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rossref logo
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6-0401(Print)
ISSN : 2383-6334(Online)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Vol.31 No.6 pp.776-792
DOI : https://doi.org/10.29049/rjcc.2023.31.6.776

Types and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the costumes worn by Northeastern Chinese minorities

Seiyoung Park, Dong-Eun Kim*, Jiyeon Kim**
Doctoral Course, Dept. of Fashion Industry, Ewha Womans University, Korea
*Professor, Dept. of Fashion Industry, Ewha Womans University, Korea
**Visiting Professor, Dept. of Fashion Industry, Ewha Womans University, Korea
Corresponding author (garnet17@empas.com)
October 20, 2023 November 28, 2023 November 30, 2023

Abstract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traditional attire of four ethnic minority groups in Northeastern China: Daur, Ewenki, Oroqen, and Hezhen, considering their natural environment, lifestyles, and cultural influences. A literature review of academic papers, books, and online resources was conducted, along with indirect investigations through artifacts. The Daur people, being equestrian, have garments with deep slits, vibrant colors, and elaborate decorations. The Ewenki people wear clothes made of fabric in the summer and primarily deer skin in the winter, and their clothing is simple and not flashy. The Oroqen people’s clothing typically has slits at the front, back, or on both sides, and they wear a waist belt. The Hezhen people, an ethnic group that primarily hunts and fishes, wear two-piece clothing with a hip-length top and pants or other fur-trimmed garments. All groups incorporate symbolic patterns influenced by Shamanism, along with animal headgear and leather shoes. We observed that the traditional costumes of ethnic minority groups in Northeastern China share many commonalities in form, but there are detailed differences in material, shape, color, and decoration due to unique geographical and climatic characteristics as well as differences in livelihood. Additionally, the structure of clothing varies depending on each tribe’s shamanistic practices and lifestyle.



중국 동북부 지역 소수민족 복식의 유형과 조형적 특성
- 다우르족, 어원커족, 어르첸족, 허저족을 중심으로 -

박세영, 김동은*, 김지연**
이화여자대학교 의류산업학과 박사과정
*이화여자대학교 의류산업학과 교수
**이화여자대학교 의류산업학과 초빙교수

초록


    I. Introduction

    중국에는 한족(漢族) 이외에 약 55개의 소수민족이 살고 있으며, 이들은 한 국가 안에서도 각기 다른 역사와 지역적 특성, 생활 방식, 종교, 문화 등을 달리하며, 복식에서도 나름의 양식을 일구어 왔다(Chung, 2008). 중국의 소수민족은 그 수 가 많고, 각기 거주 환경에서 형성된 특수한 복식의 조형성이 주목되어 그간에 국내에서도 여러 선행연구 가 진행되었다. 대표적인 논문들을 살펴보면, 하나의 소수민족을 대상으로 복식의 특성을 연구하거나, 동 일한 지역 안에 거주하는 복수의 소수민족 복식의 특 성을 밝힌 논문, 서로 다른 지역에 거주하는 소수민족 복식을 비교 분석한 논문, 소수민족 복식의 민속적 요 소를 조사하여 현대의 패션 디자인과 접목한 논문, 소 수민족의 종교와 복식과의 관계성을 밝히는 논문 등 으로 크게 분류될 수 있다. Kim(2009)은 중국의 가장 규모가 큰 소수민족 중 하나인 묘족의 복식에 나타난 문양과 조형성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Xuanmeng, Yoon, and Lee(2018)는 중국 윈남성 지역에 거주하는 다이족(傣族), 바이족(白族), 장족(藏族), 좡족(壮族), 하니족(哈尼族)의 장신구를 분석하여 윈남성 지역의 머리장식은 화려하며 과장성이 있고 자연환경과 신앙 에 영향을 받았다는 공통점을 도출하였다. Park(1995) 은 중국 동북, 서북 지역 소수민족의 지리환경, 생산 방식, 종교에 따른 복식 특성에 대해 분석하였다. Li, Wang, and Lee(2020)는 중국 소수민족 중 회족(回族) 의 복식 디자인 특성을 분석 및 반영하여 4개 착장의 여성 현대의복을 제작하였으며, Xu and Bae(2019)는 이슬람교를 신봉하는 중국 서북지역의 4개 소수민족 의 복식이 이슬람교 종교 복식과 어떠한 관계성을 지 니는지를 연구하였다.

    이 같은 국내의 중국 소수민족 복식 연구는 복식의 외관적 특성뿐만 아니라 그 형태와 구성에 영향을 끼 친 여러 환경적, 내재적 요인들과의 관계성을 밝힘으 로써 동아시아 민속 복식의 다양성을 이해하고 현대 패션 콘텐츠로의 활용 가치를 높여왔지만, 한편으로 는 중국 소수민족의 역사와 생활 지역, 문화가 워낙 방대한 까닭에 아직 자세하게 규명되지 못한 부분들 이 아직 면면이 남아 있다.

    한반도와 인접한 중국 동북부의 흑룡강성(헤이룽 장성)과 내몽골자치구(네이멍구자치구)에는 만족․조 선족․허저족․몽골족․다우르족․어원커족․어르 첸족 등 총 11개의 소수민족이 살고 있는데, 그 중에 서 샤머니즘을 믿으며 기온이 낮은 지역에 거주하고 모피와 피혁류 복식을 착용하는 공통성을 가진(Ko & Jang, 2010) 다우르족[达斡尔族, 達斡爾族], 어원커족 [卾溫克族], 어르첸족[卾倫春族], 허저족[赫哲族]의 복 식문화가 주목된다. 이들의 복식은 추운 지역에서 발 달한 까닭에 북방계통의 기본 형태를 가진다는 공통 점이 있지만, 한편으로 각 민족의 지리적 환경과 생활 양식, 문화적 차이에 따라 유사한 복식 구조 안에서 세부적인 차이점이 발견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 내외 선행 연구 및 관련 도록, 인터넷 기사 자료를 고 찰하여 다우르족, 어원커족, 어르첸족, 허저족의 복식 을 분류하고, 복식 종류별로 소재․형태․구성에 나 타난 조형적 특성을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중국 동북부 지역의 자연 환경 및 생활 방식에 따른 복식의 공통적 특성과 각 민족의 독 자성을 중심으로 재조명해 보고자 하며, 이는 동북아 시아 지역의 북방 문화에 대한 이해의 저변을 넓히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국내뿐만 아니라 근래 의 해외 자료를 아울러 조사하여 복식 전반을 비교하 여 살펴본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Ⅱ. Geographical and Ethnic Characteristics

    1. Geographical features of Northeast China

    흑룡강성은 지리적으로 동부는 러시아와 국경을 맞대고 있으며, 서부는 내몽골자치구, 남부는 길림성 과 접하고 있다. 면적은 중국 국토의 20분의 1을 차지 한다. 강 근처에는 대규모의 평지가 있어 벼농사 위주 의 농업이 가능하다(Shin & Yoon, 2004). 기후는 중 온대에서 한온대의 대륙성 계절풍 기후이며, 연평균 기온은 –4℃에서 5℃ 사이로 춥다. 또한 동남에서 서 북쪽으로 평균 기온이 낮아져 남북의 연평균 기온 차 이가 약 10℃에 이른다. 여름철은 비교적 기온이 높고 강수량이 높은 편이나, 겨울이 길고 몹시 한랭하다. 연 강수량은 50mm에서 700mm 사이로 중국 지역 중 가장 추운 성(省)에 속한다(Huangmeixi, 2010).

    내몽골자치구는 중국 북부 고원 남쪽에 있는 자치 구로, 청(淸)나라가 이 지역을 지배하면서 몽골이라 일컫게 되었다. 몽골의 남쪽 지역에 있다는 의미에서 ‘내몽골’이라는 지명이 생겨났으며, 17세기에 이르러 몽골과 내몽골자치구가 분리되었다. 이는 중국에서 가장 먼저 성립된 민족 자치구이고 중국에서 3번째로 큰 자치구이다. 면적은 110여만 m2로 중국 영토의 11.9%를 차지하며 지형이 광활하고 평탄하다(Song, 2006). 대흥안령산맥 서쪽은 주로 고원이고, 동부에 위치한 초원은 중국에서 가장 비옥하다. 기후는 일반 적으로 온대 대륙 반습윤 기후와 반건조 기후의 중간 기후를 보인다(Shin & Yoon, 2004). 다만 내몽골자치 구 동부 지역의 눈강(嫩江) 유역, 호륜패이(呼倫貝爾) 초원과 신강위구르 자치구의 알타이산 남부 구릉지대 는 북위 45도에서 50도 사이에 위치한 고랭 지대로서 11월에 결빙하여 다음 해 4월경에 해빙이 될 정도로 겨울이 반년 정도나 되고 최저온도는 영하 40℃까지 내려간다(Chung, 2007).

    중국 동북 지역의 추운 기후와 고산 지리에 영향을 받아 동북 지역의 소수민족은 수렵과 목축을 중심으 로 하며 농업도 병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연 환경 및 생활 습속은 복식 문화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요인이기에, 동북 지역 소수민족은 오랜 역사 속에서 주로 모피와 피혁류 소재를 가지고 몸을 보온하는 동 시에 기능적이고 활동적인 구조의 북방계통 복식을 발전시켰다.

    2. Minorities in the northeast region

    1) Daur[达斡尔族, 達斡爾族]

    다우르족은 중국 내 55개 소수민족 중 32번째로 인 구 크기가 큰 민족으로, 내몽골자치구에 가장 많이 분 포한다. 다우르족의 기원은 거란족의 후예라는 설이 유력하다. 요나라 멸망 후 거란족의 대하씨(大賀氏) 집단이 북쪽 지역의 흑룡강 유역에 정착하였는데, 이 들이 다우르족의 직계 선조로 추정되고 있다. 다우르 [達斡爾; 달알이] 이전 명칭인 달호이(達胡爾)라는 호 칭이 최초로 등장한 것은 원나라 때라고 한다. 다우르 는 경작인, 개척자라는 뜻으로(Soh & Kim, 2008), 주 요 거주 지역에 따라 다고르, 다후르 및 다우르 등으 로 다양하게 불리지만, 1958년 내몽골자치구에 막력 달와(莫力達瓦) 자치기가 설립되면서 그 지역의 민족 명칭인 다우르족[達斡爾族]으로 민족 명칭이 통일되 었다.

    다우르족은 내몽골자치구 중에서도 매우 한랭한 산지, 구릉지대 등 다양한 야생동물이 서식하는 곳에 촌락을 이루며 정착하여 거주하며(Chung, 2007), 그 곳에서 농경, 수렵, 목축을 겸한다. 또한 그들이 믿는 샤머니즘은 다우르 민족의 사상과 고유한 풍습에 영 향을 주었다(Liu, 2017).

    2) Ewenki[卾溫克族]

    어원커족은 중국 내 소수민족 중 인구 크기가 41번 째이다. 최대 분포지인 내몽골자치구에 어원커족 인 구의 약 85.9%가 거주하고, 흑룡강성에 2,706명이 거 주한다. 시베리아 남부 바이칼호 주변에서 흑룡강 중 류 유역까지 분포하여 수렵생활을 하며 살아온 어원 커족은 청 왕조에 정복된 후 팔기(八旗)에 편입되어 청나라 군대의 일원으로서 중국 내 민족에 정착하였다 는 설이 지배적이다. 어원커[卾溫克]는 스스로를 지칭 하는 퉁구스어 명칭으로서, ‘높은 산에서 평야로 내려 온 사람들’ 또는 ‘삼림 속에 사는 사람’의 의미를 갖는 다. 중화인민공화국의 성립 이후 1957년에 동족(同族) 에 속한 여러 하위 종족들의 뜻에 따라 민족의 명칭이 어원커족[鄂溫克族]으로 통일되었다(Chung, 2007).

    어원커족은 내몽골자치구의 호륜패이(呼倫貝爾) 대 초원과 대흥안령산맥, 소흥안령산맥 부근에 거주하는 데, 이 지역은 평균 600~1,700m 해발을 이루며 하천 과 샘이 많다. 연간 최저기온이 영하 48℃이다. 어원 커족의 절반 이상은 목초(木草) 지역에서 생활하는데, 남부지역인 바이칼 동쪽과 몽골의 동북부 지역에서는 소와 말의 목축, 농업에 종사하며, 북부에서는 수렵과 순록 사육을 주로 한다(東夷文化院, 2013). 이들은 오 랜 역사 동안 샤머니즘을 신봉해 왔으며, 이런 신앙을 바탕으로 민족만의 독특한 문화와 예술을 발전시켜 왔다(Hong, 2000).

    3) Oroqen[卾倫春族]

    어르첸족 인구는 8,600명으로 추정되며 소수민족 중 인구 크기가 50번째다. 어르첸족은 시베리아 지역 에서 서기 1세기경 이주한 것으로 추정되는데, 기록 에 의하면 386년 바이칼호 일대과 흑룡강 상류 지역 에 거주하던 ‘실위(室韋)’라는 집단이 분화되면서 갈 라져 나온 ‘대실위인(大室韋人)’을 어르첸족의 조상으 로 본다고 한다. 어르첸[卾倫春]이라는 명칭에는 세 가지 의미가 있다. 첫째, ‘산 위의 사람들’, 둘째, ‘순 록을 사용하는 사람들’, 셋째, ‘귀순(歸順)한 사람들’ 이라는 뜻이다(Han et al., 2016).

    어르첸족은 전체 인구의 과반수가 향촌 지역에 거 주하며, 소흥안령산맥 일대에서 대대로 수렵 생활을 위주로 하며 살아왔다. 따라서 의식주 문화가 삼림 속 의 수렵 생활과 연관되어 있다. 이들은 만물에 정령이 있다고 생각하는 샤머니즘을 믿는데, 특히 일월성신 을 숭배하는데 북두칠성을 ‘아오룬[奧倫]’이라고 부르 며, 매년 음력 섣달 그믐날과 정월 초하루날에 제사를 지낸다(Noll & Shi, 2004).

    4) Hezhen[赫哲族]

    허저족 인구는 55개 소수민족 가운데 인구 크기가 53번째로, 인구수가 가장 적은 민족 중 하나이다. 흑 룡강성에 허저족 전체 인구의 84.3%가 거주한다. 허 저족의 조상은 만주족과 공통이라고 한다. 수당(隋唐) 시기의 흑수말갈(黑水靺鞨), 원명(元明) 시기의 생여진 (生女眞)의 한 갈래가 청대에 분화하여 흑근(黑斤), 혁 철합라(赫哲哈喇)라고 일컬어졌는데, 이들이 허저족 의 직계 선조로 추정되고 있다. 허저족은 스스로 자신 을 허쩐[赫眞] 또는 헤이진[黑津], 허진[赫金], 헤이저 [黑哲] 등으로 불렀고, 이 명칭들은 모두 하류(下流) 및 동방(東方)의 의미를 갖고 있다(Chung, 2007).

    흑룡강 북부의 삼강평원(三江平原)과 완달산맥(完 達山脈) 일대는 어업, 임업 및 수렵 자원이 풍부한 까 닭에, 허저족은 오랜 역사 동안 어업에 종사한 경험을 바탕으로 독특한 어로(漁撈) 기술을 지니며 신선한 생 선을 즐겨 먹는다. 중국 동북부의 다른 소수민족과 유 사하게 애니미즘에 바탕을 둔 샤머니즘을 주요 신앙 으로 하며, 사람의 영혼과 꿈을 중시한다(韓中關係硏 究, 2017). 이상 다우르족, 어원커족, 어르첸족, 허저 족의 지리적 환경, 경제활동 및 종교를 비교하여 정리 하면 <Table 1>과 같다.

    Ⅲ. Costumes of Ethnic Minorities in the Northeast Region

    1. Costumes of Daur

    다우르족의 전통 생활 양식은 야생동물의 사냥을 중심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복식의 재료 또한 동물 의 털가죽에서 주로 얻는다. 봄과 가을에는 노루 가죽 으로 만든 가죽옷과 바지를 입으며, 여름철에는 털이 빠진 노루 가죽으로 옷을 만들어 습기가 차지 않게 한 다(Bian & Liu, 2014). 겨울에는 치밀한 모질의 들개 가죽[狗皮]으로 만든 ‘득륵(得勒)’이라는 긴 포(袍)를 입는데, 들개 가죽 이외에 양, 여우, 살쾡이의 가죽으 로도 만든다. 또한 무릎을 덮는 길이에 양옆과 앞뒤의 솔기가 깊게 트여 있는 구조로, 이 같이 트임이 있는 긴 가죽옷은 말을 타고 이동하는데 편리하다(Fig. 1). 깃 모양은 맞깃의 대금(對襟)이나 만주족의 치파오[旗 袍]에서 주로 보이는 대금(大襟) 양식이다. 옷의 트임 주변이나 소매부리, 목둘레, 도련 등에는 다른 색의 선단을 둘러 장식한다(Fig. 2). 다우르족의 겨울 복식 에는 동물 가죽의 옷이 필수인데, 이는 중국 내지(內 地)에서 포백(布帛)의 입수가 어렵기 때문이다. 그러 나 민국 이래 농업의 발달로 의복 재료는 점차 동물의 가죽에서 포백으로 변화하였다(Park & Cho, 2002;Soh & Kim, 2008).

    과거에 다우르족은 동물의 힘줄과 실을 가지고 털 가죽에 수를 놓았으며, 청나라에 편입된 후 면사, 바 늘 등을 도입하여 자수 기술을 더욱 발달시켰다. 이들 의 복식에서는 아플리케 자수를 비롯하여 다양하고도 정교한 자수 기법을 볼 수 있으며, 색상 또한 화려하 다(Wang & Li, 2019).

    다우르족의 신발은 주로 신목이 올라오는 가죽 부 츠 형태로, ‘치카미[其佧米]’라고 하는데, 안쪽에 심을 대고 노루 발톱으로 연결한다(Soh & Kim, 2008).

    머리 장식을 살펴보면, 남자는 여름에는 흰 천으로 머리를 싸거나, 모자를 쓰며, 여자는 화려하게 자수가 놓인 천으로 머리를 감싼다. 혼인 후 50세까지는 머리 를 올리고 조화(造花)나 구슬, 비녀와 같은 온갖 머리 꽂이 등으로 장식하며, 이후는 <Fig. 3>과 같이 정수리 중앙에 쪽을 올리고 화려한 장식의 비녀로 머리를 고 정한다(Park & Cho, 2002). 다우르족은 겨울에 노루 나 여우머리 가죽으로 만든 구두피모(拘頭皮帽) 모자 를 쓰는데, 이는 보온성이 좋을 뿐만 아니라, 수렵 시 위장의 역할도 뛰어나다.

    샤먼은 <Fig. 4>와 같이 붉은색 의복을 입고, 청동 거울과 방울로 장식한다. 모자 윗부분에는 여러 갈래 로 갈라져 있는 구리로 만든 장식이 있다(Bian & Liu, 2014).

    2. Costumes of Ewenki

    어원커족은 거주지역의 자연환경과 생활양식에 따 라 유목민족과 수렵민족으로 구분된다. 대체로 성 별․나이에 관계 없이 사계절 내내 긴 포를 착용하며 (Fig. 5), 계절에 따라 포의 재료에 차이가 있을 뿐이 다. 봄․여름․가을에는 직물을 사용하며, 겨울에는 순록과 같은 동물의 가죽으로 만들어 입는다. 아래에 는 가죽으로 만든 바지와 종아리와 무릎을 덮는 덧바 지의 일종인 투고(套褲)를 입으며, 목이 긴 부츠를 신 는다. 남자 복식의 넓고 긴 허리띠는 어원커족의 특징 인데, 이를 두르지 않으면 예의가 없는 것으로 간주된 다(Soh & Kim, 2008).

    여성의 경우는 <Fig. 6>과 같이 자수 장식이 있는 앞 치마를 착용하기도 하는데, 혼인 여부에 따라 밑단 장 식이 다르다. 기혼 여성은 소매와 밑단에 약 1.5cm 너 비의 장식선을 두르며, <Fig. 7>과 같이 가장자리에 선 을 두른 조끼를 착용하고 머리띠를 착용한다(Northeast Asian History Foundation, 2018). 미혼 여성은 소매에 화려한 꾸밈이 없으며 수수하다.

    어원커족은 대부분 <Fig. 8>과 같이 파란색, 녹색, 검 은색의 복식을 선호하며, 홍색, 황색의 의복은 입지 않 는다. 백색은 수렵 시 눈에 띈다는 이유로 상복(喪服) 이외에는 사용을 기피한다고 한다(“Ewenki Nationality”, 2014).

    머리장식을 보면, 유목지역의 남녀는 일반적으로 두건을 두르나, 백화수피(白樺樹皮)로 만든 원추형 모 자를 쓰기도 하고, 겨울에는 털가죽으로 만든 모자를 쓴다(Fig. 9). 겨울의 방한용 귀마개는 새끼 양가죽, 수달 가죽, 시라소니 가죽 등의 귀한 가죽 털로 만든 다(Soh & Kim, 2008).

    3. Costumes of Oroqen

    어르첸족은 중국 동북의 수렵생활의 역사가 긴 민 족의 하나로, 원시의 유목 수렵 생활방식과 한대 원시 림의 지리 및 기후 환경은 민족의 복식에 중요한 영향 을 미쳤다. 들개와 노루 가죽으로 만든 의복은 어르첸 족 의복의 대표적인 주요 복장이다(Chung, 2007). 의 복은 우임(右衽)과 대금(大襟)의 형태이며 무릎 길이 이고, 남자의 옷은 기마에 편하도록 앞뒤에 트임이 있 다. 트임에는 아플리케 장식을 새기며(Fig. 10), 허리 에 가죽 허리띠를 맨다. 여자의 포는 남자의 것보다 길고, 좌우에 트임이 있으며 장식이 화려하다.

    단추는 동물의 뼈나 나무로 만든다. 여자는 황색․ 자색․남색의 허리띠를 매고, 노년층은 소색(素色)을 사용한다. 보온과 보호의 역할을 하는 <Fig. 11>의 덧 바지[套褲]는 노루 가죽으로 만든 것으로 모피를 내피 (內皮)로 달아 제작하였고, 상부의 가죽끈은 허리띠 에, 하부는 신발에 연결하여 착용하는 구조이다(Han & Ro, 2022).

    들개 가죽으로 만든 포는 특히 ‘소은(蘇恩)’이라 하 며, 겨울에 가죽을 무두질로 부드럽게 만든 후 여러 조각을 이어서 봉제하여 두꺼운 겉옷을 만든 것이다 (Fig. 12). 옷의 가장자리와 트임에는 자수를 놓거나 여우털로 선장식을 하였다. 여름에 사용하는 노루 가 죽은 가는 털로 덮여 있어 봄․가을에 겉옷으로 만들 어 입을 수 있으며, 이것을 뒤집어 입으면 비를 막아 주는 방수 역할도 가능하다. 어르첸족은 노루 가죽 공 예에 매우 능숙하며 특수한 가공 방식도 가지고 있다 (Sun, 2013). 어르첸족은 의복의 배색에 민족 특유의 감성을 반영하며, 의복 장식은 주로 실루엣 형태로써 양․사슴․말 등의 동물이나 꽃․풀의 형태를 묘사 한다(Yan, Yuan, & Wang, 2021). 어르첸족의 여성용 외투에는 아플리케 선 장식이 둘러져 있으며, 이러한 장식은 여덟 가지 행운을 상징하는 패턴과 꽃을 주제 로 한 것이 많지만(Wu, Kim, & Cho, 2016) 다른 패턴 도 찾아볼 수 있다. <Fig. 13>의 의복 장식은 구름을 표현하는 선 장식이다.

    어르첸족은 ‘치하미(奇哈密)’라는 가죽 장화를 신 는데, 들개 발톱으로 밑창을 만들고 노루 발톱을 박아 가죽을 연결하여 가볍고 질기며 보온성이 좋아 한림 지역에서 수렵할 때에 적합하다. 모자로는 다른 동북 지역 소수민족과 같이 ‘미나꽁[米那共]’, ‘미에르타’라 고 하는 구두피모(拘頭皮帽)를 착용하는데, 수렵한 고 라니나 노루머리의 가죽을 원상태로 건조시켜 제작하 여 만든 것으로, 수렵 시 보온과 함께 훌륭한 위장의 역할을 한다(Ko & Jang, 2010). 흑룡강 부근의 미혼 여성은 색이 있는 주패(珠貝)를 연결하여 만든 머리띠 를 착용하기도 한다(Park & Cho, 2002).

    4. Costumes of Hezhen

    허저족은 중국과 러시아 접경인 송화강(松花江), 흑 룡강(黑龍江), 우수리강(乌苏里江) 연안의 삼강평안 근처에 거주지를 잡고 살아가는 만큼 어렵(漁獵)을 생 업으로 하며(Chung, 2008), <Fig. 14>와 같은 물고기 가죽옷(어피의; 魚皮衣)을 가장 긴 역사 동안 만들어 입은 민족으로 알려져 있다(Palomino & Boon, 2020).

    <Fig. 15>는 허저족이 물고기 가죽으로 옷감을 제 작하는 모습이다. 물고기 가죽을 무두질하여 한 장으 로 크게 만들어 잇고, 이를 봉제한다. 이는 보온성이 좋고 내마모성이 크다고 한다. 허저족은 물고기 가죽 으로 ‘오제고(烏提裤)’라는 장포(長袍)를 만드는데, 이 는 만주족의 치파오와 형태가 유사하나 소매가 넓고 짧으며 허리가 좁고 도련이 넓다. 여자의 포에는 깃이 없고, 목선을 따라 가죽으로 아플리케 자수를 한다. 또한 물고기 가죽으로 만든 덧바지[套褲]는 보온과 방 수를 위해 겨울 수렵 시 착용하는데, 상단을 사선으로 만들고 가장자리에 흑색으로 선장식을 한다(Park & Cho, 2002). 최근에는 허저족의 의복도 과거의 물고 기나 동물의 가죽 대신 면직물과 모직 제품으로 대체 되고 있다(Chung, 2007).

    허저족의 신발에는 올랍혜(靰鞡鞋)와 장화가 있다. 올랍혜는 ‘올랍(靰鞡)’이라는 풀을 말려 신발 안에 넣 은 방한용 신발이며, 이는 만주족이나 몽골족도 만들 어 착용한다(Hong, Shin, & Choi, 2004). 장화는 들집 승의 퇴피(退避)만을 모아 만들어 내구력이 강하다. 얇은 담비 가죽, 가막구리 가죽 등으로 만들며, 가볍 고 따뜻하면서도 습기를 막아주어 빙판길이나 눈길을 걸을 때 미끄러지지 않는다. 물고기 가죽으로 만든 장 화는 ‘온탑(溫塔)’이라 부르며 특히 따뜻하다. 여성은 꽃무늬 가죽신을 신기도 한다.

    머리장식은 물고기 가죽으로 만든 ‘하피통모(夏皮 通帽)’, 겨울 수렵에 사용하는 가죽모자, 여름에 비와 해를 피하는 용도의 원추형 ‘화수피모(樺樹皮帽)’가 있다(Park & Cho, 2002). 또한 ‘카오르번츄[考日本 楚]’라고 부르는 노루 머리가죽으로 만든 구두피모도 있다(Soh & Kim, 2008).

    Ⅳ. Comparison of Costumes of Ethnic Minorities in the Northeast Region

    1. Clothes

    중국 동북 지역에 거주하는 네 민족의 의복은 기본 형태가 유사한데, 특히 한랭한 기후에서 입는 우임(右 栣)의 장포(長袍)가 대표적이다. 청대 만주족이 입은 포에 기원을 두며, 대체로 무릎 아래로 내려오는 길이 이다. 대금형(大襟形)이며 착용 시에 허리띠를 맨다. 동물의 가죽을 사용하여 겨울용 의복을 제작하는 것 도 공통점이다. 하지만 생활 환경에 따른 가죽의 종 류, 의복의 세부 형태․문양․색상․장식 등에서 민 족 간의 차이점이 발견된다.

    다우르족은 의복 재료로 들개 가죽을 많이 사용하 며, 초원이나 구릉에서 그들의 오랜 수렵의 역사를 반 영하듯이 기마에 적합하도록 의복에 트임이 있는 구 조가 발달하였다. 장포의 앞뒤 또는 양옆의 긴 트임은 말을 탈 때 다리의 움직임을 수월하게 한다.

    다우르족의 의복은 특히 색상과 꽃․새 문양이 화 려한데, 이는 샤머니즘의 영향으로 볼 수 있다. 다우 르족의 샤먼 신앙에서 사계절의 꽃무늬는 1년의 12개 월을 상징하며, 새는 샤먼의 사자(使者)로서 신의 뜻 을 전달하는 존재를 상징한다. 주로 옷의 가장자리나 트임을 따라서 꽃 무늬를 자수로 새겨 넣었다. 여성이 장포 위에 입는 조끼 중에는 꽃무늬를 여러 층의 모양 으로 자수하여 대담하게 만든 것도 있다.

    어원커족의 장포는 겨울에 대표적으로 순록 가죽 을 많이 사용하며, 비교적 옷의 트임이 적으며 대신에 옷의 하단에 주름이 잡혀 있다. 색상은 대체로 푸른색 계열과 검은색이 주종을 이룬다. 겨울에 노루 가죽으 로 만든 장포를 입기도 하는데, 가죽을 연기로 쪄서 황토색, 고동색 등으로 만드는 방식이 독특하다.

    화려한 다우르족의 의복에 비해 어원커족의 의복 은 차분한 색상에 가장자리 장식을 제외하면 장식이 거의 없는 소박한 양식이며, 여기에 비교적 넓고 큰 허리띠를 매는 것이 특징적이다.

    어원커족이 사용하는 문양은 순록과 관련된 것이 많은데, 샤먼 복식에서 찾아볼 수 있고, 일상 복식에 서도 사용된다. 순록 이외에 꽃과 동물 문양을 새기기 도 하는데, 채도가 낮은 의복의 색과 구별되어 선명한 색상 대비를 이룬다.

    어르첸족은 들개 가죽으로 만든 장포를 입는데, 소 맷부리와 도련 등에 여우털 등의 모피로 선 장식을 한 다. 장포의 앞뒤 혹은 양옆에 트임을 주는데, 트임 주 변에는 아플리케 장식을 한다(Fig. 16). 문양은 가죽에 직접 바늘로 자수를 두거나 오려낸 문양을 가죽에 봉 제하는 방식을 사용한다(Sun, 2013). 이렇게 꾸며진 문양은 자연물을 상징하는 것이 대부분이며, 검정․ 빨강․하양․노랑의 색이 가장 많이 사용된다. 이러 한 색상 사용은 샤먼 복식에서도 발견되는데, 해당 색 상을 배색한 천을 양쪽에 달아 춤을 출 때 사용하였다.

    어르첸족이 사용한 문양은 식물, 동물, 기하학 문양 으로 분류되며, 이 중에서 기하학 문양이 가장 많이 나타난다. 식물 문양은 창성함과 무사함을 상징하며, 구름 문양은 길상과 행운을 상징한다. 어르첸족은 문 양의 대칭을 중요시하는데, 이는 생물체 구조의 규칙 성을 상징한다고 한다(Soh & Kim, 2008).

    허저족은 물고기 가죽을 의복의 재료로 하는 것이 가장 특징적이다. 물고기 가죽은 내마모성이 좋고 보 온과 방수 또한 우수하기 때문에 사계절 모두 의복 재 료로 사용된다. 허저족은 장포 외에도 엉덩이 길이의 상의도 바지와 함께 입는데, 이것은 길이의 차이만 있 을 뿐 장포의 형태와 유사하다.

    허저족은 파도 무늬, 구름 무늬, 동물 무늬 등으로 사슴 가죽을 잘라 섶 둘레에 장식하거나 의복의 중간 중간에 패턴처럼 장식하기도 한다(Fig. 17). 구름은 행 운이 따르고 원하는 것이 이루어지기를 바라는 마음, 물고기 문양은 의식주와 관련된 필수불가결한 자원 을, 용은 한족 문화의 침투와 융합을, 거미, 청개구리, 뱀, 새는 병을 이겨낼 수 있는 힘을, 포유류는 샤먼을 보호하는 힘을 상징한다고 한다(韓中關係硏究, 2017). 이상 다우르족, 어원커족, 어르첸족, 허저족의 의복의 주요한 특성을 비교하여 정리하면 <Table 2>와 같다.

    2. Hats and headdress

    본 연구 대상인 네 민족은 가죽, 나무껍질, 옷감으 로 만든 쓰개류를 착용한다. 형태에 따라 동물머리형, 원추형, 덮개형, 두건형, 띠형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다우르족과 어르첸족, 허저족은 구두피모 또는 포 각피모, 즉 동물머리 형태를 그대로 보존한 모자를 착 용한다. 이는 중국 동북의 소수민족의 특색이 남아 있 는 모자로 볼 수 있으며, 가죽의 종류에서 차이가 있 다. 다우르족은 보통 들개 머리로 만든 구두피모를 착 용한다. 어르첸족의 구두피모는 고라니나 들개 머리 로 만든 것이 많으며, ‘미나꽁’, ‘미에르타’라고 불린 다(Ko & Jang, 2010; Fig. 18). 수렵 후 가죽을 벗기고 가죽을 반복적으로 주물러 숙성시킨 후 천연소재를 통해 염색하여 도포한다. 동물의 형태를 그대로 보존 한 구두피모는 보온성과 동시에 위장의 용도로도 많 이 사용된다. 허저족은 ‘카오르번츄’라 불리는 노루 머리로 만든 구두피모를 착용한다.

    구두피모 이외에도 원추형, 덮개형 모자도 있다. 원 추형 모자는 다우르족(Fig. 19)과 어원커족이 많이 사 용하며 목축을 하는 지역의 민족이 특히 많이 착용한 다. 다우르족 원추형 가죽 모자의 정수리에는 붉은 술 을 달기도 한다. 겨울에는 남녀 모두 동물의 털로 만 든 원추형 피모를 많이 착용한다. 어원커족은 백화수 피(白樺樹皮)로 원추형 모자를 만드는 경우가 많다. 허저족 또한 백화수피로 원추형 모자를 만들어 여름 철에 사용한다.

    덮개형은 보온을 위해 모자에 덮개가 달려 올리거 나 내릴 수 있는 모자를 의미한다. 이는 보통 동물의 가죽과 털로 만들며, 다우르족, 어원커족, 어르첸족, 허저족이 모두 사용한다. 다우르족은 보통 들개나 곰 의 가죽을 주로 사용하며, 어원커족은 순록의 가죽을 사용한다. 어르첸족은 노루, 고라니, 개, 오소리 등으 로 제작한다. 허저족은 보통 물고기 가죽으로 만든 하 피통모(夏皮通帽)를 착용하는데(Fig. 20), 겨울에 보온 용으로 사용하는 하피통모는 덮개형 모자로서 원형의 모정(帽頂)과 귀덮개, 피견(披肩)으로 구성되어 있다 (韓中關係硏究, 2017). 네 민족 모두 기온이 낮은 지역 에 살기에 이러한 형태의 모자는 겨울철에 흔히 사용 된다.

    여성용으로는 두건형 또는 머리띠 형태가 많이 발 견된다. 여성은 머리띠를 각색의 주패 등으로 꾸며 머 리에 두른다. 이러한 머리장식은 네 민족 모두에서 나 타난다. 어르첸, 어원커, 허저족은 머리띠의 구슬 끈을 관자놀이에서 귀 끝까지 늘어뜨리는 반면, 다우르족 의 여성은 머리띠 전체에 구슬 끈 장식을 늘어뜨린다.

    어원커족은 ‘촘포이’라는 순록 가죽과 오소리 털 등으로 만든 두건형 모자를 착용하는데 가볍고 착용 이 편리하다. 어원커족의 머리띠는 정수리를 지나는 부분을 구슬과 자수로 장식하고 귀에서 관자놀이까지 굵은 실로 장식한다(Fig. 21). 어르첸족은 어원커족과 유사하게 순록, 오소리 등의 동물 가죽으로 두건형 모 자를 만들고, 여름에는 직물로 만들기도 한다. 머리띠 에는 구슬과 술 장식을 한다.

    허저족은 두건형 모자, 머리띠를 하는데, 의복과 동 일하게 물고기 가죽을 오려 만든 문양으로 모자를 장 식한다. 장식은 섬세하지만 물고기 가죽으로 만들어 다른 세 민족보다 색상과 장식의 화려함이 덜하다. <Fig. 22>는 마치 머리띠를 넓게 확장하여 원통형의 관처럼 만든 것으로 보인다. 다우르족, 어원커족, 어 르첸족, 허저족 모자류를 비교하여 정리하면 <Table 3>과 같다.

    3. Shoes

    기온이 낮은 중국 동북부에 거주하는 소수민족은 대체로 목이 긴 화(靴)를 발달시켜 착용한다. 다우르 족, 어원커족, 어르첸족, 허저족의 네 민족은 모두 추 운 기후에서 발을 보호하기 위해 동물의 가죽을 사용 하여 만든 피화(皮靴)와 피혜(皮鞋)를 사용하는 것을 공통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화(靴)의 경우 다우르족은 겨울철에 가죽버선과 ‘치 카미’라 불리는 가죽장화를 신는다. 치카미(Fig. 23)는 민족의 정서가 강한 수공예품으로 들개나 소가죽으로 안쪽의 심을 대고 노루 발톱으로 연결하여 신발의 목 을 만든다(Soh & Kim, 2008). 겨울철의 장화에는 올 랍초를 넣어 보온하는데, 이는 허저족에서도 동일하다.

    어원커족은 대부분 피혜보다 피화를 많이 신는 것 을 볼 수 있다. 어원커족의 신발의 밑창은 순록 발굽 으로 만들고, 엘크의 다리 가죽으로 부츠의 몸체를 만 든다. 순록 발굽으로 만든 밑창은 눈에서 미끄럼을 방 지하는 기능이 탁월하다. 어원커족의 피화에는 쿠루 무, 안니이나르, 옴추우레가 있다. 쿠루무는 12~14장 의 순록 머리가죽으로 만든 축제용 신발이며, 신발 길 이가 넓적다리 끝까지 올 정도로 길다. 안니이나르는 무릎 아래까지 오는 피화로, 주로 모피 바지와 함께 신는다. 옴추우레는 가장 많이 사용되는 사냥용 신발 로 신발 목의 길이가 대략 20cm 정도다(Northeast Asian History Foundation, 2018). 어원커족은 가죽장 화의 상단 또는 신코 주변에 자수로 장식하는 경우가 많다(Fig. 24 and 25).

    어르첸족은 여름용 신발로 아오뤄치를 신는데, 형 태는 오늘날의 종아리 길이의 부츠와 유사하다. 발을 넣는 입구의 앞쪽에 트임이 있어 착용이 편리하다. 여 성용은 꽃무늬로 자수 장식을 한다(Han et al., 2016). 겨울용 신발은 ‘치하미’라 하며 들개의 가죽으로 만드 는 것이 일반적이다. 들개 발톱으로 밑창을 만들고 노 루 발톱으로 꿰매며 신발 안쪽에 가죽 버선을 신어 보 온 효과를 준다. 이는 방수가 잘 되고 추운 지역에서 수렵을 하기 적합하다(Soh & Kim, 2008; Fig. 26 and 27).

    허저족의 화는 물고기 가죽이나 짐승의 다리 가죽 으로 만든다. 물고기 가죽으로 만든 신발은 어피올랍 (鱼皮靰鞡)이나 원타[温塔]로 불리는데, 물고기 가죽 을 사각형으로 잘라 접어서 신발 바닥을 만들고 전면 에서 반원형으로 만든 가죽을 봉합하며, 그 위로 신목 을 세워 만든다(Fig. 28).

    동북 지역의 소수민족은 여름철에 혜를 제작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다우르족은 여름철에 면포로 만든 버선과 혜(鞋)를 신는다. 허저족의 혜는 올랍초(靰拉 草)를 건조하여 솜 대신 넣은 올랍혜(靰拉鞋)를 착용 한다. 신목이 짧은 허저족의 혜는 대체로 사슴, 멧돼 지, 곰, 물고기 가죽으로 만든다. 허저인들은 신발과 함께 착용하는 버선에 화려한 자수 장식을 하거나 색 이 있는 옷감을 대어 꾸민다. 이상으로, 동북지역의 소수민족은 모두 추운 기후에서의 생활을 위해 피화 (皮靴)를 만들어 사용하지만, 거주 환경에 따라 밀접 하게 연관이 있는 동물, 식물에 영향을 받아 제작 재 료와 방법, 장식에서 차이점을 보인다. 이를 비교하여 정리하면 <Table 4>와 같다.

    Ⅴ. Conclusion

    중국 동북 지역의 소수민족 중 샤머니즘을 종교로 하며 피혁류 복식을 착용하는 다우르족, 어원커족, 어 르첸족, 허저족의 총 네 개 민족을 선정하여 복식에 대한 비교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네 민족은 모 두 청대 만주족의 치파오의 형태에서 영향을 받은 장 포를 입었다. 기본적인 의복의 형태가 유사하고, 북방 지역의 추운 기후를 버티기 위해 동물의 가죽을 사용 하여 옷과 모자, 신발을 제작하는 데에 공통점이 있었 다. 하지만 각 민족의 주 거주지에 따른 자연적 재화 에 따라 옷 제작에 사용되는 소재, 가죽의 종류가 다 르며 선호하는 의복의 색상, 의복을 꾸미는 장식의 정 도와 문양의 종류에서 차이가 있는데, 이는 각 민족의 의복에 남아 있는 고유한 전통적 특징을 보여준다. 특 히 이들의 종교인 샤머니즘의 영향을 받은 꽃, 새, 동 물, 구름 등 상징성이 있는 문양을 다양한 기법으로 의복에 장식한다.

    다우르족은 초원, 구릉지대에서 말을 타고 다니는 역사가 길었다. 따라서 기마에 적합하도록 트임이 많 고 품이 넓은 장포를 제작하여 입었다. 또한 선 장식 과 꽃 형태의 자수가 화려하며, 원뿔형의 모자와 구두 피모를 착용한다. 다우르족과 같이 초원을 어우르는 민족은 옷을 화려하게 꾸미는데, 색감이 선명하고 화 려한 장식 선은 멀리서도 사람이 있는 것을 확인하기 쉽게 만든다.

    어원커족은 푸른색이나 갈색 계열, 검정색 등 수수 한 색상의 장포를 입는데, 허리 아래로 주름을 많이 잡 은 것도 있다. 의복의 장식이 수수하며 구두피모를 쓴 다. 산지에 거주하는 어원커족은 수렵과 목축에 대부 분 종사하는 만큼 순록 가죽의 사용이 빈번하며 순록 가죽의 특수한 가공법 또한 지니고 있다. 어원커족이 순록을 다루는 역사는 굉장히 오래되었고, 순록 가죽 을 사용한 의복은 경제적으로도 자연 환경적으로도 그 들에게 매우 적합하게 발전되어왔다고 할 수 있겠다.

    어르첸족은 들개 가죽으로 만든 장포를 입는다. 의 복의 트임에는 아플리케 장식을 하고, 고라니 가죽으 로 만든 구두피모를 즐겨 쓴다. 어르첸족 또한 거주지 의 대부분이 삼림이고 말과 창, 수렵견에 의지하여 짐 승을 쫓아 수렵에 임하므로 의복의 재료 또한 수렵생 활과 관련이 깊다. 들개 가죽은 모질이 길고 치밀한 편이기에 동북 지역의 소수민족의 의복을 만들기에 적합하다. 대칭적인 문양을 선호하는데 샤머니즘과 관련이 있다.

    허저족은 하천 지방에 사는 만큼 물고기가 가죽으 로 의복을 제작하고, 트임이 적은 대신 허리가 좁고 밑이 넓은 상의를 착용하며, 상하의와 장포 모두 소매 와 바지통이 넓지 않고 약간 짧은 길이의 형태를 보인 다. 또한 의복에 구름, 파도 모양으로 가죽을 잘라 붙 여 옷을 장식한다. 트임이 없지만 부채꼴로 아랫단이 넓어지는 형태의 상의는 몸을 구부리고 앉아서 어업 을 하는데 적합한 구조로 이해된다.

    이상 네 개 민족은 중국 내 동북이라는 지역에 거 주하며 가죽 소재의 북방계 복식을 착용한다는 공통 점이 있지만, 초원, 구릉지대에서 유목 생활을 하는 다우르족, 추운 산맥에서 목축 및 수렵을 하는 어원커 족, 삼림에서 수렵을 위주로 하는 어르첸족, 강 주변 의 평야에서 어렵과 농업을 경제활동으로 하는 허저 족은 고유한 지리적, 기후적 특성과 생업의 차이에 따 라 복식의 소재, 형태, 색상, 장식 전반에서 세세한 차 이점을 보였다. 본 연구는 국내외 문헌을 통한 간접 조사에 의존하여, 현장 답사에 비해 조사가 미비하다 는 한계가 남아 있으며, 이 점은 차후 후속 연구로 보 완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Figure

    RJCC-31-6-776_F1.gif

    Daur winter costume Reprinted from Facts and Details. (2022). https://factsanddetails.com

    RJCC-31-6-776_F2.gif

    Daur children’s costume Reprinted from Trip China Guide. (n.d.). https://www.tripchinaguide.com

    RJCC-31-6-776_F3.gif

    Woman’s hairpin Reprinted from Joshuaproject. (n.d.a). https://joshuaproject.net

    RJCC-31-6-776_F4.gif

    Shaman’s costume Reprinted from Bian & Liu. (2014). p.105.

    RJCC-31-6-776_F5.gif

    Costume of Ewenki people Reprinted from Hua. (2016). http://www.ecns.cn

    RJCC-31-6-776_F6.gif

    Apron for Ewenki woman Reprinted from Northeast Asian History Foundation. (2018). p.142.

    RJCC-31-6-776_F7.gif

    Ewenki woman’s costume Reprinted from Soh & Kim. (2008). p.41.

    RJCC-31-6-776_F8.gif

    Men’s costumes of the Ewenki Reprinted from Chinaculture.org. (2014). http://en.chinaculture.org

    RJCC-31-6-776_F9.gif

    Hat of Ewenki Reprinted from CRI online. (2022). https://korean.cri.cn

    RJCC-31-6-776_F10.gif

    Appliqué trim embellishment Reprinted from Park & Cho. (2002). p.147.

    RJCC-31-6-776_F11.gif

    Breeches of Oroqen Reprinted from Heilongjiang Ethnic Museum. (n.d.). http://www.hljsmzbwg.com

    RJCC-31-6-776_F12.gif

    Oroqen people, garment for women Reprinted from Xiaotong. (1980). p.154.

    RJCC-31-6-776_F13.gif

    Decorative accents on Oroqen woman’s clothing Reprinted from Hameed. (2017). https://www.arabnews.com

    RJCC-31-6-776_F14.gif

    Fish skin clothing Reprinted from Malloy. (2008). http://www.vmacch.ca

    RJCC-31-6-776_F15.gif

    The making of a fish skin garment Reprinted from Malloy. (2008). http://www.vmacch.ca

    RJCC-31-6-776_F16.gif

    Oroqen garment for men Reprinted from Han et al. (2016). p.144.

    RJCC-31-6-776_F17.gif

    Clothing of Hezhen Reprinted from Hi China. (2018). https://www.youtube.com

    RJCC-31-6-776_F18.gif

    Hat of Oroqen Reprinted from Wei. (2023). http://www.ecns.cn

    RJCC-31-6-776_F19.gif

    Hat of Daur Reprinted from Trip Chaina Guide. (n.d.). https://www.tripchinaguide.com

    RJCC-31-6-776_F20.gif

    Fish skin hat Reprinted from Park & Cho. (2002). p.84.

    RJCC-31-6-776_F21.gif

    Ewenki woman’s tubular headdress Reprinted from Joshua project. (n.d.b). https://joshuaproject.net

    RJCC-31-6-776_F22.gif

    Headdress of Hezhen women Reprinted from Welker. (2023). https://indigenouspeoplenet.wordpress.com

    RJCC-31-6-776_F23.gif

    Leather boots [其佧米] Reprinted from Soh & Kim. (2008). p.37.

    RJCC-31-6-776_F24.gif

    Line decoration of Ewenki people’s leather boots Reprinted from Kokoris. (2011). p.18.

    RJCC-31-6-776_F25.gif

    Leather boots of Ewenki Reprinted from Soh & Kim. (2008). p.41.

    RJCC-31-6-776_F26.gif

    Leather boots [奇哈密] Reprinted from Soh & Kim. (2008). p.45.

    RJCC-31-6-776_F27.gif

    Leather Boots of Oroqen Reprinted from Han et al. (2016). p.189

    RJCC-31-6-776_F28.gif

    Fish skin boots Reprinted from Vávra. (2020). p.336.

    Table

    Comparison of ethnic minorities in Northeast China

    Huangmeixi. (2010);Chung. (2008).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clothing of the four ethnic minorities

    The hat of four ethnic groups

    The shoes of four ethnic groups

    Reference

    1. Bian, F. , & Liu, C. (2014). 达斡尔族传统服饰文化构 成因素解析 [Analysis of the components of Daur traditional clothing culture]. Textile Science Research, (8), 104-106.
    2. Chinaculture.org. (2014, August 7). Ewenki. Retrieved November 22, 2022, from http://en.chinaculture.org/2018-08/07/content_584865.htm
    3. Chung, J. N. (2007). 중국 소수민족 연구: 소수민족 으로 분석하는 중국 [Chinese Minority Studies: Analyzing Ethnic Minorities in China]. Paju: Korean Studies Information.
    4. Chung, J. N. (2008). 중국의 소수민족 [China’s minority]. Paju: Sallim Books.
    5. CRI Online. (2022, April 2). 어원커족의 문화와 예술 [Culture and art of the Ewenki people]. Retrieved November 30, 2022, from https://korean.cri.cn/2022/04/02/ARTIH39ayySKbaB0NZrAyJTO220402.shtml
    6. Ewenki Nationality. (n.d.). In Nouah’s ark. Retrieved November 22, 2022, from https://www.nouahsark.com/en/infocenter/culture/ethnic/ewenki.php
    7. Facts and Details. (2022, October). Daur minority. Retrieved May 22, 2023, from https://factsanddetails.com/china/cat5/sub88/entry-4351.html
    8. Hameed, N. (2017, May 26). Preserving cultures with a camera. Arab News. Retrieved November 29, 2022, from https://www.arabnews.com/node/1105056/www.arabnews.com/ArabicCalligraphy
    9. Han, J. , & Ro, J. (2022). Reinterpreting the Oroqen costumes into nomad fashion design. Journal of Fashion Design, 22(2), 143-161.
    10. Han, Y. , Wu, Y. , Guan, X. , Kim, I. H. , Kim, C. H. , Seo, Y. D. , & Cho, W. H. (2016). 최후의 수렵 민, 어룬춘족 [鄂倫春族] [The last hunters, the Erunchun]. Paju: Chungabook.
    11. Heilongjiang Ethnic Museum. (n.d.). 馆藏珍贵文物 [Cultural heritage collection]. Retrieved November 22, 2022, from http://www.hljsmzbwg.com/gczgww_58.html
    12. Hi China. (2018, December 26). Our story: The Hezhe nationality [YouTube Channel]. Retrieved November 30, 2022, from https://www.youtube.com/watch?v=_cKmcT3hDVE
    13. Hong, H. (2000). The dirination of Altai tungusic language branch Shaman: Centering around stragalomancy. The Journal of Sinology, (9), 1-13.
    14. Hong, N. Y. , Shin, H. S. , & Choi, J. H. (2004). Traditional Costumes of Asia. Paju: Gyomunsa.
    15. Hua, D. (2016, June 19). Traditional sebin festival of Ewenki people held in N China’s inner Mongolia. Ecns.cn. Retrieved August 10, 2023, from http://www.ecns.cn/visual/hd/2016/06-19/97182.shtml
    16. Huangmeixi. (Ed.). (2010). 중국행정구획총람 [Overview of administrative divisions of China]. Youngin: Huangmeixi Edit Department.
    17. Joshua project. (n.d.a). Daur. Retrieved November 30, 2022, from https://joshuaproject.net/people_groups/18433
    18. Joshua project. (n.d.b). Aoluguya Ewenki in China. Retrieved November 30, 2022, from https://joshuaproject.net/people_groups/18453/CH
    19. Kim, H.-S. (2009). A study on pattern of the Miao costume in China: Focusing on the paraffin dyeing embroidery weaving. Journal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 12(2), 31-42.
    20. Ko, S.-H. , & Jang, H.-J. (2010).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clothes of fur and leather worn by chineseminority races in the northeastern regions of China and inner Mongoli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60(4), 58-75.
    21. Kokoris, M. (2011). The Evenki and the critical role of their shamans. The Polar Time, 3(19), 18-19.
    22. Li, S. , Wang, L. , & Lee, Y. (2020). Fashion design applying of features of chinese Hui minority costumes. Journal of the Korea Fashion & Costume Design Association, 22(2), 167-180.
    23. Liu, X. (2017). The study of Daur people shaman Wo Jinzhu. Unpublished master’s thesis, Mokpo University, Mokpo: Korea.
    24. Malloy, R. L. (2008). Fish skin clothing. The Virtual Museum of Asian Canadian Cultural Heritage. Retrieved November 22, 2022, from http://www.vmacch.ca/beta/fish-skin-clothing_collection.html
    25. Noll, R. , & Shi, K. (2004). Chuonnasuan (Meng Jin Fu): The last shaman of the Oroqen of northeast china. Journal of Korean Religions, 6, 135-162.
    26. Northeast Asian History Foundation. (2018). 숲속의 사람들, 어원커족 [The people of the forest, the Ewenki]. Seoul: Author.
    27. Palomino, E. , & Boon, J. (2020). Preservation of the Hezhe people’s fish skin tradition through fashion education. In G. Montagna, & MCPC. Figueiredo(Eds.), Textiles, Identity and Innovation: In Touch (pp. 68-75). Florida: CRC Press.
    28. Park, C. S. (1995). 중국 소수민족의 복식 연구 (1): 동북, 서북지역의 소수민족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lothing of ethnic minorities in China (1) Focusing on ethnic minorities in the northeast and northwest region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26, 175-207.
    29. Park, C. S. , & Cho, W. H. (2002). 중국 소수민족 복 식 [Chinese minority clothing]. Seoul: Monsokwon.
    30. Shin, S.-Y. , & Yoon, C.-S. (2004). Housing and living pattern of the five tribes in northeastern China.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15(6), 47-56.
    31. Soh, H. O. , & Kim, Y. H. (2008). 중국소수민족과 복 식 [Chinese minorities and clothing]. Seoul: Kyungchunsa.
    32. Song, H. Y. (2006). 세계지명 유래사전 [Dictionary of world geographical names]. Seoul: Sungjimunhwasa.
    33. Sun, Y. (2013). 鄂伦春族毛皮艺术 [Fur art of Oroqen nationality]. Art Research, (1), 42-43.
    34. Trip China Guide. (n.d.). Duar ethnic people. Retrieved November 22, 2022, from https://www.tripchinaguide.com/photo-p740-7938-daur-ethnic-people.html
    35. Vávra, R. (2020). Fish and Chaps: Some ethnoarchaeological thoughts on fish skin use in European prehistory. Open Archaeology, 6(1), 329- 347.
    36. Wang, R. , & Li, C. (2019). 达斡尔族刺绣艺术研究 [Research on Daur embroidery Art]. The Border Economy and Culture, 7, 55-56.
    37. Wei, Z. (2023, June 19). Bonfire festival brings tourists to Oroqen. Ecns.cn. Retrieved August 10, 2023, from http://www.ecns.cn/hd/2023-06-19/detail-ihcqnqaq5151040.shtml#
    38. Welker, G. (2023, April 7). Mythologies of the Henze/Nanai people. Indigenous People Literature. Retrieved November 19, 2023, from https://indigenouspeoplenet.wordpress.com/2023/04/07/mythologies-of-the-henze-nanai-people/
    39. Wu, Y. , Kim, I. H. , & Cho, W. H. (2016). Animalhide clothing and decorative arts of the Oroqen people. International Journal of Costume and Fashion, 16(2), 67-79.
    40. Xiaotong, F. (1980). Costume of the Minority Peoples of China. Kyoto: Binobi.
    41. Xu, R. , & Bae, S. J. (2019). A study on the formative relationship between Islamic religious clothing and minority women’s clothing in the northwestern Chin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69(5), 15-34.
    42. Xuanmeng, Z , Yoon, J.-A. , & Lee, Y.-H. (2018). Characteristics of fashion accessories of minorities in Yunnan, China: Focused on Bai, Zhuang, Hani, Dai, and the Zang nationality. Journal of the Korea Fashion & Costume Design Association, 20(1), 109-224.
    43. Yan, T. , Yuan, X. , & Wang, Y. (2021). Pattern and color characteristics of Oroqen people’s traditional costumes. Journal of Heihe University, (11), 136-162.
    44. 東夷文化院 [Eastern China Cultural Center]. (2013, October 22). Evenki. Retrieved November 29, 2022, from http://www.siddham.kr/44412
    45. 韓中關係硏究 [Research on South Korea-China Relations]. (2017). 아무르강의 어렵민, 허저족(赫哲 族) [Fishing people of the Amur River, Hezhen]. Paju: Chungabook.

    Appendix