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rossref logo
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6-0401(Print)
ISSN : 2383-6334(Online)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Vol.31 No.1 pp.91-106
DOI : https://doi.org/10.29049/rjcc.2023.31.1.91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gender fluidity expressed in modern knit fashion

Yeonji Lee, Sohee Um*
Ph. D. Candidate, Dept. of Fashion Design, Gangneung-Wonju National University, Korea
*Professor, Dept. of Fashion Design, Gangneung-Wonju National University, Korea
Corresponding author (simple8401@gwnu.ac.kr)
June 23, 2022 February 7, 2023 February 8, 2023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how the concept of gender fluidity—viewing gender identity as a fluid and wide spectrum—is represented in modern knit fashion collections. The period spring/summer 2017–fall/winter 2021, when gender-related fashion keywords started attracting attention, was limited to the last five years, and the results of a case analysis focused on a total of 357 knit fashion photos are as follows. First, the androgynous compromise through the mixing of heterogeneous elements appears as a mix-and-match style due to the patchwork of heterogeneous materials and forms that borrow or share masculinity and femininity.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the dismantling exaggeration caused by the destruction of the size and form of clothes was an avant-garde image that exaggerated the size or length of clothes or destroyed ideas and forms. Third, the exposed sensuality caused by the deformation of the fluid knitting technique was shown in the form of proudly expressing sexuality by exposing the body either using the cut-out technique or through the loose texture of the knit. Knit fashion can highlight decorative effects using handcrafted techniques and express a detailed or coarse sense of organization depending on the density. In addition, since it is possible to create a complex image by juxtaposing and mixing various knit structures, it was confirmed that it is a suitable material for expressing gender fluidity flowing between men and women in fashion.



현대 니트 패션에 표현된 젠더 플루이드 특성 연구

이 연 지, 엄 소 희*
국립 강릉원주대학교 패션디자인학과 박사수료
*국립 강릉원주대학교 패션디자인학과 교수

초록


    I. Introduction

    현대 사회는 다양한 가치가 공존하며 개성을 중시하는 시대의 흐름에 따라 과 거의 이분법적 성 역할에서 벗어나 젠더리스(genderless), 젠더 스펙트럼(gender spectrum), 성 중립 (gender-neutrality) 등의 다양한 개념을 포용하는 분위 기로 변화하고 있다. 최근 패션계에서는 여성과 남성 의 경계를 무너뜨리는 새로운 성 정체성을 반영한 디 자인을 제시하고 있으며, 특히 여성과 남성을 유동적 으로 오가는 개념인 젠더 플루이드(gender fluid)가 패션 트렌드로 새롭게 떠오르고 있다(Cohn, 2020). 뉴욕에 본사를 둔 브랜드 컨설팅 업체인 원더맨 톰슨 (Wunderman Thompson)은 최근 설문 조사에서 Z세 대 고객의 절반 이상이 남성복과 여성복 제품 모두에 서 쇼핑하고 있다고 하였다(Laughlin, 2016). 이분법 적 구분을 넘어 스펙트럼 안에 다양한 포지션을 스스 로 선택하여 성 정체성을 표현하는 젠더 플루이드 개 념이 하이엔드 패션부터 패션 산업 전반으로 확대되 어 일반 대중들에게도 받아들여지고 있는 것이다.

    패션 분야 중 젠더와 관련된 선행 연구에 대해 살 펴보면, Hong and Joo(2020)는 젠더 뉴트럴 남성복에 사용된 핑크색의 특성과 패션 이미지를 분석하였고, Kim and Lee(2016)는 여성 컬렉션을 중심으로 나타 난 젠더리스 스타일의 특성에 관해 연구하였다. An (2018)은 남성복 컬렉션에 나타난 젠더리스 특성을 연구하는 등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유동적으 로 양성을 오가는 젠더 플루이드의 개념으로 볼 때, 남성 컬렉션과 여성 컬렉션을 통합적으로 연구한 사 례는 부족하며 특히 니트와 같은 특정 소재를 중심으 로 한 연구는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성별 정체성을 유동적이고 넓은 스펙트럼으로 보는 방식인 젠더 플루이드의 개념 및 문화 현상에 대해 고찰하고, 현대 니트 패션에 표현된 젠더 플루이드 특성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니트 는 최근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과 레트 로의 트렌드가 지속되며 주목받고 있는 컴포트 웨어 의 대표적인 패션이다. 자유롭게 스타일링이 가능한 니트의 소재적 특성은 자신만의 개성을 표현하기 원 하는 현대인들의 기호에 적합하며, 이에 본 연구가 다 원화된 시대의 새로운 소비자의 니즈를 반영한 패션 디자인의 개발 방향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연구 범위는 파리, 밀란, 런던, 뉴욕 컬렉션으로 한 정하였고, ‘젠더리스’, ‘젠더 뉴트럴’ 등의 젠더 관련 키워드가 트렌드로 주목받기 시작한 2017년도 S/S부 터 2021년도 F/W까지 최근 5년의 기간을 중심으로 실증적 사례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젠 더와 니트의 정의 및 특성, 복식사적 측면에서의 개념 을 고찰하기 위해 국내외 문헌 자료와 매스미디어 자 료 등을 조사하였다. 이러한 자료를 근거로 하여 실증 적 연구를 위해 연구자가 일차적으로 니트 패션 사진 161장과 젠더 플루이드 패션 사진 754장을 수집하였 다. 자료 수집은 퍼스트뷰코리아와 보그 사이트를 이 용하였으며, 니트 패션 사진 161장과 선행 연구를 통 하여 니트 패션의 특성에 대해 분석하여 연구의 기반 을 마련하였다. 이후 패션디자인 전공 연구원 5명의 집단을 대상으로 선행 연구를 통해 분석된 젠더 플루 이드 패션의 특성에 대해 정보를 제공한 뒤, 754장의 사진 자료를 각 특성에 따라 분류하는 2차 조사를 시 행하였다. 분류 과정에서 젠더 플루이드 패션이라고 판단하기 모호한 33장의 사진은 제외하였으며, 최종 적으로 분류된 721장의 사진 자료 중 니트 소재가 사 용된 총 357장을 중심으로 한 사례 연구를 진행하였 다. <Fig. 1>은 이를 종합한 연구 흐름도이다.

    Ⅱ. Background

    1. Knit fashion

    1) The concept of knit

    니트는 루프에 의해 형성되는 편성물로서 한 가닥 또는 두 가닥의 실로 루프를 만들고 이를 연속적으로 얽히게 하여 만든 소재이다(Song, Kim, & Kim, 2017). 니트는 크게 기계 니트와 수공예 니트로 나누며, 기계 니트는 컴퓨터 자동화 편기와 위편, 경편 등이 있고, 수공예 니트는 대바늘, 코바늘, 아프간 등이 있다. 기 계 니트와 수공예 니트를 사용하여 원사의 굵기와 종 류, 게이지, 조직, 편직기법에 따라 다양한 텍스쳐와 디자인이 개발될 수 있으므로, 니트는 다양한 문양을 표현하는데 적합한 소재이기도 하다. 니트의 문양은 색채와 조직을 변화하거나 장식기법을 통해서도 표현 할 수 있으며, 디자이너의 창의성에 의해 다양한 표현 이 가능하여 앞으로도 패션의 소재 분야에서 중대한 비중을 차지할 것으로 예측된다(Lee & Kim, 2013).

    이러한 니트의 개념에 의해 본 연구에서는 니트 소 재로 구성된 다양한 패션 아이템을 니트 패션으로 정 의하였으며, 그 특징은 다음과 같다. 니트 조직은 직 조 과정상의 구조와 섬유의 물리적 성질로 인해 직물 보다 신축성이 크며 보온성이 좋다. 또한 니트는 다공 성, 성형성, 방추성, 드레이프성 등의 장점을 지니고 있으며, 특유의 유연성으로 계절에 관계없이 다양한 패션 아이템에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장점으로 니트 패션은 어린아이부터 노인에 이르기까지 착용자의 연 령과 성별에 상관없이 입을 수 있는 대중 패션으로 전 세계 사람들이 입는 주요 패션 품목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최근 컴퓨터 니트 기계의 출현과 새로운 소재 개발 에 의해 조직이 정교화 되었으며, 다품종 소량생산이 가능해짐으로써 니트 패션이 더욱 활발하게 개발되고 있다. 니트를 전문으로 하는 브랜드의 등장과 시장 안 착은 니트 패션의 대중화에 이어 마니아층을 형성해 가고 있다. 특히 레트로와 빈티지가 유행하는 팬데믹 (pandemic) 시대에 가장 중요한 요소인 편안함을 갖 춘 트렌드의 중심소재로 부상하고 있는 것이다. 기본 적인 조직에서부터 예술성을 지니며 입체적인 조직을 자유롭게 표현 가능한 니트 패션은 자신만의 개성을 추구하는 현대인의 차별화된 디자인 추구 경향에 적 합한 패션이라고 할 수 있으며, 앞으로 더욱 다양하고 혁신적으로 전개될 것으로 예상된다.

    2) The characteristics of knit fashion

    니트는 유동적인 특징과 함께 특유의 질감, 신축성, 기법과 조직의 다양한 변화로 인체의 실루엣을 잘 연 출할 수 있어 잠재력과 가능성이 큰 소재라 할 수 있 다(Lee & Kim, 2021). <Fig. 2>는 다이아몬드, 격자, 지그재그 형태를 모티브로 하여 케이블편, 벌집편 등 으로 편직된 아란문양의 니트 패션으로, 현대 니트 패 션에서는 로우게이지로 과장되게 확대한 디자인이 많 이 나타나고 있다. <Fig. 3>은 블랙과 화이트의 강한 명도 대비 효과로 얼룩말의 표피를 묘사한 작품으로 모티브를 일방 배열로 배치한 후 자카드 기법으로 편 직한 동물문이 특징적이다. 이렇듯 니트 패션에서 다 양한 문양이 표현되는 것은 문양의 3D 맵핑과 시뮬레 이션이 가능해지면서 니트의 문양 개발이 더욱 쉬워 졌으며, 컴퓨터 인타샤 편기의 발달로 다양한 색상의 복잡한 문양 표현이 가능해졌기 때문이다(Lee & Kim, 2013). 또한, 와이드 게이지의 편기가 개발되며 하나 의 니트 아이템에서 다양한 종류의 게이지를 접목할 수 있게 되어 복합적인 조직을 결합한 다양한 종류의 문양 표현이 가능해진 결과라 할 수 있다(Lee & Kim, 2013).

    현대 니트 패션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니트 패션 에 대한 선행 연구에 나타난 특징을 토대로 패션 사진 자료 161장을 수집 분석하였다. 현대 니트 패션의 특 성은 <Table 1>과 같이 ‘자유로운 문양 형성’, ‘복합적 인 모티브 형태의 구성’, ‘다양한 질감 표현’, ‘입체적 구조 형성’, ‘장식기법의 혼합’으로 나눌 수 있었다. 먼저 ‘자유로운 문양 형성’이라는 특성은 주로 다양한 색채의 원사를 사용하여 조직을 자유롭게 표현하는 패션 사례로 나타났다. 폴앤조(Paul & Joe)의 2019년 봄 컬렉션 작품과 같이 입체감 있는 나무의 이미지가 표현된 인타샤 니트와, 오토링거(Ottolinger)의 2019 년 가을 컬렉션 작품과 같이 메시지가 적힌 타이포그 래피 니트에서 그 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복합적 인 모티브 형태의 구성’이라는 특성이 보인 사례는 몰 리 고다드(Molly Goddard)의 2020년 가을 컬렉션 작 품을 들 수 있다. 페어아일 니트에 인타샤 기법으로 편직된 꽃문양 모티브를 추가하여 복합적인 형태를 통해 꽃의 묘사를 한층 강조하는 형태로 나타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이자벨 마랑(Isabel Marant) 의 2021년 가을 컬렉션에서는 블루 그린 컬러의 포켓 플랩, 어깨 및 소매 부분의 모티브들을 블랙 니트와 함께 구성하여 색상대비 효과를 보이기도 하였다. ‘다 양한 질감 표현’의 특성은 긴 헤어의 장식사가 감겨있 는 스파이럴사로 편직된 스웨터에서 도드라지게 나타 났다. 발렌티노(Valentino)의 2021년 가을 컬렉션 작 품에서 니트 재킷은 부드러운 원사와 메탈사로 장식 되어 다양한 요철감이 느껴지며, 가공되지 않은 듯한 마감으로 러프한 질감을 표현하고 있었다. ‘입체적 구 조 형성’의 특성은 케이트(Khaite)의 2021년 가을 컬 렉션 작품과 같이 굵은 원사로 짜인 로우 게이지의 케 이블 문양으로 입체적 형태감이 드러나거나, 이자벨 마랑의 2020년 가을 컬렉션 작품과 같이 니트 아이템 을 레이어드하여 구조적 형태를 보여주고 있음을 확 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장식기법의 혼합’이라는 특성은 오토링거의 2019년 가을 컬렉션 작품과 같이 아플리케, 술 등의 장식적 요소가 혼합되어 나타나는 사례가 주를 이루었으며, 이자벨 마랑의 2021년 가을 컬렉션 작품과 같이 평편 니트 특유의 컬업 현상과 전 선(run) 현상을 장식적 요소로 이용한 사례도 찾아볼 수 있었다.

    2. Gender fluid fashion

    1) The concept of gender fluid

    젠더 정체성(gender identity)이란 젠더에 대한 자신 의 자각, 자아의식을 말한다(Morrow & Messinger, 2006). 젠더 정체성의 분류는 젠더 지각과 성적 지향 에 따라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먼저 젠더의 지각과 관련하여 자신에게 지각된 젠더와 지정된 성 별(assigned sex)이 일치할 경우는 시스젠더(cisgender), 일치하지 않을 경우는 트랜스 젠더로 분류할 수 있다 (Kim & Ha, 2020). 트랜스젠더 중에서도 여성과 남성 간의 젠더 전환, 지정 성별과 젠더가 불일치하는 경우 는 바이너리 트랜스젠더에 속하며, 여성과 남성 두 젠 더에 속하지 않는 경우는 논바이너리 트랜스젠더에 속한다(Kim & Ha, 2020). 성적 지향에 따른 분류로는 성적 끌림(sexual orientation)과 로맨틱 끌림(romantic orientation)으로 나뉘는데 자신이 특정 젠더에 자발적 으로, 성적 혹은 낭만적 끌림을 느끼는지를 구분하는 범주를 말한다(Mardell, 2016/2017). 이러한 젠더 정 체성의 분류를 정리하면 <Fig. 4>와 같다.

    NBC News에 따르면 옥스퍼드 영어사전(OED)에 젠더 플루이드 단어가 신조어로 추가되었다고 한다 (Gutierrez-Morfin, 2016). 젠더 플루이드란 옥스퍼드 사전에 의하면 ‘고정된 하나의 성으로 식별되지 않는 사람’으로 정의되어 있다(Im, 2018).

    최근 주목받고 있는 트렌드인 젠더 플루이드는 논 바이너리 트랜스젠더(non-binary transgender)의 한 종 류로서, 성의 모호한 경계에서 남성과 여성의 성 정체 성을 가지지 않는 젠더리스나, 성별 특성이 없는 하나 의 새로운 젠더로서 에이 젠더(agender)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Im(2018)은 특정 성 정체성을 나타내기보 다 개인의 취향과 스타일을 다양화하기 위한 새로운 표현 방식이라 하였고, Park(2021)은 젠더 정체성이 변화 가능하다는 점에 초점을 둔 것이라 하였다. Kim (2022)은 유동적으로 변화 가능하다는 점과 개인의 개성과 취향이 강조된 주체적 젠더 표현이라고 하였 다. 따라서 젠더를 여성성과 남성성의 공존이라는 여 자와 남자의 특징을 모두 지닌 것을 의미하는(Kim, 2015) 앤드로진의 개념과는 다르게, 성별의 이분법적 구분에서 벗어나 개인의 다양성을 인정하는 사회 분 위기 속에서 탄생한 성 정체성의 개념인 것이다. 젠더 플루이드는 남성과 여성으로 성별을 나누는 것에 의 미가 없으며, 하나의 성 정체성을 표현하는 것이 아니 라 개개인의 취향에 따라 변화 가능한 젠더의 표현 방 식이라고 할 수 있다.

    2) Gender fluid culture phenomenon

    현대 사회에서 젠더 이슈는 성 평등을 넘어 사회문 화 전반에 크게 영향력을 미치고 있다. 내면의 성 평 등 확산을 위해 등장한 개념인 ‘젠더 감수성’은 젠더 불평등과 성차별, 여성과 남성의 차이에서뿐만 아니 라 국적, 인종, 종교, 성 정체성 등의 다채로운 정체성 들이 교차하며 생긴 차이로 인한 차별의 감수성으로 도 그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Lee & Kwak, 2020). 미 국에서는 성 중립적인 화장실 도입 필요성이 제기되 며 2015년 백악관 내 ‘모두의 화장실’이 설치되었다. 2017년 캘리포니아주는 ‘성 중립’ 표지판을 공공기관 건물과 업무용 빌딩을 포함한 모든 1인용 공공화장실 에 의무적으로 달게 했다(Lee, 2022). 또한 <Fig. 5>와 같이 성공회대에서는 2022년 국내 대학 최초로 성별, 장애, 인종과 관계없이 누구나 사용가능한 ‘모두를 위 한 화장실’이 설치되었다(Yoon, 2022). 기존의 이분법 적인 성별 고정관념을 깨는 시도라는 옹호론과 안전 문제와 관련한 우려 속에서 많은 논란을 일으키고 있 으나, 다양한 사회적 성별과 성 정체성을 가진 사람들 의 인권을 존중하는 의미로 전 세계적으로 그 규모가 확산되는 추세이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2020년 12월 미국 보그(Vogue)(Fig. 6)는 1892년 창간된 이래 최 초로 남성이 단독으로 표지에 올라 여성 패션지를 상 징하는 미국 보그 역사에서 성벽을 허문 화보로 이슈 가 되었다. 이 화보는 가수이자 배우인 해리 스타일스 (Harry Styles)가 구찌(Gucci)의 알레산드로 미켈레 (Alessandro Michele)가 디자인한 연하늘색의 섬세 한 수가 놓인 레이스 드레스에 검은색 더블 단추 턱 시도 재킷을 걸치고 강렬한 표정을 짓고 있다. 슈트 와 드레스를 동시에 매치해 성별의 경계를 넘은 패션 이 대중들의 폭발적 인기를 끌며 한 주 만에 4만 명 이 구독 신청을 했으며, 2쇄 주문이 들어가는 등 사회 적 이슈를 만들어냈다. 또한 <Fig. 7>의 루이뷔통 (Louis Vuitton)은 모호해지고 있는 성별(gender)의 정체성을 반영한 2021년 S/S 컬렉션을 국내 현대백 화점에서 팝업 스토어를 선보였다. 루이뷔통의 아티 스틱 디렉터를 맡고 있는 니콜라 제스키에르(Nicolas Ghesquiere)는 전통적인 성별의 개념을 지우고, 여성 적인 것과 남성적인 것으로 여겨져 왔던 것들의 경계 를 허문 젠더 플루이드 룩을 선보였다(Kwak, 2021). 시대의 변천에 따라 성 정체성은 정치, 사회뿐만 아니 라 문화 전반과 의식주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새 로운 소비 트렌드로 급부상하고 있다. 특히 최근 성 정체성이 고정된 것이 아닌 물, 공기와 같이 유동적으 로 전환되는 것을 의미하는 젠더 플루이드는 여성성 과 남성성을 한데 녹여 유연하면서도 다채로움을 나 타내고 있는 트렌드라고 할 수 있다.

    Ⅲ. Cases Study of Gender Fluid Expressed in Modern Knit Fashion

    1. The characteristics of gender fluid in modern fashion

    젠더와 관련된 선행 연구에서 Lee and Kwak(2020) 은 절충성, 유희성, 지속가능성으로 젠더 뉴트럴의 특 성을 도출하였다. 젠더리스 패션의 특성은 남성복과 여성복에서 다르게 나타났는데, An(2018)은 남성복에 서 양성성과 절충성, 관능성, 유희성으로, Kim and Lee(2016)는 여성복에서 절충성, 과장성, 관능성, 역 사성, 유희성으로 분석하였다. Jung(2015)의 시뮬라 시옹(simulation) 이론을 대입한 젠더 플레이 룩 연구 에서는 다원성, 상호연관성, 탈재현성으로 그 특성을 분석하였다. Yoo(2012)는 현대 남성 패션에 나타난 남성성과 여성성의 장점을 포괄적으로 수용한 성 중 립적이고 개인화된 생활방식을 의미하는 엠니스(Mness) 의 특성을 살펴본 결과 해체성, 통합성, 절충성, 관능성으로 도출하였다. Lee, Byun, and Lee(2006)는 메트로 섹슈얼 현상을 중심으로 분석한 현대 남성복 스타일의 특성을 절충성, 관능성, 해체성으로 분석하 였다. 이처럼 젠더와 관련된 패션 연구는 여성복보다 는 남성복에 관한 연구가 비교적 많이 이루어지고 있 었다. <Table 2>의 선행 연구에서 공통으로 제시된 젠 더와 관련된 패션의 조형적 특성을 종합적으로 분 류․정리하면 해체성, 절충성, 관능성, 유희성, 과장 성, 양성성의 6가지로 범주화시킬 수 있다.

    본 장에서는 공통으로 제시된 6가지 특성에 따라 실증적 사례 연구를 통해 젠더 플루이드 패션의 표현 특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실증적 사례 연구는 패션디 자인 전공 연구원 5명이 젠더 플루이드 패션의 특성 에 대해 정보를 제공받은 뒤 사진 자료를 분류하였으 며, 각 특성별 빈도수는 다음의 <Table 3>과 같다.

    젠더 플루이드 패션에서 해체성은 정형화된 고정 관념에서 벗어난 디자인 방식으로 새로운 형태와 구 조를 보여주고 있다. <Fig. 8>은 톰 브라운(Thom Browne)의 2020년 가을 컬렉션 작품으로, 상의는 팬 츠를 재구성하여 홀터넥 탑으로 제작하였으며, 하의 는 셔츠와 재킷을 팬츠의 앞면에 배치한 의상을 남성, 여성 모델이 각각 착장하였다. 이처럼 해체성은 기존 의 관념에서 벗어나 아이템의 위치를 변경하거나, 남 녀 모델을 함께 캐스팅하여 같은 의상을 함께 보여줌 으로써 탈구성적이면서 전위적 특성을 보여주고 있다.

    절충성은 남성성과 여성성에 대해 경계를 구분하지 않고 이를 차용하고 공유하는 것으로, 외적 평가 기준 에서 벗어나 이질적인 요소들을 결합한 새로운 스타 일로 나타났다. <Fig. 9>는 알렉산더 맥퀸(Alexander McQueen)의 2020년 봄 컬렉션 작품으로, 테일러드 슈트 밑단에 프릴 장식을 풍성하게 덧대어 이질적 소 재와 컬러가 돋보이도록 믹스매치 하였다. 또한, 이처 럼 여성적․남성적이라고 생각해왔던 디테일을 서로 차용하거나, 어울릴 것 같지 않던 소재나 요소들을 도 입하여 복합적 이미지를 연출하는 것이 절충성의 특 성이라고 할 수 있다.

    관능성은 신체의 직․간접적 노출이나, 시스루 소 재의 활용과 란제리 룩과 같은 에로틱한 스타일로 표 현되었다. <Fig. 10>의 모스키노(Moschino) 2018년 가 을 남성복 컬렉션에서는 뷔스티에와 러플 디테일이 더해진 시스루 카디건을 매치시켜 남성의 가슴 부위 를 부각함으로써 섹슈얼리티를 당당하게 표현하였다. 이처럼 관능성은 신체를 직접 노출하거나, 다소 여성 스럽다고 생각하는 레이스 소재와 시스루 소재를 활 용하여 신체가 간접적으로 드러나는 경우가 많았으 며, 인체의 곡선을 부각하는 섹시한 이미지로 표현되 고 있었다.

    유희성은 유명한 만화 캐릭터나 인형 등의 유아적 인 요소들을 활용하거나, 유치한 키치의 느낌으로 표 현되는 유형이 많이 나타났다. <Fig. 11>은 플로럴 패 턴과 레이스를 활용한 상의와 포멀한 팬츠를 매치하 였으며, 동물이 연상되는 가면과 비니(beanie)를 함께 스타일링하여 예상치 못한 시각적인 자극으로 인한 유희성이 보여지고 있다. 이처럼 키치한 요소와 이성 의 외양을 함께 대조하여 재미를 표현하고 있었다.

    과장성은 옷의 크기나 길이를 과장되게 키우거나, 옷의 맞음새와 사이즈에 대한 기존의 형식과 관념을 파괴하는 전위적 이미지로 나타났다. <Fig. 12>는 바 퀘라(Vaquera)의 2019년 가을 컬렉션으로, 풍성하게 부풀린 벌룬 슬리브의 티어드 원피스에 빅 사이즈의 미디 칼라가 덧대어짐으로써 어깨가 강조되고 실루엣 이 과장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처럼 신체 부위를 과장하고, 과장된 실루엣으로 인해 인체 형태를 왜곡 시키며 기이함과 신선함을 주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 었다.

    양성성은 하나의 스타일에서 기존의 여성복과 남 성복의 전유물이었던 의복 형태가 동시적으로 표현되 는 것을 말한다. 장 폴 고티에(Jean Paul Gaultier)는 <Fig. 13>과 같이 피크드 칼라의 턱시도 재킷에 웨딩 드레스와 턱시도 팬츠를 동시에 착용하는 패션을 선 보였다. 이처럼 몸에 잘 맞도록 재단된 남성 정장 위 에 여성의 스커트를 덧입히거나, 웨딩드레스와 턱시 도 슈트가 공존하는 스타일로 남성복과 여성복이 함 께 매치되는 룩을 연출하여 양성성을 표현한 것이다.

    2. The characteristics of gender fluid in modern knit fashion

    현대 니트 패션에 표현된 젠더 플루이드의 특성은 각 사례를 분석한 결과 양성적 절충성, 해체적 과장 성, 노출적 관능성이 부각되어 표현된 것으로 나타났 다. 수집한 357장의 사진을 각 특성별로 빈도 분석한 결과는 <Table 4>와 같다.

    1) Androgynous compromise through the mixing of heterogeneous elements

    양성적 절충성은 남성과 여성의 절충, 소재의 절충 으로 분류되었으며, 남자다움과 여자다움에 대한 경 계의 구분 없이 이를 차용하고 공유하거나, 외적 평 가 기준을 버리고 이질적인 요소들을 결합한 새로운 스타일로 나타났다. <Fig. 14>인 루도빅 드 생레르넹 (Ludovic de Saint Sernin)의 2020년 가을 남성복 컬 렉션에서는 블랙 컬러의 니트 브래지어를 남성 모델 이 착용하였으며, <Fig. 15>인 앤 드뮐미스터(Ann Demeulemeester)의 2017년 가을 남성복 컬렉션에서 는 블랙 컬러의 터틀넥 크롭 니트를 시스루 소재의 탑과 함께 매치하였다. <Fig. 16>은 크리스챤 디올 (Christian Dior)의 2020년 가을 컬렉션 작품으로, 블 랙 컬러의 더블 브레스트 니트 재킷을 팬츠, 넥타이와 함께 스타일링 하였다. 전통적으로 남성적 혹은 여성 적이라고 생각해왔던 아이템을 활용해 남성복과 여성 복의 경계가 모호한 룩을 연출하여 성의 모호함과 유 동성을 표현한 것이다. 소재의 절충은 재질감이 달라 어울리지 않을 듯한 소재들을 혼합하는 형식으로 많 이 나타났는데, <Fig. 17>의 베스트는 기하학적 문양 의 니트와 얇게 비치는 시스루 소재가 패치워크 되었 다. 이처럼 절충성은 이질적인 재질감의 소재가 결합 되는 형태로 표현되고 있었다.

    2) Dismantling exaggeration caused by the destruction of the size and form of clothes

    해체적 과장성은 옷의 크기나 길이를 과장되게 키 우거나, 옷의 맞음새와 사이즈에 대한 기존의 관념 및 형식을 파괴하는 전위적 이미지로 나타났다. <Fig. 18>은 핑크색 풀오버로 소매의 길이가 무릎까지 내려 올 정도로 길게 과장되었으며, <Fig. 19>는 허리선까 지 깊게 파인 브이넥 베스트 또한 크기의 과장으로 인 해 허릿단이 무릎까지 내려오는 디자인이다. 이처럼 니트 패션의 신축성과, 유연성, 드레이프성을 활용한 다양한 착장이 많이 시도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과장성은 관념 및 형식을 파괴하는 전위적인 이미지로도 나타났는데, <Fig. 20>과 같이 네크라인에 만 고정되어 있는 디자인이나, <Fig. 21>과 같이 재킷 위에 한쪽 몸판이 제거된 니트 베스트를 매치하는 등 과장된 실루엣으로 인체 형태를 왜곡시키거나 기존의 착장 방식을 무너뜨려 기이함과 신선함을 주는 패션 으로 나타났다.

    3) Exposed sensuality caused by the deformation of the fluid knitting technique

    노출적 관능성은 신체를 직접적으로 노출함으로써 신체미를 표현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란제리 룩과 같 은 에로틱한 스타일이나 컷 아웃의 표현기법으로 신 체를 노출하는 패션으로 표현되었다. <Fig. 22>의 루 도빅 드 생레르넹(Ludovic de Saint Sernin)은, 실루엣 이 드러나도록 타이트한 블랙 니트 상의에 컷 아웃 기 법을 활용하여 한쪽 가슴 부분을 노출시켜 관능적인 패션으로 표현하였다. <Fig. 23>의 펜디(Fendi) 2020 년 봄 남성복 컬렉션에서는, 타원 모양을 반복적으로 컷 아웃시킨 풀오버로 남성의 신체를 부각함과 동시 에 젠더 플루이드 감성을 더해 자신의 섹슈얼리티를 당당하게 표현하였다. 신체 노출은 모델의 성별에 관 계없이 신체적 특징을 강조하는 형태로 나타났는데, <Fig. 24>는 느슨하게 짜인 니트 원피스로 여성의 신 체가 노출되어 섹시한 효과를 주고 있으며, <Fig. 25> 의 터틀넥 풀오버 또한 엉성하게 엮어진 그물 조직으 로 인해 신체가 과감히 노출되면서 관능적인 미가 드 러나고 있다. 이렇게 여성성과 남성성이라는 본연의 가치를 인정하며 그 특성을 오히려 당당하게 강조하 는 형태로 젠더 플루이드 이미지를 나타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위의 니트 패션에 표현된 젠더 플루이드의 조형적 특성을 정리하면 <Table 5>와 같다.

    Ⅳ. Conclusion

    젠더 플루이드 패션이란 유니섹스 스타일을 의미 하는 것이 아닌, 개인의 다양성을 바탕으로 남성성과 여성성을 원하는 대로 조합하고 마음대로 오가는 유 연성을 가진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젠더 플루이드 패 션의 개념과 특성을 이해하고, 젠더와 관련된 패션에 관한 역사에 대해 살펴봤으며, 패션 사례를 통해 현대 니트 패션에 표현된 젠더 플루이드 특성에 대해 관찰 할 수 있었다.

    선행 연구를 통해 분석된 젠더 관련 패션의 특성을 기준으로, 모호한 사진을 제외한 721장의 사진 자료 가 최종 선정되었으며, 패션디자인 전공 연구원 집단 의 분류를 통해 도출된 젠더 플루이드 패션의 특성은 절충성, 양성성, 해체성, 과장성, 관능성, 유희성의 순 으로 나타났다.

    특히 니트를 중심으로 수집한 357장의 사진을 분 석한 결과, 현대 니트 패션에 표현된 젠더 플루이드 의 특성은 ‘양성적 절충성’, ‘해체적 과장성’, ‘노출적 관능성’으로 도출되었다. 그중 ‘노출적 관능성’은 40.6%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양성 적 절충성’은 33.1%, ‘해체적 과장성’은 26.3%로 나 타났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질적 요소의 혼용을 통한 양성적 절충성은 남성성과 여성성을 서로 차용 또는 공유하는 형태와 이질적 소재의 패치워크로 인한 믹스 & 매치 스타일 로 나타났다. 젠더 플루이드 패션에서는 전통적으로 남성적 혹은 여성적이라고 생각해왔던 아이템을 니트 로 제작하고, 이를 광택이 있거나 비치는 시스루 소재 와 함께 매치함으로써 남성복과 여성복의 경계가 모 호한 룩을 연출하여 성의 모호함과 유동성을 표현하 였다.

    둘째, 옷의 규모 및 형식 파괴에 의한 해체적 과장 성은 옷의 크기나 길이를 과장하거나 관념 및 형식을 파괴하는 전위적 이미지로 나타났다. 굵은 원사로 짜 인 로우 게이지의 니트로 입체적 구조를 형성하여, 남 성과 여성의 신체가 은폐될 정도로 과장된 실루엣의 상의나 원피스 디자인으로 성별 특성이 없는 하나의 새로운 젠더를 표현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유동적인 니팅 기법의 변형에 의한 노출적 관능성은 컷 아웃 기법을 활용하거나 니트의 느슨한 조직감을 활용해 신체를 노출함으로써 섹슈얼리티를 당당하게 표현하는 형태로 나타났다. 남성과 여성에 관계없이 신체의 관능적인 부위를 노출함으로써 개념 적인 성별을 지운 듯한 패션으로 젠더 플루이드 스타 일을 표현하였다.

    본 연구는 현대 니트 패션에서 성별의 이분법적 구 분을 초월한 젠더 플루이드의 특성에 대해 다양한 시 각적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니트 패션은 디자 인 기획 단계에서 원사와 게이지, 조직과 색채배색, 장식기법에 따라 다양한 문양을 표현할 수 있는 차별 점을 가지고 있으며, 내추럴함과 다양한 조직감의 이 미지를 표현하기에 유리한 소재라고 볼 수 있다. 크로 쉐니트 기법과 수공예적 기법으로 인해 장식적 효과 를 부각하거나 미들게이지, 로우게이지의 성근 밀도 의 니트로 투박한 스타일을 낼 수 있으며, 다양한 니 트 조직을 병치하고 혼합하여 복합적 이미지를 연출 가능하므로 남녀를 유동적으로 오가는 젠더 플루이드 를 패션으로 표현하기에 적합한 소재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새로운 트렌드로 주목받고 있 는 젠더 플루이드의 문화를 반영한 니트 패션의 다양 한 디자인 개발 가능성을 제시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 로 판단된다. 본 연구의 한계점은 실물이 아닌 사진 자료를 통한 사례분석으로 니트 소재의 질감까지 파 악하기 어려웠다는 점이다. 젠더 플루이드 패션의 유 행은 다양성과 유동성을 요구하는 시대적 반영으로 나타나고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남성복이나 여성 복에 한정된 연구가 아닌 이를 통합적으로 분석한 본 연구를 바탕으로 다양한 소재에 따른 젠더 플루이드 패션에 관한 후속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앞으로 젠더 플루이드 패션에 대한 인식과 소 비 성향의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패션 기획과 디자인 개발이 더욱 확대되어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Figure

    RJCC-31-1-91_F1.gif

    The flow of research

    RJCC-31-1-91_F2.gif

    Sacai Pre-Fall 2021 Reprinted from Vogue. (2021a). https://www.vogu e.com

    RJCC-31-1-91_F3.gif

    Ports 1961 Spring 2020 Reprinted from Vogue. (2019a). https://www.vogue. com

    RJCC-31-1-91_F4.gif

    Gender identity Adapted from Kim & Ha. (2020). p.8.

    RJCC-31-1-91_F5.gif

    Sungkonghoe University “Restroom for All” sign Reprinted from Yoon. (2022). https://view.asiae.co.kr

    RJCC-31-1-91_F6.gif

    Harry Styles-Vogue US December 2020 Reprinted from Vogue. (2020c). https://www.vogue.com

    RJCC-31-1-91_F7.gif

    Louis Vuitton 2021 S/S Pop-up store Reprinted from Kwak. (2021). https://www.fashionbiz.co.kr/

    RJCC-31-1-91_F8.gif

    Thom Browne Fall 2020 Reprinted from Vogue. (2020d). https://www.vogue.com

    RJCC-31-1-91_F9.gif

    Alexander McQueen Spring 2020 Reprinted from Vogue. (2019e). https://www.vogue.com

    RJCC-31-1-91_F10.gif

    Moschino Fall 2018 Menswear Reprinted from Firstview Korea. (n.d.b). https://www.firstviewko rea.com

    RJCC-31-1-91_F11.gif

    Gucci Fall 2019 Reprinted from Vogue. (2019f). https://www.vogue.com

    RJCC-31-1-91_F12.gif

    Vaquera Fall 2019 Reprinted from Vogue. (2019g). https://www.vogue.com

    RJCC-31-1-91_F13.gif

    Jean Paul Gaultier Fall 2018 Couture Reprinted from Vogue. (2018b). https://www.vogue.com

    RJCC-31-1-91_F14.gif

    Ludovic de Saint Fall 2020 Menswear Reprinted from Vogue. (2020e). https://www.vogue.com

    RJCC-31-1-91_F15.gif

    Ann Demeulemeester Fall 2017 Menswear Reprinted from Vogue. (2017a). https://www.vogue.com

    RJCC-31-1-91_F16.gif

    Christian Dior Fall 2020 Reprinted from Vogue. (2020f). https://www.vogue.com

    RJCC-31-1-91_F17.gif

    CMMN SWDN Spring 2019 Menswear Reprinted from Vogue. (2018c). https://www.vogue.com

    RJCC-31-1-91_F18.gif

    Raf Simons Fall 2021 Reprinted from Vogue. (2021e). https://www.vogue.com

    RJCC-31-1-91_F19.gif

    Anrealage Spring 2020 Reprinted from Firstview Korea. (n.d.c). https://www.firstviewk orea.com

    RJCC-31-1-91_F20.gif

    Maison Marigela Fall 2018 Reprinted from Vogue. (2018d). https://www.vogue.com

    RJCC-31-1-91_F21.gif

    CMMN SWDN Fall 2019 Menswear Reprinted from Firstview Korea. (n.d.d). https://www.firstviewk orea.com

    RJCC-31-1-91_F22.gif

    Ludovic de Saint Sernin Spring 2020 Menswear Reprinted from Vogue. (2019h). https://www.vogue.com

    RJCC-31-1-91_F23.gif

    Fendi Spring 2020 Menswear Reprinted from Vogue. (2019i). https://www.vogue.com

    RJCC-31-1-91_F24.gif

    Off-White Spring 2020 Reprinted from Vogue. (2019j). https://www.vogue.com

    RJCC-31-1-91_F25.gif

    Ann Demeulemeester Fall 2017 Menswear Reprinted from Vogue. (2017b). https://www.vogue.com

    Table

    Characteristics of knit fashion

    The characteristics of gender fluid related fashion

    The frequency of gender fluid characteristics expressed in modern fashion

    The frequency of gender fluid characteristics expressed in modern fashion

    The characteristics of gender fluid in modern knit fashion

    Reference

    1. An, K. S. (2018).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 of genderless expressed in modern man’s fashion collection. The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21, 9(4), 1543-1556.
    2. Cohn, S. A. (2020, November 16). Gender-fluid fashion finally enters the mainstream. Harpers Bazaar. Retrieved March 20, 2021, from https://www.harpersbazaar.com/fashion/designers/a34458195/gender-fluid-fashion-harris-reed-no-sesso-artschool
    3. Firstview Korea. (n.d.a). Khaite fall 2021. Retrieved July 15, 2021, from https://api.firstviewkorea.com:444/FVKWEBSVC/Pages/PhotoImageViewer.aspx?Season=SS044&City=CD004&Event=EV001&Designer=4612&Cate=CC001
    4. Firstview Korea. (n.d.b). Moschino fall 2018 menswear. Retrieved July 15, 2021, from https://api.firstviewkorea.com:444/FVKWEBSVC/Pages/PhotoImageViewer.aspx?Season=SS038&City=CD002&Event=EV002&Designer=390
    5. Firstview Korea. (n.d.c). Anrealage spring 2020. Retrieved July 15, 2021, from https://api.firstviewkorea.com:444/FVKWEBSVC/Pages/PhotoImageViewer.aspx?Season=SS041&City=CD001&Event=EV001&Designer=3756&Cate=CC001
    6. Firstview Korea. (n.d.d). CMMN SWDN fall 2019 menswear. Retrieved July 15, 2021, from https://api.firstviewkorea.com:444/FVKWEBSVC/Pages/PhotoImageViewer.aspx?Season=SS040&City=CD001&Event=EV002&Designer=4438&Cate=CC001
    7. Gutierrez-Morfin, N. (2016, September 17). ‘Genderfluid’ among recent additions to Oxford English Dictionary. NBC News. Retrieved December 25, 2021, from https://www.nbcnews.com/feature/nbc-out/gender-fluid-among-recent-additions-oxford-english-dictionary-n649571
    8. Hong, Y. J. , & Joo, M. Y. (2020).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pink color and fashion images used in gender neutral men’s fashion. Journal of Fashion Business, 24(5), 52-71.
    9. Im, M. J. (2018). Gender-fluid images expressed in the contemporary women’s fashion collections with the theme of feminism. Journal of the Korea Fashion & Costume Design Association, 20(3), 63-78.
    10. Jung, M. A. (2015). The simulation phenomenon in fashion of genderplay look. Unpublished master’s thesis, Hongik University, Seoul, Korea.
    11. Kim, B. H. (2015). Study on fashion styling employing androgyny’s androgynous imagery -A case study of the photo shoot methodology in fashion magazine 「B」-.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12. Kim, J. H. , & Lee, Y. H. (2016).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 genderless style appeared in contemporary women’s fashion.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24(6), 903-919.
    13. Kim, K. Y. , & Ha, J. S. (2020). Gender minorities’ expression of gender identity through clothing. Journal of Fashion Design, 20(4), 1-22.
    14. Kim, S. Y. (2022). Gender fluid convergence characteristics expressed in Harris Reed fashion works. The Korean Society of Science & Art, 40(3), 43-58.
    15. Kwak, S. M. (2021, February 22). 루이비통 S/S 여성 컬렉션, 현대 본점 팝업으로 첫 공개 [Louis Vuitton S/S women’s collection reveals first as Hyundai headquarters pop-up]. Fashionbiz. Retrieved December 25, 2021, from http://www.fashionbiz.co.kr/TN/?cate=2&recom=2&idx=182906
    16. Laughlin, S. (2016, March 11). Gen Z goes beyond gender binaries in new innovation group data. Wunderman Thompson. Retrieved March 20, 2021, from https://intelligence.wundermanthompson.com/2016/03/gen-z-goes-beyond-gender-binaries-in-new-innovation-group-data
    17. Lee, J. E. , & Kim, J. H. (2013). A study on the knit patterns of modern fashion.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Knit Design, 11(3), 95-111.
    18. Lee, J. E. , & Kwak, T. G. (2020). Study on genderneutral style in modern fashion. Journal of the Korea Fashion & Costume Design Association, 22(3), 111-126.
    19. Lee, S. B. (2022, January 21). 백악관에는 있는 성 중 립 화장실…국내 도입 활성화될까 [Gender-neutral toilets in the White House...will domestic introduction be activated?]. Snap Time. Retrieved March 13, 2022, from http://snaptime.edaily.co.kr/?p=63287,?%A5%EC%95%A0???%94%EC%9E%A5??%EB%B6%88%EB%B2%95%EC%B4%AC%EC%98%81,?%B8%EB%9E%9C?%A4%EC%A0%A0
    20. Lee, U. Y. , Byun, M. Y. , & Lee, I. S. (2006). A study for the characteristics of men’ costume style on contemporary fashion -Focusing on metrosexual phenomena-. Journal of the Korean Fashion & Costume Design Association, 8(2), 125-133.
    21. Lee, Y. H. , & Kim, H. Y. (2021). Phenomena of mixture in Sacai’s knit design.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29(6), 763-778.
    22. Mardell, A. (2017). The ABCs of LGBT+ (Team Iruda, Trans.). Seoul: Baumealame. (Original work published 2016)
    23. Morrow, D. F. , & Messinger, L. (2006). Sexual orientation and gender expression in social work practice.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24. Park, H. J. (2021). Gender fluid expressed in fash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Korea.
    25. Song, W. S. , Kim, I. Y. , & Kim, H. R. (2017). Textiles (4th ed.). Seoul: Gyomoonsa.
    26. Vogue. (2017a, January 20). Ann Demeulemeester fall 2017 menswear. Retrieved June 15, 2021, from https://www.vogue.com/fashion-shows/fall-2017-menswear/ann-demeulemeester/slideshow/collection#26
    27. Vogue. (2017b, January 20). Ann Demeulemeester fall 2017 menswear. Retrieved June 15, 2021, from https://www.vogue.com/fashion-shows/fall-2017-menswear/ann-demeulemeester/slideshow/collection#27
    28. Vogue. (2018a, September 30). Paul & Joe spring 2019. Retrieved June 15, 2021, from https://www.vogue.com/fashion-shows/spring-2019-ready-to-wear/paul-joe/slideshow/collection#1
    29. Vogue. (2018b, July 4). Jean Paul Gaultier fall 2018 Couture. Retrieved June 15, 2021, from https://www.vogue.com/fashion-shows/fall-2018-couture/jean-paul-gaultier/slideshow/collection#46
    30. Vogue. (2018c, June 19). CMMN SWDN spring 2019 menswear. Retrieved June 15, 2021, from https://www.vogue.com/fashion-shows/spring-2019-menswear/cmmn-swdn/slideshow/collection#2
    31. Vogue. (2018d, February 28). Maison Margiela fall 2018. Retrieved June 15, 2021, from https://www.vogue.com/fashion-shows/fall-2018-ready-to-wear/maison-martin-margiela/slideshow/collection#25
    32. Vogue. (2019a, September 14). Ports 1961 spring 2020. Retrieved June 15, 2021, from https://www.vogue.com/fashion-shows/spring-2020-ready-to-wear/ports-1961/slideshow/collection#23
    33. Vogue. (2019b, February 25). Ottolinger fall 2019. Retrieved June 15, 2021, from https://www.vogue.com/fashion-shows/fall-2019-ready-to-wear/ottolinger/slideshow/collection#6
    34. Vogue. (2019c, February 25). Ottolinger fall 2019. Retrieved June 15, 2021, from https://www.vogue.com/fashion-shows/fall-2019-ready-to-wear/ottolinger/slideshow/collection#26
    35. Vogue. (2019d, February 20). Gucci fall 2019. Retrieved June 15, 2021, from https://www.vogue.com/fashion-shows/fall-2019-ready-to-wear/gucci/slideshow/collection#56
    36. Vogue. (2019e, September 30). Alexander McQueen spring 2020. Retrieved June 15, 2021, from https://www.vogue.com/fashion-shows/spring-2020-ready-to-wear/alexander-mcqueen/slideshow/collection#40
    37. Vogue. (2019f, February 20). Gucci fall 2019. Retrieved June 15, 2021, from https://www.vogue.com/fashion-shows/fall-2019-ready-to-wear/gucci/slideshow/collection#47
    38. Vogue. (2019g, February 12). Vaquera fall 2019. Retrieved June 15, 2021, from https://www.vogue.com/fashion-shows/fall-2019-ready-to-wear/vaquera/slideshow/collection#31
    39. Vogue. (2019h, June 24). Ludovic De Saint Sernin spring 2020 menswear. Retrieved June 15, 2021, from https://www.vogue.com/fashion-shows/spring-2020-menswear/ludovic-de-saint-sernin/slideshow/collection#13
    40. Vogue. (2019i, June 17). Fendi spring 2020 menswear. Retrieved June 15, 2021, from https://www.vogue.com/fashion-shows/spring-2020-menswear/fendi/slideshow/collection#45
    41. Vogue. (2019j, September 26). Off White spring 2020. Retrieved June 15, 2021, from https://www.vogue.com/fashion-shows/spring-2020-ready-to-wear/off-white/slideshow/collection#35
    42. Vogue. (2020a, February 15). Molly Goddard fall 2020. Retrieved June 16, 2021, from https://www.vogue.com/fashion-shows/fall-2020-ready-to-wear/molly-goddard/slideshow/collection#30
    43. Vogue. (2020b, February 27). Isabel Marant fall 2020. Retrieved June 16, 2021, from https://www.vogue.com/fashion-shows/fall-2020-ready-to-wear/isabel-marant/slideshow/collection#16
    44. Vogue. (2020c, November 13). Playtime with Harry Styles. Retrieved June 16, 2021, from https://www.vogue.com/article/harry-styles-cover-december-2020
    45. Vogue. (2020d, March 1). Thom Browne fall 2020. Retrieved June 16, 2021, from https://www.vogue.com/fashion-shows/fall-2020-ready-to-wear/thom-browne/slideshow/collection#20
    46. Vogue. (2020e, January 20). Ludovic de Saint Sernin fall 2020 menswear. Retrieved June 16, 2021, from https://www.vogue.com/fashion-shows/fall-2020-menswear/ludovic-de-saint-sernin/slideshow/collection#30
    47. Vogue. (2020f, February 25). Christian Dior fall 2020. Retrieved June 16, 2021, from https://www.vogue.com/fashion-shows/fall-2020-ready-to-wear/christian-dior/slideshow/collection#1
    48. Vogue. (2021a, March 2). Sacai pre-fall 2021. Retrieved June 16, 2021, from https://www.vogue.com/fashion-shows/pre-fall-2021/sacai/slideshow/collection#25
    49. Vogue. (2021b, March 1). Valentino fall 2021. Retrieved June 16, 2021, from https://www.vogue.com/fashion-shows/fall-2021-ready-to-wear/valentino/slideshow/collection#52
    50. Vogue. (2021c, March 5). Isabel Marant fall 2021. Retrieved June 16, 2021, from https://www.vogue.com/fashion-shows/fall-2021-ready-to-wear/isabel-marant/slideshow/collection#34
    51. Vogue. (2021d, March 5). Isabel Marant fall 2021. Retrieved June 16, 2021, from https://www.vogue.com/fashion-shows/fall-2021-ready-to-wear/isabel-marant/slideshow/collection#1
    52. Vogue. (2021e, March 24). Raf Simons fall 2021. Retrieved June 16, 2021, from https://www.vogue.com/fashion-shows/fall-2021-ready-to-wear/raf-simons/slideshow/collection#21
    53. Yoo, H. J. (2012). A study on design development applying m-ness expressed in contemporary man’s fash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Dongduk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54. Yoon, S. K. (2022, March 22). [르포] “더 이상 고민 할 필요가 없어졌어요”...국내 대학 1호 ‘성중립 화장실’ 가보니 [[Reportage] “I don’t have to worry about it anymore”. I went to the first “gender-neutral toilet” at a university in Korea]. Asia Economy. Retrieved April 25, 2022, fromhttps://www.asiae.co.kr/article/2022032116543783559

    Appendi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