면의 분할에 의해 표현되어 아르 누보 특성을 나타내었다. 메종 베베르(Maison Vever) 의 목걸이 펜던트와 같은 공예품에서도 즐겨 이용된 나비부인 같은 혼성적 인물은 상징주의에서 선호하는 모티프이다(Fig. 7). 스테인드 글래스는 아르누보 특유 의 유기적 곡선으로 식물이나 동물의 형상, 사람, 특 히 여성을 소재로 한 것이 많았다. 램프(lamp) 공예도 유기적인 식물 및 자연 풍경의 모티브가 낭만적이고 환상적인 분위기로 표현되어 아르누보 예술 영향을 나타내었다. 조형예술은 꽃, 식물, 여인이 대표 소재 로 이용되며, 곤충, 동물도 많이 사용되었다(Chung, 2013). 조각의 주된 주제는 여성이었고, 이외에 식물 이나 곤충, 물결적 표현이 사용되었다. 조각가들은 구 시대 관습에서 해방된 여성을 자유롭고, 활기차고 명 랑하게 표현하고자 여성을 님프(Nymph), 나이아드 (Naiad), 물의 요정(Undines)으로 묘사하였다(Chung, 1989).

    4. Movie synopsis

    영화 크림슨 피크 <Crimson Peak>는 대가 기예르 모 델 토로(Guillermo Del Toro) 감독이 연출, 각본, 제작을 맡아서 제42회 새턴 어워즈(Saturn Award, 제 42회)에서 최우수 호러상을 수상하였고, 케이트 호리 (Kate Hawley)는 최우수 의상상에 노미네이트되었다. 영화의 프로덕션 디자이너(production designer)는 톰 샌더스(Tom Sanders), 총괄 영화미술감독(supervising art director)은 브랜트 고든(Brandt Gordon), 음악은 페르난도 벨라즈퀘즈(Fernando Velazquez)가 맡았다. 주연은 톰 히들스턴(Tom Hiddleston, 토마스 역), 제 시카 차스테인(Jessica Chastain, 루실 역), 미아 와시 코프스카(Mia Wasikowska, 이디스 역), 찰리 허냄 (Charlie Hunnam, 앨런 역)이 맡았다(Csfd, 2015). 이 극의 뛰어난 세트와 함께 프로덕션 디자이너 톰 샌더 스 및 케이트 호리의 훌륭한 작품은 정밀함과 세부 사 항을 잘 표현하여 감독의 작품을 특징적으로 표현하 였다(Pierre, 2015). 극에서 무대의 정확도와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 먼저 건물을 미니어처로 제작하여 철저 히 분석한 후(Mark & Guillermo, 2015), 토론토의 지 하실에서 최상층까지 3.5층 구조의 세트장을 지어 현 장감을 높였다(Pond, 2015).

    이 영화는 뉴욕 버팔로(Buffalo)와 영국 컴버랜드 (Cumberland) 지역을 중심으로 1887년부터 1901년경 을 배경으로 다루고 있다. 내용은 사업가 카터 쿠싱 (Carter Cushing)의 외동딸 이디스 쿠싱(Edith Cushing) 이 어릴 적 여읜 어머니 유령의 경고로 유령의 존재를 인식하면서, 소설가로 성장하였다. 영국의 귀족 남매 토마스 샤프(Thomas Shah)와 루실 샤프(Lucille Shah) 가 버팔로의 이디스 아버지 사업장을 방문하면서, 이 디스는 자신 작품을 이해해주는 토마스를 사랑하게 된다. 그 무렵 아버지가 살해 당하면서 의지할 곳 없 는 이디스는 토마스와 결혼하여 토마스 고향 영국 컴 버랜드로 가게 된다. 이디스는 앨러데일(Allerdale) 저 택인 크림슨 피크의 유령들을 통해 저택의 비밀과 샤 프 남매의 실체를 알게 된다. 주치의 엘런 맥마이클 (Alan McMichael)은 위험에 처한 이디스를 구하기 위 해 저택을 방문하여, 유령이 된 토마스 도움으로 루실 을 처치하고 이디스를 구해낸다. 두 사람은 인근 도 시로 탈출하고, 이디스는 크림슨 피크(Crimson Peak) 라는 경험을 배경으로 한 베스트셀러 책을 집필하게 된다(IMDb, 2015).

    Ⅲ. Research Method

    이론적 연구를 위해, 아르누보 예술 양식 시대의 사회•문화적 배경과 복식, 건축, 공예에 관련된 문 헌, 선행연구 및 영화 전문 사이트를 조사하였다. 실 증적 연구는 아르누보 예술양식 시대를 배경으로 하 는 시대극 <Dilili in Paris>(Boeffard & Ocelot, 2018), <Victoria & Abdul>(Bevan & Frears, 2017), <Diary of a Chambermaid>(Larsen & Jacquot, 2015), <Crimson Peak>(Greene & Toro, 2015), <Chocolat>(Altmayer & Zem, 2015), <Bel Ami>(Pasolini & Donnellan, 2012), <Midnight in Paris>(Aronson & Allen, 2011), <Moulin Rouge>(Baron & Luhrmann, 2001) 중, 아르누보 예술 양식 영향이 복식 외에 다른 조형예술 분야에도 잘 적 용되어, 조형 예술을 분석하기에 적합한 영화 <Crimson Peak>를 선정하였다. 19세기 말과 20세기 초기를 배 경으로 하는 이 영화는 새턴 어워즈에서 최우수 호러 상과 최우수 의상상에 노미네이트되어 영화의 완성도 와 예술성을 객관적으로 평가받았다. 의상디자이너 케이트 호리는 빅토리아시대를 그대로 고증하기 위 해, 의복에 죽은 어머니의 머리카락으로 만든 벨트, 어머니의 손 조각 버클과 같은 장신구 요소를 포함하 여, 모든 빅토리아시대 기술을 사용하였으며(Cohen, 2015), 이브닝 드레스 제작시 볼디니의 그림을 그대로 고증하여 제작되었습니다(Nationalclothing, 2019). 영 화의 앨러데일 홀(Allerdale Hall)은 고딕 양식의 리바 이벌 주택에서 영감을 받았고, 애드워드 호퍼(Edward Hopper)가 그린 철길 옆의 집(House by Railroad)을 참조하여 건축되어 철저한 고증이 이루어졌다(Stamp, 2015).

    아르누보 시대의 복식 분야 외 다른 조형예술 분야 를 분석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될 수 있는 이미지를 발췌할 수 있어 연구에 이용하였다. 영상자료는 이미 지를 분석하기 위해 DVD(GOM player 2.3.63.5327) 를 이용하여 아르누보 예술 양식이 잘 표현된 여자 복 식과 건축 공예 이미지를 캡처하였다. 영화 <Crimson Peak>에서 아르누보 예술 양식이 표현된 조형예술 분 야를 복식과 건축•공예분야로 분류하여 각 분야의 조형적 특징을 분석하여 아르누보 예술 영향 시대의 사회•문화적 배경이 조형예술에 끼친 영향을 고찰하 였다. 조형예술 중 복식 분야는 이디스 쿠싱(Edith Cushing)과 루실 샤프(Lucille Shah)가 착용한 복식 중 아르누보 예술 양식이 적용된 것을 중심으로 이디 스 복식 16개와 루실 복식 6개로 총 22개의 이미지를 캡쳐하였다. 자료에서 이미지 캡쳐는 먼저 의상 전공 자 4명이 동일한 영상자료를 각각 캡쳐하여 전체 조 합한 후, 공통적인 것을 선별하였다. 2차로 의상전공 대학원생이 1890년대의 아르누보 예술양식 특징이 잘 나타난 것을 검토하여 최종적으로 분석에 이용하였 다. 아르누보 양식의 특징 분석에 적합한, 이디스 복 식 13개, 루실 복식 5개의 총 18개 복식을 최종적으로 선정하였다. 여성복식을 실루엣, 색상, 소재, 아이템, 액세서리, 트리밍의 장식요소를 포함하여 조형적 특 징을 비교•분석하였다. 건축 분야는 실내 인테리어 를 포함시켜 분석하였고, 공예 분야에서는 조각을 포 함시켜 총 이미지 47개에서, 아르누보 예술 양식 특징 을 잘 나타내는 27개를 최종적으로 이용하였다.

    Ⅳ. Results and Discussion

    1. Women’s costumes

    <Fig. 8>은 주인공 이디스가 출판사를 방문할 때 착 용한 슈트이다. 이 슈트는 레그 오브 머튼 슬리브로 어깨가 넓어 보이고, 허리 부분이 타이트하며 뒷부분 이 페플럼 형태로 된 재킷과 이전 시기보다 약간 짧아 진 스커트로 구성되어 아르누보 예술 영향기 전반기 에 유행한 아워글래스 스타일을 나타내었다. 다른 여 성들은 아르누보 이전의 버슬 스타일 시기에 많이 유 행하던 과도한 프릴과 러플 장식의 복식에 화려하게 장식된 모자를 착용한 반면에, 이디스의 황갈색(amber brown) 슈트는 아르누보 이전에 많이 유행하던 과도 한 장식의 프릴, 꽃자수 장식에서 벗어난 심플한 디자 인으로 아르누보 예술영향 시대의 전반기 특징을 나 타내었다. 이디스는 남성 셔츠처럼 칼라에 장식 없는 심플한 디자인의 블라우스에 넥타이를 착용하였다. 또한 테일러드 칼라와 단추로 여민 재킷, 맥고모자 및 태피터 소재를 사용하여 1890년대에 유행한 남성 복 식 요소를 잘 반영하였다. 이디스의 다른 블라우스도 남성복의 주요 아이템인 넥타이를 착용하여 진취적인 면을 부각시켰다. <Fig. 9>의 임베슬 슬리브(imbecile sleeve)로 된 옅은 아이보리색(ivory) 블라우스는 파스 텔 색상 외에 부드러우며 얇고 비치는 시폰 소재로 아 르누보 예술 영향 절정기 복식 특징인 이중적인 색채 효과를 잘 표현하고 있다. 특히 밀짚모자의 브레이드 장식선에 나타난 유기적인 곡선과 모자 브림(brim) 뒤 의 가장자리 곡면은 유동적인 곡선을 잘 표현하여 아 르누보 영향기의 복식 특징을 그대로 반영하고 있다. 블라우스 아래에는 황토색(yellow ocher) 타프타 스커 트를 착용하여 아워글래스 스타일을 이루었다. 파스 텔 톤 색상, 얇고 부드러운 소재, 꽃장식 외에 블라우 스 가슴 앞판의 금색 자수 장식, 커프스(cuffs)의 검은 색 자수 장식 등으로 아르누보 풍의 부드러운 여성미 를 표현하고 있다. 액세서리로 양산, 스커트의 단추 장식 외에 어머니를 애도하는 머리카락 모양과 상아 처럼 보이도록 주조된 죽은 어머니의 손을 조각한 손 모양 버클 장식 허리벨트는 빅토리아시대에 유행하던 애도 장신구의 특징을 반영한 것이다. <Fig. 10>의 투 피스는 짙은 녹색(dark green) 벨벳 재킷과 선명한 노 란색(vivid yellow) 벨형 태피터 스커트로 구성된 아워 글래스 실루엣을 나타내고 있다. 재킷은 스탠딩 칼라 에 레그 오브 머튼 슬리브로 구성되고, 아르누보 영향 기 이전의 과도한 프릴 등 장식적인 요소는 많이 배제 되어 아르누보 예술 전반기의 복식 특징을 나타내었 다. 칼라, 앞가슴의 세로선이나 세로 단추, 커프스 가 장자리의 선장식 외에 어깨 위쪽에 퐁퐁(pom pom)이 장식되었다. <Fig. 11>은 이디스가 결혼 후 영국에 도 착하여, 크림슨 피크라 불리어진 앨러데일 홀(Allerdale hall)에서 남편 토마스와 생활하게 될 집을 둘러보는 장면이다. 이디스가 착용한 선황색(goldenrod) 태피터 데이 드레스(day dress)는 자수 장식의 레그 오브 머 튼 슬리브에 상의 윗가슴의 주름 장식으로 볼륨감을 주고, 여러 개의 다트로 타이트한 허리, 넓은 스커트 단으로 구성된 아워글래스 스타일이다. 드레스는 주 름 장식으로 된 하이넥 칼라, 소매와 앞중심 부분의 싸개단추, 목 뒤로 늘어뜨린 긴 리본으로 장식되었다. 이디스가 착용한 의상은 대부분 아워글래스 스타일이 지만, 버팔로 홀에서 토마스와 춤출 때 착용한 아이보 리색 이브닝 드레스(Fig. 12)는 섬세하고 부드러운 새 틴 소재로 인체선을 자연스럽게 흘러내리는 우아한 S 커브 스타일에, 뒤에서 길게 내려오는 띠로 장식되었 고, 헤어스타일도 자연스러운 컬로 우아하게 표현되 었다. 이 드레스는 이탈리아 예술가 지오반니 볼디니 (Giovanni Boldini)의 ‘The Black Sash(1905)’ 드레스 (Fig. 3)를 연상시킨다.

    버팔로의 매드슨 파크(Madison park) 집에서 이디 스가 착용한 드레스(Fig. 13)는 연한 아이보리색에 부 드러우며 얇고 비치는 시폰 소재로 언더스커트와 겹 쳐 이중적인 색채 효과를 잘 표현하여 아르누보 예술 영향기의 인상주의에 의해 형성된 파스텔 계통의 연 한 색조 영향을 그대로 나타내었다. 또한 친칼라(chin collar), 여러 겹으로 된 어깨 프릴(frill) 장식의 타이트 한 소매, 자연스럽고 넓게 퍼지는 S커브 스타일의 스 커트로 실루엣, 소재, 색상 등 아르누보 예술 영향 절 정기의 복식을 잘 표현하고 있다. <Fig. 14>의 장면은 토마스와 우체국 방문 장면으로, 이디스는 레그 오브 머튼 슬리브, 케이프 칼라로 된 연한 회색(light gray) 모직 코트를 착용하였다. 케이프의 아랫부분에 짙은 청록색 브레이드 선 장식의 유기적인 곡선과 케이프 밑단의 유동치는 듯한 곡선 가장자리, 케이프에 전체 적으로 형성된 자연스러운 주름 등은 아르누보의 우 아하고 유기적인 곡선을 유동적으로 잘 표현하였고, 청록색의 장갑과 앞 중심의 긴 리본장식으로 장식효 과를 내며, 속에는 레그 오브 머튼 슬리브의 선황색 새틴 드레스를 착용하였다. 유기적인 장식선 외에 꽃 과 레이스 장식이 된 넓은 창의 메리 위도우 햇(Merry widow hat)도 아르누보 시기의 복식 특징을 표현하고 있다. 이 의상과 같은 원단의 꽃 모티프로 만들어진 머프를 손에 둘러 장식 효과를 내기도 하였다(Table 1). <Fig. 15>에서 이디스가 착용한 황녹색(yellowish green) 벨벳 가운은 가슴 앞의 풍성한 꽃모양 아플리 케 장식, 레그 오브 머튼 슬리브에 허리끈을 매어 아 워글래스 실루엣으로, 아르누보 예술 영향기 전반기 의 특징을 나타내었다.

    <Fig. 16>의 나이트가운은 부드러운 색조에 자연 소재의 잎사귀 무늬, 거대한 레그 오브 머튼 슬리브로 이루어지고, <Fig. 17>의 잠옷도 큰 주름이 있는 레그 오브 머튼 슬리브로 구성되어, 아르누보 예술 양식 시 대 복식의 중요한 요소의 하나인 레그 오브 머튼 슬 리브가 모든 복식 아이템에 적용되었다. 맥마이클가 (McMichael) 파티의 피아노 치는 장면(Fig. 18)에서, 루실이 착용한 진홍색(crimson) 타프타 드레스는 타 이트 소매에 엉덩이를 강조하고, 스커트 뒷부분에 트 레인으로 구성되어 아르누보 이전의 버슬스타일을 나 타내었다. 소매를 포함하여 앞가슴부터 밑단까지 의 상 전체에 걸쳐 레이스 러플, 프릴 장식과 함께 트레 인이 과도하게 장식되었다. 스탠딩 칼라에도 레이스, 프릴, 비즈로 장식되어 화려한 트리밍이 많이 사용되 어, 아르누보 이전의 과도한 장식적 요소를 나타내고 있다. 몸판은 끈으로 레이싱되어 타이트하며, 트레인은 나무껍질 주름(treebark pleat)처럼 층을 이루었다. 러 프 칼라 형태에 보석을 달아 목선을 강조하고, 머리는 위로 올리고 붉은 보석으로 장식하였다. <Fig. 19>에서 토마스 루실의 짙은 청록색(deep green-blue)의 화려 한 가운(gown)은 상체가 피트하며 드레이프(drape)된 가장자리에 레이스 장식과 밑단 쪽으로 플레어지고, 뒷부분은 트레인 형태로 버슬 실루엣을 이루고 있다. 가운 몸판, 겉 스커트, 트레인은 벨벳으로 만들고, 아 래의 태피터 언더스커트는 앞면이 매끄럽고 주름이 겹겹이 층을 형성하여 겉의 벨벳 형태를 유지하였다. 주름진 밑단, 칼라, 소맷단에 광택이 우수한 두피오니 실크(dupioni silk)를 사용하였다. 검은색 트리밍으로 앞 중앙, 소매, 몸통 뒷부분 중앙 전체에 아플리케로 되어 있고, 파스망트리의 일종인 잎사귀 모티프, 칼라 와 소매는 프릴, 아코디언 주름, 레이스 장식 외에 화 환과 발톱 모양 도토리장식 트리밍이 목 앞부분, 커프 스, 스커트 가장자리, 뒤판 등 의복 여러 부분에 장식 되어 아르누보 이전의 과도한 장식이 성행한 1880년 대 복식을 나타내었다. 이디스와 같이 산책 중 쉬는 장면에서 루실이 착용한 검은색 벨벳 드레스(Fig. 20) 는 앞부분에 레이스로 장식되고, 타이트 슬리브에 힙 이 돌출된 버슬 실루엣이다. 이 드레스는 루실의 다 른 드레스에 비해 트레인은 적지만 아플리케 레이스 장식, 러플, 프릴 등 장식 요소를 과도하게 많이 이용 하여 아르누보 예술 양식이 성행 전의 1880년대 복식 특징을 나타내었다. <Fig. 20>의 드레스는 가슴에 목 선을 따라 빅토리아시대에 사용된 수타쉬(soutache) 브레이드, 파스망트리(passementerie) 아플리케, 갈란 드(garlands) 화환과 발톱 모양의 도토리장식으로 이 루어지고, 모자는 검은 리본과 흑옥으로 장식되었다. 드레스는 드레이프(drape)된 가장자리 레이스 장식과 밑단 쪽으로 플레어지며, 뒷부분은 트레인으로 구성 되었다. 흰 칼라와 소매부리는 에크루 보빈 레이스 (ecru bobbin race)로 장식되었다. 파스텔 톤의 이디스 의상과는 달리 루실 복식은 짙은 청록색, 진홍색, 검 은색의 짙은 색상 드레스를 통해 강한 성격을 상징하 였다. <Fig. 21>의 르뎅코트 형태 외투도 짙은 회색 (charcoal)을 사용하여 같은 효과를 나타내며, <Fig. 22>의 드레싱 가운 속의 잠옷은 앞가슴 부분을 스모 킹으로 장식하였다.

    <Crimson Peak>를 통해 이디스와 루실 복식의 조 형적 특징을 분석한 결과, 실루엣의 경우, 이디스 의 상 형태는 대부분 아워 글래스 스타일이었으나 우아 한 S커브 실루엣도 이용되었고, 루실 의상은 형태는 버슬 스타일이 주로 이용되었다. 색채의 경우, 이디스 복식은 아이보리색과 같은 파스텔 톤의 옅은 색상이 나 옐로우 계열의 색상이 많았고, 루실 복식은 짙은 레드, 블루, 블랙 등 강렬한 색상이 이용되었다. 소재 의 경우, 이디스 복식은 시폰, 새틴과 같이 가볍고 부 드러운 소재 외에 태피터, 울 등 다양한 소재가 착용 되었고, 루실 복식은 벨벳 소재가 주로 이용되었다. 아이템의 경우, 이디스 복식은 테일러드 슈트, 블라우 스 & 스커트, 코트가 많이 착용되었고, 루실 복식은 드레스가 주로 착용되었다. 이디스 복식은 넥타이, 애 도 벨트, 안경, 밀짚이나 펠트 모자, 우산, 짧은 장갑, 리본장식 등 다양한 품목의 액세서리가 많이 이용된 반면에, 루실 복식은 도토리 모양과 화환 장식의 파스 망테리, 칼라와 소매의 레이스나 프릴 장식 등 트리밍 이 많이 이용되었다. 이디스 복식은 부드러운 곡선 장 식, 식물 문양 트리밍이 의상 일부만 이용되었으나, 루실 복식은 트리밍, 파스망테리, 트레인, 프릴 등이 의상 전체에 장식되거나 여러 부분에 과도하게 장식 되었다. 이와 같이 이디스 복식은 실루엣, 색채, 소재, 장식요소 등에서 1890년대와 1900년대 초기의 아르 누보 예술 양식 영향이 두드러지게 표현되었으나, 루 실 복식은 아르누보 영향기 이전의 1880년대의 버슬 스타일 복식 특징이 나타난 것으로 분석되었다. 위 내 용을 조형적 요소인 형태, 색채, 소재 외에 액세서리 및 트리밍, 아이템을 포함하여 여성 복식 분석 결과를 표로 나타내면 <Table 1>과 같다.

    2. Architecture and crafts

    건축의 경우, 이디스가 결혼 전 거주한 버팔로 주 택의 울타리 철제 장식 조형물(Fig. 23)과 구불거리는 곡선으로 구성된 앨러데일 홀 입구의 아치형 조형물 (Fig. 24), 소용돌이치고 교착하는 곡선으로 이루어진 크림슨 피크의 현관문(Fig. 25) 및 실내 나무 벽면 (Fig. 26)에 장식된 굽이치는 듯한 곡선은 모두 유동 적이고, 유기적인 조형 양식으로 표현되었다.

    앨러데일 홀 입구(Fig. 24)와 저택의 건축물(Fig. 27)은 수직으로 높게 지어져 고딕풍을 강조하고 있으 며, 외관의 짙은 브릭(brick)색과 조화되게 내부도 짙 은 색이다. <Fig. 28>의 실내 2층 난간을 지탱하는 천 장도 고딕풍의 뾰족한 형태로 만들어져 아르누보 예 술양식 시기의 건축가들이 추구한 중세 고딕풍의 영 향이 반영되었으며, 실내 계단 난간 기둥(Fig. 29)도 유기적으로 연결되는 연속선으로 수직 기둥을 형성하 였다. <Fig. 30>의 현관 입구 로비의 벽난로 상단 부조 벽면 장식과 <Fig. 29>의 2층 난간에서 계단으로 연결 된 벽면의 종교적인 성스러운 장면에서도 중세 고딕 풍이 연출되고, 버팔로 주택 실내의 스테인드글라스 (Fig. 31)도 고딕 건축양식의 특징을 나타내었다.

    <Fig. 32>의 버팔로 주택 실내 벽면은 아르누보 예 술의 주요 주제인 꽃, 잎사귀의 식물 배경에 사자, 호 랑이, 새의 동물 문양이 중앙에 위치한 연결된 패턴으 로 되어 있다. <Fig. 33>의 계단 엄지기둥 상단은 유기 적인 곡선으로 장식되고, 기둥 상단 위의 실내 장식등 도 우아한 곡선이 이용되었다. 인테리어 효과를 내는 실내 벽면을 포함한 건축물, 공예품 모두 아르누보 영 향을 받은 조형예술을 나타내고 있다. <Fig. 34>의 새 장 형태 엘리베이터는 가장자리와 구조를 주철로 만 들며(Mark & Guillermo, 2015), 구조물 상단부와 상 단 장식 부분이 유기적인 선으로 구성되어 아르누보 영향을 나타내었다. <Fig. 35>의 버팔로 저택 욕실 거 울의 가장자리는 용솟음치는 곡선들로 교착되어 장식 되었고, 세면대의 가장자리는 우아한 곡선으로 이루 어져, 아르누보 예술 양식의 역동성과 부드러움을 나 타내었다. <Fig. 36>의 침실 벽난로 주위 벽면 장식은 전체적으로 구불거리는 유기적인 곡선으로 표현되었 으며, 소파형 의자 가장자리에는 흐르는 듯한 곡선으 로 디자인되어 나방 형태를 상징하였다. 나방 형태의 금속가공 장식 부분은 복잡하게 얽힌 디자인으로 되 어 있으며, 앨러데일 홀 복도의 벽지도 나방패턴이 사 용되었다. 소파형 싱글 의자나 더블 의자는 1900년대 나 그 이전 시기를 나타내며, 나방을 형상화한 소파 모양이나 패턴도 아르누보 시대의 자연적인 식물과 생물을 주제로 표현하였다(Mark & Guillermo, 2015). 그 외 실내 의자(Fig. 37)와 침대(Fig. 38)도 유기적인 곡선으로 구성되었으며, 벽지(Fig. 39)도 나비문양 패 턴이 반복되어 아르누보 예술 특징을 나타내었다.

    <Fig. 40>의 금속 촛대는 굽이치는 곡선으로 이루 어진 식물의 뿌리와 줄기 형태로 제작되었고, <Fig. 41>의 일본풍 꽃문양으로 장식된 도자기 다기세트는 아르누보 영향기의 이국주의 영향을 표현하였다. <Fig. 42>에서 나타난 부드러운 곡선의 가장자리로 된 벽면 의 전등갓과 구불거리는 곡선으로 제작된 브라켓 (bracket), <Fig. 43>의 피아노 악보 받침대 등의 공예 품에도 유기적인 곡선이 적용되었다. <Fig. 44>의 이 디스 쿠싱 가족묘지 앞의 조각물은 아르누보 예술의 주 소재인 천사 움직임을 형상화하여 장식되었다.

    아르누보 예술 양식이 적용된 건축 분야의 조형적 특징은 구불거리거나 교착하는 유기적인 곡선과 수직 선, 유동적인 형태와 중세 고딕풍의 뾰족한 첨탑 형 태, 벽돌색의 어두운색에, 금속, 유리, 나무 소재를 주 로 사용하였다. 모티프로 식물 외에 새, 사자, 호랑이, 나방 등의 동물 및 종교적인 문양을 이용하였고, 특히 곤충 문양 중 자연주의에 기인한 나방 형태의 모티브 가 건축과 공예 부분에 공통으로 많이 이용되었다. 공 예분야는 부드럽고 유기적인 곡선, 유동적인 형태, 부 드러운 색, 갈색, 금속색에 금속, 유리, 나무, 도자기 등 다양한 소재가 사용되었다. 모티프는 식물, 곤충 외에 천사, 종교적인 내용 등 다양한 모티프가 이용되 었다. 아르누보 예술 양식이 적용된 조형예술 분야의 조형적 특징은 <Table 2>와 같다.

    이상과 같이 아르누보 영향기 조형예술 분야에 표 현된 조형적 특징 분석 결과, 사회•문화적 배경이 아 르누보 예술기에 끼친 영향은 인상주의 영향에서 파 스텔 색상과 부드럽고 비치는 시폰 소재로 이중적인 색채효과를 나타내어 조형예술 중 복식에서 가장 특 징적으로 나타났다. 중세 고딕풍의 역사주의는 수직 적인 설계와 종교적 내용의 부조 장식으로 구성된 건 축물에 표현되었으며, 이국주의 영향은 중국풍 화병 과 일본문양의 다기세트 공예품에 적용되었다. 자연 주의 영향은 동•식물 모티프를 통해 복식, 건축, 공 예에 공통적으로 나타났으며, 상징주의에서 선호하는 나비 모티프도 가구에 많이 이용되었다. 테일러드슈 트, 넥타이, 맥고모자 등의 남성복식 요소가 도입된 여성복을 통해 진취적인 여성의 활발한 사회활동 현 상으로 나타난 것으로 고찰되었다.

    Ⅴ. Conclusion

    시대극 <Crimson Peak>를 통해, 아르누보 예술 영 향기의 복식•건축•공예 각 분야에 표현된 조형적 특징을 분석하여 아르누보 예술 영향기의 사회•문화 적 배경이 조형예술에 끼친 영향을 고찰한 내용은 다 음과 같다.

    복식분야에서, 이디스 복식은 레그 오브 머튼 슬리 브로 구성된 아워글래스 실루엣, 인상주의 영향의 옅 은 파스텔 색상, 가볍고 비쳐보이는 부드러운 소재, 유기적인 곡선의 자수 장식 및 다양한 액세서리 착용 이 특징적이었고, 형태, 색채, 소재, 장식요소 등에서 1890년대와 1900년대 초기의 아르누보 예술 양식 영 향이 두드러지게 표현되었다. 그리고 슈트, 맥고모자, 넥타이 등의 남성 복식 요소 외에 심플한 디자인의 블 라우스와 스커트로 구성된 투피스 아이템이 많이 착 용되어 활동적이고 진취적인 여성을 상징하였다. 이 에 반해 루실 복식은 아르누보 영향기 이전의 1870년 대 말기부터 1880년대에 유행한 버슬스타일 드레스 가 주로 착용되며, 강렬하고 짙은 색상과 두꺼운 실크 소재로 극 중의 강하고 잔혹한 면이 잘 표현되어 캐릭 터가 극대화되었다. 또한, 다양한 트리밍 장식이 복식 의 여러 부분에 사용되어 아르누보 영향기 이전에 유 행한 과도한 장식으로 이디스 복식과 대조적으로 분 석되었다.

    건축•공예 분야에서, 유기적인 선과 유동적 형태 가 공통적으로 이용되었다. 이외에도 건축에서는 중 세의 역사주의에 의한 수직선과 고딕풍의 뾰족한 첨 탑 구조물과 종교적 내용의 부조 장식이 특징적으로 표현되었으며, 벽돌 구조물의 짙은 브릭색과 조화되 게 실내 기둥 및 계단 등의 실내 인테리어 및 나무소 재 공예품은 대부분 짙은 갈색이었다. 금속 촛대나 거 울 장식의 공예품은 은색, 금속색이 많이 이용되었고, 부드러운 파스텔 색은 벽지나 도자기에 이용되었다. 아르누보 영향기의 특징적 소재인 금속, 유리 외에 나 무, 도자기 등도 이용되었으며, 모티프는 식물, 동물 외 에 천사, 종교적 내용 등 다양한 주제가 이용되었다.

    아르누보 예술 양식이 적용된 조형예술 각 분야의 특징 분석 결과, 선과 형태에서 복식은 구불거리는 선 과 교착하는 곡선, 아워글래스 실루엣, S커브 실루엣, 버슬 실루엣이 주를 이루었으며, 건축과 공예의 경우, 구불거리거나 교착하는 유기적인 곡선, 유동적인 형 태가 공통적으로 나타나며, 건축의 경우 중세 고딕풍 의 뾰족한 수직선 건물이 많이 이용되고, 공예에서는 유기적인 곡선 외에 나방 형태가 이용되는 차이점이 있었다. 색상의 경우, 복식은 주로 파스텔색이나 노란 색 계열, 파란색 계열이 사용되었고, 건축에서는 어두 운 벽돌색, 공예품의 경우 부드러운 계열의 색이 사용 되었다. 소재에서 복식은 태피터, 시폰, 새틴, 벨벳, 울 이 사용되었으며, 건축과 공예품은 금속, 유리, 나무, 도자기 등을 사용하였다. 모티프에서 복식은 식물 모 티프가 많이 이용되었고, 건축과 공예품은 식물 외에 동물, 천사, 종교적인 내용의 모티프로 다양하였다. 이상과 같이 아르누보 영향기의 복식, 건축, 공예의 조형예술 분야에서 조형적 특징을 분석한 결과, 형태, 선, 색채 및 소재 등의 조형요소에서 물결치듯 구불거 리면서 길게 이어지는 유기적인 곡선과 유동적인 형 태로 표현되어 유사하게 고찰되었다. 호러물의 영화 내용상 건축은 짙은 브릭색이 많이 이용된 것 외에, 파스텔 색조와 유기적인 식물 모티브가 공통적으로 고찰되었다.

    영화에 표현된 아르누보 영향기의 사회•문화적 배경이 조형예술에 끼친 영향은 파스텔 색상과 부드 럽고 비치는 소재의 복식에 나타난 인상주의, 수직적 인 설계와 종교적 내용의 부조 장식으로 된 건축물에 표현된 중세 고딕풍의 역사주의, 중국풍 화병과 일본 문양의 다기세트에 나타난 이국주의, 동•식물 모티 프의 자연주의 및 남성복식 요소가 도입된 여성복을 통해 진취적인 여성의 활발한 사회활동 현상으로 나 타났다. 또한 극에서 빅토리아시대 장신구가 이용되 고 회화의 복식을 그대로 재현한 드레스 착용으로 역 사 고증에 충실하였다.

    극 중의 앨러데일 저택 내부는 불길한 분위기 연출 로 명도가 낮고 어둡게 표현되어 분석에 어려움이 있 었고, 루실은 과거의 자신 가문과 귀족 품위 유지에 집착한 캐릭터이고 의상 구입의 경제적 능력이 없어, 의상이 이디스에 비해 제한적이었다. 극에서 회화 자 료가 불충분하여 본 연구에서는 다루지 않았지만, 향 후 연구는 회화까지 포함된 아르누보 조형예술 분야 의 총체적 연구가 이루어져야 될 것으로 본다.

    Figure

    RJCC-30-1-145_F1.gif

    Bustle style dress Reprinted from Chung. (2013). p.338.

    RJCC-30-1-145_F2.gif

    Tailored suit Reprinted from Bae. (2008). p.267.

    RJCC-30-1-145_F3.gif

    Evening dress Reprinted from Bae. (2008). p.267.

    RJCC-30-1-145_F4.gif

    Stairs of mansion Reprinted from Chung. (2013). p.339.

    RJCC-30-1-145_F5.gif

    Castel Béranger Reprinted from Lydia. (2002/2005). p.66.

    RJCC-30-1-145_F6.gif

    Table chair Reprinted from Lydia. (2002/2005). p.24.

    RJCC-30-1-145_F7.gif

    Necklace pendant Reprinted from Lydia. (2002/2005). p.57.

    RJCC-30-1-145_F8.gif

    Suit Reprinted from Greene & Toro. (2015).

    RJCC-30-1-145_F9.gif

    Blouse & skirt Reprinted from Greene & Toro. (2015).

    RJCC-30-1-145_F10.gif

    Blouse & skirt Reprinted from Greene & Toro. (2015).

    RJCC-30-1-145_F11.gif

    Dress Reprinted from Greene & Toro. (2015).

    RJCC-30-1-145_F12.gif

    Dress Reprinted from Greene & Toro. (2015).

    RJCC-30-1-145_F13.gif

    Dress Reprinted from Greene & Toro. (2015).

    RJCC-30-1-145_F14.gif

    Coat Reprinted from Greene & Toro. (2015).

    RJCC-30-1-145_F15.gif

    Gown Reprinted from Greene & Toro. (2015).

    RJCC-30-1-145_F16.gif

    Nightgown Reprinted from Greene & Toro. (2015).

    RJCC-30-1-145_F17.gif

    Nightgown Reprinted from Greene & Toro. (2015).

    RJCC-30-1-145_F18.gif

    Dress Reprinted from Greene & Toro. (2015).

    RJCC-30-1-145_F19.gif

    Dress Reprinted from Greene & Toro. (2015).

    RJCC-30-1-145_F20.gif

    Dress Reprinted from Greene & Toro. (2015).

    RJCC-30-1-145_F21.gif

    Coat Reprinted from Greene & Toro. (2015).

    RJCC-30-1-145_F22.gif

    Nightdress Reprinted from Greene & Toro. (2015).

    RJCC-30-1-145_F23.gif

    Buffalo house Reprinted from Greene & Toro. (2015).

    RJCC-30-1-145_F24.gif

    Arched iron Reprinted from Greene & Toro. (2015).

    RJCC-30-1-145_F25.gif

    Front door Reprinted from Greene & Toro. (2015).

    RJCC-30-1-145_F26.gif

    Wood wall Reprinted from Greene & Toro. (2015).

    RJCC-30-1-145_F27.gif

    Allerdale hall Reprinted from Greene & Toro. (2015).

    RJCC-30-1-145_F28.gif

    Railing pillar Reprinted from Greene & Toro. (2015).

    RJCC-30-1-145_F29.gif

    Hall Reprinted from Greene & Toro. (2015).

    RJCC-30-1-145_F30.gif

    Fireplace Reprinted from Greene & Toro. (2015).

    RJCC-30-1-145_F31.gif

    Stained glass Reprinted from Greene & Toro. (2015).

    RJCC-30-1-145_F32.gif

    Wallpaper Reprinted from Greene & Toro. (2015).

    RJCC-30-1-145_F33.gif

    Newel post Reprinted from Greene & Toro. (2015).

    RJCC-30-1-145_F34.gif

    Elevator Reprinted from Greene & Toro. (2015).

    RJCC-30-1-145_F35.gif

    Mirror Reprinted from Greene & Toro. (2015).

    RJCC-30-1-145_F36.gif

    Sofa-type chair Reprinted from Greene & Toro. (2015).

    RJCC-30-1-145_F37.gif

    Chair Reprinted from Greene & Toro. (2015).

    RJCC-30-1-145_F38.gif

    Head of bed Reprinted from Greene & Toro. (2015).

    RJCC-30-1-145_F39.gif

    Wallpaper Reprinted from Greene & Toro. (2015).

    RJCC-30-1-145_F40.gif

    Candelabrum Reprinted from Greene & Toro. (2015).

    RJCC-30-1-145_F41.gif

    Tea set Reprinted from Greene & Toro. (2015).

    RJCC-30-1-145_F42.gif

    Wall lamp Reprinted from Greene & Toro. (2015).

    RJCC-30-1-145_F43.gif

    Music stand Reprinted from Greene & Toro. (2015).

    RJCC-30-1-145_F44.gif

    Family headstone Reprinted from Greene & Toro. (2015).

    Tabl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women’s costumes on <Crimson Peak>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Art Nouveau’s arts on <Crimson Peak>

    Reference

    1. Altmayer, E. (Producer), & Zem, R. (Director). (2015). Chocolat [Film]. Paris: Mandarin Cinéma.
    2. Aronson, L. (Producer), & Allen, W. (Director). (2011). Midnight in Paris [Film]. New York: Sony Pictures Classics.
    3. Bae, S. J. (2008). Contemporary fashion & historic costume in the west. Seoul: Soohaksa.
    4. Baron, F. (Producer), & Luhrmann, B. (Director). (2001). Moulin Rouge [Film]. Sydney: Bazmark Productions.
    5. Bevan, T. (Producer), & Frears, S. (Director). (2017). Victoria & Abdul [Film]. Universal City, CA: Universal Pictures.
    6. Blanche, P. (1988). History of costume: From the ancient egyptians to the twentieth century (J. N. Lee, H. J. Ahn, S. Y. Kim, & M. S. Kim, Trans.). Seoul: Ggachi. (Original work published 1965)
    7. Boeffard, P. (Producer), & Ocelot, M. (Director). (2018). Dilili in Paris [Film]. Paris: Nord-Ouest Films.
    8. Choi, K. H. (2007). Sexuality expressed in the 19C fashion in foucauldian post-structural perspective -Focusing on femininity and masculinity represented in the mainstream fashion and anti-fashion in the middle and latter of the nineteenth century-.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15(2), 232-251.
    9. Choi, Y. J. , & Choi, J. H. (2008). Fashion images of the France posters of the late 19th century.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16(5), 812-825.
    10. Chung, H. S. (1989). 근대복식문화사 [Modern costume culture history]. Seoul: Gyomoonsa.
    11. Chung, H. S. (2004). A study on movie costumes. Proceeding of the Costume Culture Conference, 84-86.
    12. Chung, H. S. (2013). 서양복식문화사 [A history of fashion]. Seoul: Gyomoonsa.
    13. Cohen, D. S. (2015, September 30). ‘Crimson Peak’ costume designer mixes frills and chills for victorian story. Variety. Retrieved February 7, 2022, from https://variety.com/2015/artisans/news/crimson-peak-costume-designer-kate-hawley-1201603363/
    14. Csfd. (2015). Crimson Peak [Movie post]. Csfd. Retrieved November 30, 2021, from https://www.csfd.cz/film/146130-purpurovy-vrch/filmoteka/
    15. Cunnington, C. W. , & Cunnington, P. (1970). Handbook of English costume in the nineteenth century. London: Faber and Faber.
    16. Greene, C. (Producer), & Toro, G. D. (Director). (2015). Crimson Peak [Film]. Universal City, CA: Universal Pictures.
    17. Hwang, B. B. , & Lee, S. J. (2000). Art Nouveau 1892-1902: Fin de siecle or a transient phase in modern architecture.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Journal, 25, 198-204.
    18. IMDb. (2015). Crimson Peak [Movie post]. Retrieved November 30, 2021, from https://www.imdb.com/title/tt2554274/?ref_=nv_sr_srsg_0
    19. Kim, S. H. (1999). A study of meanings and characteristics of Art Nouveau.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Journal, 19, 98-104.
    20. Kim, J. S. (2013).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Art Nouveau in contemporary fashion design. Unpublished master’s thesis, Hongik University, Seoul, Korea.
    21. Kim, M. J. , Choi, H. S. , Kim, Y. H. , Ha, J. S. , Choi, S. H. , & Go, H. J. (2010). Western fashion multicontents. Seoul: Gyomoonsa.
    22. Kim, Y. I. , Kim, S. W. , Kim, J. S. , Kim, H. Y. , Song, G. O. , Lee, Y. H. , . . . Han, E. J. (2006). Look. Seoul: Gyomoonsa.
    23. Larsen, K. (Producer), & Jacquot, B. (Director). (2015). Diary of a chambermaid [Film]. Belgique, Liege: Les Films du Fleuve.
    24. Lee, H. K. , & Chung, H. S. (2007). A study on the cinema costume for the “TITANIC”.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7(1), 1-16.
    25. Lydia, L. D. (2005). Art Nouveau (I. S. Jin, Trans.). Seoul: Yekyong. (Original work published 2002)
    26. Mark, S. , & Guillermo, D. T. (2015). Crimson Peak the art of darkness. London: Titan Books.
    27. Nam, H. K. , & Song, S. K. (2009). A study on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Art Nouveau ornam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Design Culture, 15(3), 110-121.
    28. Nationalclothing. (2019, October 7). Crimson Peak stage costumes. Delicate and ornate gowns of Edith Cushing. Retrieved February 7, 2022, from http://nationalclothing.org/582-crimson-peak-stage-costumes-delicate-and-ornate-gowns-of-edith-cushing.html
    29. Oh, J. H. , & Lee, I. S. (2008). To compare and analyze costumes in the film 「The great Gatsby」 and Y&Kei collection.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16(6), 1050-1063.
    30. Park, S. J. (2015). Structural simplicity examined from a perspective of the comparison of architecture and fashion. Journal of the Korea Fashion & Costume Design Association, 17(1), 1-11.
    31. Pasolini, U. (Producer), & Donnellan, D. (Director). (2012). Bel Ami [Film]. New York: Magnolia Pictures.
    32. Phillips, C. (1999). Jewelry: From antiquity to the present (S. Kim, Trans.). Seoul: Sigongsa. (Original work published 1996)
    33. Pierre, R. (2015, October 16). [Critique] Crimson Peak. Le Blog Du Cinema. Retrieved February 7, 2022, from https://www.leblogducinema.com/critique/critique-film/critique-crimson-peak-75308/
    34. Pond, S. (2015, December 22). The design secret of ‘Crimson Peak’: The house is the real monster. The Wrap. Retrieved February 7, 2022, from https://www.thewrap.com/the-design-secret-of-crimson-peak-the-house-is-the-real-monster/
    35. Stamp, E. (2015, October 15). Inside the beautifully twisted world of Crimson Peak. Architecturaldigest. Retrieved February 7, 2022, from https://www.architecturaldigest.com/story/crimson-peak-set-design-article
    36. Waddell, R. (2014). World practical pattern collection (Bandimoa, Trans.). Seoul: Bandimoa. (Original work published 1977)
    37. Yang, S. H. , & Lee, Y. H. (2017). Characteristic of magical realism expressed in Tarsem Singh’s movie [Mirror, mirror].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25(3), 375-390.

    Appendi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