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rossref logo
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6-0401(Print)
ISSN : 2383-6334(Online)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Vol.31 No.1 pp.124-140
DOI : https://doi.org/10.29049/rjcc.2023.31.1.124

Development of fashion design applying the characteristics of women’s Hu clothing from Tang dynasty in China

Ziheng Zhou, Younhee Lee*
Ph. D., Major in Human-Tech Convergence, Dept. of Clothing & Textiles, Hanyang University, Korea
*Professor, Major in Human-Tech Convergence, Dept. of Clothing & Textiles, Hanyang University, Korea

This paper is a part of a doctoral dissertation.


Corresponding author (yiyhee@hanyang.ac.kr)
January 13, 2023 February 17, 2023 February 17, 2023

Abstract


This study analyzes traditional women’s Hu costumes of the Tang dynasty, and deploys a creative fashion design to converge contemporary and traditional styles. In this costume, women wear a robe with striped or plain patterns in the lower part of the pants, and it appears frequently in red and yellow colors. Depending on the sleeve, it is either a round collar or a turn down collar robe. In the Hu hat, the huntuomao and juanyanxumao were leather and mili and weimao were used to prevent the sand from flowing. This study uses the CLO 3D program with the “moment” theme based on the Hu costume for women to deploy 4 pairs of fashion design and to produce works for 2 pairs. The 3D virtual clothing program demonstrates important effects in design deployment and pattern arrangement through its efficiency and convenience of clothing production. The CLO 3D program was closely combined with the 2D design and the 3D affect, and it heightened the efficiency in saving the processing time and energy of the sample clothes. Through facilitating the 3D digital fashion design, the production may reduce time needed and contribute to an effective economy, and it may compare digital fashion design to actual products as well as illustrate the potential of digital fashion design.



중국 당나라 여성 호복의 특성을 활용한 패션디자인
- 3D 가상착의를 활용하여 -

주 자 항, 이 연 희*
한양대학교 의류학과 휴먼테크융합전공 박사
*한양대학교 의류학과 휴먼테크융합전공 교수

초록


    I. Introduction

    당나라(唐代, 서기 618~970년)는 중국 고대 역사의 봉건 왕조로 주요 민족은 한 족이었다. 690~705년 측천무후(武則天)의 통치 시기 에는 국호를 주(周)로 바꾸어 무주(武周)라고도 하였 으나 측천무후 퇴위 후 당나라의 옛 제도를 부활시켰 다. 당나라 초기는 인구가 많고 경제가 번영했으며 사 회가 안정되어 당시 중앙아시아의 각국과 외교가 빈 번했으며, 중앙아시아의 여러 민족과 지역과의 경제 교류가 활발하여 페르시아, 위그루(Uyghur), 소크디 아나(Sogdiana) 등의 호(胡, Hu)족으로부터 이국적인 문화가 많이 흡수되어 다양한 문화의 융합 현상이 있 었으며, 이는 복식에도 잘 나타나 있다(Hu, Zhang, Li, & Ge, 2002).

    호족의 ‘호(胡, Hu)’라는 명칭은 모두 서역에서 왔다 는 의미를 가진다. 인도를 제외하고는 서역 각국은 모 두 호가 될 수 있었다(Wang, 2003). 넓은 의미로 호인 은 서북지역의 모든 외국인을 뜻하지만, 좁은 의미로 호 인은 이란의 호인이라면 이란어를 이용하는 페르시아 호인, 소그디아나 호인, 서역 호인(타림 분지 오아시스 왕국의 사람)을 주로 지칭한다고 하였다(Rong, 2001).

    호족의 복식 호복(Hu clothing, 胡服)은 편리함과 실용성이 뛰어나고 사회적 신분의 차이가 뚜렷하지 않기 때문에 호복의 형태나 사회적 특성은 계급 제도 가 명확하였던 당나라 한족의 전통 복식에 깊은 영향 을 주었다. 당나라의 사회 문화적 풍토는 자유롭고 개 방적이었으며, 당나라의 여성들의 사회적 지위가 높 아짐에 따라 전통 한푸(漢服)에 구애받지 않고 남성복 과 남성들이 착용하던 호복도 착용할 수 있었다. 과거 여성들이 남성복을 착용한 사례, 특히 바지를 착용한 경우는 매우 드문 사례로 여성의 남성 호복 착용 사례 는 고대 중국 역사상 유일한 현상이었다(Yang, 2020). 이러한 모습은 역사적으로 여성 복식 다원화의 효시 였으며, 복식의 변화를 가속화시켰다. 이에 본 연구는 과거 젠더리스 패션이라 할 수 있는 당나라 여성들이 착용하였던 호복의 디자인 특성을 분석하여 패션디자 인에 활용해 보고자 하였다.

    당나라 여성의 호복에 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여성 호복의 형태와 구성에 대한 연구(Sun, 2020;Yang, 2020), 당나라 여성복과 호복 문화 연구(Du, 2010;Jiang, 2016;Ma, 2006;Zhou, 2013) 등으로 주 로 당나라 여성 호복의 형태를 분석한 연구가 진행되 었으며, 중국의 전통 복식 문화 연구 중에서 호복의 특성을 활용한 패션디자인 연구와 사례는 미흡하여, 호복의 디자인 특성을 조사 분석하여 이를 바탕으로 현대적 패션을 연구 개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당나라 여성 호복의 디자인 특성 을 조사 분석하고, 전통문화와 3D 가상착의 프로그램 을 적용한 패션 디자인을 전개하여 패션 디자인 활용 범위의 확장을 모색하는 데 있다. 또한 CLO 3D 프로 그램을 활용한 패션 디자인 전개와 CLO 3D 패턴을 적용한 실물 제작 작업을 통하여 실증적 가능성을 검 증해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으로 당나라 문화 및 복식 관련 자료를 문헌과 선행연구 박물관 자료 등을 통해 조사하고, 당 나라의 벽화, 도용, 회화 등 사진 자료를 통해 수집하 였으며,이러한 자료를 바탕으로 당나라 여성 호복의 착용 배경과 복식의 형태 구성, 문양, 소재 및 패턴, 장신구 등을 분석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벽화 도용과 직물 등 그림 자료는 중국 당묘벽화집(Zhang, 1995), 당소능 위귀비묘 발굴보고(Zhang & Liu, 2017), 당의 덕태자묘 발굴보고(Chai, 2017), 당신성공주묘 발굴보 고(Hu & Sun, 2004), 돈황석골전집24, 복식화권(Tan, 2005) 등의 서적과 중국국가박물관의 문물연구(도용) (Mao, 2015), 쇼소인(Shosoin, 2013) 등의 사이트를 통하여 사진 자료를 수집, 분석하였다.

    현대 패션 산업에서 3D 디지털 프로그램은 대중화 의 상승기에 있다. 3D 가상착의 프로그램을 통한 디자 인 전개는 사이즈, 소재와 패턴 디자인 등에서 빠르고 정확하게 연출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당나라 여성 호복의 분석 자료를 바탕으로 당나라 여성 호복의 디 자인 특성을 활용한 디지털 패션디자인을 전개하였다. 디자인의 전개는 CLO 3D 가상착의 프로그램을 활용 하여 가상착의 디지털 패션디자인으로 전개하였으며, 실증적 방법을 위하여 실물 작품 2착을 제작하였다.

    Ⅱ. Characteristics of the Tang Women’s Hu Clothing

    한(漢)나라의 장건(張騫)은 기원전 138년과 기원전 119년 두 차례 서역에 출사하여 실크로드를 개척하여 당시 국제시장과 무역을 열었을 뿐 아니라, 이후 서역 국가들의 문화와 중원의 한(漢) 문화가 교류해 왔다. 당나라의 장안(長安)은 국제적 교류가 있었던 대도시 의 하나로, 복식에는 고대 중국과 외국의 융합이 있었 고, 호(胡)와 한(漢) 문화가 뒤섞여 중국 고대 역사에 서 독특함을 가지고 있다. 당나라 시기 여성복이 이국 적인 스타일을 갖게 된 이유는 실크로드를 타고 들어 온 가무와 음악 때문이다(Hua, 1995).

    전통적인 한나라의 한푸(漢服)는 화려하지만, 호 (胡)족 복식 호복은 디자인이나 소재면에서 실용적이 었으며 편리하였다. 한푸는 대체로 헐렁하고 소매도 길었으나, 호족은 유목민으로 말을 타고 사냥을 주로 하여 호복은 간편하고 몸에 잘 맞는 스타일이었다. 호 복은 보통 타이트한 짧은 옷에 긴 바지와 가죽 부츠를 착용하고, 좁은 소매에 짧은 옷을 입고 활을 쏘는 것 이 편리하며, 몸에 딱 붙는 긴 가죽 부츠는 말을 타기 에 편리하였다. 또한 가볍고 실용적인 특성이 있어 역 대 왕조에서 모두 호복을 사용했다는 기록이 있다. 또 한 소재는 동물의 가죽이 많이 사용되었으며 면, 마나 비단보다 방한 방수 효과가 뛰어나며 내구성도 좋았 다. 이와 같은 호복은 착용이 편리하여 한인들에게 인 기가 높았다. 당나라 시대의 복식 체계는 엄격한 위계 규정을 두었지만 호복은 크게 제한되지 않았으며, 귀 족 여성들에게 남성복과 호복을 착용하는 것이 매우 유행하였다(Edward, 2005; Fig. 1).

    이러한 현상을 두고 일부 학자들은 남장 여성의 이 미지는 당나라 사회 상층부의 선호도라고 하였다. 전 통 사학자들은 당나라의 통치자가 호족의 혈통으로 호족 문화에 친근감이 있었으며, 동시에 당나라 사회 는 개방적이었고, 부녀자들이 무술을 숭상했기 때문 에 호복을 즐겨 입었을 것이라고 하였다(Deng, 2003). 여성의 호복 착용 행위는 당 고종(唐高宗, 649~683) 시기에 시작되어 당 현종(唐玄宗) 천보(天寶, 742~756) 까지 성행하였다. 호복의 유행은 귀족 여성들에 의해 시작되었고, 서서히 평민 여성들도 다투어 따라 착용 하였다(Mao, 2015).

    본 연구에서는 당나라 벽화와 도용, 그림에 묘사된 호인과 호복 착용 한인의 형상을 토대로 당나라 시대 호복 디자인 특성으로 형태와 구성, 문양, 색채, 장신 구를 조사 분석하였다.

    1. Form

    1) Round collar robe and turn-down collar robe

    단령포(團領袍, round collar robe)는 당나라에 남녀 구분 없이 남녀를 불문하고 옷깃이 둥글고 무릎 아래 기장이며 헐렁헐렁하고 소매가 좁은 것이 특성이었 다. 보통 조거 팬츠, 부츠와 혁대를 함께 착용하며 때 로는 혁대에 액세서리와 첩섭대도 한다. 단령(團領)은 원령(圆领)이라고도 불리는데, 단령의 발전은 오늘날 학계에서 논란이 되고 있는데, 대부분의 학자들은 라 운드를 일부 소수민족 복식의 주요 특성으로 여기지 만, 실제 한족 복식의 단령은 호복의 영향을 완전히 받지 않고 다양한 문화적 배경에서 독립적으로 발전 한 것이다(Deng, 2003).

    단령은 상(商) 나라의 노예 용(俑)에 처음 등장하는 데, 당나라 이전의 고대 중국 역대에는 귀족의 옷깃이 주로 옷 앞자락이 좌우로 교차하는 교령(交领) 우임 (右衽)과 앞면 가운데를 단추로 채우게 된 깃(开襟)으 로 나왔고, 노예들의 옷깃은 대부분은 단령이다. 단령 은 당나라에 이르러서야 상류사회와 주류사회에 받아 들여져 새로운 패션으로 자리 잡았기 때문에, 당나라 에서 단령이 대중에게 어필한 것이 패션이 되었다. 당 나라 이후 호복의 단령이나 한족 복식의 단령이나 모 두 어느 정도 변화가 생겨 단령의 네크라인의 가장자 리가 상대적으로 낮았으며, 높은 단령은 이미 시대의 발전에 맞지 않았다. 당나라 후기에 출토된 호인용은 기본적으로 옷깃을 세우지 못했고 소매도 넓어졌지 만, 옷깃 옆 단추 형식은 변하지 않았다(Zhang, 1995; Fig. 2 and 3).

    번령포(翻領袍, turn-down collar robe)는 대체로 단 령포와 동일하며, 깃의 형태에서 차이가 있다. 번령포 는 깃이 밖으로 젖혀진다. 한족은 단령포를 즐겨 입었 고, 호인은 번령포를 즐겨 입었다. 번령포는 서역(西 域) 민족의 전통복식으로 깃의 변화에 따라 단측 터틀 넥과 양측 터틀넥의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The State Council Information Office of the People’ Republic in China, 2015). 젖혀진 깃이 전체 색채와 다른 것도 있 고 무늬가 있는 것도 있다(Fig. 4 and 5). 호복 포는 호복의 가장 큰 특성 중 하나로, 당나라 때 여자들이 포를 입는 모습도 벽화와 도용에서 많이 볼 수 있다. 주로 단령포를 입고 혁대를 허리에 매면서도 첩섭대 (蹀躞帶)를 장식한다. 포의 소매는 보통 좁은 입이며, 길이는 종아리와 발볼 사이에 있다. 포의 옷깃 형태의 단령과 번령의 구분이 있으며 란포(襴袍)가 있다. 란 (襴, lan)이 있는 포를 란포라고 하는데, 란은 관리의 포에 무릎 아래 있는 가로선으로, 보통 같은 색깔의 옷감으로 한 바퀴를 꿰맨다. 란포 제도는 북주(北周) 에서 시작되어 당나라 이후 각 왕대에 란포를 그대로 사용하였다(Zhou & Gao, 1996).

    임(衽)은 대금 옷깃에 대향하는 저고리의 오른쪽으 로 덮은 섶은 우임(右衽), 저고리의 왼쪽으로 덮은 섶 은 좌임(左衽)이다. 고대 한족의 관습은 생자는 우임, 죽은 사람의 옷은 좌임으로 입는 것이었지만 다른 민 족은 제한을 받지 않고 좌임을 입는 것이 일반적이었 다. 사서에는 진(秦) 나라에 기록되어 있는데, 강족(羌 族)과 흉노 등 민족들은 좌임 옷을 입는 방식을 사용 하였고, 원(元) 나라 시대에도 여전히 좌임을 사용하 였다(Zhou & Gao, 1996; Fig. 4).

    2) Trousers

    당나라의 여성들은 치마 안에 바지를 입었는데, 바 지도 겉옷과 함께 착용할 수 있었다. 바지는 가장 안 쪽의 속바지였으며, 포(袍) 안에 바지를 착용하였다. 당 묘실 벽화 속 여자의 바지는 크게 두 가지 형태로 조거 팬츠와 일자 핏의 바지를 착용하였다(Zhang, 1995). 색상은 단조로운 편이었고 줄무늬 바지와 단색 의 바지로 나타났다. 바지 형태가 잘 드러나는 여성 이미지에는 남장 여성이 대부분이고, 장포 안에 바지 를 착용하고 있다. 당나라 여자는 호포를 입을 때 안 에 긴 바지를 입었다. 그중에서도 줄무늬 페르시아 바 지(striped trousers)는 여러 시대 무덤 벽화에서 볼 수 있다. 이 페르시아 바지의 특성은 바짓가랑이가 좁다 는 것이다(Fig. 6 and 7).

    2. Pattern

    호복은 대부분이 단색으로 옷깃, 소매, 앞 가장자리 등 일부에 무늬가 있지만, 전체적으로 무늬가 있는 스 타일도 있다. 아스타나 당나라 묘장에서 출토된 호복 여성 화상에는 여성들이 입은 번령포의 소매 끝부분 과 목둘레에 정교한 단화문(團花紋, rounded flower pattern; Fig. 8)과 보화문(floral medallion pattern; Fig. 9 and 10)이 있다(Han, 1997;Tan, 2005). 이 외에 전 체적인 단화문 있는 단령포가 있다. 바지는 줄무늬 패 턴만 사용한다. 이와 같은 여성 화상은 당나라 중흥기 시대 여성의 미적 감각과 여성들의 유행이 반영된 것 으로 보인다.

    3. Color

    당나라 여성 호복의 색채는 단색이 주로 나타났으 며 패턴을 활용한 소재의 호복도 나타났다. 도용이나 문헌에서 수집한 자료는 오래된 자료로 색채 수집에 문제는 있었으나, 근접한 색상으로 수집 정리하였다. 수집된 자료에 의하면 단색으로는 빨간색이 가장 많 았고, 노란색과 주황색, 녹색, 흰색의 호복도 있었다. 민무늬 바지에는 노란색, 흰색, 녹색을, 줄무늬 바지 는 빨간색과 흰색, 검정색과 흰색을 즐겨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한 사진 자료를 바탕으로 포토샵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호복 자료 중 색상 이미지가 잘 나타난 이미지로 당나라 여성 호복 색상의 RGB 컬러 수치를 추출하였다(Table 1). 본 사진 자료는 시대의 흐름으로 색상이 많이 퇴색하여서 당나라 시대 복식 의 색상과는 차이가 있음을 밝힌다.

    4. Accessories

    호복 여성의 장신구로는 호모와 첩섭대(蹀躞帶)가 있다. 호모(胡帽, Hu hat)는 혼탈모(渾脫帽, huntuo), 권첨허모(卷檐虚帽, juanyanxu), 멱리(羃䍦, mili)와 유모(帷帽, weimao)가 있다. 동물 가죽은 보온성이 좋 아 동물 가죽의 모자를 만드는데 즉 혼탈모(渾脫帽)라 한다. 혼탈모에 쓰는 재료는 동물 가죽이나 펠트이며, 원추형으로 보온성이 좋아 북방계 남성들이 즐겨 쓴 다(Han, 1997; Fig. 11).

    권첨허모(卷檐虚帽)는 모자챙을 말아 올린 모자로, 당나라 귀족 여성들이 즐겨 착용한 호모이다. 주로 비 단, 펠트, 양가죽으로 만들어졌는데, 귀족이 쓴 모자 는 외부에 능견(绫绢)을 두르고 능견에 무늬를 그려 서 신분을 나타내기도 했다. 모자의 좌우 챙이 각각 위로 오므려진 형태로 귀까지 덮을 정도로 뒤집힌다. 윗부분은 사다리꼴 형태이며, 모자의 윗부분은 비교 적 높다(Sun, 2013; Fig. 12).

    당나라 초기에는 궁녀와 궁정의 여성들이 외출할 때 입는 의복과 쓰던 멱리(羃䍦, mili)와 유모(帷帽, weimao)는 모두 얼굴을 가릴 때 사용했다는 공통점이 있다. 반투명 사와 견직물 등으로 제작되어 여성의 얼 굴을 잘 볼 수 없지만 여성은 잘 볼 수 있었다(Zhou, 2010). 7세기 중엽 이후 막이 유모가 점차 멱리를 대 체하였다. 유모의 몸체는 돗자리로, 유모의 모양은 삿 갓 모자에 목까지 내려오는 망사처럼 얼굴을 가릴 수 있다. 유모 최초의 작용은 장거리 도로에서 머리를 보 호하는 모자로 사용되었으며, 남녀 모두 유모를 사용 하였다(Edward, 2005; Fig. 13).

    첩섭대(蹀躞帶, diexie belt)는 고대 허리띠의 일종 으로, 띠는 가죽으로 팔찌는 금속으로 만든다. 몸에는 동근 고리와 못을 수 개씩 박고, 고리에는 작은 띠를 달아 각종 잡동사니를 매달았다. 한때 문무 관원의 필 수 패물로 규정되어, 패도(佩刀, 검), 칼(刀子), 마석(砺 石, 숫둘), 계필진(契苾真), 홰궐(哕厥), 침통(针筒), 화 석대(火石袋) 등 7개 품목은 속칭 “첩섭칠사”(蹀躞七 事)다(Chinese Text Project, 2021; Fig. 14). 민간에서 특히 여성들 사이에서 더욱 유행하였으며 벨트의 역 할을 하거나 장식적으로 사용하기도 하였다. 안에는 손수건, 돈 등을 넣을 수 있었으며, 당나라 여자들은 향신료를 좋아해서 반낭에 넣기도 하였다(Ji & Shen, 2006; Table 2).

    Ⅲ. 3D Digital Design Development and Production

    본 연구는 당나라 복식에 대한 조사를 바탕으로 전 통문화를 바탕으로 전통과 현대를 융합한 패션디자인 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당나라 시대의 여성 호복은 단 령포와 번령포의 종아리까지 오는 길이의 포(袍)를 착 용하고, 안쪽에는 긴 바지를 착용하였다. 줄무늬의 바 지는 빨간색과 흰색, 흰색과 검정 배색의 줄무늬로 나 타났다. 색상은 주로 단색으로 문양은 적지만 보화와 단화문 등으로 포의 옷깃과 소맷부리, 앞자락에 주로 활용하였다. 이와 같이 당나라 여성들은 남성들이 착 용했던 호복을 거의 그대로 같이 착용하였으며, 실용 적이며 편안한 형태로 나타나 자유로운 복식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호복의 특성을 활용하여 패션 디자인에 전개하고자 하였다.

    디자인 테마는 당나라 여성 호복에 근거하여 ‘瞬 (모멘트, moment)’으로 테마를 정하였다(Table 4). 瞬- Moment의 패션디자인은 형태적으로 여성 호복의 단 령(圓領)과 번령(翻領)을 적용하여 디자인하였으며, 데 님, 오간자, 인조 가죽을 활용하였다. 당나라 복식 유 물인 문양 중 보화문(寶花紋, floral medallion pattern) 과 연주문(聯珠紋, linked pearl pattern)의 특성을 추출 한 것을 바탕으로 변형하고 재배열하여 디자인하였으 며(Table 3), 디지털 프린팅을 활용하여 소재를 제작 하였다.

    주 소재는 현대 대표적 소재인 데님을 활용하여 호 복이 가졌던 실용적이며 편안한 디자인과 안정적인 형태의 실루엣을 연출하고 하였다. 당나라 여성 호복 의 색채에 나타나지 않았던 파란색과 흰색을 메인 컬 러로 데님 소재를 활용한 현대적 디자인으로 전개하 고자 하였다.

    구성은 포 형식의 코트, 원피스, 블라우스 상의, 바 지, 모자, 스카프로 구성하였다. 문양은 주요 장식 중 하나로 새롭게 디자인된 보화문(寶花紋)과 연주문(連 珠紋)이 사용되었다. 또한 호복은 가죽 호모(胡帽)와 첩섭대(蹀躞帶)는 대표적인 장식물을 갖추고 있어 호 모를 응용한 모자와 금속 액세서리를 장식으로 디자 인하였다.

    당나라 여성 호복의 디자인 특성과 문양을 활용한 4착의 3D 디지털 패션디자인을 전개하였으며, 3D 프 로그램의 패턴을 그대로 활용하여 2착의 실물 작업을 제작하였다. CLO 3D 프로그램을 활용한 디지털 패션 디자인의 전개 과정은 빠른 수정과 보완 등이 가능하 며, 실물 작업을 위한 패턴 작업의 경제적인 과정을 수행해보고자 하였다.

    1. Design 1

    디자인 1은 좌임의 단령포 형태를 활용한 원피스 디자인으로 옷깃을 변형하여 활용이 가능한 디자인이 다. 옷깃과 소매에 털 소재를 적용하여 전체적으로 무 게감 있게 처리하였다. 호복의 포 디자인 형태와 같이 양쪽 옆선의 가장자리에 트임을 주었으며 허리띠를 두르고 앞치마를 비대칭으로 연결되게 하였다. 앞치 마에는 당나라 시대 대표적인 시인 이백(李白)의 초서 (744년) 작품 상양대첩(上陽臺帖)(Fig. 15)의 내용을 자수로 수놓았다. ‘상고수장, 물상천만, 비유노필, 청 장하궁, 십팔일, 상양대서, 태백(山高水長, 物象千萬, 非有老筆, 清壯河窮, 十八日, 上陽台書, 太白)’ 스물다 섯 글자로 왕옥산(王屋山)의 산수 경치를 찬미하는 의 미(The Palace Museum, 2001)를 담았다(Fig. 16).

    CLO 3D 프로그램을 활용한 가상착의 디자인 전개 후 디지털 패턴을 적용하여 실물 작품을 제작하였다. 디자인 1의 CLO 3D 패턴을 그대로 활용하였다. 광목 으로 가봉 착의 제작 후 가상착의와 거의 같은 실물 작업이 가능함을 확인하고 실물 작품 제작을 진행하 였다. 소재의 적용에 있어서는 여러 데님 소재를 모피 와의 조화를 비교하여 조금 진한 데님 컬러로 선정하 였다. 모피 활용의 효과는 가상착의 디자인보다 더욱 볼륨 있게 완성된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Fig. 17 and 18).

    2. Design 2

    디자인 2는 호복의 포 스타일을 활용한 원피스와 비대칭형의 베스트로 구성하였다. 원피스는 양옆에 트임을 주어 호복의 결고(缺袴) 형태를 보여주고자 하 였다. 소재는 전체적으로 호복의 스트라이프 패턴을 고려하여 스트라이프 문양의 데님을 활용하였다. 소 매와 요크선 윗부분에 반투명한 오간자 소재를 사용 하여 여성적이면서도, 전사적 분위기를 연출하고자 하였다. 왼쪽 어깨와 옷깃 왼쪽을 오픈하여 편하게 착 용할 수 있는 디자인이다(Fig. 19).

    실물 작업은 디자인과 같이 CLO 3D 패턴을 그대 로 활용하였으며, 광목 가봉 결과 베스트의 패턴의 일 부 사이즈를 수정하였다. 베스트의 어깨 부분에는 여 러 가지 구슬로 포도 모양을 제작하여 포도문양을 표 현하고자 하였다(Fig. 20).

    3. Design 3

    디자인 3은 대금 외투, 블라우스 상의와 바지로 구 성하였다. 포 형태의 외투에는 스트라이프 문양을 변 형하여 불규칙한 줄무늬를 활용하였으며, 외투의 뒷 면에 연주문 자수를 넣어 당나라 시대의 문화를 표현 하고자 하였다. 바지는 여성 호복에 주로 착용되었던 바지 스타일을 응용하여 디자인하였다(Fig. 21).

    4. Design 4

    디자인 4는 앞판과 뒤판, 양면으로 입을 수 있는 원 피스로 디자인이다. 옷깃은 한쪽은 좌임 단령, 다른 한쪽은 우임 교령으로 디자인하였다. 원피스는 전체 적으로 6장의 불규칙한 패널로 구성됐으며 한쪽 어깨 에는 연주문 자수가 있다. 앞판과 뒤판의 중간에서 연 결되는 부분은 곡선형의 패턴으로 모피를 사용했다. 모자는 좌우 두 조각과 한 바퀴의 털로 구성되어 있 다. 모자의 패턴은 보화문 자수로 디자인하였다(Fig. 22).

    Ⅳ. Conclusion

    본 연구는 당나라 시대의 도용과 벽화에 나오는 호 복 착용 여성의 모습을 수집하여, 당나라 여성 호복의 형태, 색채, 문양과 장신구 등의 디자인 특성을 분석 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당나라 여성 호복의 형태와 문양을 재구성하였으며, 가상착의 CLO 3D 프 로그램을 사용하여 당나라 여성 호복의 특성을 적용 한 현대 여성 패션 디자인 4착을 전개하였다. 디자인 전개 및 작품 제작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당나라 여성 호복의 형태는 남성복과 같은 형 태로 단령포와 번령포가 대표적이며, 종아리까지 오는 길이의 포(袍)를 입고 허리에는 첩섭대의 벨트를 매치 한 형태와 구성이 대표적이다. 포의 안쪽에는 긴 바지 와 페르시아 바지를 착용하였다. 둘째, 당나라 여성의 호복은 주로 단색으로 나타났으며 문양이 상대적으로 적었지만 보화와 단화문 등으로 나타났다. 문양은 포 의 옷깃과 소맷부리, 앞자락에 주로 활용하였다. 색상 은 주로 단색이 많았으며, 빨간색, 노란색과 주황색, 흰색, 녹색 계열도 나타났다. 바지도 주로 단색이었으 나, 줄무늬의 바지는 빨간색과 흰색, 흰색과 검정 배 색의 줄무늬로 나타났다. 셋째, 여성 호복의 장신구는 호모와 부츠, 첩섭대가 있다. 당나라 여성은 호복 착 용 시 검은색 가죽 부츠와 첩섭대를 주로 매치하였으 며, 혼탈모, 권첨허모와 유모 등의 호족 모자를 착용 하였다.

    이와 같은 당나라 여성복과 여성 호복의 특성에 대 한 조사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CLO 3D 프로그램을 사용한 현대적 패션디자인을 전개하였다. 의복의 편 의성과 활용성, 스타일과 패턴의 배열 등을 염두에 두 고, 데님 소재와 메탈 액세서리를 활용하여 당나라 시 대의 호복과 같은 유니섹스(unisex) 디자인을 전개하 였다. CLO 3D 가상착의 프로그램은 2D 디자인과 3D 효과를 밀접하게 결합하고 효율성을 높이며 샘플의 생산 공정 시간과 에너지 절약의 지속 가능성을 실현 한다. 본 연구의 작품 제작 시에는 CLO 3D 프로그램 의 패턴을 그대로 활용하였으며, 경제적인 효율적인 제작 결과를 가져올 수 있었다. 그러나 소재의 다양한 표현이나 액세서리 표현 부분에 있어서는 아직 지속 적인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전통 복식 문화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하였으며, 3D 가상 착의 기술과 융합하여 디지털 패 션 산업에서의 가능성과 전망에 대해 전통 문화와 복 식을 활용하여 디자인을 전개해 보고자 하였다. 그러 나 당나라 시대의 복식 유물은 귀하고 착용자의 신분 또한 불분명하다. 현재 당나라 시대의 유물발굴은 지 속적으로 진행되고 있으나 발굴된 유물이 훼손되었거 나 색채를 정확하게 확인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본 연 구는 당나라 도용과 같은 예술작품에서 호복 여성의 이미지를 참고하여 진행하였으며, 이에 디자인의 특 성 분석에 한계점이 있음을 밝힌다.

    Figure

    RJCC-31-1-124_F1.gif

    A woman in the early Tang dynasties Reprinted from Deng. (2003). p.735.

    RJCC-31-1-124_F2.gif

    Hō (gown) of green twill weave silk for a singer of Ōuta (song), No. 1. (大歌緑綾袍) Reprinted from Shosoin. (2013). https://shosoin.kunaicho.go.jp

    RJCC-31-1-124_F3.gif

    Round collar robe Reprinted from Zhang. (1995). p.34.

    RJCC-31-1-124_F4.gif

    Turndown collar robe Reprinted from Zhang. (1995). p.59.

    RJCC-31-1-124_F5.gif

    Left lapel and right lapel Reprinted from Nituikanke. (2021). https://baike.baidu.com

    RJCC-31-1-124_F6.gif

    Striped trousers Reprinted from Zhang. (1995). p.67, 73.

    RJCC-31-1-124_F7.gif

    Solid-colored trousers Reprinted from Zhang. (1995). p.110

    RJCC-31-1-124_F8.gif

    Rounded flower pattern Hu clothing Reprinted from Tan. (2005). p.123, 128, 166, 179.

    RJCC-31-1-124_F9.gif

    Floral medallion pattern Reprinted from Han. (1997). p.24.

    RJCC-31-1-124_F10.gif

    Floral medallion pattern Reprinted from Chang. (2004). p.337.

    RJCC-31-1-124_F11.gif

    Hu hat female pottery figurines Reprinted from Han. (1997). p.60, 61.

    RJCC-31-1-124_F12.gif

    Hu hat Reprinted from Sun. (2013). p.226.

    RJCC-31-1-124_F13.gif

    Weimao female pottery figurines Reprinted from Mao. (2015). p.182.

    RJCC-31-1-124_F14.gif

    Diexie belt Reprinted from Chang. (2004). p.342.

    RJCC-31-1-124_F15.gif

    Shangyangtai tie (上陽臺帖) Reprinted from https://www.dpm.org.cn

    RJCC-31-1-124_F16.gif

    Digital fashion design Moment 1

    RJCC-31-1-124_F17.gif

    Production of a work 1-1

    RJCC-31-1-124_F18.gif

    Production of a work 1-2

    RJCC-31-1-124_F19.gif

    Digital fashion design Moment 2

    RJCC-31-1-124_F20.gif

    Production of a work 2

    RJCC-31-1-124_F21.gif

    Digital fashion design Moment 3

    RJCC-31-1-124_F22.gif

    Digital fashion design Moment 4

    Table

    Colors of the Tang women’s Hu clothing

    Characteristics of the Tang women’s Hu clothing

    Redesigning patterns

    Work production planning chart: Moment

    Reference

    1. Chai, L. L. (2017). 唐懿德太子墓發掘報告 [The tomb of prince Yide of Tang dynasty]. Beijing: Science Press.
    2. Chang, S. N. (2004). Corpus of Chinese fabric, embroidery and finery Vol. 3: Clothing of past dynasties. Tianjin: Tianjin Peoples Fine Arts Publishing House.
    3. Chinese Text Project (2021). (宋)唐書 志第十四, 車服 [History of the Tang dynasty, chapter 14, Chefu]. Retrieved May 18, 2021, from https://ctext.org/library.pl?if=gb&file=4484&page=77
    4. Deng, X. N. (2003). 唐宋女性與社會 [Women and society in Tang and Song dynasties]. Shanhai: Shanghai Lexicographical Publishing House.
    5. Du, X. T. (2010). Women in men’s clothing viewed from the perspective of gender-role identity. -Illustrated by the case of Tang dynas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Beijing Institute of Fashion Technology, Beijing, China.
    6. Edward, H. S. (2005). The golden peaches of Samarkand: A study of T’ang exotics (Wu, Y. G., Trans.). Xi’an: Shaanxi Normal University General Publishing House Co. LND.
    7. Han, B. Q. (1997). Tang painted pottery figures from the tomb of princess Jinxiang. Xi’an: Shaanxi Tourism Publishing House.
    8. Hu, H. Q. , & Sun, L. (2004). The tomb of princess Xincheng of Tang dynasty. Beijing: Science Press.
    9. Hu, J. , Zhang, G. , Li, B. C. , & Ge, C. Y. (2002). 二 十世纪唐研究 [Tang studies during the 20th century]. Beijing: China Social Sciences Press.
    10. Hua, M. (1995). 大唐女服西亞風 [Tang women’s clothing western style]. Root Exploration, (1), 33- 36.
    11. Ji, D. S. , & Shen, Q. Y. (2006). An appraisal of the national treasures in the Shaanxi history museum. Xi’an: Sanqin Press.
    12. Jiang, A. P. (2016). 唐代“服妖”研究 [The study of Fuyao in the Tang dynas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Qingdao University, Qingdao, China.
    13. Ma, D. (2006). A special theme research on the costume of Tang dynasty -With the Mingling of Hu and Han costume cultures as a core. Doctoral dissertation, Shaanxi Normal University, Xi’an, China.
    14. Mao, C. C. (2015). Studies of the collections of the national museum of China (pottery figurines). Shanghai: Lexicographical Publishing House.
    15. Nituikanke. (2021, June 16). Hanfu rules are very large, jaywear is not allowed, what are its important symbols? Retrieved May 15, 2022, from https://baike.baidu.com/tashuo/browse/content?id=5822a6d1aefa543c125acf55
    16. Rong, X. J. (2001). 中古中國與外來文明 [Medieval China and foreign civilizations]. Beijing: SDX Joint Publishing Company.
    17. Shosoin. (2013). Hō (gown) of green twill weave silk for a singer of Ōuta (song), no. 1. Retrieved May 15, 2022, from https://shosoin.kunaicho.go.jp/treasures?id=0000014860&index=0
    18. Sun, E. X. (2020). Research on the application of Tang dynasty Hu suit elements in modern women’s wear design. Unpublished Master’s thesis, Sichuan Normal University, Chengdu, China.
    19. Sun, J. (2013). 中國古舆服論從(修訂本) [Ancient Chinese collection of apparel (revised edition)]. Shanghai, China: Classics Publishing House.
    20. Tan, C. X. (2005). 敦煌石窟全集24:服飾畫卷 [Collection of Dunhuang Grottoes 24: Costume and painting]. Beijing, China: The Commercial Press.
    21. The Palace Museum. (2001). Li Bai’s calligraphy Shangyangtai tie. Retrieved November 12, 2022, from https://www.dpm.org.cn/collection/handwriting/228280.html
    22. The State Council Information Office of the People’ Republic if China. (2015). Silk road baby: Hu people dressed like to mix and match. Retrieved May 15, 2022, from http://www.scio.gov.cn/ztk/wh/slxy/31210/Document/1395744/1395744.htm
    23. Wang, G. W. (2003). 观堂集林 [Guan Tang Ji Lin]. Shijiazhuang: Hebei Education Publishing House.
    24. Yang, M. T. (2020). A new research on the origin of round-collar robe in Tang dynasty. Journal of Zhejiang Fashion Institute of Technology, 4, 32- 40.
    25. Zhang, H. X. (1995). A collection of China’s Tang dynasty frescoes. Guangzhou: Lingnan Arts Publishing House.
    26. Zhang, Y. N. , & Liu, N. (2017). 唐昭陵韦贵妃墓发掘 报告 [Tomb of the Wei concubine in the Tang -Dynasty Zhao mausoleum compound]. Beijing: Science Press.
    27. Zhou, X. , & Gao, C. M. (1996). 中國衣冠服飾大辭典 [Dictionary of Chinese clothing]. Shanghai: Lexicographical Publishing House.
    28. Zhou, X. B. (2010). 中国古代服装史 [History of ancient Chinese costume]. Beijing: Central Compilation & Translation Press.
    29. Zhou, Y. (2013). 胡族服饰与唐代宫廷女服 [Hu costumes and the Tang dynasty court women’s cloth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Northwest University, Xi’an, China.

    Appendi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