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rossref logo
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6-0401(Print)
ISSN : 2383-6334(Online)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Vol.30 No.3 pp.348-365
DOI : https://doi.org/10.29049/rjcc.2022.30.3.348

Development of modern women’s Hanbok design by analyzing design elements

Eunju Park, Youngju Rhee*
Adjunct Professor, Dept. of Fashion Industry, Sungshin Women’s University, Korea
*Associate Professor, Dept. of Fashion Industry, Sungshin Women’s University, Korea
Corresponding author (yrhee@sungshin.ac.kr)
April 5, 2022 May 12, 2022 May 17, 2022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Korean clothing designs that can satisfy future consumer’s needs based on the elements extracted through the content analysis method in a study on the design elements expressed in traditional outfits in the 2010s. To this end, data analyzing Hanbok in wedding magazines were used, and after extracting design elements, research methods for empirical design development were used. After subclassifying the major design elements, factors with a steady increase in frequency and appearance rate were identified. Through this, five elements capable of aesthetic sampling were extracted by complex expression methods and expressed in a total of seven combinations. The types extracted from the design elements are items, silhouette, top shape, skirt shape, skirt length, mixed items with increasing frequency. In the element of color, the adjacent color harmony, which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of color, and the white-blue harmony, which showed an increase among them, were extracted. When using materials, top and skirt have similar usage rates of the same and different materials, so both contents were extracted, and many patterns were arranged in the top and the whole, but these three were extracted because there were increasing cases where there were no patterns. In the case of decoration, embroidery, pintuck, sakdong, applique, lace, ribbon on the top, silver foil and print on the skirt were extracted. Through this study, it was possible to propose a future Korean costume design model.



디자인 요소 분석을 통한 현대여자한복 디자인 개발

박 은 주, 이 영 주*
성신여자대학교 의류산업학과 겸임교수
*성신여자대학교 의류산업학과 부교수

초록


    I. Introduction

    패션에서 유행 스타일은 패션혁신자들을 통해 소개되고 일반화되는 사이클을 보이는데, 한국복식의 유행의 변화는 주로 역대 영부 인들이 그 역할을 수행해 주었고, 이를 통해 전통적인 한국복식 발전의 요인이 되기도 하였다(Kim, 1993). 이 외에도 한국복식의 발전에 큰 영향을 준 것은 매스 미디어의 역할이라 볼 수 있는데, KBS․MBC․SBS 등 방송 3사와 케이블TV에서 방영한 사극에서는 그 시대상에 맞는 고증된 전통의상을 재현함은 물론 트 렌디한 감각을 가미하여 한복의 다양한 변화를 연출 하였다. 이러한 미디어는 2000년 이후에 사극 중 한복 의 역할이 크게 바뀌어가고 있음을 보여 주었다.

    현대의 한국복식은 지금까지와는 다른 급격한 변 화를 보이고 있다. 글로벌화에 따른 세계 각국의 경향 으로 국가나 민족 간의 경계가 무너지고 있지만, 동시 에 각 국가나 민족의 특수성을 두각시키려고 하는 움 직임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것이다. 패션분야에서 도 이러한 영향으로 민속풍과 레트로가 나타나며, 에 스닉과 한국적인 미를 표현하려는 노력이 다양하게 시도되고 있다. 또한 색상과 소재의 복고풍, 민화를 이용한 한국 소품, 한복의 형태나 구성을 응용한 현대 의상들, 전통문양과 장식기법을 응용한 한복디자인 등을 개발함으로써, 현대 한국복식의 유행에 큰 역할 을 하게 되었다. 또한 국가사업인 2004년의 ‘한브랜드 화’ 사업과 2006년의 ‘한패션’ 사업 등으로 인해 한국 복식의 발전 계기가 마련되었다. 한편, 국내에서 예복 이나 혼례복의로서의 한복의 가치는 평가 절하되어 있음을 실무에서 수십 년간 한복디자인을 하고 있는 연구자가 느끼는바, 이를 극복하기 위해 디자이너와 학계의 노력, 또한 정부의 지원도 절실하다고 사료되 었다. 지금까지 한국복식 개발에 관한 연구는 한 가지 의 디자인 요소를 응용한 연구가 주류였으므로, 본 연 구에서는 5가지의 디자인 요소를 통합하여 분석한 총 체적인 데이터(Park, 2022)를 근거로 응용작품으로 개 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외적으로 어필할 수 있는 미 학적 측면의 한국복식 디자인을 개발하여, 침체되어 있는 국내 혼수한복시장의 활성화와 함께 현대인, 나 아가서 세계인의 욕구에 부합되는 현대 한복의 디자 인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글로벌 문 화 트렌드 속에서 수용 가능한 실용적․심미적인 한 국복식디자인의 개발 연구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II. Review of Literature

    1. Korean traditional costume

    1) The concept of Hanbok, Korean traditional costume

    한복이라는 용어는 예부터 전해 내려오는 사상․ 관습․행위․형태․기술 등의 양식이 깃든 옷으로, 치마․저고리․바지․조끼․마고자․두루마기를 포 함하고 있다(Kim, 2010). 한복이라는 용어가 사용된 것으로 확인되는 시기는 개항기의 서양문명과 본격적 인 접촉이 시작되는 시기로, 1881년 정치일기라는 관 찬기록이다. 이후 황성신문에서 한국의복과 한국예복 이라는 용어도 등장한다(Park, 2022). 이는 ‘한국’이라 는 국가와 ‘의복’ 또는 ‘예복’이 결합된 용어이다.

    반면 한국복식은 한국이라는 특정 지역 안에서 한 국인이 고대부터 착용해온 한국의 전통복식으로, 한 국이라는 지역성에 한해 전승되어온 한국만의 특유한 민족복식을 의미한다(Sung, 2016). 결국 한국복식은 우리 민족의 전통복식을 일컫는 의미로, 이 한국복식 이 현대에 와서 전통 양식을 고수하여 지키는 전통한 복, 생활 속에서 양복의 기능성을 접목한 생활한복, 전통양식의 일부분만 사용하여 현대적으로 변형시킨 퓨전한복 등으로 분류되었다고 볼 수 있다.

    현대의 한국복식은 넓은 의미로 갑신정변 이후부 터 현재까지로 정의되나, 본 연구에서는 최근의 트렌 드를 알아보기 위한 협의의 최근 10년간 현대 한국복 식을 다루었다.

    2) The process of changing Hanbok

    우리나라가 1910년~1945년까지 일본에 의해 강제 합병되어 지배를 받는 기간 동안, 한국복식은 전통복 식을 간편하게 개량하는 방향과 서양복식의 수용이라 는 두 방향으로 진행되었다. 한국복식은 이후 개화기 를 거치며 여학생과 전도부인, 신여성에 의해 개량이 시작되어 개량한복이 등장하고, 양장의 착용은 증가 하면서 점차 한복은 예복화되기 시작했다(Sung, 2016). 즉, 1950년대 말부터 1960년대 초에 활동적인 의복 사용을 위한 다양한 방안이 시도되었고, 물자절약 및 활동성에 중점을 둔 한복의 개량(Na, 2019)과 양장의 보급, 한복의 예복 기능의 강화와 같은 흐름으로 전통 한복은 쇠퇴의 길을 걷게 된다. 1970대에는 장식성을 추구하는 방향으로 유행이 전환되며, 치마 실루엣이 항아리 형태에서 A-line으로 변화하였다. 다양한 서양 식 배색이 시도되기도 하며, 화려한 색채, 대담한 문 양, 많은 자수와 화려한 금박 등을 넣어 장식성을 강 조한 예복으로의 한복이 많이 나타났다. 이후 1980년 대 급속한 경제발전 속에 전통문화 보급의 일환으로 생활한복이 개발되어 일상복으로 착용하기 시작하였 다(Kim, Kim, & Jo, 2005). 1980년대는 컬러TV의 등 장과 86아시안게임, 88올림픽의 국제적 행사 개최를 기점으로 전통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화려함이 나 지나친 장식성보다는 단아하고 우아한 전통미를 찾으려는 경향들이 나타나기 시작했다(Ahn, Kim, & Yang, 1998). 1990년대는 학계의 복식사 연구가 강화 되며 고증에 의한 디자인 강세가 나타나며, 시장을 중 심으로는 복고풍이 유행한 시기이다. 2000년대는 국 내 한복디자이너들에 의해 한복의 디테일이 강조되는 시기로, 자수나 금․은박, 조각보 등의 장식적 측면에 서 다양한 디자인이 시도되면서 한복시장은 호황기를 맞는다. 2010년대는 생활한복의 현대화와 신한복이 등장하는데, 최근 들어 국내외에서 그 수요가 점차 늘 어나는 추세로 한복진흥센터의 설립과 신진 디자이너 들의 시장진출이 단독 매장뿐만 아니라, 정부지원의 팝업스토어 등에서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3) Industry status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s

    한복 시장의 규모는 매출을 파악한 자료가 없어 정 확한 매출을 잡기는 어려우나, 2002년 결혼 건이 약 37만 쌍인 것으로 추산할 때 신랑, 신부 2벌과 양가모 2벌의 4벌씩 총 148만 벌, 여기에 한 벌당 평균 30만 원(소매기준)을 상정하면 약 4천 440억 원대의 시장 을 형성했다고 보고 있다(Kim, 2011). 국내의 한복산 업은 2007년 한복산업에 대한 조사에서도 전근대적 인 생산시스템에 종업원 평균 1~2명, 매출액 2,000만 원에서 5,000만 원 사이의 소상공인 체제의 사업형태 로 기업의 영세성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Jo & Kim, 2010). 2018년 섬유산업연합회에 따르면 국내 한복 시장 규모는 약 1조 3000억 원이다. 이 중 섬유․원단 을 제외한 도․소매 한복제품 시장은 6,000억 원 정 도로 추정된다. 그것도 75%가 가족 단위로 운영하는 소규모 사업체로 경영 상태가 열악하다(E. Y. Kim, 2018). 통계청의 자료를 바탕으로 전국 한복 소매업 사업체 수, 종사자 수, 매출액을 정리하면 <Table 1>과 같다.

    <Table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전국의 한복사업체 수가 계속 감소하고 있으며, 종사자 수와 매출액 또한 감소하는 추세이다. 오프라인에서의 전통한복 구매력 이 계속 감소함을 알 수 있는데, 온라인 한복소매업에 관한 연구에서 2011년 1/2분기와 2/4분기 통계에 의 하면 온라인상의 전통한복 구매가 약 11% 증가하고 있어 오프라인보다는 온라인 거래가 더욱 활성화되어 가고 있지만, 오프라인의 사업체나 종사자 수가 59% 감소한 것과 온라인 증가세 11%를 대비해 보면 사실 상 한국복식의 구매는 감소하고 있는 추세라고 밝힌 바 있다(Kim, 2011).

    한국복식의 구매는 점포형의 포목점 및 주단집, 한 복 맞춤점, 디자이너 단독샵, 생활 한복점, 혼수 전문 점과 한복 대여점, 무점포형의 인터넷 쇼핑몰과 오픈 마켓 등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최근 몇 년 사이 급격 한 증가세를 보이는 한복대여점은 IMF 사태 이후보 다 실용화된 형태의 생활한복의 출현과 함께 예복으 로 입는 한복에 대하여 소유보다는 대여의 개념으로, 의식에 맞게 용도에 맞게 빌려 입는 것으로 출현하였 다(Park, 2013). 한복 대여는 코로나19 직전까지 국내 외 소비자에게 환영받아 성장 추세에 있었으며, 새로 운 마케팅의 방안으로 받아들여지기도 하였다.

    최근에는 K-pop과 한류의 영향으로 한복에 대한 관심이 크게 증가되었고, ‘한류업계 협업콘텐츠 기획 개발 지원 사업’, ‘2020 한복 비즈니스 교육’, ‘한복교 복 보급 시범사업’ 등의 정부 지원을 통해 코로나19로 국내외 소비자들이 줄어들면서 어려움을 겪었던 한복 업계에서는 생활한복 판매와 온라인 마켓 판매의 측 면에서 상승효과가 커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Jeon, 2021).

    4) Prior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Korean clothing design

    한국복식 디자인 개발에 관한 선행연구는 한복을 항공기 승무원 유니폼에 응용한 Kang(2008)의 연구 와 한복의 형태를 예복, 혼례복과 드레스에 접목시킨 Kwon(2013), Lee(1999), Cheong(2015)의 연구가 있 다. Noh(2011)의 연구에서는 삼국시대 저고리를 섬유 미술 기법으로 응용하여 아트웨어를 개발하였고, 무 대의상과 공연예술의상으로의 한복 디자인을 개발한 연구로는 Oh(2010)Kim(2014)의 연구도 있다. 또, 한복을 20세기 대표적인 표현양식인 오브제로의 개발 을 연구한 Lee(2006)의 연구와 저고리․치마․바 지․두루마기의 구성과 형태․색채․소재․문양․ 장식의 디자인 요소를 고정요소를 선택하여 범위를 제한하고, 예술과 디자인․문화현상․하위문화의 임 의요소를 고정요소와 결합하는 강제결합법을 활용하 여 작품을 개발한 Kim(2020)의 선행연구가 있다. 2000년 이전의 연구는 혼례복, 2000년대에는 오브제 나 생활한복으로, 2010년 이후에는 공연복, 예복, 드 레스, 강제결합법에 의한 전혀 관계없는 양장으로까 지 다양한 방향으로의 한복디자인 개발 연구의 흐름 을 알 수 있다.

    한복디자인 개발 연구는 디자인 요소 중 문양을 복 식과 소품에 응용한 연구가 많았고(Ahn, 2010;Chae, 2006;Choi, 2006;S. H. Kim, 2018;Lee, 2002;Lee, 2017;Lee, 2020;Sung, 2003;Yoo, 2002), 그 외에도 생활한복 또는 퓨전한복의 개발에 관한 연구, 유아동 한복 개발에 관한 연구, 특정 한복의 아이템을 변형한 디자인 연구로 선행연구들이 이루어졌으며, 고찰 내 용은 다음과 같다.

    생활한복, 퓨전한복의 개발에 관한 연구는 여성의 생활한복을 개발한 S. S. Park(2001), 포의류를 이용 한 생활한복 디자인의 C. S. Park(2001), 생활한복의 이미지를 활용한 캐주얼웨어를 개발한 Park(2003), 노 인용 생활한복을 디자인한 Lee(2009)의 연구가 있다. S. S. Park(2001)은 일반인들의 착용의식과 형태․색 상․소재 등의 선호도에 대하여 설문조사한 내용을 근거로 연령과 용도에 따라 차별화된 여성 생활한복 디자인을 제안하였고, C. S. Park(2001)은 한국 포의 류의 시대별 변천과 종류를 고찰한 후, 단령 깃을 응 용한 투피스․원피스․덧저고리, 당의보를 응용한 원 피스, 철릭을 응용한 원피스, 누비를 한 겨울용 상의 와 치마․바지, 직령 깃과 천연염색을 한 잠옷의 생 활한복 디자인을 개발하였다. 20대를 타깃으로 생활 한복 이미지를 활용한 캐주얼웨어를 디자인 개발한 Park(2003)의 연구, 광주광역시에 거주하는 60세~80 세까지의 고령 남성의 생활한복에 관한 의식과 선호 도, 행동양식에 따른 의복행동 등을 조사하여 그에 적 합한 고부가가치 상품으로서의 생활한복의 디자인을 제시한 Lee(2009)의 연구가 있다. 이 외에도 디자인 요소 중 특정 문양이나 특정 장식을 퓨전한복의 디자 인 개발에 활용한 Sul(2013)의 연구가 있다. 생활한복 또는 퓨전한복의 개발에 관한 연구는 일반인의 선호 도에 따른 개발에서 20대 또는 광주시의 고령 남성 등 모집단이 세분화되는 추세였다.

    유아동 한복 디자인을 개발한 연구로는 한스타일 보급화를 위한 Kim(2009)의 유치원복의 연구와 Kim (2015)의 만 3~6세 유아의 성장을 고려한 한복 디자 인 제안이 있고, Na(1999)의 연구에서는 학령기 아동 의 생활한복 디자인을 연구, 개발하였다. 특정 한복의 아이템을 변형한 디자인 연구로는 전통 답호를 연구 하여 현대적으로 해석한 Lee(2011)의 작품 연구와, 전 통 배자를 복식사적으로 고찰하여 현대화 작업을 한 Lee(2008)의 연구가 있다. 최근에는 아트적인 한복디 자인 개발이 아닌, 한복업계에 도움이 될 만한 실용적 인 연구들의 흐름도 보였는데, 코로나19의 팬데믹 사 태 직전까지 고궁을 중심으로 성행했던 한복체험서비 스를 위한 Park(2017)의 체험 한복 디자인 개발 연구 와, 온라인 게임을 중심으로 한 디지털 한복을 개발한 Cho(2017)의 연구가 그것이다. 선행 연구들을 분석한 결과, 본 연구자는 한국복식 디자인을 개발함에 있어 전통복식과 디자인 요소를 활용하여, 2000년대의 유 니폼이나 생활한복의 개발이 아닌 2010년 이후의 다 양한 방향으로의 현대화 흐름에 따른 예복, 드레스, 공연 예술 의상으로의 방향을 설정할 수 있었다.

    Ⅲ. Research Method

    1. Data analysis and procedure

    본 연구에서는 2011~2020년간 선별된 총 434점의 현대 한복 디자인 요소를 분류, 분석한 연구(Park, 2022) 의 결과를 중심으로 디자인 요소들을 추출하여, 앞으 로의 한국복식 트렌드를 반영할 수 있는 현대 한복 디 자인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대분류한 디 자인 요소 즉, 실루엣, 색상, 소재, 문양, 장식을 유형, 형태 및 배치, 방법, 종류 등으로 소분류한 후, 빈도수 와 출현율을 분석한 결과 중 꾸준히 많은 빈도수를 보 이거나, 최근 증가세를 보이며 높은 출현율을 보인 요 소를 <Table 2>와 같이 추출하였다.

    디자인 요소인 실루엣, 색상, 소재, 문양, 장식에서 추출된 유형은 실루엣의 아이템, 실루엣, 상의형태, 치마형태, 치마길이이고, 증가하는 빈도수를 보이는 전통적 변형과 현대적 변형의 믹스 아이템과, 전체 실 루엣과 치마 실루엣에서 압도적으로 많은 출현율을 보인 A라인을 추출해 내었다. 상의형태에서 저고리가 많은 비중을 차지하기는 했지만, 증가세를 보이는 당 의와 블라우스를, 치마형태에서 점차 늘어나는 빈도 를 보인 말기치마, 날개치마, 원피스를 추출해 내었 고, 치마길이는 절대적으로 많은 빈도를 나타낸 맥시 기장으로 정하였다. 색상의 요소에서 배색은 가장 많 은 빈도수를 나타낸 인접색조화와 그중에서도 증가세 를 보인 백청 조화를 추출하였고, 상․하의의 주 색채 는 가장 많은 출현율을 나타낸 순서대로 지백색, 백 색, 설백색, 연분홍색을 추출하였다. 소재의 형태에서 는 상하동일과 상하유별이 비슷한 출현율을 나타내었 으므로 두 가지 내용을 모두 추출하고, 상의에 많이 사용된 옥사, 프린트쉬폰, 노방, 오간자와 하의에 많 이 사용된 옥사, 쉬폰, 노방, 튤을 추출하였다. 문양은 상의와 전체에 많이 배치되어 사용되었지만 문양이 없 는 경우가 증가하는 추세였으므로 이 3가지를 추출하 고, 문양의 종류는 가장 많이 사용된 식물문 중 현대 적변형꽃과 후반기에 출현한 꿩을 추출해냈다. 장식 의 경우, 많은 출현율을 보인 순서대로 상의에는 자 수, 핀턱, 색동, 아플리케, 레이스, 리본을, 하의에는 은박과 나염을, 장신구로는 노리개, 브로치, 단추, 헤 어액세서리로는 뒤꽂이, 기타 액세서리로 가락지를 추 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미적 표본화가 가능한 5가 지 요소를 복합표현방법으로 추출해서 총 7가지 조합 으로 표현하였으며, 그에 따른 작품의 구성은 <Table 3>과 같다. 디자인 요소인 실루엣, 색상, 소재, 문양, 장식의 순으로 단일표현 방식 또는 복합표현 방식으 로 응용할 내용의 특징과 색상, 방법을 기획하였다.

    Ⅳ. Results and Discussion

    1. Creation and description of design work

    1) Design Ⅰ

    디자인 Ⅰ의 주 디자인 요소와 부 디자인 요소 및 특징, 색상, 소재 및 완성치수는 <Table 4> 및 <Table 5>와 같다.

    디자인 Ⅰ은 색상배색의 색계별 분석결과, 가장 높 은 출현율(32%)을 보인 인접색조화 중 높은 빈도를 보인 백청조화를 기반으로 개발된 전통적 변형아이템 의 디자인으로, 지백색의 백․흑계 저고리에 청․ 벽․녹계의 춘유녹색을 매치하였다. 부 디자인 요소 로 저고리에는 장식과 문양을, 치마에는 실루엣을 복 합표현방법으로 접목하였는데, 옥사 소재의 저고리에 는 후반기로 갈수록 빈도수가 증가한 핀턱기법과 현 대꽃변형 문양을 끝동부분과 깃부분에 각각 적용하였 으며, 치마형태에서 점차 높아지는 출현율을 보인 말 기치마와 날개치마를 쉬폰 소재에 디자인하여 제작하 였다. 구체적으로 저고리의 소매는 시스루 느낌의 연 출을 위해 홑겹으로 바느질하고, 소매 끝동 부분에 0.5cm의 3줄 턱을 잡았다. 자수는 현대적 변형꽃 도 안을 손으로 그린 후 깨끗한 느낌의 연출을 위한 자수 실 배색을 하여 원하는 느낌의 깃 수를 놓았다. 치마 는 풍성한 느낌을 주기 위해 7폭에 겉치마 2겹은 자락 치마로 디자인하여 총 3겹으로 제작하였다. <Fig. 1> 은 목판깃, 양장식 칼배래 소매의 긴저고리, 7폭 날개 치마의 하의로 완성한 디자인 Ⅰ의 완성 사진이다.

    2) Design Ⅱ

    디자인 Ⅱ의 주 디자인 요소와 부 디자인 요소 및 특징, 색상, 소재 및 완성치수는 <Table 6> 및 <Table 7>과 같다. 디자인 Ⅱ는 분석자료의 증가세를 보인 현 대적 변형 아이템으로 한국의 전통복식미를 기본으로 하여 개발되었으며, 이를 착용함으로써 한복의 미적 특성을 실제적 활용이 가능하게 함을 위함이었다. 한 복의 미학적 접근을 바탕으로 한 원피스 개발의 새로 운 시도와 함께 기존의 생활한복의 심미성이 떨어진 다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한 의도 로, 전통적으로 여성복식에 많이 사용된 화문이 프린 트된 쉬폰 소재를 사용하여 기존의 깃길이가 짧고, 깃 너비가 넓은 목판깃 철릭원피스 형식에서 벗어나, 여 유 있는 고대로 숄칼라의 깃너비는 좁히고, 깃길이를 길게 하여 편안함을 더한 상의형식으로 디자인하였 다. 소매는 저고리배래의 한국복식 요소를 사용하였 으며, 일상복으로의 무릎길이 생활한복과 차별화를 위해 치마길이를 맥시로 정하고, 치마폭도 너무 좁지 도 넓지도 않은 6폭으로 완성함으로써 드레스 예복 느낌도 가미하고자 하였다. 기존의 한복드레스가 한 복의 가시적 특수성만을 드러낸다고 사료되어, 세계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디자인 Ⅱ의 숄카라 랩 원피스를 상품으로 제안하였다. 디자인 Ⅱ는 등길 이 36cm, 치마길이 89cm의 원피스로, 상의는 숄칼라, 칼배래의 양장식소매로, 하의는 6폭으로 제작하였다. 완성 사진은 <Fig. 2>와 같다.

    3) Design Ⅲ

    디자인 Ⅲ의 디자인 요소 및 내용은 <Table 8>, 완 성치수는 <Table 9>와 같다.

    <Table 8>은 분석 자료의 아이템별 출현율에서 뚜 렷한 증가세를 보인 믹스아이템의 현대적 변형을 응 용한 디자인 Ⅲ의 내용이다. 디자인 Ⅲ은 상의 블라우 스와 하의 한복드레스 디자인으로 후반기로 갈수록 현대적 기법의 장식이 상의에 사용된 점과 망사튤이 치마소재로 사용된 점을 추출해 부 디자인 요소로는 장식과 소재를 복합표현방법으로 적용하였다. 블라우 스는 핑크베이지색 오간자를 see-through 느낌으로 표 현하여, 고름과 깃을 병합하여 리본으로 연출하였고, 2개의 주름을 넣은 cuffs로 거들지를 대체함으로써 현 대적 변형을 시도하였다. 치마는 로즈골드 펄망사와 튤을 4겹으로 각기 주름 잡아 풍성한 말기 자락치마 를 제작하였으며, 말기에는 골드레이스를 덧씌워 사 용함으로써 포인트를 주어, 상의 없이 한복드레스로 도 연출이 가능하도록 디자인 Ⅲ을 제안하였다. 디자 인 Ⅲ의 상의는 섶이 달리지 않는 목판깃의 블라우스 형태로, 직선에 가까운 도련선으로 디자인했다. 깃과 고름을 병합하여 리본으로 <Fig. 2> Design Ⅱ 묶어 연출하기 위해 4.5cm 너비/170cm 길이의 깃을 별도로 제작하고, 치마는 8 폭으로 제작하였다. 디자인 Ⅲ의 완성 사진은 <Fig. 3> 과 같다.

    4) Design Ⅳ

    디자인 Ⅳ의 디자인 요소 및 내용은 <Table 10>, 완 성치수는 <Table 11>과 같다. <Table 10>은 저고리 주 색채의 분석결과, 많은 빈도를 나타낸 연분홍색, 실루 엣의 치마형태에서 증가하는 출현율을 나타낸 말기치 마와 자락치마를 응용한 디자인 Ⅳ의 내용으로, 디자 인 Ⅳ는 연분홍색 옥사소재의 저고리에 부 디자인 요 소로 장식과 문양을 접목하여 아플리케의 장식기법에 현대적 변형꽃으로 문양을 표현하였고, 고름 대신 연 봉매듭으로 디자인한 현대적 변형 아이템이다. 치마는 4가지 색상의 쉬폰 소재를 배색한 7폭의 풍성한 한복 드레스로 제안하였으며, 디자인 Ⅳ의 완성치수는 <Table 11>과 같다. 목판깃, 전통 칼배래의 고름이 없 는 저고리에 7폭의 색색 날개치마로 제작한 디자인 Ⅳ의 완성 사진은 <Fig. 4>와 같다.

    5) Design Ⅴ

    디자인 Ⅴ의 주 디자인 요소와 부 디자인 요소 및 특징, 색상, 소재 및 완성치수는 <Table 12> 및 <Table 13>과 같다. 디자인 Ⅴ는 실루엣의 상의형태 분석에서 확연히 늘어나는 추세를 보인 당의를 주 디자인 요소 로 추출했다. 여기에 장식과 문양의 디자인요소를 더 해 소매의 색동과 자수의 화문 당의보를 첨가하였다. 분석 자료에 의한 하의장식기법은 은박이 많은 빈도 를 보였으며, 문양은 기타 동물문 중 예외적으로 새와 꿩이 후반기에 빈도를 보였다. 디자인 Ⅴ는 전통의 평 면재단이 아닌 양장식 소매를 다는 전통적변형 아이 템의 silver color 은직단 소재의 당의디자인으로, 소 매는 홑겹의 노방 색동을 장식기법으로 사용하였다. 후반기로 갈수록 과한 장식보다는 심플한 한복들이 출현했으며, 색동을 장식기법으로 사용하더라도 원색 대신 톤다운된 색동으로 변화되었기에 이와 매치되게 끔 은은한 느낌의 현대꽃변형 문양을 끝동과 당의보 에 그려 자수를 놓았다. 끝동의 자수는 몸판 은직단 느낌에 맞춰 은실로 수 놓고, 당의보는 색동배색에 맞 춰 은은한 색실로 조화롭게 수 놓았다. 치마에는 황후 가 착장했던 적의에서 영감을 받아 꿩과 이화 문양을 담자색 옥사 겉감의 스란단과 전체적으로 조화롭게 배치하여 전통 돌금박 기법으로 부금했으며, 겉에는 연핑크색 쉬폰으로 홑자락치마를 만들어 덧입혀 연출 하였다. 디자인 Ⅴ의 완성사진은 <Fig. 5>와 같다.

    6) Design Ⅵ

    디자인 Ⅵ의 디자인 요소 및 내용은 <Table 14>, 완 성치수는 <Table 15>와 같다. 본 연구자의 선행연구 (Park, 2022)의 분석 자료에 의한 소재형태는 상하동 일과 상하유별이 비슷한 빈도로 출현양상이 뚜렷했 다. 디자인 Ⅵ는 상하유별의 경우, 프린트 쉬폰과 양 장지 등의 저고리 사용빈도가 늘어난 점을 저고리에 적용하고, 노방, 망사 튤, 쉬폰 등의 치마 사용이 점차 증가하는 양상을 치마에 각각 응용한 디자인이다. 문 양요소의 분석결과는 중반기 이후 문양이 없는 경우 의 출현율이 높아지는 모습이었으므로 디자인 Ⅵ은 이를 복합표현방법으로 디자인하였다. 저고리는 지백 색의 프린트 쉬폰을 사용해 양장식 소매를 다는 기법 으로 바느질하여 입체감과 편리함을 추구하였고, 치 마는 전통실루엣의 지백색 노방을 사용하여 연출하였 다. 목판깃, 양장식 칼배래의 저고리에 6폭 전통치마 로 제작한 디자인 Ⅵ의 완성사진은 <Fig. 6>과 같다.

    7) Design Ⅶ

    디자인 Ⅶ의 주 디자인 요소와 부 디자인 요소 및 특징, 색상, 소재 및 완성치수는 아래의 <Table 16> 및 <Table 17>과 같다. 분석 자료에 의한 장식기법의 출 현율(%)을 살펴보면 전반적으로 장식이 있는 경우가 많았으며, 상의에는 후반기로 갈수록 레이스 종류와 같은 현대적 기법의 장식이 많은 비중을 차지했고, 하 의에는 나염 기법이 꾸준한 빈도수를 보였다. 장신구 중 브로치는 21%의 높은 출현율을 보이며 꾸준히 사 용됨을 알 수 있었다. 디자인 Ⅶ은 장식의 디자인 요 소를 응용한 작품으로, 전통아이템 실루엣의 치마․ 저고리 디자인이다. 전체 실루엣과 치마 실루엣 모두 가장 많은 빈도를 보인 A라인이고, 상의형태는 저고 리로 전체적으로 무늬가 있는 담자색 자가드 소재를 이용했다. 소매끝동에 레이스를 사용하여 포인트를 주고, 고름 대신 브로치를 이용하여 신한복 느낌으로 연출하였다. 치마길이도 가장 많은 출현율을 보인 맥 시길이로, 쉬폰 소재에 전통적으로 여성복식에 많이 사용되었던 꽃무늬 나염을 치마 전체에 찍어 디자인 Ⅶ을 제안하였다. 디자인 Ⅶ은 고름이 없는 각당코깃 이며, 직선재단의 전통식 소매와 3cm 너비의 레이스 안 거들지로, 치마는 전통 6폭 치마로 제작하였다. 디 자인 Ⅶ의 완성 사진은 <Fig. 7>과 같다.

    Ⅴ. Conclusion

    현대의 한국복식은 전통적인 개념에서 벗어나 다 양한 변형이 일어나고 있는데, 한국복식의 구성요소 의 변화는 물론 추구하는 조형미나 미적인 가치에 관 한 인식이 달라졌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 대한국복식에 나타난 디자인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하 여 추출된 요소들을 응용한 작품을 제안하고자 하였 다. 이는 침체되어 있는 결혼예복으로서의 한복시장 의 활성화는 물론 심미적인 일상복으로의 한복원피스 와 공연복 개발과, 더 나아가 세계적으로 한류와 한복 의 선순환 관계를 유지하고, 재생산해 확대해 나갈 디 자인을 개발하고자 한 것이다. 한국복식의 중심요소 를 실루엣, 색상, 소재, 문양, 장식으로 분류하여 분석 한 결과를 바탕으로 미적 표본화가 가능한 요소를 추 출한 후, 이들을 단일 또는 복합표현방법으로 조합하 였으며, 그에 따른 작품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디자인 Ⅰ은 색상을 주 디자인 요소로 사용해 2011~ 2020년 사이 높은 빈도를 보인 백청의 인접색 조화 배색으로 치마․저고리를 디자인했다. 부 디자인 요 소는 장식과 문양, 실루엣으로 전통적 변형 아이템의 실루엣에서 점차 높아지는 출현율을 보인 치마형태의 말기치마와 날개치마, 색상에서 인접색 배색 중 치마, 저고리의 백청조화, 문양에서 현대적 변형꽃, 장식에 서 자수와 핀턱을 응용하였다. 디자인 Ⅱ는 실루엣에 서 현대적 변형의 원피스를, 소재에서 프린트 쉬폰으 로 표현한 원피스 작품으로 한국의 전통복식미를 기 본으로 하여 개발되었으며, 이를 착용함으로써 한복 의 미적 특성을 실제적 활용이 가능하게 하도록 기획 하였다. 한복의 미학적 접근을 바탕으로 한 원피스 개 발의 새로운 시도와 함께 기존의 생활한복의 심미성 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의도로 저 고리배래 형태의 숄카라 랩 원피스로 제작, 복합색의 프린트 쉬폰을 사용해 편안한 예복 느낌의 드레스 상 품으로 제안하였다. 디자인 Ⅲ은 실루엣에서 현대적 변형의 상의 블라우스와 하의 한복드레스로, 소재에 서 망사(튤)를, 장식에서 리본과 단추를 응용하였다. 소재, 실루엣, 장식의 디자인 요소를 이용해 깃과 고 름을 병합하여 리본으로 연출할 수 있게끔 시도했으 며, 자개단추와 커프스의 서양복 장식요소를 응용한 작품이다. 치마는 골드펄망사와 튤소재를 4겹 날개치 마로 제작했으며, 로즈골드레이스를 말기에 덧씌워 작품을 제안하였다. 기존의 한복드레스가 한복의 가 시적 특수성만을 드러낸다고 사료되어, 세계 시장에 서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의도로 상의를 벗고 한복드 레스로 연출할 수 있는 작품이다.

    디자인 Ⅳ는 상의 주 디자인 요소에 장식, 문양, 실 루엣을 부 디자인 요소로 접목한 디자인으로, 현대꽃 변형의 자수 아플리케와 연봉매듭의 장식을 저고리에 사용했으며, 말기치마는 7폭의 무지개 날개치마로 제 작해 디자인 Ⅴ와 마찬가지로 한복드레스로도 연출할 수 있게끔 디자인하여 무용복이나 공연복으로도 활용 할 수 있도록 의도한 작품이다. 전통적 변형 아이템의 디자인 Ⅴ는 상의형태는 당의 실루엣, 장식요소의 색 동, 자수와 은박을, 문양요소의 이화문과 꿩을 응용한 디자인이다. 상의는 은색의 은직단 소재의 색동 당의 로, 하의는 적의에 사용되었던 이화문과 꿩을 부금하 는 기법으로 은박을 찍은 치마로, 홑자락 날개치마를 제작해 맨 위에 덧입히는 구성이다. 소매 색동은 톤다 운된 색감을 사용해 시스루로 표현했으며, 당의보와 끝동은 화문을 그려 은박과 색동 톤에 맞춘 자수실을 사용해 수를 놓는 스타일로 고급 촬영복 용도를 주목 적으로 제안하였다. 디자인 Ⅵ은 최근의 신한복 느낌 과 개항기 복고풍 이미지의 뉴트로 트렌드를 동시에 반영하고자 한 의도로, 소재의 주 디자인 요소와 문 양의 부 디자인 요소를 접목시켜 소재요소의 상의 프 린트쉬폰, 하의 노방을 응용하고 문양의 배치에서 문 양 없음으로 기획하였다. 즉, 전체 프린트 쉬폰 저고 리에 무지의 노방 치마로 디자인하고, 장신구로 포인 트를 주었다. 마지막 디자인 Ⅶ은 신부, 혼주의 촬영 복이나 예복, 외출복이나 무용복 등 다방면의 활용을 목적으로 개발되었으며, 장식의 디자인 요소를 선택 한 전통아이템으로 저고리 끝동의 레이스와 브로치 의 장식요소와 치마 전체에 화문 나염의 장식요소를 응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2011년~2020년 동안의 현대한국복 식의 흐름과 변화 추세를 통합적으로 파악하여, 디자 인 요소들의 출현율 분석결과를 디자인에 적용하여 작품으로 제작하였다. 선행 연구의 부재로 인해 연구 결과의 비교 분석에는 한계가 있었으나, 2010년 이전 의 실루엣, 문양, 장식기법의 각 선행 연구들과 본 연 구자의 연구(Park, 2022)의 결과를 바탕으로 작품제작 을 통해 향후 한복 디자인의 모델을 제안하고자 한 것 이다. 본 연구는 패션디자이너들에게 현재와 미래의 한국복식 트렌드를 제시함은 물론, 우리의 소중한 전 통문화를 전수하는 역할과 한국복식의 시장 산업 발 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에 의의를 둔다고 하겠다.

    Figure

    RJCC-30-3-348_F1.gif

    Design Ⅰ

    RJCC-30-3-348_F2.gif

    Design Ⅱ

    RJCC-30-3-348_F3.gif

    Design Ⅲ

    RJCC-30-3-348_F4.gif

    Design Ⅳ

    RJCC-30-3-348_F5.gif

    Design Ⅴ

    RJCC-30-3-348_F6.gif

    Design Ⅵ

    RJCC-30-3-348_F7.gif

    Design Ⅶ

    Table

    The current status of Hanbok retail business nationwide

    The extraction of design elements

    Design planning

    Elements,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of Design I

    Design I’s complete measurement

    Elements,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of Design Ⅱ

    Design Ⅱ’s complete measurement

    Elements,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of Design Ⅲ

    Design Ⅲ’s complete measurement

    Elements,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of Design Ⅳ

    Design Ⅳ’s complete measurement

    Elements,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of Design Ⅴ

    Design Ⅴ’s complete measurement

    Elements,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of Design Ⅵ

    Design Ⅵ's complete measurement

    Elements,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of Design Ⅶ

    Design Ⅶ’s complete measurement

    Reference

    1. Ahn, H. J. (2010). A study on the pattern of legacy women’s Hanbok in the early modern era.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ngkyunkwan University, Seoul, Korea.
    2. Ahn, M. S. , Kim, E. J. , & Yang, S. H. (1998). Background future of casual Korean cloth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39, 91-98.
    3. Chae, S. H. (2006). Study on living ‘Hanbok’, or traditional costume that applied the traditional pattern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okmin University, Seoul, Korea.
    4. Cheong, M. K. (2015). The ʻHan-Dressʼ design development for the worldwide acceptance and diffusion of Han-Bok.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Dongduk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5. Cho, D. N. (2017). A study of digital Hanbok design -Focused on online gam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Korea.
    6. Choi, J. Y. (2006). A study on clothes design using Bosanghwa pattern. Unpublished master’s thesis, Hong-ik University, Seoul, Korea.
    7. Jeon, S. M. (2021, November 23). 일상부터 한류까 지...지켜야 할 ‘한복의 재발견’ [From daily life to Hallyu...‘rediscovery of Hanbok’ to protect]. Aju Economy. Retrieved November 27, 2021, from https://www.ajunews.com/view/20201120151111162
    8. Jo, W. H. , & Kim, M. Y. (2010). Research on consumer recognition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 Hanbok.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60(2), 130-143.
    9. Kang, Z. Y. (2008). A study on airline cabin crew’s uniform design applied with Hanbok.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ngshin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10. Kim, E. O. (2009). Study on expansion of Korean style (modernized Korean traditional clothing) on kindergart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Korea.
    11. Kim, E. Y. (2018, September 24). 메이드인 차이나, 전통 한복 맥 끊기나 [Made in china, is the traditional hanbok cutting off]. Chosun Ilbo. Retrieved July 2, 2020, from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9/23/2018092300821.html
    12. Kim, H. J. (2015). A proposal for Hanbok design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physical development of the infants between 3 years and 6 yea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13. Kim, H. N. (2020).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Korean fashion design using the forced relationship techniqu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ngkyunkwan University, Seoul, Korea.
    14. Kim, J. E. (2014). Design development of performance costume for fusion Gugak group. Unpublished master’s thesis, Dongduk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15. Kim, J. H. (2011). A study of traditional hanbok exploration of the consumer information and purchase consciousness through internet communi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ngshin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16. Kim, M. J. , Kim, H. Y. , & Jo, W. H. (2005). Characteristic and transition of woman’s Saeng-Hwal- Han-Bok after modern Korea. Journal of the Korea Fashion & Costume Design Association, 7(2), 261-282.
    17. Kim, S. H. (2018). Development of practical Korean clothes for kindergarten children using twelve zodiac animal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Korea.
    18. Kim, Y. K. (1993). Study on the apparel design based in Korean folk paintings focused on the pictorial iseographs (Mun-ja-do) commonly called “Hyo-je-do”.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19. Kim, Y. K. (2010). A study on formative characteristics and aesthetic values of Hanbok shown in print media since 2000.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20. Kwon, H. J. (2013). Development of ceremonial dress based on deconstruction & reconstruction of traditional Han-bock.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Dongguk University, Seoul, Korea.
    21. Lee, E. H. (2008). Historical analysis and modernization work of Korean traditional Baeja.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won University, Sungnam, Korea.
    22. Lee, H. R. (2017). A study on the design of new Hanbok using Dancheong’s flower pattern.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Korea.
    23. Lee, I. J. (2002). A study on development of a hotel uniform applying the Korean traditional window patterns. Unpublished master’s thesis, Dongduk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24. Lee, J. (2020).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fusion Hanbok design using Dancheong patternand and Carbon pattern. Unpublished master’s thesis, Jeonju University, Jeonju, Korea.
    25. Lee, J. S. (1999). A study on the wedding dress design applied the pattern of Han-Bok. Unpublished master’s thesis, Dongduk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26. Lee, J. Y. (2006). A study on Korean traditional clothes as an “Object” ar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Myongji University, Seoul, Korea.
    27. Lee, K. S. (2011). A study on the design of modern Dapo.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28. Lee, N. Y. (2009).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daily hanbok design for the old man.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Korea.
    29. Na, Y. J. (2019). A study on visual preference for globalization of Hanbok: Through Instagram.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jong University. Seoul, Korea.
    30. Na, Y. S. (1999). A study on designing Korea costume as day-time wear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Dongduk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31. Noh, J. Y. (2011). A study on art-to-wear applied by Three Kingdoms period jeogori “Yu” and textile art technique -Focusing on the author’s works-. Unpublished master’s thesis, Wonkwang University, Iksan, Korea.
    32. Oh, S. L. (2010). A study of stage costume design applying Korean traditional clothes -Based on “A Midsummer Nigh’s Dream”-.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ngshin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33. Park, C. S. (2001). A study on the design of daily Hanbok using Korean coa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Moungji University, Seoul, Korea.
    34. Park, E. J. (2013). Study in design preference of traditional Hanbok and purchase behavio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ngshin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35. Park, E. J. (2022). Development of design based on the contnent analysis research oh Korean costumes of wedding magazin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ungshin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36. Park, S. A. (2017). Service design for Korean traditional costume (hanbok) try on experience/service for the foreign tourist -Focusing on the pala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37. Park, S. S. (2001). A study on the design of for woman Korea cloth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Korea.
    38. Park, Y. S. (2003). A study on the casual wear design based on the image of the modernized Korean costum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Myongji University, Seoul, Korea.
    39. Sul, M. H. (2013). A study on the costume design applying the fuison Han-Bock applied on the formation of modernism.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Korea.
    40. Sung, J. H. (2016). Study on image difference of Hanbok traditional color arrangement according to fabric typ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41. Sung, M. J. (2003). A study on the modern apparel designs using the Korean traditional patterns -Focused on development of the patterns of longevity and fortune-. Unpublished master’s thesis, Dongduk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42. Yoo, E. K. (2002). A study on one-piece dress of applied Hanbok image -Centering on the lotus pattern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sun University, Gwangju, Korea.

    Appendi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