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rossref logo
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6-0401(Print)
ISSN : 2383-6334(Online)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Vol.30 No.3 pp.366-380
DOI : https://doi.org/10.29049/rjcc.2022.30.3.366

Product development through fit evaluation of yoga tops

Cheng Zhang, Jihyeon Kim*, Mihyang Na**
Ph. D., Dept. of Film Media Contents, Cheongju University, Korea
*Assistant Professor, Dept. of Fashion & Clothing, Seowon University, Korea
**Professor, Dept. of Fashion Design, Cheongju University, Korea
Corresponding author (pinkpanda75@hanmail.net)
April 8, 2022 May 17, 2022 May 19, 2022

Abstract


This study aims to develop the designs and patterns of yoga tops that are better adjusted to suit females in their 30s and 40s. After conducting a comparative analysis of three different popular yoga garments, one yoga top currently on the market was selected. Subsequently, a fit evaluation was conducted on Trail 1-garment α, which was developed body analysis performed based on selected yoga top C, followed by the production of the Trial 2 garment after making adjustments according to the comparative observation results. Based on these results, garment C with the longest top length was evaluated as the best. The results of the evaluation of appearance and fit conducted of Trial 1-garment α compared to those of C showed that Trial 1-garment α was superior in both evaluations. Trial 2-garment β was produced after making improvements on Trial 1-garment α and then placed under identical comparative evaluation condition as Trial 1-garment α. Results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compared to Trial 1-garment α, and the Trial 2 garment with an additional arm pattern was shown to be superior in shoulder strap width stability, shoulder strap pressure, chest stability, degree of waist pressure, waist comfort, general fitting, and supportiveness.



착용성 평가를 통한 요가복 상의 개발

장 정, 김 지현*, 나 미향**
청주대학교 영화언론콘텐츠학과 박사
*서원대학교 패션의류학과 조교수
**청주대학교 패션디자인학과 교수

초록


    I. Introduction

    요가는 인도 고유의 수행법으로 몸의 유연성을 증대시키며, 스트레스와 혈압을 낮춰주는 것으로 알려져 현대인에게 인기가 많은 스포츠이다.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요가의 인기가 높아져 젊은 여성들뿐 아니라, 청소년들과 가정주부 사이에서도 요 가를 수강하는 사례가 많아지고 있다. 특히 출산 후 산후관리에 도움이 된다고 하여 30~40대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Pyo, 2017).

    이렇게 요가의 열풍이 불면서 요가에 필요한 의복, 양말, 유튜브 시장 등도 큰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특 히 코로나19로 경기침체 속에 패션업계가 실적 부진 을 겪고 있는 반면, 요가복 및 애슬레저 시장은 꾸준한 성장을 이루고 있다. 코로나19 상황으로 실내 활동이 증가하면서 요가는 더욱 인기를 끌고 있으며, 요가복 은 하나의 패션 트렌드로 자리매김하고 있다(Hwang, 2021). 요가복 시장은 2015~2016년 사이 한차례 유행 하였고, 2019년부터 다시 증가하기 시작하여 현재는 요가복 시장이 본격화된 지 5년 만에 성숙기에 진입 한 모습이다. 요가복 시장의 규모는 2016년 1조 5,000 억 원에서 2000년에는 3조 원으로 약 두 배 이상 성장 했다(Park, 2020). 이에 국내외 언더웨어, SPA, 스포 츠, 라이프 스타일 브랜드까지 요가 라인을 출시하면 서 현재는 시장이 포화상태에 이르렀다고 할 수 있다.

    그동안 요가복에 관련된 선행연구로는 현대요가의 종류를 구분하고, 요가의 동작과 자세 특성을 고찰하 여 유행하고 있는 요가복의 기능적, 디자인적 특성을 분석한 Im(2014)의 연구와 요가복의 착용실태와 전통 요가복에 대한 소비자 선호도를 조사한 Kim(2008)의 연구가 있으며, Baik(2004)은 요가할 때 편안하고 이완 이 용이한 스타일의 필요성을 느껴 밀착형이 아닌 헐 렁한 스타일의 요가복을 개발하였다. Hahn and Kim (2015)은 중년 여성의 경우, 3D 신체 스캔 방법을 통 하여 체표면적 변화를 확인하고, 기능적 측면과 신체 움직임에 대한 요가 타이즈의 수용 가능성에 대해 연 구하였으며, Park, Kim, Hong, and Lee(2018)Park, Hong, Choi, Lee, and Lee(2019)는 50세 이상 여성을 대상으로 요가복 시장 조사를 한 결과, 현재 시판 중 인 요가복은 외관상 불만족도가 높다고 보고하였다.

    요가복은 착용 시의 미관, 안정감이나 운동 시 편 안함 등이 중요한 의복이다. 그러나 연령에 따른 요가 복의 특성에 구분이 없으며, 디자인도 비교적 단순한 편이다. 특히 출산 후 체형 변화를 급격하게 경험하고 있는 30~40대 여성들을 위한 요가복은 따로 출시되고 있지 않으며, 이에 관한 연구도 미비한 실정이다.

    30~40대 여성의 특징은 출산의 황금 연령대에 있 으며, 출산 후 몸매 회복에 대한 열망이 높고, 몸 관리 와 미화에 대한 욕구도 높다. 또한 이 세대는 유행전 파력이 강하고, 소비 잠재력이 강한 이들이 이끄는 소 비행위가 여러 업종에서도 주도적이며, 미래에도 소 비가 지속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지고 있 다. 사회, 직장, 생활 등 여러 방면에서 받는 스트레스 와 바쁜 생활 가운데 건강이 점차 악화되는 것을 신체 적으로 느끼면서 이를 회복하려는 노력이 강한 연령 대이기도 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최근 요가 수련 연령층이 증가하고 있는 30~40대의 신체적 특성에 맞 는 요가복 패턴을 개발한 후, 착의 평가를 통하여 기 능성과 활동성의 향상 및 체형보정이 가능한 요가복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Ⅱ. Method

    1. Subjects and experimental environment

    본 연구의 착의실험 피험자는 연령증가로 인한 신 체적 변화가 본격적으로 시작되는(Jang, 2022) 30대 여성 5명으로, 평균연령은 33.8세이다. 피험자의 신체 치수는 제7차 한국인 인체치수조사보고서의 평균치 (키 161.2cm, 몸무게 54kg, 가슴둘레 85.9cm, 허리둘 레 76.2cm)에 해당되며, 신체 치수는 <Table 1>과 같 다. 착의실험은 2021년 6월 20일~7월 20일까지 패션 디자인과 모델링실에서 실시되었다. 실험실의 환경은 실내온도 25±0.5℃, 습도 50±1%였고, 평가의 내용은 착용감과 동작기능성이었다. 본 연구를 위해 생명윤 리법 관련 온라인 교육과정을 이수하였다.

    2. Methods

    1) Design selection

    시판 요가복의 디자인 선정 시 선행연구(Im, 2014;Kim, 2008;Kim, 2020;Lee, 2020)를 참고하였고, 시 장조사를 통해 대중성이 높은 브랜드들 중에서 판매 순위가 높은 스타일 3가지를 선택하였다.

    시판 요가복으로 선정한 제품은, 상의 길이에 따라 밑가슴둘레라인, 허리둘레라인, 중힙둘레라인 이하의 3가지 기준으로 선정하였다. 등파임 모양은 가장 보 편적인 T자형을 선택하였는데, 이는 Im(2014)의 연구 에서 가장 기능적인 요가탑의 뒷모습은 레이서형 탱 크탑이라고 한 결과와도 일치하였다. 색상에 의한 오 차율을 감소시키기 위해 모두 블랙으로 통일하였고, 사이즈는 M을 선택하였다. <Table 2>는 시판 요가복 3종의 착의 사진과 도식화이며, <Table 3>은 시판 요 가복 3종의 정면, 측면, 후면의 착의 사진이다.

    2) Making experimental yoga tops

    피험자에게는 시판복 3벌을 각각 입히고, 착용감평 가와 동작기능성평가가 실시되었다. 이 중 가장 평가 치가 높은 시판복 1벌과 이를 수정 보완한 1차 실험복 을 제작하였다. 선정된 시판복 1벌과 제작된 실험복에 대하여 외관평가와 동작기능성평가, 착용감평가를 실 시하였다. 이 결과를 반영하여 2차 실험복을 제작한 후 동일하게 평가하였다. 실험복 제작 시 사용된 원단 의 혼용률은 폴리에스터 78%, 폴리우레탄 22%였다.

    3) Fit evaluation

    외관평가 항목으로는 정면 6문항(목파임, 팔부위, 상의 길이, 가슴 실루엣, 허리복부 실루엣, 전체 실루 엣), 측면 5문항(팔부위, 가슴 실루엣, 허리복부 실루 엣, 상의 길이, 전체 실루엣), 후면 4문항(목파임, 팔부 위, 상의 길이, 전체 실루엣)에 대한 적합도로 총 15문 항이었으며, 피험자에 의한 착용감평가는 네크라인에 관한 4문항, 어깨끈에 관한 3문항, 흉부에 관한 3문항, 허리부분에 관한 3문항, 전체착용감에 관한 3문항으 로 총 16문항으로 이루어졌다. 동작기능성평가는 4문 항으로 구성되었다. 평가자는 의복구성 전공교수 5명 이었고, 관찰방법으로 피험자의 정면, 측면, 뒷면에 대한 외관평가를 실시하였다.

    3. Data analysis

    자료 분석 시 통계프로그램인 IBM SPSS Statistics 24.0을 사용하였다. 피험자 1인당 3벌의 요가복을 무 작위로 착용하도록 하였고, 평가자 5명이 평가하여 1인당 15개의 평가값을 얻었다. 실험복 간 차이를 알 아보기 위해 신뢰도 구간 95%로 독립표본 t-test, ANOVA를 실시하였으며 사후검증으로 Duncan test 를 실시하였다.

    Ⅲ. Results

    1. Comparative analysis done by observers of commercial yoga tops

    <Table 4>는 관찰자에 의한 정면, 측면, 뒷면에 대 한 외관평가 결과이다. 관찰자에 의한 외관평가는 상 의 정면 6항목 중 5항목에서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목 파임(Q1)은 A가 4.20으로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고, 상의 길이(Q3)는 허리를 덮는 C의 기장이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다(4.20). 가슴 실루엣(Q4)과 허리복부 실 루엣(Q5)도 C가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다(3.80, 3.20). C는 가슴과 허리복부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는데, 이 는 상의 길이가 엉덩이까지 내려오는 디자인이고 B는 허리선까지 오는 디자인으로 허리가 잘록하지 않거나 일반적인 체형에서는 짧은 상의에 대한 평가가 낮고 허리를 커버하는 길이의 상의가 높은 값을 나타냈다. 상의 정면 자세에서는 C가 가장 좋게 평가되었으므 로, 1차 실험복 디자인은 상의의 길이가 허리 길이보 다 긴 것으로 설계하고, 목파임은 A가 우수한 평가값 을 나타내서 A의 목파임 디자인을 반영하였다.

    관찰자에 의한 측면 상의 착의평가 결과는 5항목 모두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팔부위(Q7)는 C(3.00)>A (2.20)>B(1.40)의 순서로 나타났으나, C는 3.00으로 ‘보통이다’로 평가되어서 요가복 상의의 팔부위는 연 구개발 디자인에서 보완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가 슴 실루엣(Q8) 항목도 C(3.20)가 가장 높았으나, ‘보 통이다’로 평가되어 가슴 실루엣의 디자인 보완이 요 구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허리복부 실루엣(Q9)은 C (3.40)>B(2.20)>A(1.60)의 순으로 나타났다. C의 허리 복부 실루엣 평가값은 ‘보통’이며, A는 ‘매우 적합하 지 않다’로 평가되어서, 상의 길이가 짧고 허리의 군살 이 드러나는 디자인은 30~40대에서는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측면 상의 길이(Q10)의 적합성은 C (3.00)>B(2.20)>A(1.40)의 순으로 제품별 상의길이에 따른 순위가 명확하였으며, 측면 전체 실루엣(Q11)도 C(3.20)>B(2.40)>A(2.01) 순으로 나타났다.

    관찰자에 의한 후면 착의평가 결과는 4항목 모두 유의하였다. 목파임(Q12)은 A(4.20)>C(3.60)>B(2.60) 의 순으로 나타나서 A의 목파임의 깊이를 1차 실험복 에 적용하였다. 팔부위(Q13)는 C가 가장 높게 평가되 었으나 3.02 ‘보통’으로, 팔부위에 대한 개선이 필요 하였다. 상의길이(Q14)는 C>B>A의 순으로, 전체 실 루엣(Q15)은 C>B=A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요가복 시판품은 각 부위에 패턴 수정을 통하여 30~40대들에게 만족도가 높은 요가복을 개발 할 필요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2. Comparative analysis done by subjects in commercial yoga tops

    1) Fit evaluation done by subjects

    <Table 5>는 착용자에 의한 시판 요가복 상의 3종 의 착용감에 관한 평가 결과이다. 네크라인은 4항목 중 3항목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앞 네크라인 안정감(Q1)과, 앞 네크라인의 압력감(Q3)은 C>B>A 의 순으로 나타났다. 뒤 네크라인 편안함(Q4)은 C>A >B의 순으로 나타났다.

    시판 요가복 상의 착용자의 어깨끈 적합성에 대한 결과는 3항목 모두 p≤.001 수준에서 유의하였다. 어 깨끈 너비의 편안함(Q5)은 A는 1.80으로 ‘적합하지 않다’로 평가되었다. 시판 요가복 상의의 어깨끈은 요가 운동 시 팔 동작에 의해 좁아지며, 어깨를 누르 는 현상으로 만족도가 낮았다. 어깨끈 너비의 안정감 (Q6)은 C>B>A의 순으로 A 평가값 2.00과 B가 평가 값 2.40 ‘적합하지 않다’의 범주에 해당하며, 만족도 가 낮았다.

    어깨끈 압력감(Q7)은 C(2.20)>B(2.60)>A(3.00)로 전체적으로 점수가 낮았으며, 어깨가 눌리는 현상이 있었다. 어깨끈 3가지 항목 중에서 평가가 가장 좋은 C의 압력감 평가치도 3.00으로, 요가복 상의 어깨끈 에 대한 보완이 필요하였다. 흉부와 허리부분에 관한 6문항 모두 p≤.001 수준에서 유의하였다. 흉부안전 성(Q8)과 가슴모양(Q9), 가슴의 압력감(Q10)에 대한 외관평가는 C>B>A의 순으로 동일하였다. C의 상의 길이는 활동 중에 착용자들의 과격한 행동에도 어느 부위도 잘 드러나지 않아 안정감이 있었다. 시판 요가 복 상의 허리부분 적합성에 대한 결과는 3항목 모두 유의하였다. 허리압력 정도(Q11)와 허리 높이 안정감 (Q12)은 C>B>A의 순으로 나타났다. C의 안정감이 높은 이유는 엉덩이 둘레까지 내려오는 넉넉한 기장 으로, 운동 중에도 상반신을 모두 커버하여 살이 보이 는 것을 신경 쓰지 않아도 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 다. 따라서 C의 허리부분에 대한 결과값은 1차 실험 복에 적용하였다. 전체적인 착용감(Q15)은 C>A>B의 순으로 C가 5.00으로 나타나, 착용자들의 전반적인 착용감에 가장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착용의 압 박성(Q16)은 B>A>C의 순으로 나타나, B의 길이가 압박감이 더 심하다고 하였다.

    2) Motion functional evaluation done by subjects

    시판 요가복 상의 3종에 대한 동작기능성 평가는 4항목이며, 4항목에서 모두 유의하였고, 그 결과는 <Table 6>과 같다. 전후 굴곡의 입식동작(Q17)에서는 C>A>B의 순으로 나타났다. C의 평가값이 높은 이유 는 전후 굴곡에 있어서 요가 동작 시 바디 커버에 대 한 안전성과 편안함 때문으로 여겨진다. 좌우 비틀기 의 좌식동작(Q18)에 대한 결과값은 C>B>A의 순으로 나타났다. A와 B의 평가치가 낮은 이유는 좌식 동작 을 할 때 짧은 상의는 군살이 잘 드러나기 때문인 것 으로 사료된다. 누워서 하는 와식 동작(Q19)에 대한 평가는 C가 5.00으로 만족도가 매우 높게 나타났다.

    3. Design development of the first experimental top α

    1) Production of the first experimental top α

    <Fig. 1>은 시판 요가복 A, B, C의 결과를 반영하 고, 수정 보완하여 완성한 것으로, 특징은 의복의 총 길이는 짧아지고, 앞 목둘레가 낮아져 어깨끈이 좁아 지고, 가슴과 허리 사이즈가 작아져 더욱 밀착되었다.

    2) Comparison of commercial yoga top C and the first experimental top α

    시판 요가복 3종에 대한 착의 실험 결과, 상의 길 이, 활동의 안전성에 있어서 선호도가 높은 디자인 C 를 선택하였고, 1차 실험복으로 C의 패턴에 점수가 낮 은 요소들을 보완하여 실험복α를 제작하였다(Fig. 1).

    (1) Fitting evaluation of commercial yoga top C and the first experimental top α by observers

    C와 실험복α의 비교 사진은 <Fig. 2>와 같다. 관찰 자에 의한 C와 실험복α의 착의평가 결과는 <Table 7> 과 같다. 정면에 대한 관능평가 항목은 6개이다. 앞목 파임의 정도(Q1)는 실험복α가 4.60으로 ‘적합하다’의 수준 이상으로 나타났고, 팔부위는 실험복α(Q2)가 C 보다 좋은 것으로 평가되었지만, 평가값 3.60으로 만 족할 만한 수준에 이르지 못해 어깨를 덮는 요가복 상 의 개발이 필요하였다. 상의 길이 노출 정도 평가값 (Q3)은 실험복α가 4.80으로 높게 평가되었고, 이것은 C의 좋은 평가 값을 반영한 결과로 여겨진다. 가슴실 루엣(Q4)은 실험복α가 4.00으로 C의 3.00에 비하여 높게 평가되었다. 실험복α는 가슴 실루엣이 더 우아 하고 똑바른 것으로 보여 진다. 허리복부 실루엣(Q5) 은 실험복α가 4.60으로 ‘적합하다’ 이상으로 평가되 었으며, 정면 전체 실루엣(Q6)도 4.20으로 C보다 높 게 평가되었다. 시판복 C와 실험복α 측면 착의평가는 5항목 중 4항목에서 유의하였다. 팔부위의 노출 정도 (Q7)는 실험복α가 3.00, C가 4.20으로 평가되었고, 가 슴실루엣의 노출 정도(Q8)는 실험복α가 4.40으로 높 게 평가되었다. 허리복부 실루엣(Q9)과 상의 길이 정 도(Q10)는 실험복α가 최소화한 디자인에서 5.00으 로 ‘매우 만족스럽다’에 응답을 하였다. 전체 실루엣 (Q11)은 실험복α가 4.20으로 ‘적합하다’의 수준 이상 으로 나타났다. 후면평가는 4항목 중 3항목이 유의하 였다. 목파임의 정도(Q12) 또는 디자인의 적합성은 실험복α가 4.60으로 시판용 3.60보다 높았다. 팔부위 의 노출 정도(Q13)의 평가값은 실험복α가 4.20으로 높았으며, 상의 길이(Q14)도 5.00으로 매우 적합한 것 으로 나타났다.

    (2) Motion functional evaluation done by subjects

    C와 실험복α의 동작기능성에 대한 평가 결과는 <Table 8>과 같다. 팔 동작기능성은 2항목 중 상의 당 김(Q16)에서 유의하였다. 상의 당김은 진동둘레가 실 험복α가 5.00으로 C보다 높았다. 전체 동작기능성에 대한 평가는 5항목 중 4항목에서 유의하여서 입식 자 세를 제외한 모든 동작에서 실험복α의 만족도가 높 았다.

    (3) Fit evaluation done by subjects

    피험자에 의한 C와 실험복α의 네크라인 착용성에 대한 착의평가는 <Table 9>와 같다. C와 실험복α의 네크라인에 관한 4항목 중 4항목 모두 유의하였다. 앞 네크라인 안정감(Q1), 앞 네크라인 폭 정도(Q2), 앞네 크라인 압력감(Q3), 뒤 네크라인 편안함(Q4)은 실험 복α가 시판용보다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결과적 으로 30~40대 여성들은 네크라인이 낮아 목을 길게 잡아주는 디자인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깨 끈은 3항목 중 2항목에서 유의하였다. 어깨끈 너비의 편안함(Q5)은 요가복의 어깨끈 폭이 넓어진 디자인에 대한 평가로 넓은 어깨끈의 실험복α가 C보다 좋은 평 가를 받았다. 어깨끈 압박감(Q7)은 C가 더 높은 평가 를 받았는데, 이는 실험복α의 폭이 넓어져 스트레스 가 증가했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흉부적합성 3항목은 모두 유의하였다. 흉부 안정성(Q8)은 실험복α가 시판 용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슴모양(Q9), 가슴 의 압력감(Q10)은 실험복α가 5.00으로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C와 실험복α의 허리부분은 3항목에 모두 유 의하였으며, 허리의 압력정도(Q11), 허리 높이의 안정 감(Q12), 허리의 편안함(Q13)도 실험복α가 시판용보 다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4. Design of the second experimental top β

    1) Production of the second experimental top β

    앞의 연구 결과에 따라 C보다 1차 실험복α의 평가 결과가 좋게 나타났으므로, 2차 실험복 설계는 1차 실 험복을 보완하여 제작하였다. 2차 실험복은 35세 이 후 여성의 팔 노출의 거부반응에 대한 연구에 따라 소 매 패턴을 추가하여 실험복β를 제작하였다. <Fig. 3> 은 요가복 상의에 소매를 디자인한 것이며, 총기장은 2cm 길어졌고, 뒤판 엉덩이 길이는 0.5cm 짧아졌다. 가슴 폭은 23cm로 줄이고, 허리 폭은 0.5cm를 줄여 전체적으로 슬림하게 패턴을 제도하였다. 소매 패턴은 래글런 슬리브로 제작하였는데, 일반적인 래글런 슬 리브는 절개선이 들어가지 않지만 실험복에서는 소매 가 팔에 밀착되는 스타일이기 때문에 좀 더 편안한 소 매 패턴의 각도를 위해 중간에 절개선을 넣어 주었다.

    2) Comparison of the first experimental top α and the second experimental top β

    (1) Evaluation of secondary experimental top α, β by observers

    관찰자에 의한 실험복 상의 2종 착의평가 사진은 <Fig. 4>와 같다. <Table 10>은 관찰자에 의한 실험복 착의실험 결과이다. 평가항목은 정면자세에서 6항목 중 2항목에서 유의하였다. 팔부위(Q2)는 실험복β>실 험복α의 순으로 나타나 소매가 있는 연구복이 만족스 러운 평가를 받았다. 전체 실루엣(Q6)도 실험복β>실 험복α 순으로 평가되었다. 정면자세에서의 목파임과 상의 길이에 대한 평가는 전반적으로 실험복β, 실험 복α 모두 4.60 이상으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측 면자세에 대한 평가는 5항목 중 3항목이 유의하게 나 타났다. 팔부위(Q7)는 실험복β>실험복α의 순으로 실 험복β가 우수하였으며, 실험복β는 가슴 실루엣(Q8)과 허리복부 실루엣(Q9), 상의 길이(Q10) 모두 5.00으로 우수하게 나타났다. 후면자세는 5항목 중 3항목에서 유의하였다. 팔부위(Q13)는 실험복β>실험복α의 순으 로 나타났고, 후면 전체 실루엣은 실험복β가 5.00으 로 소매와 어깨와 겨드랑이 부위의 지방을 잘 잡아주 는 외관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2) Motion functional evaluation done by subjects

    피험자에 의한 실험복 상의 2종 동작기능성에 대한 착의평가 결과는 <Table 11>과 같다. 5개 항목 중 좌 우 비틀기의 좌식 동작(Q18)만 실험복α>실험복βp ≤.05 수준에서 유의하게 평가되었다. 나머지 항목들 은 1차 실험복과 2차 실험복의 점수가 4.00 이상으로 평가되어 이미 많은 개선이 있었음을 의미한다고 사 료된다.

    (3) Fit evaluation done by subjects

    피험자에 의한 실험복 상의 2종에 대한 착의평가 결과는 <Table 12>와 같다. 네크라인 4항목 중에서는 실험복 2종 모두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 어깨끈에 관한 항목들은 3항목 중 2항목이 유의하였다. 어깨끈 너비의 안정감(Q6), 어깨끈 압력감(Q7)에 대한 착용 감 평가는 실험복β가 각각 4.80으로 높게 나타났으 며, 흉부 안정성(Q8)은 실험복β가 5.00으로 매우 만 족한다는 평가를 받았다. 허리 부분은 3항목 중 2항목 에서 유의하였다. 허리 압력 정도(Q11)와 허리 편안 함(Q13)도 실험복β가 높았으며, 전체적인 착용감 (Q15, Q16)에 대한 평가도 실험복β>실험복α로 나타 났다.

    5. Yoga clothing 3D design

    요가복의 3차원 디자인을 제시하기 위해 피험자의 평균값으로 가상 모델을 제작하고, 2D 패턴을 CLO 3D 가상 피팅으로 디자인을 도출해 보았다. 패턴은 DouZihan29 Clo 3D에서 2D 패턴을 제작하였고, 3차 원 착의모습을 보고 패턴 수정을 하여 최종 패턴을 완 성하였다. <Fig. 5> 및 <Fig. 6>은 2D 패턴을 3D CLO 에서 착장한 모습이다.

    피트니스, 요가복 등의 애슬레저 룩을 찾는 사람들 이 제품 선택 시 중요시하는 요소는 기본적으로 맞음 새이지만, 최근에는 컬러와 디자인에도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Kang, 2020). 본 연구에서는 <Fig. 5> 및 <Fig. 6>에서 제시한 요가복 디자인과 컬러를 통해 요 가복 디자인 개발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Ⅳ. Conclusion

    본 연구는 30~40대 여성의 체형을 보완한 요가복 상의 디자인과 패턴 개발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 하여 대중성이 높은 시판 요가복 3종을 비교․분석한 후, 평가값이 가장 높은 시판 요가복 상의 1벌을 선정 하였다. 선정된 요가복 상의(C)를 토대로, 체형분석을 통해 개발한 1차 실험복α의 외관검사와 착의 평가를 실시하여 비교한 후 수정, 보완하여 2차 실험복β를 제작한 후, 동일한 방법으로 외관평가와 착의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시판 요가복 상의 길이별로 A, B, C를 착용 후 관찰자는 외관평가를 실시하였고, 착용자는 동작기능 성 평가와 착용감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상의 길이가 가장 긴 C가 우수하였으며, 요가복 상의 평가 수치를 보면 요가복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낮은 부분 은 팔과 상의 길이로 나타났다.

    2. 시판 요가복 C와 앞의 분석 결과를 반영하여 제 작한 1차 실험복α를 비교한 외관평가, 착용감 평가, 동작기능성 평가 결과는 실험복α가 우수한 것으로 나 타났다.

    3. 1차 실험복α의 부족한 부분(팔 부위의 군살 커 버)을 보완하여 2차 실험복β와 1차 실험복α를 동일 한 방법으로 비교․평가한 결과, 1차 실험복α보다 개 선이 많이 되었으며, 팔 패턴을 부착한 2차 실험복β 는 어깨끈 너비의 안정감, 어깨끈 압력감, 흉부 안정 성, 허리의 압력 정도, 허리의 편안함, 전체적인 착용 감과 압착성에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4. 요가복의 3차원 디자인 방법을 제시하기 위해 30~40대 대표 체형을 가진 가상 모델을 제작하고, 2D 패턴을 만든 뒤 CLO 3D 가상 피팅을 해보았다. 이렇 게 제시된 요가복 패턴과 디자인은 향후 착용성 만족 도가 높은 요가복 개발에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 한다.

    그러나 본 연구의 실험 결과는 5명의 피험자를 대 상으로 하였으므로 실험복 패턴과 착용평가의 결과를 다양한 30~40대 여성의 체형으로 확대 적용하는 데는 한계가 있으며, 후속 연구에서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 로 요가복 하의 디자인에 관한 연구도 더욱 심도 있게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Figure

    RJCC-30-3-366_F1.gif

    Pattern α on an experimental yoga top

    RJCC-30-3-366_F2.gif

    Comparison of commercial top C and experimental top α

    RJCC-30-3-366_F3.gif

    Experimental top pattern β

    RJCC-30-3-366_F4.gif

    Photos of top-α and top-β

    RJCC-30-3-366_F5.gif

    Yoga clothing 2D pattern

    RJCC-30-3-366_F6.gif

    Appearance image of virtual wear on yoga clothes

    Table

    Subject’s body size

    Commercial yoga tops photos and diagram

    Wearing commercial yoga tops

    Fit evaluation of commercial yoga tops done by observers (N=15)

    Fit evaluation of commercial yoga tops done by subjects (N=15)

    Motion functional evaluation on commercial yoga tops by subjects (N=15)

    Fit evaluation on commercial top C and experimental top α by observers (N=15)

    Motion functional evaluation of commercial C and experimental top α by subjects (N=15)

    Evaluation of fit on commercial top C and experimental top α by subjects (N=15)

    Fit evaluation of experimental yoga tops (N=15)

    Fit evaluation done by subjects (N=15)

    Fit evaluation of experimental top by subjects (N=15)

    Reference

    1. Baik, Y. S. (2004). A study on the well-being trend in contemporary fashion & design.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Korea.
    2. Hahn, S. Y. , & Kim, K. H. (2015). A study on the protocol of yoga slacks with 3D body scanning analysis and movement assessment. Journal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 18(3), 161-177.
    3. Hwang, Y. T. (2021, February 16). ‘요가복’ 꾸준한 인기...패션업계, 애슬레저 공략각축전 [‘Yoga wear’ continues to be popular in the fashion industry]. Maeil-elbo. Retrieved January 28, 2022, from https://www.m-i.kr/news/articleView.html?idxno=797243
    4. Im, M. J. (2014). The contemporary functions of the features of yoga clothes design in accordance to the types and movements of yoga. Journal of Digital Design, 14(4), 459-469.
    5. Jang, J. (2022). A study on product development research based on evaluation of yoga apparel design and wearabilit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eongju University, Cheongju, Korea.
    6. Kang, E. M. (2020). A study on consumer perception on athleisure look using big dat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esign Culture, 26(4), 1-18.
    7. Kim, J. H. (2008). A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 of yogawear and consumer’s preference of yogawear.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10(2), 147-154.
    8. Kim, M. S. (2020). The development of aquarobic wear by somato-types for mid-aged women and wear trial tes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eungnam University, Daegu, Korea.
    9. Lee, M. H. (2020). Development of swimming wear and evaluation of middle-aged wome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eongju University, Cheongju, Korea.
    10. Park, H. Y. (2020, September 4). 요가복, 4년 만에 성숙기 진입 [Yoga clothes enter maturity after 4 years]. Apparel News. Retrieved January 28, 2022, from http://www.apparelnews.co.kr/news/news_view/?idx=184832
    11. Park, S. Y. , Hong, K. H. , Choi, Y. M. , Lee, J. S. , & Lee, Y. J. (2019). Suggestion of yoga wear prototype design for women over 50s based on market surve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43(2), 243-254.
    12. Park, S. Y. , Kim, N. I. , Hong, K. H. , & Lee, Y. J. (2018). The influence of wearing commercial bra-top yoga wear on the change of blood flow in the middle-aged women. Proceeding of the Ergonomics Society of Korea, 18(5), 422-425.
    13. Pyo, J. H. (2017). 산후관리를 위한 8주 요가 [Program 8-week yoga program for postpartum care]. Seoul: Sidaein.

    Appendi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